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97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974A
KR20200082974A KR1020180174109A KR20180174109A KR20200082974A KR 20200082974 A KR20200082974 A KR 20200082974A KR 1020180174109 A KR1020180174109 A KR 1020180174109A KR 20180174109 A KR20180174109 A KR 20180174109A KR 20200082974 A KR20200082974 A KR 20200082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ordinate
display
image signal
display modu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805B1 (ko
Inventor
김종경
강지은
원희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8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을 덮는 커버 윈도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보정하는 색좌표 보정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의 표시 장치 이외에도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휴대용 표시 기기, 휴대용 정보 기기 등의 표시 화면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고속의 응답 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발광 표시 장치의 각 픽셀의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는 공정 편차 등의 이유로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편차 등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발광 표시 장치는 픽셀들 간에 발생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편차와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 등에 따른 픽셀들 간의 휘도 편차로 인하여 휘도 불균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는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시간에 따른 픽셀마다 상이한 열화 속도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는 색좌표 불균일에 따른 컬러 시프트를 발생시키거나 휘도 불균일에 따른 휘도 저하 현상 및 잔상 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방출되고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여, 센싱 값에 따른 픽셀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에 의한 색좌표 불균일 또는 컬러 시프트의 발생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출원은 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마련된 제1 센서부와,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 상에 마련된 제2 센서부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센서부 각각의 센싱 값에 따른 픽셀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색좌표를 유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을 덮는 커버 윈도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보정하는 색좌표 보정 회로를 포함한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방출되고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여, 센싱 값에 따른 픽셀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에 의한 색좌표 불균일 또는 컬러 시프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마련된 제1 센서부와,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 상에 마련된 제2 센서부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센서부 각각의 센싱 값에 따른 픽셀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색좌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색좌표의 센싱 값에 따라 보정된 색좌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 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전계 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커버 윈도우(200), 보호 필름(300), 제1 및 제2 센서부(400, 500), 하우징(600), 제어부(700), 및 후면 커버(8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평판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해당하거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평판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커버 윈도우(100)의 후면(또는 배면)에 결합되어 영상을 표시하거나 사용자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모듈 본딩 부재를 이용한 다이렉트 본딩 공정을 통해 커버 윈도우(200)의 후면에 본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듈 본딩 부재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편광 필름(130), 및 터치 패널(150), 데이터 구동부(170), 회로 보드(180), 및 표시 구동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플렉서블 기판(111)의 중앙 부분에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영역(AA)은 픽셀 어레이층(113)의 활성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AA)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픽셀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픽셀(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픽셀 각각은 광을 방출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표시부(110a) 및 벤딩부(110b)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a)는 픽셀 어레이층(113)과 중첩되어 커버 윈도우(200)의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벤딩부(110b)은 표시부(110a)로부터 연장되어 곡면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부(110b)은 보호 필름(300)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벤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드부(DPP)는 보호 필름(300)의 후면 일측 가장자리와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플렉서블 기판(111)은 벤딩부(110b)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벤딩됨으로써 얇은 베젤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 기판(111), 픽셀 어레이층(113), 봉지층(115), 및 게이트 구동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베이스 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111)은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어, PI(Polyimid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apthanate), PNB(Polynorborneen), PMP(Polymethylpente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및 COC(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투명 또는 유색의 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111)은 유연성을 갖는 박형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픽셀 어레이층(113)는 표시부(110a)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층(113)는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마련된 신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 영역에 마련되고, 신호 라인들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픽셀 각각은 픽셀 영역에 마련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픽셀 회로층,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 전극,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된 발광 소자층, 및 발광 소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115)은 픽셀 어레이층(113)을 둘러싸도록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형성됨으로써, 산소 또는 수분이 픽셀 어레이층(113)의 발광 소자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봉지층(115)은 유기 물질층과 무기 물질층이 교대로 적층된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17)는 플렉서블 기판(111)에 마련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구동부(117)는 표시 구동부(19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게이트 출력 신호 또는 게이트 펄스를 생성하여 해당하는 게이트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17)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픽셀 어레이층(113)과 함께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실장함으로써, GIP(Gate in Pane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편광 필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윈도우(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예예 따르면, 편광 필름(130)은 필름 부착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 필름(130)은 플렉서블 기판(111)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픽셀 구동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편광 필름(130)은 터치 패널(150)과 커버 윈도우(2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윈도우(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150)은 편광 필름(130) 상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센싱(또는 검출)하기 위한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층은 사용자 터치에 따른 터치 전극의 정전 용량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전극층은 상호 정전 용량 방식(Mutual Capacitive Type) 또는 자기 정전 용량 방식(Self Capacitive Type)에 따라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70)는 칩 본딩 공정 또는 표면 실장 공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드부(DPP)에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구동부(170)는 디스플레이 패드부(DP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링크 라인을 통해 픽셀 어레이층(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구동부(170)는 표시 구동부(190)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170)는 데이터 신호를 픽셀 어레이층(113)에 제공하여, 픽셀 어레이층(113)에 배치된 복수의 픽셀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회로 보드(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연결되어 표시 구동부(190)를 실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 보드(180)는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플렉서블 기판(11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드부(DP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렉서블 기판(111)의 벤딩에 의해 보호 필름(300)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80)는 표시 구동부(19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동기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170)에 제공하고, 표시 구동부(19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117)에 제공할 수 있고, 픽셀 어레이층(113), 데이터 구동부(170), 및 게이트 구동부(117) 각각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190)는 색좌표 보상 신호(CCC)를 기초로 픽셀별 입력 데이터를 보상하여 픽셀 데이터(Pdata)를 생성하고, 생성된 픽셀 데이터(Pdata)를 데이터 구동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 구동부(190)는 제어부(700) 또는 색좌표 보정 회로(710)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117)와 데이터 구동부(17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표시 구동부(190)는 보상된 픽셀 데이터(Pdata)와 구동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70)에 제공할 수 있고, 회로 보드(180)는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을 데이터 구동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부(170)는 구동 제어 신호(DCS)와 기준 감마 전압을 이용하여 픽셀 데이터(Pdata)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을 통해 해당하는 픽셀에 제공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2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면 또는 전면(Front Surface)을 덮음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커버 윈도우(20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 글라스 재질,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20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20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apthanate), 및 PNB(polynorborneen)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200)는 긁힘과 투명도를 고려하여 강화 글라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200)는 투과 영역(210)과 반사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2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 영역(AA)과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 영역(21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 영역(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과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반사 영역(220)은 커버 윈도우(2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광 반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영역(220)은 커버 윈도우(200)의 가장자리에 광 반사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제1 센서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300)은 보호부(310) 및 투과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필름(300)의 보호부(3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호 필름(300)은 제1 센서부(400)와 중첩되게 배치된 투과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투과부(320)를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 보호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과부(320)는 제1 센서부(400)와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서 반사되어 제1 센서부(400)에 입사되는 광(RL)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호 필름(300)은 픽셀 어레이층(113)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111)의 후면(또는 배면)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기판(111)의 후면을 평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필름(300)의 보호부(310)는 플렉서블 기판(111)의 후면(또는 배면)에 부착되어 픽셀 어레이층(113)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호부(310)는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부재는 방열 기능, 접지 기능,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배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호 필름(300)이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호부(310)와 투과부(320)는 투명 물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필름(300)은 일체로 형성된 투명 필름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보호 필름(300)이 불투명한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호 필름(300)은 제1 센서부(400)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투과부(3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투과부(320)는 보호부(310)의 일부에 형성되는 천공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센서부(4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방출된 광(EL)은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손가락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방출된 광(EL)을 반사시키는 반사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센서부(400)는 표시 영역(AA)과 중첩되도록 보호 필름(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센서부(400)는 보호 필름(300)의 투과부(320)와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에서 방출되어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반사된 광(RL)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센서부(400)는 반사광(RL)의 패턴 또는 색좌표를 센싱하여, 센싱 값을 제어부(700) 또는 색좌표 보정 회로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센서부(400)는 패턴 센싱 모듈(410) 및 색좌표 센싱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패턴 센싱 모듈(410)과 색좌표 센싱 모듈(420)은 보호 필름(300)의 투과부(320)의 후면에 나란히 부착됨으로써,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패턴 센싱 모듈(4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방출되어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를 수신하여, 반사면의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패턴 센싱 모듈(410)은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면,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RL)을 수신하여,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접촉된 사용자 신체의 패턴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지면, 패턴 센싱 모듈(410)은 반사광(RL)을 수신하여 지문 패턴을 센싱하고 제1 센싱 값(SEN1)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 센싱 모듈(410)은 제어부(700)로부터 제1 센싱 구동 신호(SD1)를 수신하여 제1 센싱 값(SEN1)을 제어부(700)에 제공할 수 있다.
색좌표 센싱 모듈(420)은 반사면에 의한 반사광(RL) 중 패턴 센싱 모듈(410)에 제공된 일부 광을 제외한 다른 일부의 광을 수신하여 반사광(RL)의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색좌표는 백색 광을 이루는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휘도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이 균일한 색좌표에 따라 혼합되는 경우,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이 불균일한 색좌표에 따라 혼합되는 경우, 광의 색이 백색이 아닌 특정 색을 갖는 컬러 시프트(Color shift)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색좌표 센싱 모듈(420)은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면,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RL)을 수신하여, 반사광(RL)의 색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좌표 센싱 모듈(420)은 반사광(RL)의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휘도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고, 색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센싱 값(SEN2)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색좌표 센싱 모듈(420)은 제어부(700)로부터 제2 센싱 구동 신호(SD2)를 수신하여 제2 센싱 값(SEN2)을 제어부(7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한 터치가 이루어지면, 패턴 센싱 모듈(410)을 통해 반사광(RL)의 일부를 수신하여 사용자 신체의 패턴을 센싱할 수 있고, 색좌표 센싱 모듈(420)을 통해 반사광(RL)의 다른 일부를 수신하여 반사광(RL)의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AA)과 중첩되는 제1 센서부(400)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색좌표 센싱 모듈(420)은 별도의 광원을 포함하지 않고 패턴 센싱 모듈(410)에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이용하여 색좌표를 센싱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2 센서부(500)는 비표시 영역(NA)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200)에 의해 반사된 광(RL)의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500)는 커버 윈도우(200)의 반사 영역(220)과 중첩되도록 플렉서블 기판(1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센서부(500)는 게이트 구동부(117)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커버 윈도우(200)의 반사 영역(220)에 의해 반사된 광(RL)의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과정에서, 픽셀 어레이층(113)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을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픽셀 어레이층(113)의 가장자리에서 방출된 광(EL)의 일부는 커버 윈도우(200)의 반사 영역(220)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센서부(500)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센서부(500)는 표시 장치(10)의 전원이 오프될 때마다 반사 영역(220)에 의한 반사광(RL)의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제2 센서부(500)은 픽셀 어레이층(113)의 가장자리에서 방출된 광(EL) 중 반사 영역(220)에 의한 반사광(RL)을 수신하여 반사광(RL)의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센서부(500)는 커버 윈도우(200)의 반사 영역(220)에서 반사된 광(RL)을 수신하여, 반사광(RL)의 색좌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500)는 반사광(RL)의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휘도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색좌표를 센싱할 수 있고, 색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센싱 값(SEN3)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센서부(500)는 제어부(700)로부터 제3 센싱 구동 신호(SD3)를 수신하여 제3 센싱 값(SEN3)을 제어부(7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AA)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마련된 제1 센서부(400)와, 비표시 영역(NA)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마련된 제2 센서부(500)를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에 의한 색좌표 불균일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색좌표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6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가장자리, 측면, 및 후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600)의 각 측면들은 표시 장치(10)의 디자인적인 미감 향상을 위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600)은 미들 프레임, 모듈 프레임, 디스플레이 하우징, 또는 패널 가이드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600)은 하우징 측벽(610), 전면 하우징(630), 및 하우징 플레이트(6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측벽(6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각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측벽(610)은 커버 윈도우(200) 및 후면 커버(800)를 지지할 수 있다.
전면 하우징(63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 하우징(630)은 하우징 측벽(610)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전면 하우징(630)은 커버 윈도우(200)의 반사 영역(220)의 전면(Front Surface)을 덮을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6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 측벽(61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납 공간은 하우징 플레이트(650)의 전면 상에 마련되어 하우징 측벽(6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회로 수납 공간은 하우징 플레이트(650)의 후면 상에 마련되어 제어부(700) 등의 회로 구성 및 배터리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주변 회로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플레이트(6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며, 후면 커버(8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하우징 플레이트(65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호스트 제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동기 신호를 표시 구동부(190)에 제공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구동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련된 복수의 픽셀 각각에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1 센서부(400)로부터 수신된 색좌표의 센싱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보정하는 색좌표 보정 회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로 상이한 열화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은 표시 장치의 구동 시간에 따라 열화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색좌표 센싱 모듈(420)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색좌표 값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색좌표의 균일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발광 소자에서 열화 편차가 발생한 경우,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색좌표 센싱 모듈(420)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을 기초로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휘도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기초로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Pdata)의 보상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색좌표 센싱 모듈(420)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 값(SEN2)을 기 설정된 색좌표 값과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고, 나머지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소자가 열화됨에 따라 적색 광에 비하여 녹색 광과 청색 광의 휘도가 많이 감소된 경우,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적색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고,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색좌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제1 및 제2 센서부(400, 500) 각각에 의해 수신된 센싱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Pdata)를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제1 센서부(400)의 색좌표 센싱 모듈(420)로부터 커버 윈도우(200)의 투과 영역(210) 상에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센싱 값(SEN2)을 수신하고, 제2 센서부(500)로부터 커버 윈도우(200)의 반사 영역(220)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센싱 값(SEN3)을 수신하여, 제2 및 제3 센싱 값(SEN2, SEN3)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제2 및 제3 센싱 값(SEN2, SEN3)의 평균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색좌표 보상 신호(CCC)를 표시 구동부(190)에 제공함으로써,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Pdata)를 보상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제2 및 제3 센싱 값(SEN2, SEN3) 중 색좌표의 균일도가 낮은 센싱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색좌표 보상 신호(CCC)를 표시 구동부(190)에 제공함으로써,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Pdata)를 보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로부터 방출되고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RL)의 색좌표를 센싱하여, 센싱 값에 따른 픽셀 데이터(Pdata)를 보상함으로써,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에 의한 색좌표 불균일 또는 컬러 시프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AA)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마련된 제1 센서부(400)와, 비표시 영역(NA)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마련된 제2 센서부(500)를 포함하여 제2 및 제3 센싱 값(SEN2, SEN3) 각각에 따른 픽셀 데이터(Pdata)를 보상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색좌표를 유지할 수 있다.
후면 커버(800)는 하우징(600)에 결합되어 하우징(60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커버(800)는 하우징(600)의 후면에 마련된 회로 수납 공간을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면 커버(800)는 하우징(600)의 하우징 측벽(610)에 마련된 하부 단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800)는 커버 윈도우(2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커버 윈도우(200)와 다른 글라스(Glass)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색좌표의 센싱 값에 따라 보정된 색좌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도 7a는 표시 장치의 구동 시간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에 발생된 열화 편차에 의한 광 효율 감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b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해 색좌표가 보정된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한 광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로 상이한 열화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은 표시 장치의 구동 시간에 따라 열화 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색 광(GREEN)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는 적색 광(RED)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보다 열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청색 광(BLUE)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는 녹색 광(GREEN)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보다 열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열화 편차는 발광 소자의 구성 물질이나, 방출되는 광의 파장대의 차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는 동일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열화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색좌표 센싱 모듈(420)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 값(SEN2)을 기 설정된 색좌표 값과 비교하거나, 제2 센서부(500)로부터 수신된 제3 센싱 값(SEN3)을 기 설정된 색좌표 값과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고, 나머지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색좌표 센싱 모듈(420)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 값(SEN2), 제2 센서부(500)로부터 수신된 제3 센싱 값(SEN3), 및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모두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휘도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소자가 열화됨에 따라 동일한 제1 시점(T1) 또는 동일한 제2 시점(T2)을 기준으로 적색 광(RED)에 비하여 녹색 광(GREEN)과 청색 광(BLUE)의 휘도가 많이 감소된 경우,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적색 영상 신호(RED)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고,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색좌표 보정 회로(710)는 제1 시점(T1) 또는 제2 시점(T2)에서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Pdata)를 보상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소자의 열화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균일한 색좌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을 덮는 커버 윈도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보정하는 색좌표 보정 회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센서부는 표시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과 제1 센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고, 보호 필름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타면을 보호하는 보호부, 및 커버 윈도우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제1 센서부에 투과시키는 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부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방출되어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를 수신하여, 반사면의 패턴을 센싱하는 패턴 센싱 모듈, 및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다른 일부를 수신하여,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는 색좌표 센싱 모듈을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색좌표 보정 회로는 색좌표 센싱 모듈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색좌표 값과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색좌표 보정 회로는 색좌표 센싱 모듈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색좌표 값과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고, 나머지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윈도우는 표시 영역과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 및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영역을 포함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센서부는 커버 윈도우의 반사 영역과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센서부는 반사 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여, 센싱 값을 상기 색좌표 보정 회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색좌표 보정 회로는 제1 및 제2 센서부 각각에 의해 수신된 센싱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색좌표 보정 회로는 제1 및 제2 센서부 각각에 의해 수신된 센싱 값의 평균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색좌표 보정 회로는 제1 및 제2 센서부 각각에 의해 수신된 센싱 값 중 색좌표의 균일도가 낮은 센싱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200: 커버 윈도우
300: 보호 필름 400: 제1 센서부
410: 패턴 센싱 모듈 420: 색좌표 센싱 모듈
500: 제2 센서부 600: 하우징
700: 제어부 710: 색좌표 보정 회로
800: 후면 커버

Claims (13)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을 덮는 커버 윈도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마련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1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보정하는 색좌표 보정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센서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타면을 보호하는 보호부, 및 상기 커버 윈도우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제1 센서부에 투과시키는 투과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반사면의 패턴을 센싱하는 패턴 센싱 모듈; 및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의 다른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는 색좌표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색좌표 보정 회로는 상기 색좌표 센싱 모듈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색좌표 값과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색좌표 보정 회로는 상기 색좌표 센싱 모듈로부터 수신된 센싱 값을 기 설정된 색좌표 값과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고, 나머지 영상 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가시키는, 표시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반사 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반사 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의 색좌표를 센싱하여, 센싱 값을 상기 색좌표 보정 회로에 제공하는, 표시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색좌표 보정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 각각에 의해 수신된 센싱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하는, 표시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색좌표 보정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 각각에 의해 수신된 센싱 값의 평균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하는, 표시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색좌표 보정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 각각에 의해 수신된 센싱 값 중 색좌표의 균일도가 낮은 센싱 값과 기 설정된 색좌표 값을 비교하여, 적색 영상 신호, 녹색 영상 신호, 및 청색 영상 신호 각각에 대한 픽셀 데이터를 보상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174109A 2018-12-31 2018-12-31 표시 장치 KR10265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09A KR102651805B1 (ko) 2018-12-31 2018-12-31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09A KR102651805B1 (ko) 2018-12-31 2018-12-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974A true KR20200082974A (ko) 2020-07-08
KR102651805B1 KR102651805B1 (ko) 2024-03-28

Family

ID=7160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109A KR102651805B1 (ko) 2018-12-31 2018-12-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8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162A (ko) * 2006-08-31 2008-03-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구동 장치와 멀티센싱 피드백 제어 방법
KR20080093220A (ko) * 2007-04-16 2008-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 광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72730A (ko) * 2007-12-28 2009-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162A (ko) * 2006-08-31 2008-03-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구동 장치와 멀티센싱 피드백 제어 방법
KR20080093220A (ko) * 2007-04-16 2008-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 광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72730A (ko) * 2007-12-28 2009-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805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8565B2 (e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KR102252444B1 (ko) 표시 장치
US9208709B2 (en) Backlight for a display
KR10203769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967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3565B1 (ko) 표시장치
EP3136439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102622861B1 (ko) 연성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013104B2 (en) Apparatus for driving of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411059B2 (en) Integrated electromagnetic type input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US11852910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ransmissive light source
KR20070059251A (ko) 광원 구동 장치,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광원 구동 방법
US20160091642A1 (en) Display device
KR20150127919A (ko) 표시 장치
KR20200049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6984B1 (ko) 표시장치
KR102651805B1 (ko) 표시 장치
KR20220135278A (ko) 표시 장치
KR20210035148A (ko) 표시장치
KR1024382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5621A (ko)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098163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05995B1 (ko) 터치 표시장치
US20230079023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49401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