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589A -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 Google Patents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589A
KR20130078589A KR1020110147610A KR20110147610A KR20130078589A KR 20130078589 A KR20130078589 A KR 20130078589A KR 1020110147610 A KR1020110147610 A KR 1020110147610A KR 20110147610 A KR20110147610 A KR 20110147610A KR 20130078589 A KR20130078589 A KR 20130078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polypropylene short
weight
yar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현
오상길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8589A/ko
Publication of KR2013007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01F6/0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from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1/00Other features of manufacture
    • D01D11/06Coating with spinning solutions or mel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crimped or curled structure; with a special structure to simulate woo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D01D5/42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00Severing continuous filaments or long fibres, e.g. stapling
    • D01G1/06Converting tows to slivers or yarns, e.g. in direct spinning
    • D01G1/10Converting tows to slivers or yarns, e.g. in direct spinning by cut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에 있어서, 호모폴리프로필렌 95 내지 99.9 중량% 및 탄산칼슘과 혼합된 폴리올레핀계 캐리어 수지가 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Polypropylene staple fibers for Rotor spinning and methods of the same, yarn made from them}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 방적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일반적으로 소수성이며 융점이 낮기 때문에 의류용으로는 한계가 있으나 수분전달에 장점이 있는 위킹 특성(wicking property)을 이용하여 가벼운 운동복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머로 단섬유를 제조시, 폴리머와 일정량의 첨가제를 혼합하고 이를 통상의 상업적인 공정으로 용융압출하여 섬유를 생산한 다음, 용융압출된 섬유에 크림프를 부여하고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일련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는 물성 향상을 위해 폴리머와 일정량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물성을 개선시키는 데, 열전도율 향상을 위해 첨가제로 탄산칼슘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편, 탄산칼슘(CaCO3)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염 중에서 가장 많으며, 그 형태도 다양하여 대리석 ·방해석 ·석회석 ·백악·빙주석(氷洲石)·조개껍질·달걀껍질·산호 등으로서 존재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일반적으로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 고체로 되어있는데, 이러한 탄산칼슘은 값이 싸고, 비중도 크지 않아 공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들면, 석회석·대리석으로서 시멘트의 주원료, 산화칼슘의 원료, 제철 ·건축재료 등의 각종 중화제로서 사용되며, 안료 ·도료 ·치약 및 고무등의 보강제로 배합되기도 한다. 상기 탄산칼슘은 다른 광물과 비교해서 열전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인데, 탄산칼슘의 열전도율은 약 0.006 (cal/cm·sec·℃)로 다른 광물에 비해 열전도성이 뛰어난 특성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0008116호에서는 초미세 탄산칼슘을 이용한 마스터배치 조성물 관한 것으로, 초미세 탄산칼슘, 바인더 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원가절감, 표면 개선, 상용성 개선, 물성 증가 특성을 개선시킨 초미세 탄산칼슘을 이용한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 데, 상기 조성물은 생분해성 수지, 합성수지 등 각종 고분자 물질과 상용성이 우수하여 필름및 비닐 압출, 시트성형, 진공성형, 압진공성형, 사출 성형품의 원료로써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8-0081301호에서는 탄산칼슘(CaCO3)을 사용하여 향상된 폴리올레핀 장벽 필름을 제공하는데, 상기 장벽 필름은 수증기 저항성, 히트 실링성 및 취급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산칼슘을 함유한 제품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로터 방적사를 제조하기 위한 단섬유에 적용한 사례가 없었으며 아울러 열전도성 및 시각적으로 우수한 느낌을 갖게 하는 단섬유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제조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며, 높은 열전도성에 따른 섬유의 결합력 향상 및 섬유표면이 개선된 로터 방적사용 단섬유 및 이로 제조된 방적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에 있어서, 호모폴리프로필렌 95 내지 99.9 중량% 및 탄산칼슘과 혼합된 폴리올레핀계 캐리어 수지가 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8 내지 15g/10min 이고, 아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이며, DSC로 측정한 용융점이 160 내지 1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의 용융지수가 5 내지 50g/10min이고, 탄산칼슘 및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는 3:7 내지 7:3인 중량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내부에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공정안정제 및 백색안료를 비롯한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첨가제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호모폴리프로필렌 95 내지 99.9 중량% 및 탄산칼슘이 혼합된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 0.1 내지 5 중량%를 블렌딩하여 용융·방사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연신하고, 권축을 부여하는 연신·크림핑단계; 유제 에멀젼이 함유된 액상수지를 크림핑된 연신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표면처리단계; 및 상기 연신사를 열고정한 후 단섬유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8 내지 15g/10min 이고, 아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이며, DSC로 측정한 용융점이 160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는 용융지수가 5 내지 50g/10min이고, 탄산칼슘 및 폴리올레핀이 3:7 내지 7:3인 중량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로부터 제조된 방적사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값싼 탄산칼슘을 이용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열전도성을 가진 단섬유를 제공하여 섬유의 결합력이 향상된 단섬유 및 방적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산칼슘이 함유된 캐리어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단섬유의 표면요철 부여 및 비중증가의 효과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서 로터 방적사 작업시 우수한 작업성 및 방적사 물성을 나타내는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방적사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로서, 호모폴리프로필렌 및 탄산칼슘이 혼합된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를 블렌딩하여 용융·방사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연신하고, 권축을 부여하는 연신·크림핑단계, 유제 에멀젼이 함유된 액상수지를 크림핑된 연신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표면처리단계, 및 상기 연신사를 열고정한 후 단섬유로 절단하는 단계를 거쳐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조한다.
상기 용융·방사단계에서 혼합용융되는 물질은 호모폴리프로필렌 80 내지 97 중량% 및 탄산칼슘이 혼합된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 0.1 내지 5 중량%가 블렌딩된다. 상기 범위내에서 제조될 경우 방사성에 유리하고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한 열손실 감소 및 단섬유의 강도가 향상된다.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1군의 고분자이며, 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한다. 상기 탄산칼슘이 혼합된 폴리올레핀캐리어 수지를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함께 용융한다.
또한 방사시에 방사온도는 220~26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블렌딩된 물질은 방사구금을 통해 80 내지 200m/min의 방사속도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MI)가 8 내지 15g/10min 이고, 아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이며, DSC로 측정한 용융점이 160 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낮을수록 섬유의 강성, 내약품성, 낮은 신율을 부여할 수 있지만 점도가 저하되므로 가공성이 나빠지게 되며, 용융지수가 너무 높으면 섬유의 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방사가 어려우므로 8 내지 15의 용융지수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아이소택틱 지수가 90% 미만인 경우에는 방사성이 좋지 않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강성이 저하되고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소택틱이란 노말헵탄을 끓게하여 아택틱 성분을 녹인 후 남아있는 아이소택틱 성분의 무게를 달아 중량%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의 용융지수는 5 내지 50g/10min이고, 탄산칼슘 및 폴리올레핀이 3:7 내지 7:3인 중량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는 연신 및 권축과정을 거치게 되는 데, 연신비는 1.3 내지 4.0 사이에서 적절히 조절하고, 연신롤 온도를 50 내지 100℃로 연신한다. 상기 연신된 연신사는 크림퍼에서 권축을 부여하게 된다.
다음으로 권축을 부여한 크림핑된 연신사는 유제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거치는 데, 상기 유제는 최종 제품의 목적에 맞게 친수성 또는 소수성의 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제가 함유된 액상수지에 크림핑된 연신사를 디핑(Deeping)처리 또는 스프레이(Spray)처리하여 유제가 연신사에 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제외에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공정안정제, 및 백색안료를 비롯한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성 저하 및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유제가 부착된 연신사는 100 내지 120℃ 온도에서 약 8 내지 12분간 열고정한 후, 섬유의 길이가 40 내지 100 mm가 되게 절단하여 최종 섬유섬도 1.5 내지 10 데니어, 평균 신도 50 내지 400%를 목표로하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섬유는 섬유 표면에 탄산칼슘 입자가 붙어 돌출로 인한 형태변화를 일으킨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는 탄산칼슘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높은 열전도성 특징을 갖으며, 소광효과 또한 뛰어나다.
상기 제조된 단섬유는 로터 방적공정을 이용하여 방적사를 제조할 수 있다.
로터(Rotor) 방적의 경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내부에서 단섬유를 회전 및 교락시킴면서 방적사를 제조하는 공정으로써 회전체 내부에서 단섬유의 유동 및 마찰이 방적사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링방적사의 경우 연조 및 조방공정을 거친 조사를 와인딩(Winding)하면서 꼬임과 연신이 주어지는 반면에 로터 방적사의 경우 조방공정없이 고속 회전체에 단섬유를 공급하여 단섬유가 회전체 내부에서 회전체의 원심력에 의해서 방적사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단섬유의 표면형태 및 비중을 개선시킴으로 인해서 로터 방적사의 물성 및 작업성 향상이 가능하다. 특히 방사성을 저해하지 않은 무기물계통을 적정량 방사시 첨가함으로 인해서 단섬유의 표면에 요철이 부여되고 폴리프로필린 100% 에 비해 비중이 증가되어 우수한 물성을 지니는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상기 로터 방적공정을 살펴보면, 혼다면 공정, 소면공정, 연조공정, 로터정방공정을 거쳐 방적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다면 공정은 다양한 형태의 단섬유를 섞어주는 공정이며, 상기 소면공정은 단섬유들을 정리하여 웹형태로 만드는 공정이며, 공정 후단에는 웹을 모아서 슬리버(굵은 섬유 다발형태)로 제조한다. 다음으로 연조공정은 생산된 슬리버를 연신시키는 공정으로 일반적으로 6~12가닥으로 연신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배향성을 높이고 균제도를 증가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연조공정 이후에 로터 정방공정은 연조된 슬리버를 잉요하여 드레프팅(Drafting)과 트위스트(Twist)를 부여하여 최종 얀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상기 공정으로 인해 본 발명은 우수한 작업성 및 물성이 향상된 방적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조건과 시험결과는 하기 [표 1]로 정리될 수 있다.
실시예1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50℃내외의 방사온도에서 용융시 탄산칼슘이 혼합된 폴리프로필렌 캐리어 수지를 5중량% 블렌딩하여 방사구금을 통해 약 100m/min의 방사속도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캐리어 수지는 탄산칼슘 및 폴리프로필렌을 7:3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었다.
상기 미연신사를 연신비 1.5으로 하며 연신롤 온도를 50~100℃로하여 연신한 다음 크림퍼에서 권축을 부여하고, 친수성 유제가 함유된 액상수지를 디핑처리 또는 스프레이 처리하여 유제의 함량이 전체 단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45중량부가 포함되도록 유제를 섬유표면에 부착시키고, 약 100℃온도에서 10분간 열고정한 후, 섬유의 길이가 40 mm가 되게 절단하여 최종 섬유섬도를 2.0~10 데니어, 평균 신도를 50~400%를 목표로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단섬유를 이용하여 로터 방적공정으로 혼다면 공정, 소면공정, 연조공정, 로터정방공정을 거쳐 방적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탄산칼슘이 혼합된 폴리프로필렌(PP) 캐리어 수지를 각각 2중량% 및 5중량%로 블렌딩하여 단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탄산칼슘이 혼합된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를 블렌딩하지 않고 호모폴리프로필렌 단독으로 실시하여 단섬유 및 방적사를 제조하였다.
※ 분석방법
1. 용융지수(MI) : ASTM D 1238에 의거
* 프로필렌 및 랜덤 공중합체 계열 : 230℃, 2.16kg의 하중
* HDPE, LDPE 등 PE 계열 : 190℃, 2.16kg의 하중
2. 아이소택틱 인덱스(I.I : Isotactic Index) : ISO 9113:1986·Plastics - Polypropylene (PP) and propylene-copolymer thermoplastics - Determination of isotactic index: 노말헵탄을 끓게하여 아택틱 성분을 녹인 후 남아있는 아이소택틱 성분의 무게를 달아 중량%로 나타내고 이 중량%를 아이소택틱 인덱스라 한다.
3. Xylene Soluble (이하 XS 표기) : ISO 16152:2005
4. 방사성 : 11,000 ~ 65,000개의 Hole을 가지는 구금 직하에서 섬유의 단 사절이 및 방사 드롭(Drop) 발생 회수를 관찰하여 평가
단 사절 또는 드롭이 1회/시간 미만 : ◎
단 사절 또는 드롭이 1~3회/시간 : ○
단 사절 또는 드롭이 3회/시간 이상 : △
방사 불가 : ×
5. 연신성 : 연식작업 과정에서 사절이
1회/시간 미만 : ○, 1~2회/시간 : △, 3회/시간 이상 : ×
6. 크림핑 작업성 : 육안 관찰하여 연신된 토우가 크림퍼를 통과과정에서 실패한 회수
1회/시간 미만 : ○, 1~2회/시간 : △, 3회/시간 이상 : ×
7. 단섬유 섬도 : ASTM D1577을 기준으로 하여 섬도를 측정
8. 소광효과(whiteness) 측정 : CCM기기 사용, 섬유 표면 형태 변화에 따른 소광효과(whiteness) 측정

구 분
섬유의 작업성 및 물성
방사성 연신성 크림핑작업성 섬도
(De)
신도
(%)
소광효과
(whiteness)
실시예 1 2.3 275 76.86
실시예 2 2.4 272 78.59
실시예 3 2.3 274 80.17
비교예 1 2.2 242 69.49
※ 실험결과
1. 고열전도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는 호모프로필렌 단독으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와 비교하여 작업성 및 물성의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광효과(whiteness)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알 수 있듯이 탄산칼슘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소광효과가 향상되어 시각적으로 더욱 깨끗한 느낌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에 있어서,
    호모폴리프로필렌 95 내지 99.9 중량% 및 탄산칼슘과 혼합된 폴리올레핀계 캐리어 수지가 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8 내지 15g/10min 이고, 아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이며, DSC로 측정한 용융점이 160 내지 17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의 용융지수는 5 내지 50g/10min이고, 탄산칼슘 및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는 3:7 내지 7:3인 중량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내부에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공정안정제 및 백색안료를 비롯한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6.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호모폴리프로필렌 95 내지 99.9 중량% 및 탄산칼슘이 혼합된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 0.1 내지 5 중량%를 블렌딩하여 용융·방사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연신하고, 권축을 부여하는 연신·크림핑단계;
    유제 에멀젼이 함유된 액상수지를 크림핑된 연신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표면처리단계; 및
    상기 연신사를 열고정한 후 단섬유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8 내지 15g/10min 이고, 아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이며, DSC로 측정한 용융점이 160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캐리어 수지는 용융지수가 5 내지 50g/10min이고, 탄산칼슘 및 폴리올레핀이 3:7 내지 7:3인 중량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의 제조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KR1020110147610A 2011-12-30 2011-12-30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KR20130078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10A KR20130078589A (ko) 2011-12-30 2011-12-30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10A KR20130078589A (ko) 2011-12-30 2011-12-30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589A true KR20130078589A (ko) 2013-07-10

Family

ID=4899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610A KR20130078589A (ko) 2011-12-30 2011-12-30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8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364B1 (ko) * 2013-07-26 2015-01-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364B1 (ko) * 2013-07-26 2015-01-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50680B2 (en) Melt-spun multifilament polyolefin yarn formation processes and yarns formed therefrom
JPH06508892A (ja) ポリエチレン二成分繊維
KR20080071618A (ko) 표면 변형된 이성분 중합체 섬유
EP1818356B1 (de) Verwendung von Triglyceriden als Weichmacher für Polyolefine
CN103627056B (zh) 紫外稳定的聚烯烃混合物
CN107141584B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在制备亲水柔韧无纺布中的应用
US6646051B1 (en) Polypropylene fibres
KR20100127077A (ko)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20180022879A1 (en) Processes for Producing an Antimicrobial Masterbatch and Products Thereof
EP1169499B1 (en) Polypropylene fibres
KR20130078589A (ko) 로터 방적사용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방적사
KR101370501B1 (ko) 푸른색 및 형광색을 갖는 열접착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N109943041A (zh) 一种增强再生材料及其应用
KR20110076154A (ko) 위생용품용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부직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230054151A (ko) 항균 및 탈취용 복합 섬유
CN102877217B (zh) 伸缩性无纺布及其制造方法
US11667776B2 (en) Fiber with odor control component
JP2016069785A (ja) 芯鞘型複合繊維
KR102311965B1 (ko) 고강도 고난연성 하이브리드 섬유소재 제조방법
KR20100109182A (ko) 고열전도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이로 만들어진 부직포
KR20160053320A (ko) 심초형 제전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CN109811425B (zh) 一种交联的聚烯烃弹性体组合物弹性纤维及其制造方法
JP2019199506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ポリプロピレン繊維
KR101221145B1 (ko) 자외선 차단성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20160140165A (ko) 습도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타포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