KR20130079493A - 무선 송신을 위한 채널 이용을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송신을 위한 채널 이용을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493A
KR20130079493A KR1020137005825A KR20137005825A KR20130079493A KR 20130079493 A KR20130079493 A KR 20130079493A KR 1020137005825 A KR1020137005825 A KR 1020137005825A KR 20137005825 A KR20137005825 A KR 20137005825A KR 20130079493 A KR20130079493 A KR 20130079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 power
transmission
communication uni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535B1 (ko
Inventor
칭후아 리
펭 슈에
웬디 씨. 웡
Original Assignee
인텔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7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송신을 위한 채널 이용을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은 경합 기간 동안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송신을 제어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유닛은 경합 기간 동안 무선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백오프 기간을 기다리고,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은 무선 송신의 송신 전력에 기초한다. 다른 실시예가 기재된다.

Description

무선 송신을 위한 채널 이용을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DEVICE,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CHANNEL UTILIZA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는 채널이 사용되지 않는다("클리어" 또는 "유휴")는 것을 감지한 후에만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가 채널이 현재 사용중이지 않은 것을 감지한 직후에 송신을 시도하면, 채널 중단 직후에 클리어 채널을 기다리고 있던 모든 장치가 동시에 송신을 시도할 수 있다. 신호간의 결과적인 "충돌"은 장치 중의 하나 이상이 성공적인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의 기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임의의 무선 통신 표준은 실제로 송신을 수행하기 전에 개방 채널을 감지한 후에 "경합 윈도우(CW; contention window) 방식이 송신하기를 원하는 장치가 기다리는 경합 기간을 포함하는 경합 기반 메카니즘을 구현한다. 이 경합 기반 메카니즘에 따라, 각각의 장치는 기간(백오프 기간)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송신을 시도하기 전(제1 송신 시도)에 채널이 이 기간 동안 유휴일때까지 기다린다. CW는 장치가 기다려야 하는 최대 기간을 정의하고, 예를 들어, 랜덤 값은 CW 내에서 선택된다. 결과적인 제1 송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경합 윈도우의 길이는 후속의 재시도를 위하여 임의의 최대값까지, 시도가 성공적일 때까지 또는 최대수의 재송신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증가, 예를 들어, 2배가 된다. CW 기간은 CW의 최소 시작 사이즈를 정의하는 제1 값(CWmin) 및 CW의 최대 사이즈를 정의하는 제2 값(CWmax)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설명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엘리먼트는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엘리먼트의 일부의 치수가 표시의 명료화를 위하여 다른 엘리먼트에 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번호는 대응 또는 유사 엘리먼트를 지시하기 위하여 도면에서 반복될 수 있다. 도면은 다음과 같이 열거된다.
도 1은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
도 2는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개략 플로우챠트.
도 3은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조절 인자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무선 에어리어 네트워크에서 윈도우 조절 인자의 함수로서 승률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승률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프의 개략도.
도 4는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물품의 개략도.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임의의 실시예의 완벽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특정한 세부사항이 기재된다. 그러나, 임의의 실시예는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없이 실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방법, 절차, 컴포넌트, 유닛 및/또는 회로는 설명이 모호해지지 않도록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컴퓨팅", "산출", "결정", "확립", "분석", "확인" 등의 용어를 이용하는 설명은 컴퓨터의 레지스터 및/또는 메모리 내의 물리적(예를 들어, 전자) 양으로서 표시되는 데이터를 컴퓨터의 레지스터 및/또는 메모리 또는 명령을 저장하여 동작 및/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정보 저장 매체 내의 물리적 양으로서 유사하게 표시되는 다른 데이터로 조작 및/또는 변환하는 컴퓨터, 컴퓨팅 플랫폼, 컴퓨팅 시스템 또는 다른 전자 컴퓨팅 장치의 동작(들) 및/또는 프로세스(들)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복수"는 예를 들어, "다수" 또는 "2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항목"은 2 이상의 항목을 포함한다.
임의의 실시예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 예를 들어, 비디오 장치, 오디오 장치, 오디오-비디오(A/V) 장치, 셋탑 박스(STB),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레이어, BD 레코더, DVD(Digital Video Disc) 플레이어, HD(High Definition) DVD 플레이어, DVD 레코더, HD DVD 레코더, PVR(Personal Video Recorder), 방송 HD 수신기, 비디오 소스, 오디오 소스, 비디오 싱크, 오디오 싱크, 스테레오 튜너, 방송 라디오 수신기, 디스플레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PMP(Personal Media Player),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VC),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스피커, 오디오 수신기, 오디오 증폭기, 데이터 소스, 데이터 싱크, DSC(Digital Still Camera), PC(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장치, 핸드헬드 PDA 장치, 온-보드(on-board) 장치, 오프-보드(off-board) 장치, 하이브리드 장치, 차량 장치, 비차량 장치, 모바일 또는 휴대용 장치, 컨슈머(consumer) 장치, 넌-모바일 또는 비휴대용 장치, 무선 통신 스테이션,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유선 또는 무선 라우터, 유선 또는 무선 모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무선 에어리어 네트워크, 무선 비디오 에어리어 네트워크(WVAN),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무선 LAN(WLAN), 퍼스널 에어리어 네트워크(PAN), 무선 PAN(WPAN), 기존의 WirelessHDTM 및/또는 WGA(Wireless-Gigabit-Alliance) 규격 및/또는 미래 버전 및/또는 그 파생물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 기존의 IEEE 802.11(IEEE 802.11-1999: 무선 LAN MAC(Medium Access Control) 및 PHY(Physical Layer) 규격) 표준(IEEE 802.11 표준), IEEE 802.16 표준 및/또는 미래 버전 및/또는 그 파생물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 및/또는 네트워크, 상기 네트워크의 일부인 유닛 및/또는 장치, 일방향 및/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 시스템, 셀룰러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 무선 디스플레이(WiDi) 장치,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장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PDA 장치, 모바일 또는 휴대용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GPS 수신기 또는 트랜시버 또는 칩을 포함하는 장치, RFID 엘리먼트 또는 칩을 포함하는 장치,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트랜시버 또는 장치,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트랜시버 또는 장치, MISO(Multiple Input Single Output) 트랜시버 또는 장치, 하나 이상의 내부 안테나 및/또는 외부 안테나를 갖는 장치, DVB(Digital Video Broadcast) 장치 또는 시스템, 멀티-표준 무선 장치 또는 시스템, 유선 또는 무선 핸드헬드 장치(예를 들어, 블랙베리, 팜 트레오(Palm Treo),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장치 등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무선 통신 신호 및/또는 시스템, 예를 들어, RF(Radio Frequency), IR(Infra Red), FDM(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Orthogonal FDM), TDM(Time-Division Multiplexing),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E-TDMA(Extended TDMA),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확장된 GPRS,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CDMA 2000, 단일 캐리어 CDMA, 멀티 캐리어 CDMA, 멀티 캐리어 변조(MDM), DMT(Discrete Multi-Tone), 블루투스®, GPS, Wi-Fi, Wi-Max, ZigBeeTM, UWB(Ultra-Wide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2G, 2.5G, 3G, 3.5G,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등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다양한 다른 장치, 시스템 및/또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무선 장치"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스테이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또는 비휴대용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는 컴퓨터와 통합된 주변 장치 또는 컴퓨터에 부착된 주변 장치이거나 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어 "무선 장치"는 선택적으로 무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는 적절한 제한된 범위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피코넷", 예를 들어, 무선 에어리어 네트워크, WVAN, WPAN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는 2 이상의 장치 사이의 적절한 콘텐츠의 무선 송신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콘텐츠는 미디어 콘텐츠, 예를 들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 예를 들어,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콘텐츠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데이터, 정보 및/또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 배치는 비교적 밀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기업 배치는 서로 단지 20 내지 30 미터 떨어진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WiFi 시스템의 무선 송신 간의 간섭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밀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분배된 네트워크 내의 무선 통신 장치(노드)는 예를 들어 송신 거리와 무관하게 송신을 위한 최대 송신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노드는 자신의 링크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노드에 의해 구현되는 적절한 표준 또는 프로토콜하에서 허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노드가 최대 송신 전력을 계속 이용하는 동안 노드가 감소된 송신 전력을 사용하면, 감소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는 노드는 예를 들어 다른 노드로부터의 간섭 때문에 감소된 스루풋을 겪을 수 있다.
과도한 송신 전력의 사용은 비교적 높은 간섭 범위(footprint)를 부과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높은 밀도의 병렬 송신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WiDi 링크 간의 간섭이 최소 요구 WiDi 송신 레이트의 지원을 금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의 사용은 동일한 영역 내에서, 예를 들어, 동일한 집의 2개의 이웃하는 방 내에서, 2개의 WiDi 링크를 이용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송신 전력을 제어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수의 병렬 링크, 예를 들어, 2 이상의 병렬 WiDi 링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및/또는 더 높은 시스템 스루풋을 달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노드가 최대 전력으로부터 최소 요구 전력, 예를 들어, 최상 변조 및 코딩 세트 및/또는 임의의 다른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최저 송신 전력으로 송신 전력을 낮추면, 무선 링크의 스루풋은 예를 들어 5의 인수만큼 증가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한다.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에어리어 네트워크로서 동작할 수 있다. 시스템(100)의 각 노드는 시스템(100)에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노드는 예를 들어 무선 채널, IR 채널, RF 채널, WiFi(Wireless Fidelity) 채널 등의 하나 이상의 적절한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노드는 선택적으로 임의의 적절한 유선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WirelessHDTM 규격, WGA(Wireless-Gigabit-Alliance) 규격 등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WVAN, WPAN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표준, 프로토콜 또는 규격, 예를 들어,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인포메이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등에 의해 촉진된 표준, 프로토콜 및/또는 규격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정보를 전달, 관리 및/또는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프로토콜,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SNA(Systems Network Architecture) 프로토콜,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 IP(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 중의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장치(노드), 예를 들어, 장치(104 및/또는 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106 및/또는 104)는 예를 들어 비디오 장치, WiDi 장치, 오디오 장치, A/V 장치, STB, BD 플레이어, BD 레코더, DVD 플레이어, HD DVD 플레이어, DVD 레코더, HD DVD 레코더, PVR, 방송 HD 수신기, 비디오 소스, 오디오 소스, 비디오 싱크, 오디오 싱크, 스테레오 튜너, 방송 라디오 수신기,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PMP, DVC,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스피커, 오디오 수신기, 오디오 증폭기, 데이터 소스, 데이터 싱크, DSC, 미디어 플레이어, 스마트폰, 텔레비전, 뮤직 플레이어, PC, 데스크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PDA 장치, 핸드헬드 PDA 장치, 온-보드(on-board) 장치, 오프-보드 장치, 하이브리드 장치(예를 들어, 셀룰러 폰 기능을 PDA 장치 기능과 결합), 컨슈머 장치, 차량 장치, 비차량 장치, 모바일 또는 휴대용 장치, 넌-모바일 또는 비휴대용 장치, 셀룰러 전화, PCS 장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PDA 장치, 모바일 또는 휴대용 GPS 장치, DVB 장치, 비교적 소형 컴퓨팅 장치, 넌-데스크탑 컴퓨터, CSLL(Carry Small Live Large) 장치, UMD(Ultra Mobile Device), UMPC(Ultra Mobile PC), MID(Mobile Internet Device), "Origami"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 DCC(Dynamically Composable Computing)를 지원하는 장치, 컨텍스트 인식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장치(106)는 무선 통신 유닛(118)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무선 통신 장치(104)는 무선 통신 유닛(107)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장치(104) 및/또는 장치(106)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16), 입력 유닛(108), 출력 유닛(110), 메모리 유닛(114) 및 저장 유닛(112)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코디네이터(102), 장치(104) 및/또는 장치(106)는 선택적으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04) 및/또는 장치(106)의 각각의 컴포넌트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공통 하우징 또는 패키징 내에 둘러싸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되거나 동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104) 및/또는 장치(106)의 컴포넌트는 다수 또는 개별 장치 또는 위치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프로세서(116)는 예를 들어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 싱글 코어 프로세서, 듀얼 코어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호스트 프로세서, 제어기,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칩, 마이크로칩, 하나 이상의 회로, 회로망, 로직 유닛, 집적 회로(IC), ASIC(Application Specific IC),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다목적 또는 특정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6)는 예를 들어 장치(104) 및/또는 장치(106)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을 실행한다.
입력 유닛(108)은 예를 들어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 패드, 트랙볼, 스타일러스,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적절한 포인팅 장치 또는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출력 유닛(110)은 예를 들어 모니터, 스크린,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닛,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유닛,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닛,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 또는 이어폰 또는 다른 적절한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114)은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플래쉬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캐시 메모리, 버퍼, 단기(short term) 메모리 유닛, 장기(long term) 메모리 유닛 또는 다른 적절한 메모리 유닛을 포함한다. 저장 유닛(112)은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CD) 장치, CD-ROM 드라이브, DVD 드라이브, 또는 다른 적절한 제거가능 또는 제거불가능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114) 및/또는 저장 유닛(112)은 예를 들어 장치(104) 및/또는 장치(106)에 의해 프로세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무선 통신 유닛(118 및/또는 107)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신호, RF 신호, 프레임, 블록, 송신 스트림, 패킷, 메시지, 데이터 아이템,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선 송신기, 수신기 및/또는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8 및/또는 107)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등을 포함하거나 그들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유닛(118 및/또는 10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세트(120 및/또는 105)를 각각 포함하거나 그와 연관될 수 있다. 안테나(120 및/또는 105)는 예를 들어 내부 및/또는 외부 RF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전방향(omni-directional) 안테나, 엔드 페드(end fed) 안테나, 원 편광 안테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다이버시티 안테나, 또는 무선 통신 신호, 블록, 프레임, 송신 스트림, 패킷,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적합한 다른 타입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장치(104) 및/또는 장치(10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대 송신 전력(Pmax), 예를 들어 시스템(100)에 의해 이용되는 표준 및/또는 프로토콜에 따른 최대 송신 전력보다 낮은 송신 전력을 제어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의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 예를 들어, 장치(104) 및/또는 장치(106)는 무선 송신을 수행하는 통신 링크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P)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장치(107)는 무선 통신 유닛(107)에 의한 송신에 사용되는 통신 링크(121)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데이터 레이트, MCS(Modulation-Coding-Scheme), 통신 링크(121)의 QoS(quality of service), 경로 손실 측정, 통신 링크 품질, 다른 장치와의 간섭, 및/또는 링크(121) 및/또는 링크(121)를 통한 송신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링크(121)를 통해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전력(P)을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은 링크(121)를 통한 데이터 레이트, 평균 스루풋, 링크(121)의 MCS, 링크(121)의 QoS, 링크(121)와 연관된 경로 손실 측정, 링크(121)의 통신 링크 품질, 또 다른 장치와의 간섭 및/또는 링크(121) 및/또는 링크(121)를 통한 송신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P)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및/또는 반복적으로 및/또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소정의 반복 레이트로 송신 전력(P)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 등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방법 및/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레이트, MCS 및/또는 링크(121)와 관련된 임의의 다른 파라미터를 모니터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무선 통신 유닛(107)에 의한 송신에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링크, 예를 들어, 각각의 링크, 예를 들어, 링크(121)에 대하여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MCS, 스루풋 및/또는 송신 전력(P)을 결정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유닛(107)은 링크의 각각, 예를 들어, 링크(121)를 통한 송신 전력을 링크의 결정된 스루풋 및/또는 MCS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최저 또는 최소 송신 전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반복 레이트로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반복 레이트는 예를 들어 적어도 10개의 비컨 간격, 예를 들어, 100개의 비컨 간격의 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 예에서, 10 데시벨(dB)의 신호 대 잡음비(SNR)는 1/2의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코드 레이트에 대하여 10% 패킷 에러 레이트(PER)를 달성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유닛(107)은 링크(121)를 통한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을 10dB의 SNR을 유지하도록 하는 최저 레벨(P<Pmax)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의 무선 통신 장치,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4 및 106)는 송신 전력(P)을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스템(100)의 장치의 송신 간의 간섭은 예를 들어 일정한 송신 전력, 예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Pmax)을 이용한 시스템(100)의 각각으로부터 발생하는 간섭에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의 노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4)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반복 레이트 또는 빈도로, 예를 들어 매 10 비컨 간격, 매 100 비컨 간격 등으로 송신 전력(P)을 측정 및/또는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시스템(100)의 모든 노드는 송신 전력(P)을 측정 및/또는 조절하는 동일한 반복 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간, 예를 들어, 10 비컨 간격 동안, 시스템(100)의 제1 노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4)에 의해 이용되는 송신 전력의 감소는 시스템(100) 내의 하나 이상의 이웃 노드, 예를 들어, 수신 문턱값의 밖에 있지만 CCA(Clear Channel Avoidance) 검출 범위 내에 있는 노드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이웃 노드는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데이터 레이트를 달성하면서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른 노드에 의해 이용되는 감소된 송신 전력은 제1 노드에 의해 감지된 채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드는 평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송신 전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고, 시스템(100)의 각각의 노드는 최적의 전력 레벨에서, 예를 들어, 전력 조절의 몇번의 라운드 또는 반복 후에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노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4)는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노드에 의해 이용되는 송신 전력을, 예를 들어, 제1 전력 레벨(P1)로부터 제2 전력 레벨(P2)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레벨(P2)을 이용한 데이터 레이트가 전력 레벨(P1)을 이용한 데이터 레이트보다 높지 않으면, 노드는 송신 전력을 전력 레벨(P1)로 다시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송신 노드, 예를 들어, 장치(104)의 무선 통신 유닛(107)은 링크, 예를 들어, 링크(121)를 통해 수신 노드, 예를 들어, 장치(106)에게 적절한 MCS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수신 노드로부터 수신된 응답 MCS에 기초하여 링크의 MCS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송신 전력의 동적 조절은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시스템(100)의 대부분의 노드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노드("넌-레가시(non-legacy)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에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송신 전력의 동적 조절을 이용하지 않는 다수의 노드("레가시 노드")가 증가함에 따라, 송신 전력의 동적 조절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예를 들어, 시스템(100) 내의 레가시 노드의 수가 넌-레가시 노드의 수 이상이면, 예를 들어 레가시 노드가 최대 송신 전력(Pmax)을 연속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감소된 개선이 달성되거나 심지어 개선이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링크에 의한 통신 채널의 소비 레벨은 지속기간(duration) 인자, 예를 들어, 링크를 통한 송신 지속기간 및 스페이스 인자(간섭 범위 영역(interference footprint area)), 예를 들어, 링크에 의해 점유되는 채널의 일부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내의 링크를 통한 송신 지속기간이 반으로 감소하면, 예를 들어, 다른 송신이 나머지 절반 동안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채널의 소비가 반으로 감소한다. 송신의 송신 전력이 감소하여 간섭 범위가 반으로 감소하면, 소비가 또한 반으로 감소한다.
IEEE 802.11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합 기반 메카니즘은 송신 지속기간에 기초하고, 송신에 의해 야기된 간섭 범위는 무시된다. 결과적으로, 노드, 예를 들어, 802.11 표준에 따른 노드가, 최대 송신 전력이 과도하고 및/또는 송신에 필요되지 않을 때에도, 최대 송신 전력(Pmax) 또는 임의의 다른 최고 이용가능한 송신 전력을 항상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노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4)는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송신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시스템(100)의 경합 기반 메카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백오프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적은 송신 전력을 이용하는 노드는 시간의 더 많은 부분에 대하여 채널을 이용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반대로, 더 많은 송신 전력을 이용하는 노드는 시간의 더 작은 부분 동안 채널을 이용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동시 송신을 허용하면서 감소된 송신 전력, 예를 들어, 최저의 적절한 송신 전력을 이용하도록 "권장"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경합 윈도우(contention window(CW))" 방식이, 실제로 송신을 수행하기 전에 오픈("클리어")을 감지한 후에 송신하기를 원하는 노드가 기다릴 경합 기간을 포함하는 경합 기반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합 기반 메카니즘에 따르면, 시스템(100)의 각각의 노드는 기간("백오프 기간")을 예를 들어 랜덤하게 선택하고, 송신을 시도("제1 송신 시도")하기 전 이 기간 동안 채널이 유휴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CW는 노드가 기다려야 하는 최대 기간을 정의하고, 예를 들어, 랜덤값은 CW 내에서 선택된다. 결과적인 제1 송신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으면, 경합 윈도우의 길이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속의 재시도를 위하여 CW의 최대 사이즈까지, 재시도가 성공적일 때까지, 또는 최대수의 재송신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CW 기간은 CW의 최소 시작 사이즈를 정의하는 제1 기간(CWmin) 및 CW의 최대 사이즈를 정의하는 제2 값(CWmax)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백오프 메카니즘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04)에 의해 무선 송신을 제어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선 송신의 송신 전력(P)에 기초하여 백오프 메카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백오프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하나 이상의 백오프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이 예를 들어 무선 송신의 송신 전력(P)에 기초하여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이 예를 들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의 증가에 대하여 증가할 것이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백오프 파라미터는 경합 윈도우를 정의하는 경합 윈도우 파라미터, 예를 들어, 최소 경합 윈도우 값(CWmin)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CW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은 송신 전력(P)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를 결정하고 경합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기간을 선택하고, 경합 기간 동안 무선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백오프 기간을 기다린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링크, 예를 들어, 링크(121)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에 대하여 단조 감소하는 미리 정의된 기능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 예를 들어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무선 통신 유닛(107)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때 CW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은 제1 송신 전력을 이용할 때 제1 CW 사이즈를 갖는 제1 CW를 이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유닛(107)은 제1 송신 전력보다 낮은 제2 송신 전력을 이용할 때 제1 CW 사이즈보다 짧은 제2 CW 사이즈를 갖는 제2 CW를 이용할 수 있다. 감소된 CW 사이즈는, 예를 들어 백오프 기간이 감소된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 유닛(107)에 대한 채널 액세스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증가된 채널 액세스 지속기간을 갖는 감소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는 것과 감소된 채널 액세스 지속기간을 갖는 증가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는 것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짧은 CW는 무선 통신 유닛(107)에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간섭 범위를 낮추는 장려 정책(incentive)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는 백오프 기간의 지속기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백오프 기간의 지속기간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백오프 기간의 지속기간은 백오프 기간이 카운트되는 백오프 카운터 레이트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오프 카운터 레이트는 예를 들어 송신 전력(P)의 감소에 응답하여 백오프 기간의 지속기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증가될 수 있고 및/또는 백오프 카운터 레이트는 예를 들어 송신 전력(P)의 증가에 응답하여 백오프 기간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도록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비교적 짧은 거리에 걸쳐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예를 들어, 장치(104, 106), 예를 들어, 10 피트 이하의 거리에 걸쳐 통신하는 WiDi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짧은 거리는 SNR의 적절한 레벨, 예를 들어 30dB의 SNR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Pmax)을 이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을 이용하는 레가시 노드에 의해 얻어진 채널 액세스 기회와 비교하여 송신 전력(P)을 감소시키고 증가된 채널 액세스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유닛(107)에 의해 이용되는 감소된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다른 방에 위치하는 다른 WiDi 장치에 의한 동시 송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채널을 통해 송신할 기회에 대하여 경합하는 제1 노드, 예를 들어, 장치(104)는, 예를 들어, 제1 노드에 의해 이용되는 제1 송신 전력이 제2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제2 송신 전력보다 낮으면, 제2 노드, 예를 들어, 장치(106)와 비교하여 낮을 수 있는 레이트로 제1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경합 윈도우를 증가시키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최소 경합 윈도우 값(CWmin) 및 최대 경합 윈도우 값(CWmax) 사이의 CW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무선 통신 유닛(107)에 의해 이용되는 송신 전력(P)에 대응하는 CW 조절 함수(f(P))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함수(f(P))는 송신 전력(P)에 대하여 단조 감소할 수 있고, 함수(f(P))는 1보다 큰 값을 반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함수(f(P))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송신 전력(P) 및 최대 송신 전력(Pmax) 사이의 관계에 기초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함수(f(P))는 송신 전력(P)에 기초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통해 간접적으로 송신 전력(P)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수(f(P))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송신 전력(P)에 의해 달성되는 송신 거리(D(P)) 및 송신 전력(Pmax)에 의해 달성되는 최대 송신 거리(Dmax) 간의 관계에 기초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다른 실시예에서, 함수(f(P))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함수 및/또는 산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수(f(P))는 송신 전력(P)에 대하여 단조 감소하는 채널 액세스 레벨을 유발하는 임의의 적절한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의 둘 이상의 노드, 예를 들어 시스템(100)의 대부분 또는 모든 노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함수 f(P)를 이용한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무선 통신 유닛(107)이 송신을 수행하는 수신 노드와의 적어도 하나의 개별 링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구되는 송신 전력(P_required)을 결정할 수 있다. 요구되는 송신 전력(P_required)은 링크에 대응하는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추정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임의의 적절한 표준 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피드백 신호 품질 및/또는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바람직한 MCS에 기초하여 링크(121)에 대응하는 요구되는 송신 전력(P_required)을 추정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경합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기간을 선택하고 무선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백오프 기간을 기다릴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충돌을 검출할 때 송신 전력 및/또는 충돌 윈도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요구되는 송신 전력(P_required) 및 최대 송신 전력(Pmax)에 기초하여 송신에 사용될 송신 전력(P)을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다음과 같이 현재 경합 윈도우 값(CWmincurrent)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된 최소 경합 윈도우 값(CWminadjusted)을 결정하여 경합 윈도우를 조절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조절된 값(CWminadjusted) 및 값(CWmax)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를 설정함으로써 경합 윈도우를 조절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랜덤하게 또는 의사 랜덤하게 0 및 CWadjusted 사이의 수를 선택함으로써 백오프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경합 윈도우를 조절하는 것과 함께 송신 전력(P)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은 증가된 채널 액세스 레벨을 얻기 위하여 비교적 감소된 송신 전력(Pa), 예를 들어, 경합 윈도우 사이즈(CW1)를 유발할 수 있는 Pmax보다 P_required에 더 가까운 송신 전력(Pa)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비교적 증가된 송신 전력(Pb), 예를 들어, Pb>Pa를 선택하여 증가된 경합 윈도우 사이즈(CW2>CW1) 및 비교적 감소된 채널 액세스 레벨을 유발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시스템(100) 내의 모든 노드가 넌-레가시 노드를 포함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통신 링크(121)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링크(121)를 통한 송신에 사용될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유닛(107)은, 시스템(100)이 하나 이상의 레가시 노드를 포함하면,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무선 통신 유닛(107)은, 무선 통신 유닛(107)이 통신 링크(121)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링크(121)를 통한 송신에 사용될 송신 전력을 설정하고, 선택적으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를 조절하는 제1 동작 모드 및 무선 통신 유닛(107)이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를 조절하는 제2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은, 예를 들어 어떠한 레거시 노드도 검출되지 않으면 제1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고, 예를 들어 레거시 노드의 검출 시에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한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서, 도 2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동작은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시스템(100)(도 1)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 예를 들어, 장치(104 및/또는 106)(도 1) 및/또는 무선 통신 유닛,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 및/또는 118)(도 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블록(202)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무선 송신의 송신 전력을 무선 통신 장치에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204)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은 무선 송신을 수행하는 통신 링크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레이트, 변조 코딩 방식, 통신 링크의 서비스 품질, 경로 손실 측정, 통신 링크 품질 및 다른 장치와의 간섭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208)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방법은 미리 정의된 반복 레이트로 송신 전력의 설정을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송신 전력(P)을 반복적으로 모니터링 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블록(210)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방법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송신을 수행하는 백오프 메카니즘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백오프 메카니즘의 경합 윈도우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212)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경합 윈도우를 설정하는 것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214)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은 송신 전력에 대하여 단조 감소하는 미리 정의된 함수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증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함수(f(P))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블록(216)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최소 경합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송신 전력(P)에 기초하여 CWmin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블록(218)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방법은 경합 윈도우 내에서 백오프 기간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도 1)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경합 윈도우에 기초하여 백오프 기간을 선택하고 백오프 기간을 기다릴 수 있다.
블록(202)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방법은 충돌이 검출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유닛(107)(도 1)은 링크를 통해 송신을 수행하기 전에 충돌이 검출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220)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방법은 예를 들어 백오프 기간이 만료된 후에 예를 들어 충돌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 조절 인자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무선 에어리어 네트워크에서 윈도우 조절 인자(μ)의 함수로서 승률(winning ratio)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프(302)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승률를 나타내는 제2 그래프(304)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을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곡선(302)은 무선 통신 장치가 충돌 검출시 조절 인자(μ)에 의해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할 때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승률을 나타내고, 곡선(304)은 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충돌 검출시 2의 상수 인자에 의해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7개의 다른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승률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의 승률의 증가는 가변 조절 인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지시 실시예에서, 시뮬레이션 배치(simulation deployment)는 20×20 그리드 설정에 따라 분포된 400개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시뮬레이션 배치는 각각의 노드가 최대 송신 전력(Pmax)를 일정하게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전력 이용 모드에서 0.1005의 노드 당 채널 이용 레벨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시뮬레이션 배치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노드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전력 이용 모드에서 더 증가된 0.3126의 노드당 채널 이용 레벨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시뮬레이션 배치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노드가 최소 이용가능 송신 전력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제3 전력 이용 모드에서 더 증가된 0.4819의 노드당 채널 이용 레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약 3의 인자에 의한 스루풋의 증가는 제1 전력 이용 모드에 의해 달성되는 스루풋과 비교하여 제2 전력 이용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약 5의 인자에 의한 스루풋의 증가는 제1 전력 이용 모드에 의해 달성된 스루풋과 비교하여 제3 전력 이용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증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물품(4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한다. 물품(400)은 무선 통신 유닛(107)(도 1) 및/또는 무선 통신 유닛(118)(도 1)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고 도 2의 방법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로직(404)을 저장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400) 및/또는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402)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제거가능 또는 제거 불가능 메모리, 소거가능 또는 소거 불가능 메모리, 기록가능 또는 재기록가능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40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RAM(DRAM), DDR-DRAM(Double-Data-Rate DRAM), 동기 DRAM(SDRAM), 정적 RAM(S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프로그래머블 ROM(P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ROM(EEPROM), 컴팩트 디스크 ROM(CD-ROM), CD-R(Compact Disk Recordable), CD-RW(Compact Disk Rewriteable),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어, NOR 또는 NAND 플래시 메모리),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 폴리머 메모리, 상-변화 메모리, 강유전성 메모리, SONOS(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메모리,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드라이브,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카드, 자기 카드, 광 카드, 테이프, 카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원격 컴퓨터로부터 통신 링크, 예를 들어, 모뎀, 라디오 또는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반송파 또는 다른 프로그램 매체에서 구현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전달되는 요청 컴퓨터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직(404)은 머신에 의해 실행되면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머신이 방법, 프로세스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명령, 데이터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은 예를 들어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싱 플랫폼, 컴퓨팅 플랫폼, 컴퓨팅 장치, 프로세싱 장치, 컴퓨팅 시스템, 프로세싱 시스템, 컴퓨터,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직(404)은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브루틴, 명령, 명령 세트, 컴퓨팅 코드, 워드, 값, 심볼 등을 포함하거나 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명령은 소스 코드, 컴파일링 코드, 해석 코드, 실행가능 코드, 정정 코드, 동적 코드 등의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은 프로세서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컴퓨터 언어, 방법 또는 신택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명령은 C, C++, 자바, BASIC, Matlab, Pascal, Visual BASIC, 어셈블리 언어, 기계 코드 등의 임의의 적절한 하이 레벨, 로우 레벨, 객체 지향, 비주얼, 컴파일링 및/또는 해석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하는 기능, 동작, 컴포넌트 및/또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여기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 동작, 컴포넌트 및/또는 특징과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사용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특징이 여기에 도시되고 기재되지만, 많은 변형, 대체, 변경, 및 균등물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장치로서,
    경합 기간(contention period)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상기 경합 기간 동안 상기 무선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백오프 기간을 기다리고,
    상기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duration)은 상기 무선 송신의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경합 윈도우 조절 함수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합 윈도우 조절 함수는 f(P)=1+(P/Pmax)^2와 같이 상기 송신 전력과 최대 송신 전력 간의 관계에 기초하고, 여기서, f(P)는 경합 윈도우 조절 함수이고, P는 상기 송신 전력이고, Pmax는 상기 최대 송신 전력인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합 윈도우 조절 함수는 f(P)=1+D(P)/Dmax^2와 같이 상기 송신 전력(P)에 의해 달성되는 송신 거리(D(P) 및 최대 송신 거리(Dmax) 간의 관계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무선 송신을 송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미리 정의된 반복 레이트로 상기 송신 전력의 설정을 반복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데이터 레이트, 변조 코딩 방식, 통신 링크의 서비스 품질, 경로 손실 측정, 통신 링크 품질 및 다른 장치와의 간섭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상기 경합 윈도우 조절 함수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결정하고 상기 경합 윈도우 내에서 상기 백오프 기간을 선택하며, 상기 경합 윈도우 조절 함수는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하여 단조 감소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상기 송신 전력의 증가에 대하여 상기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을 증가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9.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및
    백오프 메카니즘에 따라 상기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상기 무선 송신의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백오프 메카니즘의 적어도 하나의 백오프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오프 파라미터는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과 관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백오프 파라미터는 경합 윈도우를 정의하는 경합 윈도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합 윈도우 파라미터는 최소 경합 윈도우 값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상기 송신 전력의 증가에 대하여 상기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을 증가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상기 무선 송신을 송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미리 정의된 반복 레이트로 상기 송신 전력의 설정을 반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은 데이터 레이트, 변조 코딩 방식, 통신 링크의 서비스 품질, 경로 손실 측정, 통신 링크 품질 및 다른 장치와의 간섭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무선 통신 장치에서, 백오프 기간을 이용하는 백오프 메카니즘에 따라 무선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링크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송신의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는 데이터 레이트, 변조 코딩 방식, 통신 링크의 서비스 품질, 경로 손실 측정, 통신 링크 품질 및 다른 장치와의 간섭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전력의 증가에 대하여 상기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기간의 지속 기간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하여 단조 감소하는 미리 정의된 함수에 기초하여 경합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경합 윈도우 내에서 상기 백오프 기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37005825A 2010-09-21 2011-09-21 무선 송신을 위한 채널 이용을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451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6,648 2010-09-21
US12/886,648 US8467472B2 (en) 2010-09-21 2010-09-21 Device,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channel utiliza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PCT/US2011/052664 WO2012040400A1 (en) 2010-09-21 2011-09-21 Device,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channel utiliza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493A true KR20130079493A (ko) 2013-07-10
KR101451535B1 KR101451535B1 (ko) 2014-10-15

Family

ID=4581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825A KR101451535B1 (ko) 2010-09-21 2011-09-21 무선 송신을 위한 채널 이용을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67472B2 (ko)
EP (1) EP2620034A4 (ko)
JP (1) JP5571252B2 (ko)
KR (1) KR101451535B1 (ko)
CN (1) CN103109579B (ko)
WO (1) WO20120404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789A (ko) * 2014-04-28 2016-11-04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분산된 d2d를 위한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8307B2 (en) 2010-12-25 2015-02-17 Intel Corporation Enabling coexistence of high-density and low-density transmissions
KR20120117560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스루풋 테스트 방법
JP5674992B2 (ja) * 2012-02-24 2015-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通信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9521694B2 (en) 2012-06-18 2016-1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cess distribution over wireless LAN
US9148892B2 (en) * 2012-08-31 2015-09-29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Transmitting data
US20140105037A1 (en) * 2012-10-15 2014-04-17 Natarajan Manthiramoorthy Determining Transmission Parameters for Transmitting Beacon Framers
EP3139692B1 (en) * 2013-03-07 2018-05-23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transmission and back-off intervals in network devices
KR102083563B1 (ko) * 2013-07-22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095133A (zh) * 2014-05-04 2015-11-25 曾广兴 用于微波负载牵引测量的Wi-Fi控制一体化复阻抗调配器
US9743363B2 (en) * 2014-06-24 2017-08-22 Qualcomm Incorporated CCA clearance in unlicensed spectrum
CN104867310A (zh) * 2015-05-11 2015-08-26 李书英 多信道遥测终端机
US10663569B2 (en) * 2017-09-19 2020-05-2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Loc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communication protocols with open channels and secure communication connections
CN111918408B (zh) * 2020-08-06 2023-06-06 北方工业大学 基于csma-ca退避算法的优化方法及装置
WO2022268326A1 (en) * 2021-06-24 2022-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random acces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4688C2 (sv) * 2001-12-06 2004-09-14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anordningar för att allokera kanal till en mobilstation i ett radiokommunikationssystem
US7610027B2 (en) * 2002-06-05 2009-10-27 Mesh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specification absorption rate at a wireless node
US20050064817A1 (en) * 2003-09-24 2005-03-24 Boris Ginzbur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daptation of collision avoidance mechanism for wireless network
US20080273478A1 (en) * 2004-06-30 2008-1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Fairly Distribution of Spectrum in Contention-Based Protocols
US20060215686A1 (en) * 2005-03-28 2006-09-28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medium under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US20060268924A1 (en) * 2005-04-01 2006-11-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deferred transmission level and a transmission power lev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516095A (ja) 2007-01-05 2010-05-1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ネルにおけるバックオフ機構
WO2010033000A2 (en) 2008-09-22 2010-03-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system
KR101107324B1 (ko) 2008-12-08 2012-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전달을 보장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보장 방법
US8989106B2 (en) * 2009-02-27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cheduling uplink request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RSDMA) messages in an SDMA capable wireless L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789A (ko) * 2014-04-28 2016-11-04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분산된 d2d를 위한 채널 액세스 우선순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1252B2 (ja) 2014-08-13
KR101451535B1 (ko) 2014-10-15
CN103109579A (zh) 2013-05-15
US8467472B2 (en) 2013-06-18
EP2620034A4 (en) 2017-01-18
EP2620034A1 (en) 2013-07-31
CN103109579B (zh) 2016-08-10
US20120071192A1 (en) 2012-03-22
WO2012040400A1 (en) 2012-03-29
JP2013543678A (ja)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535B1 (ko) 무선 송신을 위한 채널 이용을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719945B1 (ko) 디스커버리 프레임에 대한 송신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5437488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5781658B2 (ja) 無線通信デバイスのグループと同時に通信する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9173191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8077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resour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supporting multi-user transmission scheme
US8588091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over a combined channel
KR20120105513A (ko) 무선 통신 유닛의 그룹과의 통신을 스케쥴링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EP311764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imultaneous wireless transmissions
US1001581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transmit slo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301418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link-based wireless communication
WO2023222250A1 (en) Contention window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