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682A -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682A
KR20130076682A KR1020120072082A KR20120072082A KR20130076682A KR 20130076682 A KR20130076682 A KR 20130076682A KR 1020120072082 A KR1020120072082 A KR 1020120072082A KR 20120072082 A KR20120072082 A KR 20120072082A KR 20130076682 A KR20130076682 A KR 20130076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pgrade
image processing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559B1 (ko
Inventor
최훈
강호웅
강진성
김광연
김영대
정재현
정창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92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00350A1/en
Priority to US13/678,612 priority patent/US9396511B2/en
Priority to CN2012206204155U priority patent/CN203120032U/zh
Priority to FR1262498A priority patent/FR2985407B3/fr
Priority to JP2012278439A priority patent/JP2013141221A/ja
Priority to DE202012104991U priority patent/DE202012104991U1/de
Priority to CN201510890273.2A priority patent/CN105472277A/zh
Priority to CN201210560970.8A priority patent/CN103188505B/zh
Priority to EP12199533.6A priority patent/EP2610841A3/en
Priority to US13/763,494 priority patent/US20130169652A1/en
Priority to US13/856,327 priority patent/US9367890B2/en
Publication of KR2013007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61Image signal generators with monoscopic-to-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3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its own processing capabilities, e.g. external module for video de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처리장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제2영상처리부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신호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새로운 기능 또는 심화된 기능을 쉽게 추가 또는 확장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처리장치에 대한 업그레이드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영상처리장치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의 다양한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영상처리장치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상기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TV 또는 모니터 등이 여기에 속한다. 가령, TV의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 스케일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여러 종류의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된 영상처리보드를 내장한다.
그런데, 기술이 발달하고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영상처리장치에 요구되는 능력은 점점 심화되거나 그 기능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가 새로이 부가된 기능이나 심화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다시 영상처리장치를 구매해야 한다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자원활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에 새로운 기능 또는 심화기능을 쉽게 추가 또는 확장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 가능한 영상처리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업그레이드장치를 통해 기능이나 사양이 업그레이드됨에 있어서, 영상처리장치에 기 포함된 부속 모듈들에 대한 펌웨어도 업그레이드되거나 변경될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2D 영상처리 기능만을 가지는 영상처리장치는 물리적인 한계로 인해 3D 컨텐츠를 3D 효과를 가지도록 재생할 수 없으며, 2D 영상으로만 재생이 가능한 한계를 가진다. 2D 영상처리 기능의 영상처리장치가 3D 컨텐츠를 3D 영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영상처리장치에 내장된 영상처리보드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물리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바, 제조 측면 및 사용 측면 모두에서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자로서는 3D 영상처리 기능의 영상처리장치를 새로 구매하는 부담을 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영상처리장치에, 새로운 기능 또는 심화된 기능을 쉽게 추가 또는 확장하여 업그레이드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업그레이드장치가 제공하는 업그레이드 기능 또는 사양에 적합하도록, 영상처리장치에 기 포함된 부속모듈을 구동하는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2D 영상처리 기능에 3D 영상처리 기능을 쉽게 추가 또는 확장하여 업그레이드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제2영상처리부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신호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출력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2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는, 상기 제1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입력신호단과;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제2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여부에 따라 상기 제1입력신호단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본체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부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입력신호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이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입력신호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 가능하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삽입되는 신호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로부터 출력된 제2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데이터선택부와;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로 분배하는 데이터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분배부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로 분배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해 출력된 제2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분배부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신호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및 상기 영상신호스위치로 출력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미접속 및 접속된 경우 각각,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해 처리된 제2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도록 상기 영상신호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스위치는 LVDS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로 출력하는 제1출력포트와;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스위치로 출력하는 제2출력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신호는 제1영상신호 및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영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와 제어신호 및 상기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신호는 제1영상신호 및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음성신호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2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 가능한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무선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무선사용자입력부, 인터넷망 접속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경로를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경로 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제어경로 전환스위치를 통해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제어권을 부여하고,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에 대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입력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1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전송하여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펌웨어가 각각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에 각각 마련된 펌웨어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백업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업그레이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EDID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는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제1블록 각각에 대응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는 복수의 제2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블록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록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 중 어느 하나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는 복수의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이 상기 제1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제1출력신호로부터 변환된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 디스플레이패널 및 영상처리보드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마련된 예비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와 결합된 형태로 상기 영상처리보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슬롯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1영상처리부 및 제1제어부를 구비한 영상처리장치에 장착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와; 상기 본체접속부를 통해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접속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1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1본체접속부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1음성신호 및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전송된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제2본체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제어권을 부여 받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는, 외부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외부입력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전송된 외부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는, 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에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가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가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가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변환하여 3D 영상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3D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는, 3D 안경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3D 안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업그레이드장치가 장착 가능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업그레이드펌웨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은 상기 영상처리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환된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영상처리장치에 장착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처리된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영상신호에 대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영상처리가 수행된 제2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업그레이드펌웨어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영상신호를 변환하여 3D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상기 3D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장착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와; 제2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제1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신호처리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펌웨어가 각각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에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상기 제1영상처리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상기 제2영상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3D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3D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이 표시되도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새로운 기능 또는 심화된 기능을 쉽게 추가 또는 확장하여 업그레이드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업그레이드장치가 제공하는 업그레이드 기능 또는 사양에 적합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에 기 포함된 부속모듈을 구동하는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처리장치에 업그레이드장치를 장착하여 보다 향상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D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에 3D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를 결합하여, 간편하게 3D로 업그레이드하고, 3D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영상처리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선택적으로 접속가능한 신호연결부재 및 업그레이드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업그레이드장치간의 접속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업그레이드장치간의 접속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 정면도,
도 11 내지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업그레이드장치간의 접속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1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의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의 블록도,
도 2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3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영상처리부 및 제2영상처리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3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D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3D 영상처리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9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3D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업그레이드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구현의 형태에 따라,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고, 혹은 내부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처리된 영상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본 발명의 영상처리장치에 해당하나, 특히, 전자의 경우는 이하, '디스플레이장치'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처리장치(100)와, 영상처리장치(100)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시키는 업그레이드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1)에서 영상처리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는 상술한 TV 이외에도 영상을 처리하거나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서, TV 이외에도 디스플레이없이 영상처리기능만을 수행하는 셋톱박스(set-top box)등과 같은 영상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처리장치(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영상처리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접속된 영상처리장치(100)의 기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된 영상처리장치(100)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질의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1신호입력부(110)와;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130)와; 제2영상처리부(220)를 구비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또는 방송신호를 제1영상처리부(130)에 전달한다.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은 영상공급원 및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신호입력부(1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접속단자(미도시)에 영상공급원을 비롯한 다양한 외부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제1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영상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가 아닌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는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복수로 가져서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또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만으로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제1신호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데이터로 분류하는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는 디멀티플렉싱부(미도시), 분류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영상포맷으로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미도시) 및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70)에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소정 해상도로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제1신호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7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 간에 데이터, 신호, 정보 및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본체접속부(210)에 접속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서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접속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출력신호는 제1영상신호 및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범용 상용규격에 따른 접속포트로 마련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규격에 따라 데이터/신호/정보/전원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간에 데이터, 신호, 정보 및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상술한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출력된 제1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7)로 전달한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제2출력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2출력신호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상기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가 상기 제2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로부터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제1제어부(14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제어부(230) 간의 제어명령을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상기 제어명령을 송수신하기 위한 접속포트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가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한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경우,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신호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상기 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한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었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 처리된 제2출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출력신호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하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 및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의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출력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출력된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표시된다. 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7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서 분류된 음성신호를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증폭하기 위한 변환증폭부(180)와; 상기 증폭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출력부(19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기 설정된 커맨드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12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1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20)는 영상처리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영상처리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콘(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120)는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통신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와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부(120)는 상술한 리모콘 외에도 무선키보드, 무선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입력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7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1제어부(14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저장부(150)는 제1제어부(14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14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상기 제1저장부(150)에는, 일례로서 영상처리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상기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50)는 영상처리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150)는 제1영상처리부(13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상기 사용자입력부(12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영상처리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영상처리장치(100)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00) 및 영상처리장치(100)는, 서로 데이터/정보/신호/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와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본체접속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도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와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직접 입력받지 않고 별도의 외부전원(상용전원 또는 배터리)을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무선으로 영상처리장치(100)에 접속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외에 별도의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을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되기 전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단독으로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1)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이 업그레이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에 의해서 새로운 기능 또는 심화된 기능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장치(100) 단독으로 구현되는 것보다 고화질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에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210)와;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22)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가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의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것으로 마련된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제어부(2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에서 출력된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의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서 출력된 제1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처리하여 제2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제2출력신호는 다시 상기 본체접속부(210)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의 기능을 심화한 것이거나 제1영상처리부(130)에서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기존 영상처리장치(100)로 구현할 수 없거나 구현하기 곤란한 업그레이드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는 Full HD급 영상을 제공할 수 없는 데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Full HD급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는 3D화면이 제공될 수 없는 것을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를 통해 3D화면이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추가 및 확장되는 기능은 일례에 불과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영상신호 외에도 상기 음성신호도 재처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재처리되어 업그레이드 된 음성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방송신호 또는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 전달하는 제2신호입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가 상기 영상처리장치(110)의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를 통해서 수신 또는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상기 제2신호입력부(250)를 구비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110)와는 별도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의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신호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는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 전송되어 영상처리되고,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서 출력된 제2출력신호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의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기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신호입력부(25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독자적으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출력하도록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 상에는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주화면 또는 부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상기 제2신호입력부(25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서 처리하여 제2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 상에는 상기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상기 제1영상에 대응하여 부화면 또는 주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의 제1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제1입력신호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제2신호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제2입력신호가 처리된 제1 및 제2영상이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서 PIP(Picture in picture)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의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 및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의 상기 제2제어부(230)와 함께 공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제어부(140)가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의 상기 디멀티플렉싱부(미도시), 상기 디코딩부(미도시) 및 상기 스케일링부(미도시) 중 일부의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제2제어부(230)가 나머지의 제어를 담당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제어부(140)가 우선적으로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권한을 가지고 상기 제2제어부(230)가 상기 제1제어부(140)를 보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로 상기 제2제어부(230)가 우선적으로 상기 제1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할 권한을 가지고 상기 제1제어부(140)가 상기 제2제어부(230)를 보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영상처리장치(100)의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제어부(140)의 제어기능을 상기 제2제어부(230)로 완전히 이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제어명령을 내리지 않고, 기존의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대상들과 상기 제2제어부(230)간의 제어명령은 전달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2제어부(230)와 기존의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대상간의 제어명령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용제어통신라인이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는 제2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240)에는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제2저장부(24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상기 제2저장부(240)는 상기 제1제어부(140) 또는 상기 제2제어부(230)에 의해 액세스되며, 이들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한편, 제1저장부(150)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제1제어부(140) 뿐만 아니라 제2제어부(23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저장부(240)에는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운영체제보다 업그레이드된 운영체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제어부(140) 또는 상기 제2제어부(230)는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상기 업그레이드된 운영체제로 업데이트시키고, 업데이트된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저장부(150)에 저장된 운영체제 대신에 상기 제2저장부(240)의 운영체제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100a)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100a)에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200a)를 포함한다. 참고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a)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 또는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a)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신호입력부(110)와; 상기 신호입력부(110)에 의해서 입력된 방송신호 및/또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130); 상기 제1출력신호 및/또는 상기 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a)와;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200a)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a)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가 상기 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도록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하고, 상기 업그레이드 장치(200a)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a)에 접속된 경우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a)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신호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상기 신호입력부(110)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력신호는 제1음성신호와 제1영상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데이터로 분류하는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는 디멀티플렉싱부(미도시), 분류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영상포맷으로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미도시) 및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30)에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소정 해상도로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상신호는 상기 디멀티플렉싱부(미도시)에 의해서 분류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서 디코딩된 영상신호 또는 소정 해상도로 스케일링된 영상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음성신호는 상기 디멀티플렉싱부(미도시)에 의해서 분류된 음성신호일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a)는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신호입력부(110)에 입력된 입력신호(방송신호 또는 영상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로 전송하기 위한 제1접속부(161)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와 제어신호 및/또는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접속부(1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처리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는 상기 제1접속부(161) 및 상기 제2접속부(1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161)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a)로부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로 제1영상신호 및/또는 입력신호를 일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제2접속부(163)는, 상기 제어신호 및/또는 상기 제1음성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100a)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간에 양방향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본 일실시예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a)는 영상신호/제어신호/음성신호를 서로 별도의 접속부를 통해 영상처리장치(200a)와 통신한다는 점, 영상신호는 일방향으로 영상처리장치(100a)에서 업그레이드장치(200a)로 전송되는 반면, 제어신호/음성신호는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00a)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a)의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a)와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210a)와, 제2영상처리부(220),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3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제2영상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접속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접속부(210a)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a)의 상기 제1접속부(161) 및 상기 제2접속부(163)에 각각 접속 가능한 제1본체접속부(211) 및 제2본체접속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부(161) 및 상기 제1본체접속부(211)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연결의 일례로서 상기 제1접속부 및 상기 제1본체접속부(211)는 서로 커넥터(미도시) 및 케이블(미도시)에 의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접속부(163) 및 상기 제2본체접속부(213)도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연결의 일례로서 상기 제2접속부(163) 및 상기 제2본체접속부(213)도 서로 커넥터(미도시) 및 케이블(미도시)에 의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본체접속부(211)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 및/또는 상기 제1영상신호는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 제공되며, 상기 제2본체접속부(213)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 및/또는 제어신호는 상기 제2제어부(230) 또는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 제공된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상기 본체접속부(210a)를 통해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 및/또는 상기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2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제2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25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25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171) 및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250)는 각각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부(171) 및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250)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접속부(171) 및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250)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상기 영상처리장치(100a)로부터 전송된 제1음성신호를 처리한 제2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상기 제2음성신호는 상기 제2본체접속부(213) 및 상기 제2접속부(163)를 통해 상기 변환증폭부(180)로 전송되어 상기 음성출력부(190)를 통해 음성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에서 처리된 제2음성신호는 상기 제2접속부(1563)로부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경유하여 상기 변환증폭부(180)로 전송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접속부(163)로부터 바로 상기 변환증폭부(180)로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변환증폭부(180)에 의해서 증폭된 음성신호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음성출력접속부(193) 및 접속부(191)를 통해서 음성출력부(190)로 전송되어 음성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191)는 상기 음성출력부(190)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음성출력접속부(193)는 영상처리보드(101)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장치(100a)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가 장착되기 전에는, 상기 영상처리보드(101)상의 제1접속부(16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상기 접속부(171)가 서로 케이블(미도시) 및 커넥터(미도시)에 의해서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속부(163)는 업그레이드장치(200a)의 설치를 대비하여 마련된 것이므로 업그레이드장치(200a)가 장착되기 전에는 미접속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a)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를 설치하여 영상처리장치(100a)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접속부(16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상기 접속부(171) 간의 연결을 해제한 후 상기 제1접속부(161)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의 상기 제1본체접속부(211)를 케이블(미도시) 또는 커넥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2접속부(163)와 상기 제2본체접속부(213)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a)의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250)와 상기 연결 해제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상기 접속부(171)를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161, 163)와 상기 제1 및 제2본체접속부(211, 213)간의 연결은 상술한 케이블 및 커넥터에 의한 유선방식 외에도 무선에 의해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200b)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에 기능이 업그레이드 가능한 영상처리장치(100b)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b)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신호 또는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제1영상처리부(130)로 전달하는 신호입력부(110)와; 상기 신호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130)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40)와; 상기 제1저장부(150)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와; 디스플레이부(17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접속부(173)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기 위한 변환증폭부(180)와; 음성출력부(190)와; 상기 음성출력부(190)를 접속하기 위한 음성출력접속부(193)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입력부(110),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 상기 제어부(140)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173)는 단일 또는 복수의 영상처리보드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의 영상처리장치(100a)와 비교하여, 본 일실시예의 영상처리장치(100b)는 디스플레이부(170)를 접속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접속부(173)가 영상보드처리보드 상에 마련된다. 참고로,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접속부(250)가 업그레이드장치(200a)에 마련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 정확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173)로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삽입되는 신호연결부재(16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한 제1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입력신호단(161b)과,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b)과 이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출력될 신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b)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연결부재(163)는,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b)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b)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접속단(163a)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신호연결부재(163)에 의해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처리된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는,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b)으로부터 상기 제1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b)을 통해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제2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 정확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173)로 전송 가능한 본체접속부(210a)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접속부(210a)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는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b) 및 상기 본체접속부(210a)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처리부(220)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30) 및 상기 제2저장부(240)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 상기 제2제어부(230) 및 상기 제2저장부(240)를 수용하는 업그레이드장치 케이싱(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먼저 상기 신호연결부재(163)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로부터 제거하고 그 다음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의 상기 본체접속부(210a)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삽입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되는 경우 기능이 업그레이드 가능한 영상처리장치(100c)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c)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출력된 제1영상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 및 데이터선택부(173)로 분배하는 데이터분배부(161)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접속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제2영상신호 및 데이터분배부(161)를 통해 분배된 제1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이터선택부(163)와; 상기 데이터분배부(161)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분배부(161)는 제1영상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복수의 출력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는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 중 하나를 상기 제1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상기 영상처리장치(100c)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분배부(161)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출력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영상신호 및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분배부(161)로 하여금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제1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로 분배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를 제어하여 상기 데이터분배부(161)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173)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로 분배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에 의해 출력된 제2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분배부(161)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된 경우, 상기 데이터분배부(161)로 하여금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제1영상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로 분배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로 전송된 상기 제1영상신호는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 입력된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는 입력된 상기 제1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제2영상신호로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제2영상신호는 상기 본체접속부(210)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로 입력된다.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는 상기 제1제어부(14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제2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173)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신호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 비해 기존의 기능이 향상되었거나 상기 제1영상신호에는 없는 새로운 기능이 부가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를 상기 영상처리장치(100c)에 장착함으로써 업그레이드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출력된 제1출력신호가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 입력되어 제2출력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출력신호는 제1영상신호 외에도 제1음성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음성신호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를 통해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 입력되고,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제2음성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출력된 상기 제2음성신호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접속부(160),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 및 상기 변환증폭부(180)를 경유하여 상기 음성출력부(19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데이터분배부(161)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163)가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술한 내용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의 상기 제2제어부(230)가 상기 데이터분배부(161)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16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d)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된 영상처리장치(100d)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d)는, 상기 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영상신호를 각각 제1 및 제2출력포트를 통해서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130a)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a)의 제1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령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a)의 제2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신호스위치(1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실시예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접속되기 전에 상기 신호연결부재(163)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삽입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일실시예의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되기 전에 상기 신호연결부재(163)가 삽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되기 전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의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b)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b)이 서로 단락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오픈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b)에 입력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에 의한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b)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출력되지 않는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정확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접속부(173)로 전송되도록, 상기 영상신호스위치(165)를 ON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1영상신호가 바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신호스위치(1654)를 OFF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로 입력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가 상기 본체접속부(21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로 전달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제2영상신호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신호스위치(165)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규격에 따라 고속으로 동작이 가능한 전기적 신호시스템에 적합한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스위치(165)는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버스(BUS)의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e)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된 영상처리장치(100e)를 포함한다.
상술한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일실시예의 상기 영상처리장치(100e)는 상기 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단일의 출력포트를 통해 제1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의 단일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된 상기 제1영상신호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 및 상기 영상신호스위치(165)로 분기되어 입력된다.
그 외 나머지 다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f)은,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되어 업그레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영상처리장치(100f)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100f)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및 삽입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c)는, 상술한 여러 실시예에서 제1출력신호 및 제2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17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 상기 신호연결부재(도 4의 163), 상기 데이터분배부(161) 및 상기 데이터분배부(163), 상기 영상신호스위치(165)와 같은 구성없이도, 단독으로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제2출력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c)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130)로부터 출력된 제1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입력신호단(161c)과;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제2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출력하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의 접속여부에 따라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c)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의 본체접속부(2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서로 접촉하도록 서로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접근이동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된 경우 서로 접촉해제 되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의 제1접촉부(161c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의 제2접촉부(163c1)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서로 접촉하도록 접근이동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장치(100f)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c)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c)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이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c)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탄성바이어스력(F1, F2)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16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 사이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의 상기 본체접속부(21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접촉부(161c1) 및 상기 제2접촉부(163c1)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은 상기 본체접속부(210)의 입력단(미도시)과 접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은 상기 본체접속부(210)의 출력단(212)과 접촉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본체접속부(210)의 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1출력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제1출력신호는 상기 제2영상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후 제2출력신호로서 상기 본체접속부(210)의 출력단(212)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으로 출력된다.
이에 의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c)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c)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제2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접속부(210)는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을 향하는 제1면(213)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에 대향하는 제2면(214)을 가지며, 상기 제1면(213)에 상기 입력단(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제2면(214)에는 상기 출력단(212)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는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c)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163c)이 모두 서로에 대해서 접근 및 이격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c) 및 상기 디스플레이출력단(163c)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만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c) 및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단(16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c) 및 상기 디스플레이출력단(163c)이 이동하지 않고 그 자체로 형상변형 가능한 탄성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접속부(210)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c) 및 상기 디스플레이출력단(163c)이 상기 본체접속부(210)와의 접촉에 의해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입력신호단(161) 및 상기 디스플레이출력단(163c)이 서로 접촉 해제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업그레이드장치간의 접속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확대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본체접속부(210)는 중간기판(1101)을 매개로 하여 영상처리장치(100)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는 중간기판(1101)이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고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부(160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601)는 탄성을 가진 훅 구조를 구비하여 중간기판(1101)이 삽입되는 경우 중간기판(1101)을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고정한다.
도 14는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본체접속부(210)가 중간기판(1101)을 매개로 하여 영상처리장치(100)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의 단면도 및 단자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의 단자(1602)는 하우징(1603)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16 및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업그레이드장치간의 접속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200)의 본체접속부(2101)는 단자부(2102)를 포함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100)의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4)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g)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에 의해 업그레이드 가능한 영상처리장치(100g)를 포함한다.
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g)의 영상처리장치(100g)는, 도 7의 일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e)과 비교하여, 무선사용자입력부(120a), 무선통신부(183), 카메라부(185) 및 제어경로전환스위치(18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는 무선으로 사용자로부터 제어입력신로 등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리모콘, 무선키보드 및 무선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는 블루투스, 적외선통신과 같은 근거리통신에 의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100g)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83)는 무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WI-FI, 와이브로 및 LTE (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기술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85)는 영상촬영을 위한 것으로 이미지센서(미도시) 및 광학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경로전환스위치(187)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의 접속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 상기 무선통신부(183) 및 상기 카메라부(1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주체를 상기 제1제어부(140) 또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로 선택한다.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20b)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 상기 무선통신부(183) 및 상기 카메라부(185)를 제어한다.
반면,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20b)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160b)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제어부(140)는,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 상기 무선통신부(183) 및 상기 카메라부(1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를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 대신에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20b)의 상기 제2제어부(230)가 상기 제어경로 전환스위치(187)를 통해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 상기 무선통신부(183) 및 상기 카메라부(1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 상기 무선통신부(183) 및 상기 카메라부(185)를 통해서 수신되는 사용자입력, 인터넷데이터 및 촬영영상신호와 같이 신속히 처리되거나 제어될 필요가 있는 내부구성요소의 경우, 상기 제1제어부(140)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제어부(230)와 통신하기 보다는 상기 제2제어부(23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상기 영상처리장치(100g)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어경로전환스위치(187)를 제어하여 상기 제2제어부(230)와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 상기 무선통신부(183) 및 상기 카메라부(1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직접 연결되는 제어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 무선사용자입력부(120a), 상기 무선통신부(183) 및 상기 카메라부(185)는 상기 제1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도록 제어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경로전환스위치(187)는 상기 제1제어부(140)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00b)의 상기 제2제어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140) 및 상기 제2제어부(230)가 함께 상기 제어경로전환스위치(187)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1제어부(140) 및 상기 제2제어부(230)의 각 제어명령에 대해서 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제어부(140)가 주제어권을 가지고 상기 제2제어부(230)가 보조제어권을 갖도록 마련되거나 그 반대가 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영상처리장치(100 내지 100g), 업그레이드장치(200 내지 200g)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 내지 1g)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21)의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221)은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와,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시키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22100)는 예컨대 TV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장치(22200)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제공하는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외한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독자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예컨대, 외부 영상기기의 영상 표시 기능,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기능, 네트워크 기능 등을 독자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2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연결된 경우 업그레이드장치(22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업그레이드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22130), 저장부(22150) 및 제어부(221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2210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와 연결되어 업그레이드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업그레이드장치(2220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영상처리부(후술함)보다 업그레이드된 영상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후술함)보다 업그레이드된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210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기능을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업그레이드된 기능으로 대체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기능과,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2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2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221)에서 업그레이드장치(2220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업그레이드장치(22200)는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기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질의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장치(2220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2100)와 데이터/정보/신호/전원이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장치(2220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휴대폰, USB Donggle, 셋탑박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2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22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연결에 따라서 상기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221)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이 업그레이드되고, 이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화질이 향상된 영상 또는 새로운 기능이 부가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22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구성에 관해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21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가 입/출력되는 신호입출력부(22140)와, 신호입출력부(2214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22120)와, 영상처리부(22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160)와, 사용자입력부(22170)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22150)와, 업그레이드장치(22200)와 연결되는 연결부(22130),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110)를 포함한다.
신호입출력부(22140)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22120)에 전달하며,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이나 영상공급원 및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신호입출력부(2214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22120)는 신호입출력부(2214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2212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2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216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22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22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22160)는 영상처리부(22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216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16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216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216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2217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2211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2217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22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부(22170)는 디스플레이부(2216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216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216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221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저장부(22150)는 제어부(2211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221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22150)는 제어부(2211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2211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또한, 저장부(22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2215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연결된 경우, 업그레이장치(22200)의 동작과 대응하는 제어부(22110)의 제어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연결부(22130)는 업그레이드 장치(22200)와의 통신을 위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접속 포트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의 규격에 따라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부(2213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와 데이터, 신호, 정보 및 전원 중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상술한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2130)는, 업그레이드 기능이 각각 상이한 복수의 업그레이드장치(22200)와 연결가능하도록 복수의 단자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211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2110)는 영상처리부(22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연결부(2213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사용자입력부(2217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연결부(22130)에 연결되는 경우,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어부(22100)가 수행하는 제어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마이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마이컴(미도시)은, 업그레이장치(22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저장부(2215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동작에 대하여,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제어권을 부여하거나, 제어부(22110)에 남겨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연결부(22130)에 연결된 경우, 수신 받은 영상신호에 대하여,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의해 영상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영상처리부(22120)가 제1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된 제1영상이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의해 제2영상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의해 처리된 제2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처리부(22120)가 제3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221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가 영상처리부(22120)에 의해 후속의 영상 처리 단계를 거쳐 디스플레이부(221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제어권을 부여하여, 영상처리부(22120)가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에 따라 수신 받은 영상신호를 영상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입력 받아 영상 처리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216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플레이장치(22100)가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조 단계에서 제안되지 않았던 새로운 포맷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수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시스템 부하를 보다 경감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 다양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업그레이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의 측면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22100)를 업그레이드하도록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연결부(22130)에 연결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기존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업그레이드시킨다.
업그레이드장치(2220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가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자원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포함하는 이들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상기한 적어도 일부 자원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된다. 따라서,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연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2100)가 단독으로 구현되는 것보다 향상된 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업그레이드장치(2220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연결부(22130)에 연결되는 연결부(22230)와, 영상처리부(2212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대체하거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에서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처리 가능한 영상처리부(2222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22250)와, 영상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한 신호입출력부(22240)와,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210)를 포함한다.
연결부(22230)는 연결부(22130)에 연결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22200) 및 디스플레이장치(22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연결부(22230))는 연결부(22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2222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영상처리부(22120)를 대체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하거나, 전체 영상 처리 프로세스 중 일부를 대체하여 수행 가능하다. 상기 영상처리부(22120)를 대체하여 수행하는 영상처리부(22220)의 영상 처리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영상처리부(22120)의 기능을 심화한 것이거나, 영상처리부(22120)가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칩셋과 같은 하드웨어의 개선이나 또는 알고리즘/실행코드/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개선에 의해 실현된다.
일례로서, 영상처리부(2222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영상처리부(22120)가 처리 가능한 해상도 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 신호의 처리를 수행 가능하거나, 영상처리부(22120)가 처리할 수 없는 포맷의 영상신호의 처리가 가능하다.
저장부(22250)는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2225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2225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 또는 제어부(22210)에 의해 액세스되며, 이들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한편, 저장부(22150)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제어부(22110) 뿐만 아니라 제어부(2221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2250)에 저장된 운영체제가 저장부(22150)에 저장된 운영체제보다 버전업된 경우, 저장부(22150)의 운영체제를 저장부(22250)의 운영체제로 업데이트시키고 업데이트된 운영체제를 구동시키거나, 저장부(22150)의 운영체제 대신 저장부(22250)의 운영체제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저장부(2225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저장부(22150)에 저장된 제어권의부여와 관련된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가 저장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2100)와 통신하여, 제어부(22110)와 제어부(22210) 사이의 제어권의 조정 또는 제어권의 획득이 가능하다.
신호입출력부(22240)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22220)에 전달하며,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이나 영상공급원 및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신호입출력부(2224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입출력부(2224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신호입출력부(22140)에 의해 수신할 수 없는 새로운 포맷의 영상 신호에 대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210)는 전체적인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22100) 및 업그레이드장치(22200) 사이의 접속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21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가 연결부(22230)에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210) 및 제어부(22110)는 CPU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제어부(22210)가 제어부(22110)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 가능하다면 제어부(22210)는 제어부(22110)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어부(22110)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22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210)는 제어부(22110)와 함께 디스플레이 시스템(22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21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저장부(2225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동작에 대하여, 제어권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210)는 영상 신호가 영상처리부(22220)에 의해 영상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210)는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디스플레이장치(221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221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연결부(22130)를 통해 업그레이드장치(222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2100).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연결된 경우,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을 결정한다(S22110).
예컨대, 영상처리 프로세스로서, 수신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부가데이터로 분류하는 디멀티플렉싱, 디멀티플렉싱이 수행된 영상신호를 영상포맷으로 디코딩 및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소정 해상도로 스케일링하는 단계 중에서, 디코딩 단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2120).
예컨대, 상기 결정된 디코딩 처리 단계가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영상처리부(22220)를 통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221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110)는 영상처리 과정에 관한 모든 기능을 결정하여,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제어권을 부여하여, 수신된 영상신호가 업그레이드장치(22200)에 의해 전체적으로 영상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2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21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가 연결부(22230)를 통해 업그레이드장치(222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2200).
제어부(2221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을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통지한다(S22210).
제어부(222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2220).
여기서, 제어부(22210)는 업그레이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로부터 제어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210)는 수신 받은 영상신호가 영상처리부(22220)를 통해 일부 또는 전부 영상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22220)를 통해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06)에 영상이 표시되로고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22100)와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22110) 및 제어부(22210)의 제어 동작에 대해 도 2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된 (a)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부(22210)가 디스플레이장치(22100)로부터 제어권을 부여 받아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22100)와 업그레이드장치(22200)가 연결된 경우, 수신되는 모든 영상 신호에 대하여,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영상처리부(22220)를 통해 영상 처리되도록 제어부(22210)에 제어권이 부여되며,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 및/또는 영상처리부(22120)를 디스에이블(disable)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b)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와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부(22210)가 각각 병행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어부(22110)는 영상처리부(22120)에 의해 제1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부(22210)는 상기 제1영상처리된 영상신호를 수신 받아 영상처리부(22220)에 의해 제2영상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c)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가 주(main)제어를 수행하며,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부(22210)가 부(sub)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는 수신 받은 비디오영상신호가 영상처리부(22120)에 의해 영상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221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부(22210)는 디스플레이장치(22100)에 표시되는 비디오영상에 중첩적으로 표시되는 GUI와 같은 그래픽영상을 처리하도록 영상처리부(22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부(22210)가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의 명령에 종속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d)는, 업그레이드장치(22200)의 제어부(22210)가 주(main)제어를 수행하며, 디스플레이장치(22100)의 제어부(22110)가 부(sub)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c)의 경우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영상처리장치(100 내지 100g), 디스플레이장치(22100), 업그레이드장치(200 내지 200g, 2220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 내지 1g, 221)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331)의 블록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331)은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와,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시키는 업그레이드장치(33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예컨대 TV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 영상기기의 영상 표시 기능,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기능, 네트워크 기능 등을 수행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업그레이드장치(33200)와 연결되어 업그레이드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업그레이드장치(3320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영상처리부 보다 업그레이드된 영상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업그레이드장치(3320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제어부 보다 업그레이드된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업그레이드장치(33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기능을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업그레이드된 기능으로 대체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기능과,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331)에서 업그레이드장치(3320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업그레이드장치(33200)는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기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화질의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장치(3320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33100)와 데이터/정보/신호/전원이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33100) 및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연결에 따라서 상기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331)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이 업그레이드되고, 이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화질이 향상된 영상 또는 새로운 기능이 부가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33100) 및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구성에 관해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펌웨어가 각각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과,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가 저장된 업그레이드장치(33200)가 접속되는 접속부(33120)와,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110)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가 입/출력되는 신호입출력부(미도시)와, 신호입출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미도시)와,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사용자입력부(미도시)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신호입출력부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에 전달하며,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이나 영상공급원 및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신호입출력부(미도시)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는 신호입출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는 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3311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33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입력메뉴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331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3311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미도시)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3311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3311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또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미도시)는 업그레이드장치(33200)가 연결된 경우, 업그레이장치(33200)의 동작과 대응하는 제어부(33110)의 제어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접속부(33120)는 업그레이드 장치(33200)와의 통신을 위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접속 포트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의 규격에 따라 마련될 수도 있다.
접속부(33120)는, 업그레이드장치(33200)와 데이터, 신호, 정보 및 전원 중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상술한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은 각각 비휘발성메모리(미도시)를 구비하며, 자체 동작을 위한 운영체제가 저장된 펌웨어를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부속모듈 1(33131)은 부속모듈 1의 동작을 위한 펌웨어 1을 구비하며, 부속모듈 2(33135)는 부속모듈 1의 동작을 위한 펌웨어 2를 구비한다. 이러한 부속모듈로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33100) 외측에 설치된 패널조작부, WiFi부, MoIP(Multimedia over Internet Protocol)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이 포함된다.
제어부(3311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3110)는 영상처리부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접속부(3312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3110)는,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가 저장된 업그레이드장치(33200)가 접속부(33120)에 접속되면,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이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로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3110)는, 업그레이드장치(33200)에 제어권을 부여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이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제어에 의해,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로 업그레이드되도록 업그레이드장치(33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110)는,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에 각각 마련된 펌웨어가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저장부에 백업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3110)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이 각각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3100)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3110)는 업그레이드장치에 포함된 업그레이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EDID가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3320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가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자원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업그레이드장치(33200)가 포함하는 이들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상기한 적어도 일부 자원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된다. 따라서, 업그레이드장치(33200)가 디스플레이장치(33100)에 연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33100)가 단독으로 구현되는 것보다 향상된 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업그레이드장치(3320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접속부(33120)에 접속되는접속부(33220)와, 저장부(33230)와,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210)를 포함한다.
접속부(3322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접속부(33120)에 연결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33200) 및 디스플레이장치(33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접속부(33220))는 접속부(33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부(3322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와의 통신을 위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접속 포트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의 규격에 따라 마련될 수도 있다.
접속부(3322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와 데이터, 신호, 정보 및 전원 중적어도 어느 하나를 서로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상술한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3323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3323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제어부(33110) 또는 제어부(33210)에 의해 액세스되며, 이들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한편, 저장부(33230)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제어부(33110) 뿐만 아니라 제어부(3321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저장부(3323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가 저장된다. 예컨대, 도 26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모듈 1(33131)에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 1(33231), 부속모듈 2(33135)에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 2(33235)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의 펌웨어에 각각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3230)는 부속모듈(331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며 각각 버전이 상이한 복수의 업그레이드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모듈 2에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로서, 버전이 상이한 업그레이드펌웨어 2(33235) 및 업그레이드펌웨어 2-1(33235a)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속모듈에 대응하는 복수의 업그레이드펌웨어 중 적합한 업그레이드펌웨어로 교체 사용 가능한 멀티 버전의 업그레이드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저장부(33230)는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이 업그레이드펌웨어로 각각 업그레이드되기 전의 펌웨어를 백업할 수 있다.
제어부(33210)는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33100) 및 업그레이드장치(33200) 사이의 접속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3210)는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33100)로부터 제어권을 부여 받아, 저장부(33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이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3210)는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이 디스플레이장치(33100)에 의해 저장부(33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로 각각 업그레이드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210)는,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에 각각 마련된 펌웨어가 저장부(33230)에 백업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310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2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부(33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가 저장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다(S33100).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이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로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S3311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에 기 마련된 각각의 펌웨어가 업그레이장치에 백업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에 대해 업그레이드펌웨어로 업그레이드의 수행은,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그레이드장치(3320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3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각각 대응하는 펌웨어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된다(S33200). 다음으로, 제어부(33210)는 디스플레이장치(33100)로부터 제어권을 부여 받아,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이, 저장부(332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로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S33210). 여기서, 제어부(33210)는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33130)에 기 마련된 각각의 펌웨어가 저장부(33230)에 백업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3210)는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펌웨어로 업그레이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업그레이드펌웨어로 업그레이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29를 참조하여 설명한 영상처리장치(100 내지 100g), 디스플레이장치(22100, 33100), 업그레이드장치(200 내지 200g, 22200, 3320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 내지 1g, 221, 331)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제어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디스플레이부(44110), 영상수신부(44120), 제1영상처리부(44130), 접속부(44140), 제어부(44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며, TV 이외에도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44110)는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411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수신부(4412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수신부(44120)는 영상신호의 종류 또는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제1영상처리부(44130)는 영상수신부(44120)에서 수신한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수행하는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예로써,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디지털 변환, 영상신호의 주파수를 기저대역으로 천이시키는 디모듈레이팅(demodulating), 영상 및 음성 포맷에 각기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등이 있으며, 표시되는 영상의 컬러를 조정하기 위한 각종 컬러 프로세싱(color processing)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여러 가지의 컬러 프로세싱을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예로써 설명하나, 그 외에 앞서 설명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제1영상처리부(44130)는 앞서 설명한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을 처리하는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상처리부(44130)가 복수의 제1블록으로 구현되는 예에 관해서는 도2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접속부(44140)는 디스플레이장치(44100)를 업그레이드 하도록 마련된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접속된다. 접속부(4414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고, 접속부(44140)를 통해 업그레이드장치(44200)와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업그레이드장치(442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접속부(44140)는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44150)는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접속부(44140)에 접속되면 접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44200)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접속되는 업그레이드장치(44200)는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제2영상처리부(44210)를 포함한다. 제2영상처리부(44210)는 복수의 제1블록 각각에 대응하며,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을 처리할 수 있는 복수의 제2블록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2블록은 제1영상처리부(44130)의 제1블록에서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와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44200)는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출시 당시 보다 향상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각각의 제2블록을 포함하여,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일부가 업그레이드장치(44200)에 의해 수행되는 결과, 더욱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415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 Control Unit) 등과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4150)는 접속부(44140)를 통해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접속되는지 확인하고, 접속된 것으로 확인되면 업그레이드장치(44200)의 제2영상처리부(44210)가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영상처리부(44130)는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2영상처리부(44210)에 각각의 제1블록에 대응하는 제2블록이 포함되는지 확인함으로써, 특정한 제1블록이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장치(44200)의 제2영상처리부(44210)가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44150)는 제2영상처리부(44210)에 소정의 제1블록과 대응되는 제2블록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특정한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제1블록과 제2블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복수의 제1블록 및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제2블록과 각각 연결되어, 제1블록과 제2블록 중 어느 하나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는 복수의 스위칭부(441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44160)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deMUX)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44150)의 제어에 따라 제1블록가 제2블록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신호가 전달되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처리하도록 스위칭한다.
업그레이드장치(44200)는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나, 반드시 업그레이드장치(44200)의 제2영상처리부(44210)에 의해서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진행될 필요는 없다. 업그레이드장치(44200)에 기설정된 바에 의해 모든 제2블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블록 및 이와 대응되는 제2블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다.
도 31는 제1영상처리부(44130)와 제2영상처리부(44210)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1에는 디스플레이장치(44100)와 업그레이드장치(44200)에서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며, 이외에 다양한 공지의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상처리부(44130)는 복수의 제1블록(44131,44133,44135,44137), 즉, 제1선명도향상블록(44131), 제1컬러선택블록(44133), 제1명암비향상블록(44135), 제1화이트밸런스조정블록(441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블록(44131,44133,44135,44137)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유사한 것으로 분류한 것으로 각각의 제1블록(44131,44133,44135,44137)은 하나 이상의 소블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선명도향상블록(44131)은 영상의 직선이나 곡선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디재깅(dejagging) 블록과, 선명도 향상을 위해 소정 주파수 성분을 강조하여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명암비향상블록(44135)은 콘트라스트 인핸스먼트(contrast enhancement) 블록, 화이트 스트래치(white stretch) 블록 및 블랙 스트래치(black stretch)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상처리부(44210)는 복수의 제2블록(44211,44213,44215,44217), 즉, 제2선명도향상블록(44211), 제2컬러선택블록(44213), 제2명암비향상블록(44215), 제2화이트밸런스조정블록(44217)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은 대응되는 제1블록과 각각 동일하되, 보다 업그레이드 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블록(44131,44133,44135,44137)에 대응되는 제2블록(44211,44213,44215,44217)이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으며, 일부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영상수신부(44120)에서 수신한 영상신호는 A/D 변환 등을 거쳐 첫번째 디멀티플렉서(44161)로 입력된다. 제어부(44150)는 기 설정된 바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제1선명도향상블록(44131) 중 제2선명도향상블록(44211)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한 블록은 선명도향상을 위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선명도향상처리를 거친 영상신호는 두번째 디멀티플렉서(44163)로 출력되며, 제어부(44150)의 제어에 따라, 제1컬러선택블록(44133) 또는 제2컬러선택블록(44213)으로 출력된다.
이러한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모두 거친 영상신호는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44110)에 출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1에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일부만을 도시 하였으며, 도시된 외에 영상수신부(44120)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44110)에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들을 거쳐야 함은 자명하다.
상술한 디스플레이장치(44100)에 의하면,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장치(44100) 접속된 외부의 업그레이드장치(44200)에 의해 수행하는 결과,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하드웨어 교체 없이 더욱 향상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2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제어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TV를 비롯하여,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가 가능하며, 업그레이드장치(44200)를 접속하여 상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44110).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업그레이드장치(44200)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S44120).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접속되는 접속부(44140)는 접지단과 연결되어 있어,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접속되면 접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을 처리하는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고, 업그레이드장치(44200)는 복수의 제1블록 각각에 대응하며,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일부를 각각 처리하는 제2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소정의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되며, 각각의 제2블록은 제1블록에서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와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모든 영상처리 프로세스는 디스플레이장치(44100)에 의해서 수행된다(S44160).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접속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확인한다(S44130). 이 때, 제1블록 각각에 대응하는 제2블록을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포함하는 지 확인함으로써,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다.
소정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업그레이드장치(44200)가 수행할 수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44100)와 업그레이드장치(44200) 중 어떤 장치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한다(S44140). 즉, 제1블록과 그에 대응하는 제2블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44100)는 복수의 제1블록 및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제2블록과 각각 연결되어, 제1블록과 제2블록 중 어느 하나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는 복수의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1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선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44100)와 업그레이드장치(442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각각의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수행된다(S44150). 이 경우, 장치의 선택은 업그레이드장치(44200)에 기설정된 바에 의해 모든 제2블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블록 및 이와 대응되는 제2블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장치(44100) 접속된 외부의 업그레이드장치(44200)에 의해 수행하는 결과, 디스플레이장치(44100)의 하드웨어 교체 없이 더욱 향상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3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영상처리장치(100 내지 100g), 디스플레이장치(22100, 33100, 44100), 업그레이드장치(200 내지 200g, 22200, 33200, 44200)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 내지 1g, 221, 331)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55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551)은 디스플레이장치(55100) 및 3D 영상처리장치(55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55100)와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호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55100)와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방송신호와 같은 영상신호 및 각종 데이터, 전원 등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2D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2D 영상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551)에서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구현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TV 이외에도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구현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접속된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기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3D로 업그레이드하고, 업그레이드된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영상신호가 처리되게 함으로써, 3D 영상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영상처리회로 등과 같이 TV의 하드웨어를 3D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접속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별도의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대해 유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단독으로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접속되어 상기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551)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이 업그레이드된다. 이러한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3D로 처리하며,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552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로부터 수신된 3D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3D로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3D로 처리하며, 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55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로부터 수신된 3D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3D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2D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서도 35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55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55300)이 접속되는 제1영상수신부(55110)와, 제1영상수신부(55110)를 통해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영상처리부(55120)와, 제1영상처리부(55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5130)와,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55140)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커맨드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5515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55160)와,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55170)를 포함한다.
제1영상수신부(551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제1영상처리부(55120)에 전달하는 I/O(input/output) 장치로서,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이나 영상공급원(55300) 및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1 영상수신부(551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접속단자(미도시)에 영상공급원(55300)을 비롯한 다양한 외부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제1 영상수신부(55110)를 경유한 통신이 가능하다. 제1영상수신부(551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2D영상신호와 3D영상신호를 모두 포함한다.
제1영상처리부(55120)는 제1영상수신부(55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제1영상처리부(5512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5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55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제1영상처리부(55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상처리부(55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55125)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55130)는 제1영상처리부(55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5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55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55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55131)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55131)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 디스플레이 패널(55131)의 전단에 결합되어 구동부를 제어하고 화질을 개선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이하, T-con 이라고도 함)(55135)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55140)에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디스플레이장치(55100)와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구체적인 결합에 대하여는 추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연결부(55140)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55140)는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송신하며, 3D 영상처리장치(55200)로부터 처리된 3D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입력부(5515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1제어부(5517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5515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55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한편, 사용자입력부(55150)는 디스플레이부(55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55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5130)에 마련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1제어부(5517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1저장부(55160)는 제1제어부(5517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저장부(55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1저장부(55160)는 제1제어부(551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1제어부(551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1저장부(5516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제1제어부(5517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제어부(55170)는 제1영상처리부(551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제1연결부(5511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 사용자입력부(5515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1제어부(55170)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결합되면, 제1영상처리부(55120)의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제1영상수신부(551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3D 영상신호임을 인지할 수 있다. 제1제어부(55170)는 인지된 3D 영상신호를 3D 영상처리장치(55200)로 송신하고, 3D 영상처리장치(55200)로부터 처리된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연결부(55140)를 제어하고, 처리된 3D 영상신호를 3D영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55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기술의 발전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한다. 업그레이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제조 단계에서 제안되지 않았던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55100)를 업그레이드하도록 마련된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제1연결부(55140)에 접속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3D로 업그레이드시킨다.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가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자원에 대응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포함하는 이들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상기한 적어도 일부 자원보다 향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마련된다.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기존 자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서 3D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35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551)을 구성하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55300)이 접속되는 제2영상수신부(55210)와, 3D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55220)와,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제1연결부(55140)에 접속되는 제2연결부(55210)와,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55260)와, 3D 영상처리장치(55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55270)와, 3D 안경(55281)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5280)를 포함한다.
제2영상수신부(5521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규격이나 영상공급원(55300) 및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2영상수신부(552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접속단자(미도시)에 영상공급원(55300)을 비롯한 다양한 외부장치가 접속됨으로써, 제2영상수신부(55210)를 경유한 통신이 가능하다. 제2영상수신부(552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2D영상신호와 3D영상신호를 모두 포함한다.
도 35의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제2영상수신부(55210)가 마련된 3D 영상처리장치(55200)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제2영상수신부(55210)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 송신한다.
3D영상은 교번적으로 표시되는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송신호는 일련의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스트림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방송신호의 스트림은 예컨대, MPEG2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포함한다. 방송신호는 2이상의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방송신호는 3D영상의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스트림(이하, 각각 제1스트림 및 제2스트림이라고도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상처리부(55220)는 3D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제2영상처리부(55220)에 수행되는 처리는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트랜스코딩, 스케일링 등을 포함한다. 제2영상처리부(55220)는 디멀티플렉서(미도시), 제1디코더(미도시) 및 제2디코더2(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3D영상의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제1스트림 및 제2스트림이 먹스된 방송신호의 경우, 디멀티플렉서는 방송신호를 제1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한다. 제1디코더는 제1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좌안영상을 출력하고, 제2디코더는 제2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우안영상을 출력한다. 디코딩된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은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서 디스플레이부(55130)에 의해 교번적으로 표시된다.
제2영상처리부(55220)는 백라이트의 전원공급을 온/오프 제어하여 3D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디밍블록(dimming block)(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밍블록에 의해 보다 효과적인 3D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영상처리부(55220)는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3D 변환부(3D formatter)를 포함할 수 있다. 2D 영상신호는 복수의 영상프레임(이하, '프레임'이라고 함)을 포함한다. 3D 영상신호는 시청자의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좌안프레임 및 복수의 우안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좌안프레임 및 복수의 우안프레임 중 한 쌍의 좌안프레임과, 우안프레임은, 2D 영상신호의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각각 변환될 것일 수 있다.
제2영상처리부(5522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 및 3D 영상처리장치(55200)의 접속 시에 제1제어부(55170) 또는 제2제어부(55270)의 제어에 따라서, 3D 영상신호를 처리하거나,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신호로 변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3D 영상의 재생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실시예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2연결부(55210)는 제1연결부(55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3D 영상처리장치(55200) 및 디스플레이장치(55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도 36 내지 도 38은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타이밍 컨트롤러(55135), 디스플레이 패널(55131) 및 영상처리보드(55125)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55210)는 타이밍 컨트롤러(55135)에 마련된 복수의 커넥터(55141, 55142)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55142)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복수의 커넥터(55141, 55142)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55141)에 영상처리보드(55125)가 접속된 상태로 출시되며, 다른 하나의 커넥터(55142)는 예비 커넥터로 존재한다. 추후 3D 영상처리장치(55200)는 예비 커넥터(55142)에 접속되는 형태로 3D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3D 영상처리장치(55200)의 접속을 위한 예비 커넥터(55142)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55140)에 접속되는 별도의 변환젠더(55143)를 통해 3D 영상처리장치(55200)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타이밍 컨트롤러(55135)가 디스플레이 패널(55131)과 영상처리보드(55125)의 슬롯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형태로 설계되어 출시될 수 있다. 추후, 3D 영상처리장치(55200)와 타이밍 컨트롤러(55135)가 결합된 형태의 모듈을 출시하여, 기존의 타이밍 컨트롤러(55135)의 위치에 3D 영상처리장치(55200)와 타이밍 컨트롤러가 결합된 모듈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3D 영상처리가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38은 3D 영상처리장치(55200)가 결합되는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제1연결부(55110) 및 제2연결부(55210) 사이의 접속 방식은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저장부(55260)는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2저장부(552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로 구현된다. 제2저장부(55260)는 제1제어부(55170) 또는 제2제어부(552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이들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한편, 제2저장부(55260) 또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제2제어부(55270) 뿐만 아니라 제1제어부(5517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제2제어부(55270)는 전체적인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3D 영상처리장치(552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2제어부(55270)는 제2영상처리부(5522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제2연결부(55210)를 통한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3D 영상처리장치(55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55270) 및 제1제어부(5517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는 바, 3D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제2제어부(55270)는 제1제어부(55170)를 디스에이블시키고 제1제어부(55170)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시스템(55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2제어부(55270)는 제1제어부(55170)와 함께 디스플레이 시스템(55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2제어부(55270) 및 제1제어부(55170)는 CPU를 보조하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DR RAM와 같은 메모리(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5280)는 3D 안경(55281)과 통신을 수행하며, 3D 안경(55281)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된 3D 영상신호와 동기화한다. 3D 안경(55281)은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셔터 안경, 또는 기 설정된 편광 방향의 광을 투과 가능한 편광 안경으로 구현된다.
통신부(55280)는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과 같은 소정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55100) 및 3D 안경(55281) 사이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특성의 신호/정보/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55100)를 3D로 업그레이드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도 39 내지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9 내지 도 4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551)에서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의해 업그레이드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55100)는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의 2D 또는 3D 영상신호가 수신되면(도 39의 55411), 이를 기 설정된 시퀀스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도 39의 55413, 55415, 55417)에 따라서 처리한다. 도면에 나타난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예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간결히 표현하도록 몇 가지의 예시만을 나타낸 것일 뿐, 실제로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서 구현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 모두를 나타낸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의 영상수신부(55110)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의 3D 영상신호가 수신되면(55411), 제1제어부(55170)는 수신된 영상신호가 3D 영상신호임을 인지하고(55413), 3D 영상처리장치(55200)로 송신한다(55414). 제2제어부(55270)는 수신된 3D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제2영상처리부(55220)를 제어고(55415), 처리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 송신한다(55416). 제1제어부(55170)는 수신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5130)에 3D 영상으로 표시한다(55417).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의 2D 영상신호가 수신되면(55421), 제1제어부(55170)는 수신된 영상신호가 2D 영상신호임을 인지하고(55423), 수신된 2D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제1영상처리부(55120)를 제어한다(55425). 제1제어부(55170)는 처리된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처리장치(55200)로 송신한다(55426). 제2제어부(55270)는 수신된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2영상처리부(55220)를 제어하고(55427), 변환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 송신한다(55428). 제1제어부(55170)는 수신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5130)에 3D 영상으로 표시한다(55429).
도 4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영상처리부(55120)가 2D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제2영상처리부(55220)에서 2D를 3D로 변환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제2영상처리부(55220)에서 2D 영상신호를 처리 및 3D로 변환하는 실시예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제1제어부(55170)는 영상신호가 2D임을 인지하고, 3D 영상처리장치(55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1 내지 도 43에 도시된 실시예는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영상수신부(55210)가 마련되어, 직접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의 3D 영상신호가 수신되면(55431), 제2제어부(55270)는 수신된 영상신호가 3D 영상신호임을 인지하고(55433), 수신된 3D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제2영상처리부(55120)를 제어한다(55435). 제2제어부(55270)는 처리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 송신한다(55436). 제1제어부(55170)는 수신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5130)에 3D 영상으로 표시한다(55437).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의 2D 영상신호가 수신되면(55441), 제2제어부(55270)는 수신된 영상신호가 2D 영상신호임을 인지하고(55443), 수신된 2D 영상신호를 처리하고(55445), 처리된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2영상처리부(55120)를 제어한다(55447). 제2제어부(55270)는 변환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 송신한다(55448). 제1제어부(55170)는 수신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5130)에 3D 영상으로 표시한다(55449).
도 43의 실시예는 2D 영상신호를 제1영상처리부(55220)에서 처리하는 점에서 도 42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영상공급원(55300)으로부터의 2D 영상신호가 수신되면(55451), 제2제어부(55270)는 수신된 영상신호가 2D 영상신호임을 인지하고(55453), 수신된 2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 송신한다(55454). 제1제어부(55170)는 수신된 2D 영상신호를 처리하도록 제1영상처리부(55120)를 제어하고(55455), 처리된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처리장치(55200)에 송신한다(55456). 제2제어부(55270)는 수신된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제2영상처리부(55220)를 제어한다(55457). 제2제어부(55270)는 변환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55100)로 송신한다(55458). 제1제어부(55170)는 수신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5130)에 3D 영상으로 표시한다(55459).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2D 영상을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55100)에 3D 영상처리장치(55200)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간편하게 3D로 업그레이드하고, 3D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1a, 1b, 1c, 1d, 1e, 1f, 1g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 영상처리장치
110: (제1)신호입력부 120: 사용자입력부
130: 제1영상처리부 140: 제1제어부
150: 제1저장부 170: 디스플레이부
160, 160a, 160b, 160c: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180: 변환증폭부 190: 음성출력부
200, 200a, 200b: 업그레이드장치
210, 210a: 본체접속부 220: 제2영상처리부
230: 제2제어부 240: 제2저장부
250: 제2신호입력부

Claims (62)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제2영상처리부를 구비한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신호처리가 수행 가능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1영상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출력된 제2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2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는,
    상기 제1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입력신호단과;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제2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여부에 따라 상기 제1입력신호단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본체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부 출력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입력신호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이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입력신호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출력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 가능하도록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삽입되는 신호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로부터 출력된 제2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데이터선택부와;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로 분배하는 데이터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분배부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로 분배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해 출력된 제2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도록 상기 데이터분배부 및 상기 데이터선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신호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 및 상기 영상신호스위치로 출력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미접속 및 접속된 경우 각각, 상기 제1출력신호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의해 처리된 제2출력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도록 상기 영상신호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스위치는 LVDS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로 출력하는 제1출력포트와;
    상기 제1출력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스위치로 출력하는 제2출력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신호는 제1영상신호 및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제1영상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제1접속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와 제어신호 및 상기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신호는 제1영상신호 및 제1음성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음성신호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2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가 출력 가능한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무선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무선사용자입력부, 인터넷망 접속을 위한 무선통신부 및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접속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경로를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경로 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고,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제어경로 전환스위치를 통해 상기 무선사용자입력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제어권을 부여하고,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에 대하여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입력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1출력신호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전송하여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펌웨어가 각각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에 각각 마련된 펌웨어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에 백업하는 영상처리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업그레이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EDID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는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제1블록 각각에 대응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는 복수의 제2블록을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블록 및 상기 복수의 제2블록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 중 어느 하나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스위칭하는 복수의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이 상기 제1영상처리부 및 상기 제2영상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제1출력신호로부터 변환된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타이밍 컨트롤러, 디스플레이패널 및 영상처리보드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에 마련된 예비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와 결합된 형태로 상기 영상처리보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마련된 슬롯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5. 제1영상처리부 및 제1제어부를 구비한 영상처리장치에 장착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와;
    상기 본체접속부를 통해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접속 가능한 디스플레이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접속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1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제1본체접속부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제1음성신호 및 상기 제1제어부에 의해 전송된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제2본체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영상처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제어권을 부여 받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1. 제35항에 있어서,
    외부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신호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외부입력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전송된 외부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2. 제35항에 있어서,
    신호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에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가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백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가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가 업그레이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변환하여 3D 영상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2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3D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접속부를 제어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3D 안경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3D 안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D 영상신호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업그레이드장치.
  49. 업그레이드장치가 장착 가능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업그레이드펌웨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은 상기 영상처리장치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환된 3D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4. 영상처리장치에 장착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처리된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영상신호에 대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영상처리가 수행된 제2영상신호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업그레이드펌웨어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영상신호를 변환하여 3D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상기 3D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의 제어방법.
  58. 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장착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제1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영상처리부와, 상기 제1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접속 가능한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와;
    제2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영상처리부와, 상기 제2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와 접속 가능한 본체접속부를 포함하는 업그레이드장치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 접속부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제1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제2영상처리부에 의해 신호처리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 기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펌웨어가 각각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에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펌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속모듈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처리 프로세스 각각은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상기 제1영상처리부 및 상기 업그레이드장치의 상기 제2영상처리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2.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는,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입력신호 및 상기 제1출력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3D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업그레이드장치로부터 수신된 3D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이 표시되도록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20072082A 2011-12-28 2012-07-03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9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9264 WO2013100350A1 (en) 2011-12-28 2012-11-06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678,612 US9396511B2 (en) 2011-12-28 2012-11-16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206204155U CN203120032U (zh) 2011-12-28 2012-11-21 电视机及升级装置
JP2012278439A JP2013141221A (ja) 2011-12-28 2012-12-20 映像処理装置、アップグレード装置、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FR1262498A FR2985407B3 (fr) 2011-12-28 2012-12-20 Dispositif de traitement d'image, dispositif de mise a niveau, systeme d'affichage incluant ce dernier, et procede de commande connexe
DE202012104991U DE202012104991U1 (de) 2011-12-28 2012-12-20 Bildverarbeitungsvorrichtung, Upgradevorrichtung, Anzeigesystem einschließlich derselben und entsprechendes Steuerverfahren
CN201510890273.2A CN105472277A (zh) 2011-12-28 2012-12-21 图像处理设备、升级设备、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CN201210560970.8A CN103188505B (zh) 2011-12-28 2012-12-21 图像处理设备、升级设备、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EP12199533.6A EP2610841A3 (en) 2011-12-28 2012-12-27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763,494 US20130169652A1 (en) 2011-12-28 2013-02-08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856,327 US9367890B2 (en) 2011-12-28 2013-04-03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4323 2011-12-28
KR1020110144323 2011-12-28
KR20110147339 2011-12-30
KR1020110147339 2011-12-30
KR1020120008390 2012-01-27
KR20120008390 2012-01-27
KR20120009878 2012-01-31
KR1020120009878 2012-01-31
KR1020120009456 2012-01-31
KR20120009456 2012-01-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152A Division KR20130076833A (ko) 2011-12-28 2013-03-22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682A true KR20130076682A (ko) 2013-07-08
KR101292559B1 KR101292559B1 (ko) 2013-08-12

Family

ID=489902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082A KR101292559B1 (ko) 2011-12-28 2012-07-03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130031152A KR20130076833A (ko) 2011-12-28 2013-03-22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152A KR20130076833A (ko) 2011-12-28 2013-03-22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141221A (ko)
KR (2) KR101292559B1 (ko)
CN (1) CN1054722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1933B2 (ja) * 2012-12-28 2019-07-10 ヤマハ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KR101728076B1 (ko) * 2015-06-22 2017-04-19 주식회사 디엠티 에이치디 셋톱박스용 유에이치디 어댑터 및 유에이치디 티브이, 유에이치 티브이에 연결하기 위한 에이치디 셋톱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069A (ja) * 2000-08-07 2002-02-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ゲートウェイ装置
JP3596770B2 (ja) * 2001-12-28 2004-12-02 ソニー株式会社 記憶装置、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20030233667A1 (en) * 2002-06-17 2003-12-18 Abs-Cbn Broadcast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caled upgrading of an upgradeable set-top box
JP2006039848A (ja) * 2004-07-26 2006-02-09 Sharp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含んでなる画像形成装置
TWI269589B (en) * 2005-11-04 2006-12-21 Quanta Com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television firmware therefor
KR101317528B1 (ko) * 2007-01-10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모듈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1377864B1 (ko) * 2007-05-15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966637B2 (en) * 2007-07-24 2011-06-21 Sony Corporation Hardware module for adding functionality to television
KR101635640B1 (ko) * 2008-12-11 2016-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454396B2 (ja) * 2010-03-23 2014-03-2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立体画像生成装置および立体画像生成方法、情報送信装置および情報送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72277A (zh) 2016-04-06
KR20130076833A (ko) 2013-07-08
KR101292559B1 (ko) 2013-08-12
JP2013141221A (ja)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789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70352B1 (ko) 방송수신용 디스플레이장치 및 신호처리모듈,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방법
CN106031187B (zh) 发射设备、发射方法、接收设备与接收方法
KR20170125181A (ko) 표시 장치
CN101466018A (zh) 通信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KR101292559B1 (ko) 영상처리장치, 업그레이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69653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508311B2 (en) Display apparatus, connectable external peripheral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20130194282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14194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US201500197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97095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205439B2 (ja) 映像表示装置
JP2013138481A (ja) モニタ装置及び映像処理装置
KR20130088622A (ko)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76675A (ko) 디스플레이장치, 이에 접속되는 외장형 주변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