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743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743A
KR20130077743A KR1020120041689A KR20120041689A KR20130077743A KR 20130077743 A KR20130077743 A KR 20130077743A KR 1020120041689 A KR1020120041689 A KR 1020120041689A KR 20120041689 A KR20120041689 A KR 20120041689A KR 20130077743 A KR20130077743 A KR 20130077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mera
microphone
input uni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주
류용욱
최현웅
김광연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198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0856A1/en
Priority to CN201210581659.1A priority patent/CN103187042A/zh
Priority to US13/731,362 priority patent/US20130169528A1/en
Publication of KR2013007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각에 마련되는 베젤; 및 카메라와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고, 신호 입력부는 베젤 상단에 배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와 마이크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성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이크를 스피커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마이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및 화상 통화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USB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외부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사진이나 이미지 등의 화상을 제공받아 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및 화상 통화 기능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및 화상 통화 기능 등의 부가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등의 신호 입력 수단 및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필요로 한다.
기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러한 부가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하나의 인 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위에 카메라, 마이크 등의 신호 입력 수단과 입력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함께 장착하여 신호 입력/처리 모듈을 형성하고, 이 신호 입력/처리 모듈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장형으로 부착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입력 신호(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 및 리모컨의 입력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동작 표시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모컨 신호 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별도로 마련된다. 여기서, 신호 입력/처리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서 외부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마련된 메인 마이컴에 연결되고, 리모컨 신호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서 내부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마련된 메인 마이컴에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적절한 고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카메라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마이크 역시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 구비됨으로써 제품 이동 시나 충격 시 이탈되거나 고정 시 별도의 고정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하나의 기판 위에 신호 입력 수단(카메라, 마이크)과 신호 처리 회로가 함께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에 장착되는 모듈(기판)의 크기가 커져 외관 품질이 저하되고, 기판의 컴팩트(compact) 설계를 제약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신호 입력/처리 모듈과 리모컨 신호 모듈이 별도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 입력/처리 모듈과 리모컨 신호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고,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메인 마이컴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와 마이크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마이크를 스피커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마이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의 영상 처리를 위한 회로 모듈을 카메라에 근접 설치함으로써, 비디오 신호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 리모컨 신호 모듈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장형으로 부착하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기판에 구현됨)를 분리하고 이들을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기판의 컴팩트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기판에 구현됨)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구적 특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에 리모컨 신호 모듈을 편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리모컨 신호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에 리모컨 신호 모듈을 편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메인 마이컴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일체화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각에 마련되는 베젤; 및 카메라와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고, 신호 입력부는 베젤 상단에 배치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는 베젤 상부 중심에 마련된다.
또한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신호 처리부는 카메라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카메라로부터 100㎜ 이내에 배치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와 신호 처리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FPCB를 포함한다.
또한 FPCB는 100㎜ 이하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양측 하단에 스피커를 구비하고, 마이크는 스피커로부터 최대 먼 거리에 배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신호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케이스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는 카메라와 마이크가 내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에는 복수의 마이크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화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각도 조절 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휠; 휠의 회전을 카메라에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 베젤의 상부에 마련되는 카메라 및 마이크; 및 베젤의 하부에 마련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마이크는 스피커와 최대 먼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부는 카메라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카메라로부터 100㎜ 이내에 배치된다.
또한 카메라와 신호 처리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FPCB를 포함하며, FPCB는 1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AV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AV 신호 처리부를 갖는 본체;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AV 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고,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음성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 및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신호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고,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입력부; 및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신호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입력부와 신호 처리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는 객체를 촬영하고,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입력부는 카메라 및 마이크가 내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에는 복수의 마이크 홀이 형성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는 카메라의 화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영상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객체의 음성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송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영상 신호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고,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입력부; 및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신호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입력부와 신호 처리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는 객체를 촬영하고,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영상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객체의 음성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며, 객체를 촬영하고,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및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신호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리모컨 신호 모듈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 및 리모컨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동작 표시 LED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 입력부와 신호 처리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는 카메라 및 마이크가 내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에는 복수의 마이크 홀이 형성된다.
또한 신호 입력부는 카메라의 화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영상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객체의 음성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송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마이컴을 더 포함하고, 리모컨 신호 모듈은 케이블을 통해 신호 처리부와 메인 마이컴을 연결하는 내부 케이블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 카메라, 마이크 및 리모컨 신호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되, 신호 입력부는 본체의 상단에 장착된다.
또한 리모컨 신호 모듈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 및 리모컨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동작 표시 LED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와 마이크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성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마이크를 스피커와 멀리 격리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마이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의 영상 처리를 위한 회로 모듈을 카메라에 근접 설치함으로써, 비디오 신호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마이크, 리모컨 신호 모듈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장형으로 부착하고,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기판에 구현됨)를 분리하고 이들을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기판의 컴팩트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기판에 구현됨)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구적 특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에 리모컨 신호 모듈을 편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리모컨 신호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에 리모컨 신호 모듈을 편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메인 마이컴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신호 입력부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신호 입력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테두리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11),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베젤(11)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두 장의 유리(glass)로 TFT 기판 및 칼라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주입되어 형성된다.
베젤(11)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사방 테두리가 각각 수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사면에 각각 마련된다.
받침대(13)는 바닥을 지지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3a)와, 지지부(13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측에 마련되는 베젤(11)에 고정되는 연결부(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젤(11)의 하부에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30)가 설치된다. 스피커(30)는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젤(11)의 상측 중앙부에는 신호 입력부(20)가 설치된다.
신호 입력부(20)는 카메라(21)와 마이크(도 3의 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 입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력부(20)는 카메라(21)와 마이크(23)가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24)가 형성되는 케이스(22)와, 카메라(21)의 화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젤(11)의 상부 중심에 설치되는 케이스(22)의 외측에는 마이크(23)의 수신을 위해 관통되는 마이크 홀(22a)이 형성된다.
마이크 홀(22a)은 케이스(22)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복수 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과 후방의 소리를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케이스(22)의 전면 중심에는 카메라 설치홀(21a)이 형성되어 카메라(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22)의 전면 내측 공간부(24)에는 설치 브라켓(25)이 마련되어 마이크(23)와 카메라(21), 카메라(21)의 각도 조절 유닛(40)이 설치된다. 설치 브라켓(25)의 양측 단부에는 원형의 마이크 설치홀(25a)이 형성된다.
마이크(23)는 카메라(21)를 중심으로 일측의 제 1 마이크(23a)와 타측의 제 2 마이크(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이크(23)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단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측 양 단부에 위치하는 스피커(30)로부터 격리됨으로써, 스피커(30)로부터 나오는 소리가 마이크(23)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와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23)의 성능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카메라(21)의 화각을 조절하는 각도 조절 유닛(40)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휠(41)과, 휠(41)의 회전을 카메라(21)에 전달하여 카메라(21)가 상하 회전하면서 화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휠(4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41a)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휠(41)은 케이스(22) 후면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는 노출된 휠(41)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41a)를 이용하여 휠(41)을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21)의 화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휠(41)의 일측에는 기어부(42)가 연결된다.
기어부(42)는 휠(41)에 일측이 연결되어 휠(41)을 회전시키는 제 1 기어(42a)와, 카메라(21) 일측에 연결되어 카메라(21)를 회전시키는 제 3 기어(42c)와, 제 1 기어(42a)와 제 3 기어(42c)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기어(4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제 1 기어(42a)와 제 2 기어(42b) 및 제 3 기어(42c)는 기어의 감속비에 의해 카메라(2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감속(減速) 기어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메라(21)의 화각을 조절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마련되는 휠(41)을 회전시키면 휠(41)에 연결된 제 1 기어(42a)가 회전하고, 제 1 기어(42a)에 연결된 제 2 기어(42b)가 회전을 하고, 제 2 기어(42b)에 연결된 제 3 기어(42c)가 회전을 하며, 제 3 기어(42c)의 회전과 동시에 제 3 기어(42c)와 연결된 카메라(21)도 회전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 통화 기능과 음성 인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부(60)를 포함한다.
카메라(21)는 신호 처리부(60)와 FPCB(50)를 통해 연결되고, 마이크(23)는 신호 처리부(60)와 마이크 케이블(24)을 통해 연결된다.
이 때, 신호 처리부(60)는 카메라(21)의 하부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거리(d)는 100㎜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 처리부(60)와 카메라(21)를 연결하는 FPCB(50)의 길이는 100㎜ 이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PCB(50)의 길이는 100㎜ 이하일 때, FPCB(50)의 특성 저하 없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그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14)를 포함하며, 신호 처리부(6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후면 케이스(14) 사이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메인 마이컴(70)을 포함하며, 신호 입력부(20)외 연결되는 신호 처리부(60)는 메인 마이컴(70)과 케이블(C)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카메라(21)와 마이크(23)에 연결되는 신호 처리부(60)와, 마이크 케이블(24) 그리고 FPCB(50)는 후면 케이스(14)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관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60)가 카메라(21)의 하부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카메라(21) 성능의 열화 없이 최적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5)는 디스플레이 장치(15)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6), 본체(16)의 전면에 장착되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7), 디스플레이 패널(17)의 테두리 외측에 배치되는 베젤(18), 디스플레이 패널(17) 및 베젤(18)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패널(17)로는 일반적으로 컬러 필터,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두 장의 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주입하여 형성되는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된다.
베젤(18)은 디스플레이 패널(17)의 사방 테두리가 각각 수납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7)의 사면에 각각 형성된다.
받침대(19)는 바닥을 지지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9a), 지지부(19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7)의 하측에 마련되는 베젤(18)에 고정되는 연결부(1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6)의 상단에는 카메라(도 8의 120 참조), 마이크(도 8의 130a, 130b 참조), 리모컨 신호 모듈(도 8의 140 참조)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100)가 장착된다. 신호 입력부(10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신호 입력부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신호 입력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력부(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의 내부는 카메라(120), 마이크(130a, 130b), 리모컨 신호 모듈(1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케이스(110)의 외면에는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마이크(130a, 130b)의 음성 신호 수신을 위한 마이크 홀(113)이 형성된다.
마이크 홀(113)은 카메라 케이스(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10)의 정면에는 카메라(12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 설치홀(111)이 형성된다.
카메라 설치홀(111)에는 카메라(1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면판(112)이 설치된다. 이 때, 전면판(112)의 재료로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이용한다.
또한 케이스(110)의 우측에는 동작 표시 LED(144)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LED 설치홀(114)이 형성된다. 이 동작 표시 LED(144)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의 입력 신호(적외선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동작 여부에 대한 결과를 표시한다.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결합 돌기(150)가 마련된다. 이 결합 돌기(150)는 베젤(13) 상부에 마련되는 결합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신호 입력부(100)를 디스플레이 패널(17)에 결합시킨다.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120), 마이크(130a, 130b)는 케이블(210, 220a, 220b)을 통해 신호 처리부(300)에 연결된다. 신호 처리부(300)는 카메라(12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와 마이크(130a, 130b)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부로, 신호 처리부(300)는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구현된다. 신호 처리부(30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5)의 구조에서, 카메라(120), 마이크(130a, 130b) 및 리모컨 신호 모듈(140)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외장형으로 부착하고, 신호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5)에 내장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120), 마이크(130a, 130b)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100)에 리모컨 신호 모듈(140)을 편입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5) 내에서 리모컨 신호 모듈(140)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신호 입력부(100)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력부(100)의 케이스(110) 내에는 카메라(120), 카메라(120)의 화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유닛(124), 한 쌍의 마이크(130a, 130b) 및 리모컨 신호 모듈(140)이 설치된다.
카메라(120)는 케이스(110) 내 중앙부에 설치되어 객체(주로, 사용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카메라 케이블(210)을 통해 신호 처리부(300) 내의 영상 신호 처리부(도 9의 310 참조)로 전송한다.
각도 조절 유닛(124)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휠(126), 휠(126)의 회전을 카메라(120)에 전달하여 카메라(120)가 상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휠(126)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휠 설치홀(미도시)에 설치되는데, 원통형의 후방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110) 후면에 노출되는 휠(126)을 회전시켜 카메라(120)의 화각을 조절할 수 있다.
마이크(130a, 130b)는 케이스(110) 내 좌우측에 설치되어 객체(주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객체의 음성 신호를 케이블(220a, 220b)를 통해 신호 처리부(300) 내의 음성 신호 처리부(도 9의 330 참조)로 전송한다.
리모컨 신호 모듈(140)은 리모컨 신호 수신부(142) 및 동작 표시 LED(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리모컨 신호 수신부(142)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리모컨(미도시)을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조절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5)의 환경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리모컨 신호로는 통상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지만, 적외선 이외의 다른 무선 통신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각종 명령을 입력하면, 리모컨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 신호를 전송하며, 리모컨 신호 수신부(142)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마이컴(도 9의 500 참조)에 전송한다.
동작 표시 LED(144)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142)의 일측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5)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미도시)의 입력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5)가 동작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5)를 이루는 신호 처리부(300)는 영상 신호 처리부(310), 엔코더(320), 음성 신호 처리부(330), 시스템 제어부(340), 플래시 메모리(350) 및 신호 포맷부(360)를 포함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310)는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카메라 케이블(21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7)의 해상도에 대응하여 수직 주파수, 해상도, 화면 비율 등을 조절하여 스케일링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일러(미도시), 케이블(210)을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미도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미도시) 및 소정의 포맷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포맷 변환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코더(320)는 영상 신호 처리부(31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를 부호화 한다. 여기서, 엔코더(320)는 동영상 압축 알고리즘(예를 들면, MPEG4)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부호화하게 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330)는 마이크(130a, 130b)를 통해 입력된 객체의 음성 신호를 마이크 케이블(220a, 220b)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해 각종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330)는 마이크 케이블(220a, 220b)을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미도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미도시), 음성 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레벨 조정부(미도시) 및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는 주파수 조정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340)는 영상 신호 처리부(31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처리부(330)에 의해 처리된 음성 신호에 대해 음성 인식 알고리즘, 모션 인식 알고리즘 및 화상 통화 알고리즘 등을 적용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310) 및 음성 신호 처리부(330)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시스템 제어부(34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 모션 인식 알고리즘 및 화상 통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된 플래시 메모리(350)로부터 각 알고리즘들을 로딩하여 영상 신호 처리부(310) 및 음성 신호 처리부(330)에서 전송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5)의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을 인식한다. 시스템 제어부(340)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부터 인식한 기능 명령들을 신호 포맷부(360)로 출력한다.
플래시 메모리(35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 모션 인식 알고리즘 및 화상 통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음성 인식이란 사람의 육성(목소리)으로 입력된 시험 음성 신호를 시스템 내부에 여러 사람의 목소리를 샘플링(Sampling)해서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기억시킨 기준 음성 신호와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의 의미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음성 인식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동적 시간 감소(Dynamic Time Warping; DTW) 방식과 히든 마코브 방식(Hidden Markov Mode; HMM)이 있는데, 동적 시간 감소(DTW) 방식은 단어 인식(isolated word recognition)에 주로 이용하며, 히든 마코브 방식(HMM)은 문장 인식(connected word recognition)에 이용된다. 음성 인식 기술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모션(제스처) 인식이란 카메라(120)로부터 획득하는 동적인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모션(제스처)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호 포맷부(360)는 시스템 제어부(340)로부터 전송된 음성 인식의 결과나 모션 인식의 결과 즉, 입력된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로부터 인식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들을 메인 마이컴(500)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 포맷으로 변경하여 메인 마이컴(500)으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00)는 내부 케이블(4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5)의 메인 마이컴(500)에 연결된다. 리모컨 신호 모듈(140)은 리모컨 신호 케이블(230)을 통해 신호 처리부(300)와 메인 마이컴(500)을 연결하는 내부 케이블(400)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5) 내의 메인 마이컴(500)에 연결되는 케이블(400)을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된다.
메인 마이컴(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마이컴(500)은 내부 케이블(400)을 통해 신호 포맷부(360)로부터 전송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들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기능 블록들(미도시)의 기능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메인 마이컴(500)은 케이블(230, 400)을 통해 리모컨 신호 수신부(142)로부터 전송된 디스플레이 장치(15)의 동작이나 기능에 관한 명령들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기능 블록들(미도시)의 기능 제어를 수행한다.
AV 신호 처리부(510)는 본체(16) 내에 위치하며, 외부의 방송 신호나 광 디스크 장치의 AV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20), 마이크(130a, 130b) 등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100)가 본체(16)의 상단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신호 입력부(100)와 신호 처리부(300)를 연결하는 케이블(210, 220a, 220b)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신호 입력부(100)를 본체(16)의 상단 이외에도 베젤(18)의 일측이나 받침대(19)의 일측 등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에 적합한 위치라면 어디에라도 장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5)의 구조에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부(100)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00)을 연결하는 케이블(210, 220a, 220b)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기구적 특징(예: 크기, 형상)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디스플레이 패널
11 : 베젤 13 : 받침대
14 : 후면 케이스 20 : 신호 입력부
21 : 카메라 22 : 케이스
23a, 23b : 마이크 24 : 마이크 케이블
25 : 설치 브라켓 25a : 마이크 설치홀
30 : 스피커 40 : 각도 조절 유닛
41 : 휠 42 : 기어부
50 : FPCB 60 : 신호 처리부
70 : 메인 마이컴

Claims (40)

  1.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외각에 마련되는 베젤; 및
    카메라와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베젤 상단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베젤 상부 중심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 하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100㎜ 이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FPC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PCB는 100㎜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양측 하단에 스피커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최대 먼 거리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후면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가 내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마이크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화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 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휠;
    상기 휠의 회전을 상기 카메라에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젤;
    상기 베젤의 상부에 마련되는 카메라 및 마이크; 및
    상기 베젤의 하부에 마련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스피커와 최대 먼 위치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 하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100㎜ 이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신호 처리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FPCB를 포함하며,
    상기 FPCB는 100㎜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외부로부터 수신된 AV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AV 신호 처리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AV 신호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고,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음성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고,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객체를 촬영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마이크가 내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마이크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영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고,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획득하는 신호 입력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객체를 촬영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본체의 외측에 장착되며, 객체를 촬영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및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신호 모듈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 및
    상기 리모컨 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되고 있음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동작 표시 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마이크가 내장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마이크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 신호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객체의 음성 신호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마이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 신호 모듈은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신호 처리부와 상기 메인 마이컴을 연결하는 내부 케이블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8. 본체;
    카메라, 마이크 및 리모컨 신호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호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입력부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신호 모듈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 및
    상기 리모컨 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되고 있음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동작 표시 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41689A 2011-12-29 2012-04-20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77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8983.4A EP2610856A1 (en) 2011-12-29 2012-12-21 Display device
CN201210581659.1A CN103187042A (zh) 2011-12-29 2012-12-28 显示装置
US13/731,362 US20130169528A1 (en) 2011-12-29 2012-12-3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607 2011-12-29
KR20110145607 2011-12-29
KR1020110147952 2011-12-30
KR20110147950 2011-12-30
KR1020110147950 2011-12-30
KR20110147952 2011-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743A true KR20130077743A (ko) 2013-07-09

Family

ID=4899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689A KR20130077743A (ko) 2011-12-29 2012-04-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7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341A1 (ko) * 2019-10-25 2021-04-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21149A1 (ko) * 2021-12-20 2023-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341A1 (ko) * 2019-10-25 2021-04-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21149A1 (ko) * 2021-12-20 2023-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0856A1 (en) Display device
KR100766520B1 (ko) 영상 스크린기능을 갖춘 스피커 장치
US8994773B2 (en) Display apparatus
KR101594874B1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US20110050910A1 (en) Portable electronic system with a detachable camera module
EP2495992A1 (en) Speaker system, video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581802B1 (ko)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US20130169740A1 (en) Display apparatus
US20060256986A1 (en) Remote control system with a wireless earphone func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1300777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802956B2 (ja) 携帯端末機器
KR1022574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23742A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CN112235666A (zh) 音箱组件、显示设备、音频输出方法及装置
KR201500179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설정방법
KR100735665B1 (ko) 디지털 방송의 와이드 시청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20180136548A (ko) 모듈식 tv 아키텍처
KR201300767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07867457U (zh) 一种具有手势控制功能的语音控制终端
CN214851590U (zh) 一种智能镜子
KR102254857B1 (ko) 영상 표시 장치
CN213586148U (zh) 音箱组件、显示设备
KR200434097Y1 (ko) 영상 스크린기능을 갖춘 스피커 장치
CN202009456U (zh) 病理大体标本取材简易记录系统
CN113301312A (zh) 一种智能镜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