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085A -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085A
KR20130079085A KR1020120043881A KR20120043881A KR20130079085A KR 20130079085 A KR20130079085 A KR 20130079085A KR 1020120043881 A KR1020120043881 A KR 1020120043881A KR 20120043881 A KR20120043881 A KR 20120043881A KR 20130079085 A KR20130079085 A KR 20130079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ubstrate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ispla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190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0938A3/en
Priority to US13/678,190 priority patent/US8878166B2/en
Priority to CN201210505834.9A priority patent/CN103187427B/zh
Publication of KR2013007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영상 형성부가 밀봉되도록 상기 전면 기판과 상기 후면 기판 사이에서 상기 영상 형성부를 둘러싸는 밀봉 부재; 및 사용자 입력키들이 구비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 및 상기 후면 기판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nel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flat-panel display)는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tal di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디스플레이(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대표적인 평편 디스플레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는 표시 패널과 그 표시 패널을 감싸는 전면 및 후면 샤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면 샤시에는 화면 및 음향 조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키들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전면 샤시의 내측에는 그 입력키들을 탑재한 입력키 회로보드가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입력키 회로보드는 전면 샤시에 일체로 형성된 기구물 또는 전면 샤시와 별도로 마련된 기구물에 장착됨이 통상적이다.
종래의 입력키 회로보드 장착 방식은 평판 디스플레이 내에 입력키 회로보드의 장착을 위한 기구물의 수용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평판 디스플레이의 슬림화 설계 또는 바젤-리스(bazel-less) 설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는 자체적으로 발광하므로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시야각이 넓다는 점, 비교적 빠른 응답 속도를 갖는다는 점, 전력 소모량이 적다는 점, 초박형이 가능한 점 등의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전면 기판 및 그 위에 적층된 영상 형성부를 포함한다. 영상 형성부는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캐소드 전극 등을 포함하며, 산소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후면 기판에 의해 밀봉(seal)된다. 전면 기판은 후면 기판에 의해 전체적으로 밀봉될 수도 있지만, 그 가장자리 영역에 비밀봉부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밀봉부는 밀봉의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비밀봉부 상에는 영상 형성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내의 어떤 구성(들)을 배치시키기 위한 곳으로 비밀봉부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 중 하나는, 입력키 회로보드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슬림화 설계 및 바젤-리스 설계에 적합한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영상 형성부가 밀봉되도록 상기 전면 기판과 상기 후면 기판 사이에서 상기 영상 형성부를 둘러싸는 밀봉 부재; 및 사용자 입력키들이 구비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 및 상기 후면 기판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상기 전면 기판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전면 기판의 유효 표시부에 대응하는 투명부; 및 상기 전면 기판의 비유효 표시부에 대응하는 불투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의 비유효 표시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필름의 불투명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조도 센서이며, 상기 커버 필름의 불투명부는 상기 조도 센서의 외광 수광을 위한 광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은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비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비밀봉부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조도 센서이고, 상기 전면 기판은 투명 재질을 가지며, 상기 커버 필름의 불투명부는 상기 조도 센서의 외광 수광을 위한 광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후면 기판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의 비유효 표시부에 대응하는 상기 후면 기판의 후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입력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동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은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비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밀봉부에는 상기 커버 필름을 통해 외부로부터 투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투시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필름의 상기 불투명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시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 영역에는 상기 표시장치의 광고를 위한 또는 심미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장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장은 제품 로고일 수 있다.
상기 표장은 상기 투시 영역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장은 상기 투시 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코팅 또는 채색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유닛은 상기 투시 영역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 중 다른 하나는 전면 기판의 비밀봉부를 추가 용도를 활용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로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영상 형성부가 밀봉되도록 상기 전면 기판과 상기 후면 기판 사이에서 상기 영상 형성부를 둘러싸는 밀봉 부재; 및 상기 전면 기판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은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비밀봉부를 가지며, 상기 비밀봉부에는 상기 커버 필름을 통해 외부로부터 투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투시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투시 영역에는 상기 표시패널의 광고 또는 심미감을 위한 표장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장은 제품 로고일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유닛은 상기 투시 영역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영상 형성부의 상세 구조를 모식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사시도로서 커버 필름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도로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로서 키위치 표시 기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Ⅷ-Ⅷ 선을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및 10은 도 8의 유사도로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의 대안적 장착 위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영상 형성부의 적층 구조를 모식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를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유사 도면으로서 전면 기판의 후면에 구비된 투시 영역의 대안적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영상 형성부의 상세 구조를 모식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텔레비젼으로서 예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다른 표시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후면 샤시(10)와,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을 포함한다.
후면 샤시(10)는 직사각형의 바닥부와(11) 및 바닥부(11)의 네 모서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네 개의 측부(12)를 가진 박스 형상을 갖는다. 각 측부(12)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의 두께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은 후면 샤시(1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후면 샤시(10)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예로써, SUS)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면 샤시(10)의 내측면 상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 및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파워 보드 등의 각종 보드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은, 전면 기판(30), 영상 형성부(40), 후면 기판(50), 밀봉 부재(60), 및 커버 필름(70)을 포함한다.
전면 기판(30)은 투명한 재질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전면 기판(3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면 기판(30)에는 영상 신호에 따라 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들(TFT: thin film transistor)(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 기판(30)은 TFT 기판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전면 기판(30)의 전 영역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로 이는 달성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전면 기판(30)의 전면(33)은 영상을 제공하는 내측의 유효 표시부(33A, 도 5 참조)와 영상을 제공하지 않는 외측의 비유효 표시부(33B, 도 5 참조)로 구분된다. 여기서 비유효 표시부(33B)는 흔히 BM(black matrix) 영역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기판(30)의 후면(31)에 형성되는 영상 형성부(40)는, 애노드 전극(41), 정공 주입층(42, HIL: Hole Injecting Layer), 정공 수송층(43, HTL: 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44, EML: Emission Material Layer), 정공 차단층(45, HBL: Hole Blocking Layer), 전자 수송층(46, 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 전자 주입층(47, EIL: 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캐소드 전극(48)을 포함한다.
여기서, 애노드 전극(41) 및 캐소드 전극(48)은 빛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각각 제공하며, 이들 전극들(41, 48) 사이에는 정공들 및 전자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예로써, 애노드 전극(41)은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으로 제조될 수 있고 캐소드 전극(48)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정공 주입층(42), 정공 수송층(43), 발광층(44), 정공 차단층(45), 전자 수송층(46), 및 전자 주입층(47)은 각각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기층들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패널(20)은 이와 같은 유기층들(42~47)을 포함하므로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지칭된다. 도 4는 영상 형성부(40)의 적층 구조의 일 예를 보이는 것일 뿐이며 도 4의 구조와 다른 적층 구조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애노드 전극(41)에 의해 제공된 정공들(hole)은 정공 주입층(42) 및 정공 수송층(43)을 지나 발광층(44)에 도달하고, 캐소드 전극(48)에 의해 제공된 전자들은 전자 주입층(47), 전자 수송층(46) 및 정공 차단층(45)을 지나 발광층(44)에 도달한다. 발광층(44)에 도달한 정공들과 전자들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빛이 생성되며,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은 그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한다.
전극들(41, 48) 및 유기층들(42~27)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부(40)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면 기판(50)은 전면 기판(30)과 일정 거리를 두고 그에 나란히 배치된다. 후면 기판(50)은 투명 재질 또는 불투명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로써 후면 기판(50)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밀봉 부재(60)는 직사각 고리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밀봉 부재(60)는 전면 기판(30)과 후면 기판(50) 사이에서 전술한 영상 형성부(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밀봉 부재(60)는 전면 기판(30) 및 후면 기판(50)과 각각 접착됨으로써 영상 형성부(40)가 밀봉된다. 따라서 수분 또는 산소가 외부로부터 영상 형성부(40)에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밀봉 부재(60)는 전면 기판(30)의 외측 모서리(35)에 정렬되지 않고 그 외측 모서리(35)로부터 일정 거리 안쪽으로 배치된다. 이는 밀봉 부재(60)가 전면 기판(30)의 외측 모서리(35)에 정렬된 경우 영상 형성부(40)의 밀봉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30)의 후면(31)은 밀봉 부재(60)와 외측 모서리(35) 사이의 영역에 해당하는 비밀봉부(31A, non-sealed region)(도 3 참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비밀봉부(31A)는 전면 기판(30)의 후면(31)에서 밀봉 부재(6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영역을 가리킨다. 비밀봉부(31A) 상에 전술한 영상 형성부(40)가 형성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커버 필름(70)은 전면 기판(30)의 전면(33)에 부착됨으로써 전면 기판(33)을 보호한다. 예로써 커버 필름(70)은 편광 필름(polarizer film)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필름(70)은 내측의 투명부(71) 및 외측의 불투명부(72)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부(71)는 전면 기판(30)의 유효 표시부(33A, 도 5 참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유효 표시부(33A)가 제공하는 영상을 외부로 투과시킨다. 불투명부(72)는 전면 기판(30)의 비유효 표시부(33B, 도 5 참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비유효 표시부(33B)가 바깥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예로써 불투명부(72)는 검정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사시도로서 커버 필름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 영역의 확대도로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7은 도 5의 B 영역의 확대도로서 키위치 표시 기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Ⅷ-Ⅷ 선을 따라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은 전면 기판(30)의 전면(33) 상에 배치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를 더 포함한다.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화면 조정 또는 음향 조정 등을 위한 입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는 그러한 입력키들을 수동 조작함으로써 화면 및 음향 조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보드 본체(81) 및 보드 본체(81) 상에 구비된 다수의 입력키들(82a, 82b, 83a, 83b, 84)을 포함한다.
보드 본체(81)는 직사각 형상을 갖지만 이에 제한될 필요 없이 타원형 등의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보드 본체(81)는 매우 얇은 두께의 필름 형태이다. 또한 보드 본체는 에폭시와 같은 유연성(flexible) 고분자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예로써 보드 본체(81)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전면 기판(30)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키들(82a, 82b, 83a, 83b, 84)은 보드 본체(81) 상에 회로 패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입력키(82a, 82b)는 채널 변경을 위한 채널 변경 입력키들이고, 제3 및 제4 입력키(83a, 83b)는 음량 조절을 위한 음량 조절 입력키들이며, 제5 입력키(84)는 조도 센서이다. 여기서 채널 변경 입력키들(82a, 82b) 및 음량 조절 입력키들(83a, 83b)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동하는 터치 센서이며, 예로써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조도 센서(84)는 외광의 조도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광 센서이며, 조도 센서(84)에 의해 감지된 조도에 따라 화면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 상에 단지 5개의 입력키들(82a, 82b, 83a, 83b, 84)이 구비된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화면 모드 변경키, 명도 조절키 등과 같은 다른 입력키들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필름(70)의 전면에는 전술한 입력키들(82a, 82b, 83a, 83b, 84)에 대응하는 키위치 표시 기호들(73, 74) 및 광투과부(75)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이들 키위치 표시 기호들(73, 74) 및 광투과부(75)는 커버 필름(70)의 검정색 불투명부(72) 상에 마련된다.
여기서 키위치 표시 기호들(73, 74)은 사용자에게 전술한 채널 변경 입력키들(82a, 82b) 및 음량 조절 입력키들(83a, 83b)의 위치들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예로써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키위치 표시 기호(74)의 "-" 기호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음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광투과부(75)는 전술한 조도 센서(84)에 대응하는 곳에 배치되어 조도 센서(84)에 외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광투과부(75)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도 5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전면 기판(30)의 전면(33)의 비유효 표시부(33B)에 장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비유효 표시부(33B)의 하측부(33B1)에 장착된다. 하지만,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비유효 표시부(33B)의 상측부(33B2), 좌측부(33B), 또는 우측부(33B4)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키 연성회로부드(80)는 하측부(33B1)의 우측에 치우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비유효 표시부(33B)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거나 좌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도시된 지점에 한정되지 않고 비유효 표시부(33B)의 모든 지점에 장착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가 단지 하나 구비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입력키 연성회로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 및 10은 도 8의 유사도로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의 대안적 장착 위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전면 기판(30)의 후면(3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정확하게는,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그 후면(31)의 비밀봉부(31A)에 장착된다. 전술했듯이 비밀봉부(31A)는 밀봉 부재(6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후면(31)의 일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비밀봉부(31A)는 후면(31)의 상측부, 하측부, 좌측부, 우측부 각각에 존재하므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비밀봉부(31A)의 하측부 뿐만 아니라, 비밀봉부(31A)의 상측부, 좌측부, 및 우측부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후면 기판(50)의 후면(5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정확하게는,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그 후면(51)에서 전면 기판(30)의 비유효 표시부(33B, 도 5 참조) 및 커버 필름(70)의 불투명부(72)에 대응하는 영역(51A)에 장착된다. 그 대응 영역(51A)은 후면(51)의 상측부, 하측부, 좌측부, 우측부 각각에 존재하므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는 그 대응 영역(51A)의 하측부 뿐만 아니라, 그 대응 영역(51A)의 상측부, 좌측부, 및 우측부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가 후면 기판(50)의 후면(51)에 장착되더라도,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은 다른 유형의 표시패널들(예로써, LCD, PDP)에 비해 두께가 상당히 얇기 때문에, 터치 센싱 방식의 입력키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가 후면 기판(50)의 후면(51)에 장착될 경우 전술한 조도 센서(84)에 외광이 도달하기 어렵거나 도달하더라도 그 양이 충분치 않으므로 그러한 조도 센서(84)의 적용이 쉽지 않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의 경우 유기발광 표시패널(20)에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가 직접 장착된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1)에 전면 샤시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그 표시장치(1) 내에 입력키 회로보드를 장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표시장치(1)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고 바젤-리스 설계에 적합성을 갖게 된다.
또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80)가 유기발광 표시패널(20)에 부착되는 방식이 적용되므로, 유기발광 표시장치(1) 내에 입력키 회로보드의 장착을 위한 기구물이 별도로 마련될 필요가 없다. 입력키 회로보드의 장착을 위한 기구물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 표시장치(1)는 그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표시장치들에 비하여 보다 슬림화될 수 있고 바젤-리스 설계에 보다 적합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전면 기판 상의 영상 형성부의 적층 구조를 모식적으로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2)는 텔레비젼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2)는, 후면 샤시(10)와,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을 포함한다.
후면 샤시(10)는 직사각형의 바닥부와(11) 및 바닥부(11)의 네 모서리에 배치된 네 개의 측부(12)를 가진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을 가지며, 각 측부(12)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의 두께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다. 그리하여 대략 직사각형의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은 후면 샤시(1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후면 샤시(10)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예로써, SUS)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면 샤시(10)의 바닥부(11)의 내측면 상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을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회로보드들 및 유기발광 표시패널(20)에 의해 생성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은, 전면 기판(30), 영상 형성부(40), 후면 기판(50), 밀봉 부재(60), 및 커버 필름(70)을 포함한다.
전면 기판(30)은 투명한 물질로 제조되며, 이를테면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면 기판(30) 상에는 이미지 신호에 따라 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들(TFT: thin film transistor)(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 기판(30)은 TFT 기판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영상 형성부(40)는 전면 기판(30)의 후면(31)에 적층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형성부(40)는 애노드 전극(41), 정공주입층(42, HIL: Hole Injecting Layer), 정공수송층(43, HTL: 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44, EML: Emission Material Layer), 정공차단층(45, HBL: Hole Blocking Layer), 전자수송층(46, 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 전자주입층(47, EIL: 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캐소드 전극(48)을 포함한다.
여기서, 애노드 전극(41) 및 캐소드 전극(48)은 빛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각각 제공하며, 이들 전극들(41, 48) 사이에는 정공들 및 전자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예로써, 애노드 전극(41)은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으로, 캐소드 전극(48)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정공주입층(42), 정공수송층(43), 발광층(44), 정공차단층(45), 전자수송층(46), 및 전자주입층(47)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기층들이다. 이러한 유기층들(42~47)을 포함하는 것에 비롯하여 본 실시예의 표시패널(2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지칭된다. 도 14에 도시된 영상 형성부(40)의 적층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애노드 전극(41)에 의해 제공된 정공들(hole)은 정공주입층(42) 및 정공수송층(43)을 지나 발광층(44)에 도달하고, 캐소드 전극(48)에 의해 제공된 전자들은 전자주입층(47), 전자수송층(46) 및 정공차단층(45)을 지나 발광층(44)에 도달한다. 발광층(44)에 도달한 정공들과 전자들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빛이 생성되며,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은 그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형성한다.
영상 형성부(40)를 구성하는 전극들(41, 48) 및 유기층들(42~27)은 이미 공지된 것들이므로 이것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후면 기판(50)은 전면 기판(30)보다 약간 작은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가지며 전면 기판(30)과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된다. 후면 기판(50)은 투명 재질 또는 불투명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전면 기판(30)과 마찬가지로 후면 기판(5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밀봉 부재(60)는 직사각형 고리 형상을 가지며 전면 기판(30)과 후면 기판(50)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 부재(60)가 전면 기판(30) 및 후면 기판(50)과 각각 접착됨으로써 영상 형성부(40)가 밀봉되며, 그에 따라 영상 형성부(40)에 수분 및 산소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60)는 전면 기판(30)의 외측 모서리(35)에 정렬되지 않고 그 외측 모서리(35)로부터 일정 거리 내측으로 배치된다. 이는 밀봉 부재(60)가 전면 기판(30)의 외측 모서리(35)에 정렬되어 배치된 경우 영상 형성부(40)의 밀봉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30)의 후면(31)은 밀봉 부재(60)와 외측 모서리(35) 사이의 영역을 가리키는 비밀봉부(31A, non-sealed region)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비밀봉부(31A)는 전면 기판(30)의 후면(31)에서 밀봉 부재(60)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영역이다. 이러한 비밀봉부(31A) 상에는 전술한 영상 형성부(40)가 적층되어 있지 않음은 물론이다.
커버 필름(70)은 전면 기판(30)의 전면(33)에 부착되어 그 전면(33)을 커버한다. 예로써 커버 필름(70)은 편광 필름(polarizer film)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 필름(70)은 적어도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의 유효 표시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투명하다. 여기서 유효 표시부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이 전방으로부터(A 방향에서) 보여질 때 실제로 이미지가 나타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의 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비유효 표시부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이 전방으로부터(A 방향에서) 보여질 때 이미지 보여지지 않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의 일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를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을 후방에서 바라보면, 전면 기판(30)의 비밀봉부(31A)는 상측 비밀봉부(31A1), 하측 비밀봉부(31A2), 좌측 비밀봉부(31A3), 및 우측 비밀봉부(31A4)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비밀봉부들(31A1, 31A2, 31A3, 31A4)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외부로부터 투시될 수 있는 투시 영역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써 하측 비밀봉부(31A2)에 투시 영역(P)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투시 영역(P)은 직사각형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등의 다른 형상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투시 영역(P)에는 표장(L)이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표장(L)으로는 대표적으로 제조자 또는 제품을 나타내는 로고(logo)가 적용될 수 있으며, 유형적으로 문자, 기호, 도면 등을 가리지 않는다. 또한, 표장(L)은 제품 홍보를 위한 목적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품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 표장(L)은 투시 영역(P) 상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투시 영역(P) 상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채색 또는 코팅된 것일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기판(30)의 전면에 부착된 커버 필름(70)은 투명부(71) 및 불투명부(72)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명부(71)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의 유효 표시부(미표시)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투명부(71)를 통해 유기발광 표시패널(20)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를 시청할 수 있다.
불투명부(72)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의 비유효 표시부(미표시)를 불투명하게 가리기 위한 영역이다. 예로써 불투명부(72)는 검정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불투명부(70)는 사각형 액자 모양을 가지며 투명부(71)를 둘러싸고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필름(70)의 불투명부(72)에 의해 비유효 표시부를 가림으로써 기존의 표시장치들에 흔히 적용되는 바젤(bazel)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즉, 커버 필름(70)의 불투명부(72)가 기존의 바젤의 기능을 대신한다.
광투과부(73)는 유기발광 표시패널(20)을 시청하는 방향(A 방향)에서 전술한 투시 영역(P)이 외부로부터 투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광투과부(73)는 투시 영역(P)에 대응하는 위치, 형상,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전면 기판(30)의 후면(31)의 투시 영역(P)에 마련된 표장(L)은 커버 필름(70)의 광투과부(73)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도 11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필름(70)이 종래의 바젤 기능을 수행하므로 바젤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전면 기판(30)의 후면(31)에 외부로부터 투시 가능한 표장(L)을 구비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심미감을 고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적 측면에서 표시패널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유사 도면으로서 전면 기판의 후면에 구비된 투시 영역의 대안적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2)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8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80)의 렌즈 유닛(81)은 전술한 투시 영역(P)에 인접되게 그 투시 영역(P)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피사체로부터 나온 광은 커버 필름(70)의 광투과부(73) 및 전면 기판(30)의 투시 영역(P)을 통해 렌즈 유닛(81)으로 입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7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기판(30)의 투시 영역(P)을 통해 카메라 모듈(80)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2)에서 카메라 모듈(80)의 배치를 위한 공간 소모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소형화 설계에 부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면 기판(30)에 단지 하나의 투시 영역(P, 도 15 참조)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투시 영역(P)은 전면 기판(30)의 비밀봉부(31A)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투시 영역(P)을 투시 가능하게 하는 커버 필름(70)의 광투과부(73)도 투시 영역(9)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개수를 가질 것임은 당연하다.
이상 살펴본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이 텔레비젼의 일종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 2)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텔레비젼 외에도 유기발광 표시패널이 적용 가능한 다른 표시장치들(예로써, 컴퓨터 모니터, 각종 IT 전자 기기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1, 2 : 유기발광 표시장치 10 : 후면 샤시
20 : 유기발광 표시패널 30 : 전면 기판
31A : 비밀봉부 40 : 영상 형성부
50 : 후면 기판 60 : 밀봉 부재
70 : 커버 필름 71 : 투명부
72 : 불투명부 73 : 광투과부
80 : 입력키 연성회로보드 P : 투시 영역

Claims (23)

  1.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영상 형성부가 밀봉되도록 상기 전면 기판과 상기 후면 기판 사이에서 상기 영상 형성부를 둘러싸는 밀봉 부재; 및
    사용자 입력키들이 구비된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 및 상기 후면 기판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상기 전면 기판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전면 기판의 유효 표시부에 대응하는 투명부; 및
    상기 전면 기판의 비유효 표시부에 대응하는 불투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의 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의 비유효 표시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필름의 불투명부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조도 센서이며, 상기 커버 필름의 불투명부는 상기 조도 센서의 외광 수광을 위한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은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비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비밀봉부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주변 조도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조도 센서이고, 상기 전면 기판은 투명 재질을 가지며, 상기 커버 필름의 불투명부는 상기 조도 센서의 외광 수광을 위한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후면 기판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 연성회로보드는 상기 전면 기판의 비유효 표시부에 대응하는 상기 후면 기판의 후면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작동하는 터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은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비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밀봉부에는 상기 커버 필름을 통해 외부로부터 투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투시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의 상기 불투명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시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영역에는 상기 표시장치의 광고를 위한 또는 심미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장은 제품 로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장은 상기 투시 영역에 스티커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장은 상기 투시 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코팅 또는 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유닛은 상기 투시 영역을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부;
    상기 영상 형성부가 밀봉되도록 상기 전면 기판과 상기 후면 기판 사이에서 상기 영상 형성부를 둘러싸는 밀봉 부재; 및
    상기 전면 기판의 전면에 부착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기판의 후면은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비밀봉부를 가지며, 상기 비밀봉부에는 상기 커버 필름을 통해 외부로부터 투시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투시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영역에는 상기 표시패널의 광고 또는 심미감을 위한 표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표장은 제품 로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유닛은 상기 투시 영역을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20043881A 2011-12-30 2012-04-26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30079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0428.8A EP2610938A3 (en) 2011-12-30 2012-10-29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3/678,190 US8878166B2 (en) 2011-12-30 2012-11-15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210505834.9A CN103187427B (zh) 2011-12-30 2012-11-30 有机发光显示面板以及具有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7459 2011-12-30
KR1020110147459 2011-12-30
KR1020120010035 2012-01-31
KR20120010035 2012-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85A true KR20130079085A (ko) 2013-07-10

Family

ID=4899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881A KR20130079085A (ko) 2011-12-30 2012-04-26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908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115A (ko) * 2006-08-07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197406A (ja) * 2007-02-14 2008-08-28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10059102A (ko) * 2009-11-27 201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115A (ko) * 2006-08-07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197406A (ja) * 2007-02-14 2008-08-28 Funai Electric Co Ltd 液晶モジュール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10059102A (ko) * 2009-11-27 201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0746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light sensors and displays
US887816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780159B2 (en) Narrow borde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9104253B2 (en) Display device
WO2016189426A1 (ja) タッチパネル
US852580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gh panel
US20200296190A1 (en) Terminal
KR102227141B1 (ko) 표시 장치
KR20170064161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11735121B2 (en) Display apparatus
KR2024003722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11076560A (ja) 情報処理装置
US828930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30079085A (ko)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40118001A (ko) 윈도우 및 표시 장치
KR102667252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40036923A (ko) 표시 장치
KR20240054538A (ko) 표시 장치
KR2020008297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