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843A - 긴장재 정착 장치 - Google Patents

긴장재 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843A
KR20130076843A KR1020130069254A KR20130069254A KR20130076843A KR 20130076843 A KR20130076843 A KR 20130076843A KR 1020130069254 A KR1020130069254 A KR 1020130069254A KR 20130069254 A KR20130069254 A KR 20130069254A KR 20130076843 A KR20130076843 A KR 20130076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unit
anchor head
present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성택룡
박규식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6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843A/ko
Publication of KR2013007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긴장재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설치된 긴장재를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 장치는 내부에 긴장재가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단에 연계되어 상기 긴장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긴장재를 안내하고, 안착홈이 형성된 정착부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정착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긴장재를 고정하도록 제공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부는, 상기 긴장재가 관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정착부본체, 상기 정착부본체의 종단에서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정착판,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정착부본체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로 하중을 전달하며, 상기 정착판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가로리브 및 상기 정착부본체의 종방향으로 상기 정착부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된 복수 개의 세로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정착판 및 상기 정착판에 가장 인접한 가로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세로리브의 양단이 상기 정착부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상기 정착판에 가장 인접한 가로리브가 상기 정착부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긴장재 정착 장치{APPARATUS FOR FIXING THE TENDON}
본 발명은 긴장재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설치된 긴장재를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한 긴장재 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은 인장력에 취약한 콘크리트에 선압축력을 가하여 단면 하부 인장구역에도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해 콘크리트 거더 또는 보의 강도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다.
프리스트레스를 콘크리트에 주는 방법에는 프리텐셔닝(pretensioning) 공법과 포스트텐셔닝(posttensioning) 공법이 있다.
여기서, 프리텐셔닝 공법은 긴장재에 인장력을 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한 후 긴장재의 양단부를 벗겨 콘크리트에 압축력으로서 부담을 시키는 공법이다.
반면, 포스트텐셔닝 공법은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사전에 만들어 둔 쉬스관에 긴장재를 넣어 잡아당겨 긴장재의 양단을 콘크리트 부재 단부에 고정하는 공법이다.
포스트텐셔닝 공법은 조립 철근 사이로 긴장재가 통과하는 쉬스관을 배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긴장재를 정착구에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스트텐셔닝 공법에서 긴장재의 정착 구역은 긴장재에 의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콘크리트로 분산시킴으로써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전체에 동일한 응력 분포를 갖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정착구역에는 교축방향으로 압축 응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쪼갬 응력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정착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앵커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앵커헤드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라 정착구 주변에 나선형 구속철근과 사각 횡보강철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장착구 주변에 콘크리트(C)가 타설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포스트텐셔닝 공법에 따라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긴장재를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한 정착구가 사용된다. 그리고 정착구(1)에는 긴장재(2)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헤드(5)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구(1)는 긴장재(2)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외주면에 횡방향 리브(3)가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횡방향 리브(3)가 그 역할을 충분하게 하기 위해서는 정착구(1)가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불필요하게 큰 두께가 요구된다.
또한, 도 9a에서와 같이 정착구(1)의 정착판(4)과 횡방향 리브(3) 아래에 맞닿는 부분의 콘크리트에는 다른 부분과 차이가 큰 국부응력의 발생을 피할 수 없다.
이에, 종래에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정착구역에 발생하는 국부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구(1) 주변에 다량의 나선 형태의 구속철근(7)을 배근하도록 하고 있다.
정착구(1)는 나선형 구속철근(7) 이외에 도 3a와 같이 추가적인 사각 횡보강철근(9)을 배근하고 있다.
나선형 구속철근(7)은 원형으로 구속효과가 뛰어나지만 전 길이에 걸쳐서 서로 엮어져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구속효과 구현에 한계가 있다. 반면 사각 횡철근의 경우 구속효과에 있어서 나선형 구속철근(7)보다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한편, 정착구(1)는 앵커헤드(5)를 통해서 높은 수준의 하중을 전달하게 되는데 작용하는 하중이 약간의 편심이라도 걸릴 경우 그에 따라 구조성능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앵커헤드(5)를 정확히 정착구(1)의 중앙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기존 제품의 경우 도 2와 같이 평평한 앵커헤드(5)와 평평한 정착판(4)을 그냥 맞닿게 하여 시공자의 숙련도에 설치 완성도가 좌우되고 있다.
이에, 특정 제품의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헤드(5)의 밑면 일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앵커헤드(5)가 정착구(1)에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지만, 정착구(1)에 안착되는 부분이 변형된 앵커헤드(5)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정착판의 안착홈에 앵커헤드가 안착되도록 하여 정착부에서의 편심하중을 방지할 수 있는 긴장재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착부본체에 세로리브를 구비하여, 정착부의 하중 전달 효율을 최대화하여 정착부본체의 강재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긴장재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정착부 둘레에 회오리 형상을 가진 보강부를 설치함으로써 철근배근을 줄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긴장재 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 장치는 내부에 긴장재가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단에 연계되어 상기 긴장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긴장재를 안내하고, 안착홈이 형성된 정착부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정착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긴장재를 고정하도록 제공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부는, 상기 긴장재가 관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정착부본체, 상기 정착부본체의 종단에서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정착판,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정착부본체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로 하중을 전달하며, 상기 정착판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가로리브 및 상기 정착부본체의 종방향으로 상기 정착부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된 복수 개의 세로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정착판 및 상기 정착판에 가장 인접한 가로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세로리브의 양단이 상기 정착부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상기 정착판에 가장 인접한 가로리브가 상기 정착부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 장치는 복수 개의 세로리브는 상기 가로리브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 주변의 상기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성능을 보강토록 제공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착판의 안착홈에는 고정부가 안착홈에 안착될 때 고정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는 상기 정착부본체와 연통가능한 복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앵커헤드 및 상기 앵커헤드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어 상기 앵커헤드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공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정착판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앵커헤드가 정착부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착홈을 통해 앵커헤드의 중심축과 정착부본체의 중심축을 일치시킴으로써 앵커헤드의 위치 가변으로 인한 정착부에서의 편심하중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정착부의 콘크리트로의 하중전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정착부에 안착홈을 구비함으로써 앵커헤드의 형상 변형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앵커볼트의 하단에 고정홈에 결합가능한 고정돌기를 구비하여 앵커헤드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앵커헤드가 정착부에 설치될 때, 앵커헤드의 위치 조정을 통해 긴장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프리스트레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착부본체에 세로리브를 구비하여, 정착부본체의 하중 전달 효율을 최대화하여 정착부본체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정착부본체의 강재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정착부 둘레에 회오리 형상을 가진 보강부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정착부 주변에 설치되는 철근배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회오리 형상을 가진 보강부가 정착부 둘레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속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횡보강 효과 또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정착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앵커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앵커헤드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라 정착구 주변에 나선형 구속철근과 사각 횡보강철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장착구 주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정착부, 그리고 보강부의 배열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도 4a에서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 장치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헤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부의 응력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의 응력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정착부, 그리고 보강부의 배열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도 4a에서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긴장재 정착 장치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는 정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앵커헤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은 보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 장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설치된 긴장재를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은 인장력에 취약한 콘크리트에 선압축력을 가하여 단면 하부 인장구역에도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해 콘크리트 거더 또는 보의 강도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 정착부의 일단에 끼움결합되어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쉬스관, 쉬스관 내에 삽입되는 긴장재, 긴장재가 삽입된 쉬스관으로 주입되어 쉬스관의 내부 공간을 메꿔 긴장재의 부식을 방지하는 그라우트를 포함한다. 한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은 공지된 구조물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 장치(100)는 고정부(110), 정착부(130) 및 보강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10)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로 인출된 긴장재(2)를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끝단에 고정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긴장재(2)로는 일반 철근의 강도보다 4배 내지 5배 정도 강한 강도를 가진 고강도 강연선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외부로 인출된 긴장재(2)를 잡아주는 고정홀더(115), 고정홀더(115)를 고정하는 앵커헤드(111) 및 앵커헤드(111)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공된 고정돌기(1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앵커헤드(111)는 후술할 정착판(133)의 안착홈(134)에 안착되어, 정착부(130)의 일단에 연계된다. 앵커헤드(111)에는 고정홀더(115)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후술할 정착부(130)를 통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외부로 인출된 긴장재(2)는 앵커헤드(111)의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고정홀더(115)에 고정된다. 이후, 고정홀더(115)는 관통홀(112)에 쐐기결합 또는 끼움결합되어 긴장재(2)가 앵커헤드(111)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앵커헤드(111)에는 안착홈(134)에 안착되는 앵커헤드(111)의 일면에 고정돌기(11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돌기(113)는 고정홈(135)에 결합되어 앵커헤드(111)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여기서, 고정돌기(113)는 안착홈(134)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홈(135)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135)에 결합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착부(130)는 내부에 긴장재(2)가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단에 연계되어 긴장재(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긴장재(2)를 안내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착부(130)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부가 매설되도록 위치된다. 즉, 정착부(130)의 일단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고, 정착부(130)의 타단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상태가 아니며, 정착부(130)의 타단에는 상술한 고정부(110)가 연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130)는 정착부본체(131), 정착판(133), 정착부본체(131)의 외주면에 고정된 가로리브(136) 및 세로리브(137)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착부본체(131)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관(10)에 연계되어, 쉬스관(10) 내에 위치된 긴장재(2)를 외부로 안내하는 부재이다.
한편, 쉬스관(10)과 정착부본체(131)의 연결 방식은 끼움결합방식, 나사 결합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착부본체(131)는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착부본체(131)는 콘크리트(C)에 매설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이탈을 방지토록, 콘크리트(C)에 매설된 정착부본체(131)의 일단에서 콘크리트(C)에 매설에 매설되지 않은 정착부본체(131)의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착부본체(131)의 타단에는 정착판(133)이 정착부본체(13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정착판(133)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판(133)은 정착부본체(131)의 타단에서, 정착부본체(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바깥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부재이다. 정착판(133)은 앵커헤드(111)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정착판(133)에는 고정부(110)의 앵커헤드(111)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34)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134)은 안착홈(134)에 안착되는 앵커헤드(111)의 중심축이 정착부본체(131)의 중심축에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착부본체(131)는 앵커헤드(111)에 고정된 긴장재(2)에 의해 높은 수준의 하중을 전달받게 되는데, 정착부(130)에 작용하는 하중에 약간의 편심이라도 발생한다면, 편심하중에 의해 정착부(130)의 구조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안착홈(134)을 통해 앵커헤드(111)의 중심축과 정착부본체(131)의 중심축을 일치시킴으로써, 앵커헤드(111)가 정착부(130)에 설치될 때 정착부(130)의 편심하중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정착부(130)의 콘크리트(C)로의 하중전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안착홈(134)의 형상은 앵커헤드(1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착부본체(131)의 중공된 부분이 개방되도록 도넛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착홈(134)으로 인해, 도 2b에 도시된 종래의 앵커헤드(111)와 같이 앵커헤드(111)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아도 되어, 앵커헤드(111)의 형상 변형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134)에는 복수 개의 고정홈(135)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고정홈(135)은 정착부본체(1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135)에는 앵커헤드(111)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3)가 안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 장치(100)는 고정홈(135)을 통해, 앵커헤드(111)의 정착판(133)에서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앵커헤드(111)가 안착홈(134)에 설치될 때, 고정돌기(113)와 고정홈(135)을 통해 앵커헤드(11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앵커헤드(111)에 고정된 긴장재(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본체(131)에는 정착부본체(131)의 외주면에 가로리브(136)와 세로리브(137)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로리브(136)와 세로리브(137)는 긴장재(2)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C)로 하중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로리브(136)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정착판(133)에 수평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로리브(137)도 가로리브(136)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로리브(137)는 정착부본체(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리브(137)는 정착판(133)과 정착판(133)에 인접하게 위치된 어느 하나의 가로리브(136) 사이에서, 그리고 복수 개의 가로리브(136) 사이에서 정착부본체(131)의 종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13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부(130)에 비해 세로리브(137)를 구비함으로써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력분포를 가진다.
도 9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부(130)의 응력분포를 도시한 것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130)의 응력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부(130)는 정착판(133)과 정착부본체(131)와 연결되는 부분과 가로리브(136)와 정착부본체(131)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응력이 부여되어, 정착부(130) 전반에 걸쳐 응력분포가 불균일하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13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리브(137)에 의해 정착판(133)과 정착부본체(131)와 연결되는 부분과 가로리브(136)와 정착부본체(131)가 연결되는 부분뿐 아니라 정착부(130)에 전반에 걸쳐 응력분포가 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정착부(130)는 정착부본체(131)의 두께가 10mm일 때, 1.0MPa 내지 29.6MPa 사이의 응력분포를 가진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130)는 정착부본체(131)의 두께가 6mm이고, 세로리브(137)의 두께가 10mm일 때, 0.9MPa 내지 22.4MPa 사이의 응력분포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13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착부(130)에 비해 정착부본체(131)의 두께가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세로리브(137)로 인해 종래의 정착부(130)와 유사한 구조적 성능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130)는 정착부본체(131)의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정착부본체(131)의 강중을 10%정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130)가 정착부본체(131)의 두께를 줄이지 않고 가로리브(136)와 세로리브(137)를 구비한 경우에는 종래의 정착부(130)보다 향상된 구조적 성능을 가질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착부(130)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정착부(130)역에서 콘크리트(C)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정착부(130) 주면에 보강부(150)를 배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착부(130) 주변의 콘크리트(C)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50)로는 용접철근망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부(15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철근을 바둑판처럼 격자로 용접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150)는 정착부(130) 주변을 둘러싸도록 회오리 형상을 이룬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오리 형상을 가진 보강부(150)가 정착부(130) 둘레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C) 구속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횡보강 효과 또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에 비해 정착부(130) 주변에 설치되는 철근배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긴장재 정착 장치 110: 고정부
130: 정착부 150: 보강부

Claims (5)

  1. 내부에 긴장재가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단에 연계되어 상기 긴장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긴장재를 안내하고, 안착홈이 형성된 정착부;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정착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긴장재를 고정하도록 제공된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부는,
    상기 긴장재가 관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정착부본체;
    상기 정착부본체의 종단에서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정착판;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정착부본체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로 하중을 전달하며, 상기 정착판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가로리브; 및
    상기 정착부본체의 종방향으로 상기 정착부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정착부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된 복수 개의 세로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정착판 및 상기 정착판에 가장 인접한 가로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세로리브의 양단이 상기 정착부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상기 정착판에 가장 인접한 가로리브가 상기 정착부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로리브는 상기 가로리브를 사이에 두고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 주변의 상기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성능을 보강토록 제공된 보강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의 안착홈에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정착부본체와 연통가능한 복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앵커헤드; 및
    상기 앵커헤드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어 상기 앵커헤드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공된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 장치.
KR1020130069254A 2013-06-17 2013-06-17 긴장재 정착 장치 KR20130076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54A KR20130076843A (ko) 2013-06-17 2013-06-17 긴장재 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54A KR20130076843A (ko) 2013-06-17 2013-06-17 긴장재 정착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226A Division KR20120042510A (ko) 2010-10-25 2010-10-25 긴장재 정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843A true KR20130076843A (ko) 2013-07-08

Family

ID=4899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254A KR20130076843A (ko) 2013-06-17 2013-06-17 긴장재 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42B1 (ko) * 2015-11-13 2016-02-12 (주)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골조 개구부 모서리 보강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042B1 (ko) * 2015-11-13 2016-02-12 (주)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철근 콘크리트 골조 개구부 모서리 보강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397B1 (ko) 거더의 상연이 블록 아웃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에사용되는 정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KR101273160B1 (ko)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긴장재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긴장재 정착구조
KR101244219B1 (ko) 피에스씨 빔, 이를 이용한 에스씨피 거더 및 그 제조방법
KR101065217B1 (ko) 긴장 및 재긴장이 가능한 긴장장치
KR101104212B1 (ko) 프리스트레스 강선 정착 장치
KR10146858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KR101585594B1 (ko) 듀얼-프리스트레싱 강합성빔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42510A (ko) 긴장재 정착 장치
US7762029B2 (en) Anchor for post tension concrete reinforcing systems
KR20100069839A (ko) 프리캐스트 정착구 블록 및 이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KR20130076843A (ko) 긴장재 정착 장치
US108433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stress to a reinforcement member
KR101342403B1 (ko) 긴장재 정착 장치
KR101346344B1 (ko)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 고정 정착부를 구비한 비부착식 psc i 빔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0888B1 (ko) 매립형 가압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용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0693871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빔용 단부지지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제작방법
KR101374701B1 (ko) 바이프레스 압축재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빔 제작방법
KR101725734B1 (ko) 강거더와 일체화된 힘전달장치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74988B1 (ko) 긴장도입장치
KR20130013824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착구 보강구조
CN112127358A (zh) 一种预制混凝土桩的加工方法及预制混凝土桩
KR102072655B1 (ko)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제작방법 및 이에 따른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KR20140048487A (ko)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1389821B1 (ko) 매립형 추가 긴장부가 부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제작 및 보수공법
KR20140059940A (ko) 강봉을 이용하여 선행하중을 가할 수 있는 건축용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