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997A - 진공유리 - Google Patents

진공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997A
KR20130078997A KR1020120000208A KR20120000208A KR20130078997A KR 20130078997 A KR20130078997 A KR 20130078997A KR 1020120000208 A KR1020120000208 A KR 1020120000208A KR 20120000208 A KR20120000208 A KR 20120000208A KR 20130078997 A KR20130078997 A KR 20130078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ealing
panes
vacuum
vacuum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수
Original Assignee
장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수 filed Critical 장혁수
Priority to KR102012000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8997A/ko
Publication of KR2013007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이격배치된 두 장의 판유리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판유리의 테두리면과 판유리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판유리에 밀착 또는 부착되는 밀봉부와 감압 또는 진공 시 감압력에 의해 밀봉부가 두 장의 판유리사이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로 구성된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두 장의 판유리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감압시키거나 진공시킬 때 두 장의 판유리 테두리 부분에 설치된 실링재가 두 장의 판유리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의 압력차 또는 진공에 따른 흡입력에 의하여 공간으로 밀려들어가려 할 때, 두 장의 판유리사이에 형성된 틈새보다 크게 형성된 걸림부가 밀봉부를 가압함으로써, 밀봉부가 테두리면과 두 장의 판유리사이의 경사면 또는 내측면에 밀착되어 진공상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두 장의 판유리가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게 하고,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밀봉부재와 판유리가 서로 접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진공과 밀봉부재에 의하여 강력한 접착력을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유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유리{Vacuum glass}
본 발명은 서로 이격배치된 두 장의 판유리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판유리의 테두리면와 판유리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봉부재를 설치한 후, 두 장의 판유리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감압 또는 진공시켜 형성된 진공유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 과정 및 상태에서 밀봉부재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에 의해 밀봉부가 각각의 유리판에 밀착고정되게 함으로써, 두 장의 판유리가 오랜 기간 동안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진공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상복합, 사무용 빌딩 등 크고 작은 모든 건축물은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전망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 외벽 전체 또는 대부분을 유리로 마감 처리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유리는 건축물에 있어서 건물의 외형을 아름답고 다양하게 해 줄 수 있는 재료이나, 상기 유리는 단열율이 떨어짐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벽에 비해 에너지의 소모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건축물에서 유리의 비중이 높을수록 태양을 가 릴 블라인드, 버티컬, 커튼과 같은 차양장치를 겸비해야 하기 때문에 부대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유리는 태양으로부터 뜨거운 직사광선을 그대로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실내의 열을 그대로 밖으로 유출시킴으로써 건물 내에서 에너지 손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즉, 겨울철에는 유리로 인한 실내의 열이 밖으로 그대로 유출되기 때문에 난방비가 올라가고, 여름철에는 외부의 열이 유리를 통과하여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냉방비가 상승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통상 유리를 이용한 창호는 건물 내외부를 관통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나 이는 벽체에 비해 열전도율이 10배 이상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단겹(혹은 단층)의 유리에서 복겹(혹은 복층)의 유리로 변경되는 추세에 있다.
복겹의 유리란 판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인장력이 큰 필름을 넣고 압착시키거나 판유리와 판유리 사이에 건조한 공기층을 형성한 것을 이르며, 특히 후자의 경우 내부에 형성하는 건조한 공기층으로서 진공을 형성한 것을 진공유리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유리는 두 겹의 유리판 사이에 1cm 정도의 공간을 둔 이중 유리로 태양광 차단과 방음 및 단열 효과가 높아 고급 건축물의 창호 자재로 많이 쓰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유리(50)는 두 장의 판유리(10,20) 사이에 스페이서(spacer; support pillar, 30)가 배치된 공간을 진공으로 기밀하기 위해 유리와 유리사이를 경질의 접착제(40)의 접착에 의해 밀봉한 후, 일면의 판유리에 형성된 배기구(11)를 통해 그 내측 공기를 배기하여 감압상태로 제조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11)를 통해 두 장의 판유리(10,20)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를 흡기 후 배기시키면, 두 장의 판유리 사이에 접착된 경질의 접착제(40)에는 두 장의 판유리(10,20)사이의 공간과 외부의 기압차에 의하여 내측 공간으로 밀려들어가려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최초에 진공유리를 제작할 때에는 하자가 없는 제품이 생산된다 하더라도 오랜 사용 또는 오랜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내, 외부의 기압차에 의하여 실링재(40)와 판유리(10,20)의 계면 접착력이 약화되어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두 장의 판유리(10,20)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남아 있던 가스 또는 공기가 서서히 배기되어 내부 진공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내부 공간의 진공해제상태는 단열효과의 저하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단열효과의 저하에 의한 냉, 난방비의 상승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유리면에 밀착되어 밀봉역활을 하는 밀봉부와, 진공에 의한 감압력 발생 시 밀봉부재가 판유리 내측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하기 위하여 밀봉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밀봉부재를 제공하여 진공유리 제작 시 감압력 또는 진공력이 발생되면, 두 장의 판유리에 설치된 밀봉부재의 걸림부가 복수의 판유리에 각각 접촉되어 고정되며, 이때, 밀봉부는 판유리의 내측공간으로 밀려서 들어가려하는 힘에 의해 판유리의 표면에 더욱 밀착됨으로써, 진공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오랜 기간이 경과된 후에도 밀봉부재와 판유리의 접착력이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진공유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서로 이격배치된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103)를 설치하고, 판유리(101)(102)의 테두리면(101a)(101b)과 판유리(101)(102)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판유리(101)(102)에 밀착 또는 부착되는 밀봉부(110a)와 감압 또는 진공 시 감압력에 의해 밀봉부가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10b)로 구성된 밀봉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10b)는, 상기 밀봉부(110a)의 외측에 일체 또는 별개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10b)는, 상기 밀봉부(110a)에 인서트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10b)는, 상기 밀봉부(110a)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부분 인서트된다.
여기서, 상기 밀봉부재의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걸림부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밀봉부가 일체로 성형되거나, 각각의 걸림부와 밀봉부가 조립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110b)는 매쉬(mesh) 또는 타공 형태로 이루어진 경질의 면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10b)는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의 간격보다 크며 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부(110b)는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의 간격보다 크며 원 또는 다각형 단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10b)에 소정 형상을 가지는 심재(111)가 일체 또는 별개체로 인서트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서로 이격배치된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103)를 설치하고, 판유리(101)(102)의 테두리면(101a)(101b)과 판유리(101)(102)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봉부재(110)를 설치한 후,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형성된 공간(104)을 감압 또는 진공시켜 형성된 진공유리(100)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110)는 상기 판유리(101)(102)의 테두리면(101a)(101b)과 테두리 외측면과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도포 또는 삽입 설치되는 연질성 밀봉부(110a)와, 밀봉부(110a)의 양 끝단에 돌출형성된 경질성 걸림부(110b)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부재(110)의 걸림부(110b)가 돌출되도록 밀봉부(110a)의 외측에 씌워지는 커버부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10b)에 소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심재(111)가 일체 또는 별개체로 인서트된다.
또한, 상기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 내측면에 경사면(105)을 형성하고, 테두리면(101a)(101b) 상부의 커버부재(112) 내측면에 역삼각형의 압착부(114)가 돌출성형되게 하여 감압 또는 진공 시 압착부(114)가 밀봉부재(110)의 밀봉부(110a)를 가압하여 유리면(105)에 밀봉부(110a)가 밀착되게 한다.
본 발명은 두 장의 판유리 테두리에 밀봉부재를 설치 또는 도포함과 더불어 밀봉부재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이 걸림부에는 심재를 일체 또는 별개체로 인서트하되, 이 걸림부 또는 심재가 두 장의 판유리사이에 형성된 틈새보다 크게 성형될 수 있게 함으로써, 두 장의 판유리 내측의 공간과 외부의 기압차에 의하여 밀봉부재가 상기한 판유리 내측의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려 할 때, 걸림부가 버팀목 역할을 함과 동시에 걸림부가 밀봉부를 판유리측으로 가압하여 밀봉부가 판유리에 밀착되게 하여 밀봉부와 판유리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오랜 기간이 경과한 후 판유리 내, 외부의 기압차에 의하여 계면 접착력이 점차 약화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단열효과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진공유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각 실시예와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판유리(101)(102)는 내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서(103)(spacer)에 의하여 간격을 유지하며,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와 두 장의 판유리(101)(102) 사이로는 밀봉부재(110)가 도포 또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밀봉부재(1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접착되는 밀봉부(110a)와, 이 밀봉부(110a)가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의 감압 시 두 장의 판유리(101)(102) 사이로 밀려 들어가지 못하도록 두 장의 판유리(101)(102)에 간섭되는 걸림부(110a)로 분리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부(110a)와 걸림부(110b)를 포함하는 밀봉부재(110)가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와 테두리에 설치경화되면, 도 2에 도시된 배기구(102b)를 통하여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형성된 공간(104)내의 공기를 흡기 후 배기시켜 감압하거나 진공상태를 만드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감압된 또는 진공상태의 공간(104)은 외부와의 압력차에 의하여 오므려지는 힘이 작용하고, 상기 밀봉부재(110)는 이 힘에 의하여 판유리(101)(102) 내측 공간(104)으로 밀려 들어가려 하는 힘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110)가 판유리(101)(102) 내측 공간(104)으로 점차 밀려들어가게 되면, 그 힘은 밀봉부재(110)의 경질성 걸림부(110b)는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에 간섭됨으로써, 밀봉부(110a)가 두 장의 판유리(101)(102) 사이로 밀려서 들어가려 하는 힘에 저항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부(110b)와 밀봉부(110a)는 유리 접촉면에 밀착되어짐과 동시에 밀봉부(110a)의 계면이 분리되려 하는 힘에 저항하기 때문에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10b)에는 걸림부(110b)가 진공 또는 감압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더욱 견고하게 저항하고 밀봉부(110a)를 가압할 수 있도록 심재(111)를 인서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감압 시 흡입력은 심재(111)에 작용하는 바, 상기 심재(11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면적에 작용하는 힘은 그대로 밀봉부(110a)에 작용하게 되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111)가 밀봉부재(110)를 가압하여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면(101a)(101b)에 밀봉부(110a)가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심재(11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두 장의 판유리(101)(102) 양끝단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면상 구조를 갖는 것이 밀봉부재(110)를 고르게 가압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심재(111)의 구조로는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의 틈새보다 큰 단면의 원형상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져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결국, 기압차에 의하여 판유리(101)(102) 내측 공간(104)으로 밀려 들어가려 하는 힘은 밀봉부(110a)를 가압하여 판유리(101)(102)에 밀착시키는 힘으로 작용함으로써, 밀봉부(110)와 판유리(101)(102)의 접착력이 강화되고, 기압차에 의하여 계면이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110)는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 밀봉부(110a)에 경질 소재로 이루어진 걸림부(110b)를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으며, 이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성형하여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게 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 내측으로 형성된 경사면(105)에 밀봉부재(110)를 도포 또는 설치하되, 이 밀봉부재(110)에도 경질의 걸림부(110b)와 연질의 밀봉부(110a)를 성형하여 감압 시 또는 진공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밀봉부(110a)가 밀려 들어가려 할 때, 걸림부(110b)가 두 장의 판유리(101)(102) 사이에 간섭되어 밀려 들어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걸림부(110b)와 밀봉부(110a)가 유리의 접촉면에 밀착되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10b)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심재를 일체 또는 별개체로 성형하여 심재(111)가 인서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심재(111)는 플렉시블(flexible)한 연질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경질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한 부분은 경질성을 갖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연질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심재(111)의 단면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도 있으며, 역삼각형으로 형성하여 밀봉부(110a)를 경사면(105)측으로 원활하게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깔떼기형으로 심재(111)를 구성하여 경사면(105)과 경사면(105)에 연결된 수직부에도 밀봉부(110a)가 가압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10b)에 인서트되는 심재(111)를 상부 심재(111a)와 하부 심재(111b)로 구분하여 성형하되, 상부 심재(111a)는 면상으로 구성하고, 하부 심재(111b)는 상부 심재(111a)의 하부에서 역삼각형으로 돌출되도록 성형하여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면(101a)(101b)과 경사면(105)이 심재(111)에 의하여 모두 가압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기밀성을 강화하도록 한 것이다.
제4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배치된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면(101a)(101b)과 테두리 외측면과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밀봉부(110)를 도포 또는 설치하고, 이 밀봉부(110a)의 양측단에 걸림부(110b)가 돌출되도록 밀봉부재(11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110)의 밀봉부(110a)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부재(112)를 설치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12)의 양측단으로 밀봉부(110a)와 일체로 된 걸림부(113)가 돌출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를 감압 시 또는 진공 시 밀봉부재(110)가 판유리(101)(102)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려 할 때, 상기 밀봉부재(110)의 걸림부(110b)가 커버부재(112)의 양측단에 간섭되어 저항하게 함으로써, 밀봉부(110a)가 유리 접촉면에 밀착될 수 있게 하면서 이종의 접착으로 이루어진 계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5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의 구성에서 걸림부(110b)의 내측에 일체 또는 별개체로 심재(111)를 인서트하여 두 장의 판유리(101)(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104)을 감압 또는 진공 처리 시 밀봉부재(110)가 상기 공간(104)으로 밀려 들어가려 할 때, 커버부재(112)의 양측단에서 걸림부(110b)가 견고하게 버텨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6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 내측면에 경사면(105)을 형성하고, 커버부재(112) 내측면에 역삼각형의 압착부(114)가 하향으로 돌출성형되게 하여 감압 또는 진공 시 압착부(114)가 밀봉부(110a)를 가압하여 경사면(105)에 밀봉부(110a)가 밀착되게 하며, 이와 동시에 감압 또는 진공 시 밀봉부재(110)가 판유리(101)(102) 내측의 공간(104)으로 밀려 들어가려 할 때, 걸림부(110b)가 커버부재(112)의 양측단에 간섭되어 밀봉부재(110)가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제7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구조를 부분 수정하여 적용한 것으로서,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판상의 심재(111)를 매쉬(mesh)망이나 그리드(grid) 형태 또는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타공판 중 어느 하나를 밀봉부재(110)의 걸림부(110b)에 인서트하되, 어느 부분은 노출되고 어느 부분은 인서트되도록 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두 장의 판유리(101)(102)의 감압 또는 진공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대하여 밀봉부(110a)가 밀려 들어가려 할 때, 밀봉부(110a)와 일체로 연결된 걸림부(110b)도 밀려 들어가는 힘이 동시에 작용되는 바, 이때, 걸림부(110b)에 의하여 진공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대하여 1차적인 저지력이 발생하고, 걸림부(110b)에 부분적으로 인서트된 심재(111)에 2차적으로 저지력이 발생하며, 이때, 상기 심재(111)는 진공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대한 저항력이 걸림부(110b)를 가압하는 힘으로도 동반작용하게 되므로 걸림부(110b) 및 밀봉부(110a)를 가압함으로써, 밀봉부재(110)가 계면에 오랜기간 동안 밀착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계면분리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진공유리 101 : 판유리
102 : 판유리 103 : 스페이서
104 : 판유리 사이의 공간 105 : 경사면
110 : 밀봉부재 110a : 밀봉부
110b : 걸림부 111 : 심재
112 : 커버부재 114 : 압착부

Claims (12)

  1. 서로 이격배치된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103)를 설치하고, 판유리(101)(102)의 테두리면(101a)(101b)과 판유리(101)(102)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판유리(101)(102)에 밀착 또는 부착되는 밀봉부(110a)와 감압 또는 진공 시 감압력에 의해 밀봉부가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10b)로 구성된 밀봉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0b)는,
    상기 밀봉부(110a)의 외측에 일체 또는 별개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0b)는,
    상기 밀봉부(110a)에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0b)는,
    상기 밀봉부(110a)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부분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의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걸림부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밀봉부가 일체로 성형되거나, 각각의 걸림부와 밀봉부가 조립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0b)는 매쉬(mesh) 또는 타공 형태로 이루어진 경질의 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0b)는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의 간격보다 크며 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0b)는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의 간격보다 크며 원 또는 다각형 단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0b)에 소정 형상을 가지는 심재(111)가 일체 또는 별개체로 인서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10. 서로 이격배치된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103)를 설치하고, 판유리(101)(102)의 테두리면(101a)(101b)과 판유리(101)(102)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밀봉부재(110)를 설치한 후,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형성된 공간(104)을 감압 또는 진공시켜 형성된 진공유리(100)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110)는 상기 판유리(101)(102)의 테두리면(101a)(101b)과 테두리 외측면과 두 장의 판유리(101)(102)사이에 도포 또는 삽입 설치되는 연질성 밀봉부(110a)와, 밀봉부(110a)의 양 끝단에 돌출형성된 경질성 걸림부(110b)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부재(110)의 걸림부(110b)가 돌출되도록 밀봉부(110a)의 외측에 씌워지는 커버부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0b)에 소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심재(111)가 일체 또는 별개체로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장의 판유리(101)(102) 테두리 내측면에 경사면(105)을 형성하고, 테두리면(101a)(101b) 상부의 커버부재(112) 내측면에 역삼각형의 압착부(114)가 돌출성형되게 하여 감압 또는 진공 시 압착부(114)가 밀봉부재(110)의 밀봉부(110a)를 가압하여 유리면(105)에 밀봉부(110a)가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100).
KR1020120000208A 2012-01-02 2012-01-02 진공유리 KR20130078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208A KR20130078997A (ko) 2012-01-02 2012-01-02 진공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208A KR20130078997A (ko) 2012-01-02 2012-01-02 진공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997A true KR20130078997A (ko) 2013-07-10

Family

ID=4899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208A KR20130078997A (ko) 2012-01-02 2012-01-02 진공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8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323A1 (ja) * 2017-11-10 2019-05-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323A1 (ja) * 2017-11-10 2019-05-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
JPWO2019093323A1 (ja) * 2017-11-10 2020-11-2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4128B1 (en) A highly thermo and acoustic insulating vacuum panel
CN105074113B (zh) 具有真空绝缘玻璃(vig)单元和含有真空绝缘结构的窗
EP3705675B1 (en) A kit-of-parts for a spacer system for installing vacuum insulated glass (vig) window unit in window frame designed to accommodate thicker ig window unit
KR101153212B1 (ko) 단열복합의 프로젝트 이중 창
JP6133876B2 (ja) 複層ガラスシステム
KR100905101B1 (ko) 진공창호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12664B1 (ko) 진공판넬단열재의 제조방법
JP2016503848A (ja) 断熱パネル
KR20130078997A (ko) 진공유리
KR101955680B1 (ko) 하니콤 형태의 진공단열판재 제조방법
KR20130003223A (ko) 3중 복층유리 창호
KR101581996B1 (ko) 분리 영역을 형성하는 실링재를 포함하는 진공유리 및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진공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KR20140064449A (ko) 3중 복층 유리 및 그 제조방법
JP5876339B2 (ja) 二重窓ガラス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3925171U (zh) 中空玻璃复合隔条以及使用该隔条制备的中空玻璃
JP2003161077A (ja) 複層ガラス窓、ガラス窓の複層化方法、及び前記方法に使用する複層用板
KR20180072398A (ko) 복합 단열판재
TWI646248B (zh) 絕熱玻璃元件、窗戶、門及製造絕熱玻璃元件之方法
CN203835199U (zh) 一种防火门
JP2014196223A (ja) 多重ガラス障子の製造方法
CN104847220A (zh) 一种节能窗
CN203835200U (zh) 一种木质防火门
JP5516451B2 (ja) 真空防音パネル
CN216921893U (zh) 一种隔热中空玻璃
CN209941934U (zh) 一种真空绝热保温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