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225A -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225A
KR20130076225A KR1020110144734A KR20110144734A KR20130076225A KR 20130076225 A KR20130076225 A KR 20130076225A KR 1020110144734 A KR1020110144734 A KR 1020110144734A KR 20110144734 A KR20110144734 A KR 20110144734A KR 20130076225 A KR20130076225 A KR 2013007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ouch panel
pattern
substrate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곽행철
김치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225A/ko
Publication of KR2013007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투명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X축 방향으로 패드부와 교차부가 반복적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이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X전극패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턴, 상기 X전극패턴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 위에 적층되는 투명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의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상기 제1 전극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이 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Y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X전극패턴과 Y전극패턴의 교차점 면적을 최소화 하고, 교차하지 않는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을 형성하여 X전극패턴과 Y전극패턴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감도가 높아진다.

Description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터치를 통해 전기장의 변화가 크도록 전극패턴을 구현하여,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등장한 새로운 단말기의 형태로서 출력과 입력이 모두 가능한 터치패널을 구비한 이동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터치패널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먼저, 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하부의 전극막이 스페이서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누르면 서로 접촉되어 신호를 입력하는 형태로 초기 터치패널에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정전 용량식 터치스크린은 상부와 하부의 2개의 전극패턴 사이에 전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받는 방식이다. 이러한 정전 용량식 터치스크린은 압전식에 비해 감도가 높고 멀티 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캐패시턴스 변화율을 향상시켜 터치감도를 높일 수 있는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투명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X축 방향으로 패드부와 교차부가 반복적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이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X전극패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턴; 상기 X전극패턴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 위에 적층되는 투명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의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상기 제1 전극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이 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Y전극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적층되며, 상면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패널층;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터치패널을 전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투명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X축 방향으로 패드부와 교차부가 반복적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이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X전극패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턴; 상기 X전극패턴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 위에 적층되는 투명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의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상기 제1 전극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이 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Y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X전극패턴과 Y전극패턴의 교차점 면적을 최소화 하고, 교차하지 않는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을 형성하여 X전극패턴과 Y전극패턴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감도가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의 전기장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의 전기장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의 전기장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100)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인쇄층(250)은 이동이동단말기(100)의 전면에서 내부의 IC, 기판 등의 전자장치를 가리면서, 개구부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조작유닛등의 영역을 구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윈도우 인쇄층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90, 도2 참조)을 통해 시각정보를 보여주므로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외의 영역은 불투명한 소재로 인쇄하여 형성한다.
최근에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151)를 채용하는 바,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대응하는 개구부는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인 동시에 터치방식으로 입력되는 영역을 구획한다.
상기 윈도우 인쇄층(250)은 검은색 이외에도, 최근에는 흰색, 핑크색 등 다양한 색상의 윈도우 인쇄층(250)을 구비한 이동단말기(100)가 출시되고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방식으로 입력하는 이동단말기(100)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조작유닛(133)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200)은 디스플레이 모듈(290) 위에 적층되어 상기 도 1의 디스플레이부(151)를 구성한다. 도 2는 터치패널(200)과 디스플레이 모듈(290)이 적층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90) 위에 OCA(Optical Clear Adhesive)와 같은 투명한 접착층(270)을 적층하고 그 위에 터치패널(200)을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90) 위에 적층되는 터치패널(200)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패널(200)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200)의 평면도로서, 제1 투명기판(260), 제1 전극(251), 제2 전극(221), 제2 투명기판(230), 그라운드 패턴(255), 접착층(215, 235) 및 커버글래스가 도시되어 있다.
터치패널(200)은 X전극패턴(250)과 Y전극패턴(220)이 교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X전극패턴(250)이 형성되는 제1 투명기판(260)은 터치패널(200)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투명기판(260) 후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90) 위에 접한다.
상기 제1 투명기판(260)은 상기 X전극패턴(250)은 절연성 투명한 소재로 된 필름 또는 기판 등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린,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스티렌 중합체 등의 합성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기판(260) 위에 형성되는 X전극패턴(250)은 복수개의 제1 전극(251)으로 구성된다. 제1 전극(251)은 패드부(251b)와 교차부(251a)가 반복되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제1 전극(251)이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X축 방향과 Y축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가로방향이 X축 방향이고 세로 방향이 Y축 방향이 된다.
제1 전극(251)은 대면적의 패드부(251b)와 상기 패드부(251b)를 연결하며 상기 패드부(251b)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교차부(251a)로 구성이 된다. 상기 교차부(251a)는 후술할 제2 전극(221)이 상부에서 지나가 상기 제2 전극(221)과 상기 제1 전극(251)이 교차하게 되는 지점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251b)는 전극의 밀도를 높이고 상기 제2 전극(221)과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사각형 형상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전극(251)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다. 대표적으로 ITO가 이용되나, 산화주석(SnO2), 상화 인듐(In2O3), 전도성 고분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의 예로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아닐린계, 폴리아세틸렌계, 폴리페닐렌계 등이 있다.
전도성 성질을 높이기 위해 상기 물질을 2 이상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51)은 단부에서 은(Ag)와 같은 금속재질로 된 전극배선과 연결되어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에 전달된다. 상기 전극배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90)에서 시각정보가 투과하는 영역 밖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전극(251)과 같이 투명할 필요가 없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251) 사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패턴(255)은 상기 제1 전극(251) 사이의 간극을 메꾼다. 다만, 상기 제1 전극(251)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함으로서, 상기 이격된 공간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은 상기 제1 전극(251) 또는 후술할 제2 전극(221)과 같이 투명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 전극(251) 또는 상기 제2 전극(221)과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만, 그라운드 패턴(255)은 상기 제1 전극(2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접지층과 연결되어 그라운드 전위(0V)를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은 후술할 제2 전극(221)의 폭보다 X축 방향의 너비가 넓다. 즉,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극(221)과 상기 제1 전극(251)의 패드부(251b)가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는 사이즈이다.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과 상기 X전극패턴(250) 상에 적층되는 제2 투명기판(230)은 OCA와 같은 접착제로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과 상기 X전극패턴(250)에 접착층(235)을 형성하여 부착한다. 상기 제2 투명기판(230) 위쪽으로는 복수의 제2 전극(221)으로 이루어진 Y전극패턴(2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투명기판(230)은 상기 Y전극패턴(220)이 형성되기 위한 바닥부 역할과 동시에 상기 X전극패턴(250)과 Y전극패턴(220)을 이격시킨다. 제1 투명기판(260)과 같이 절연성 투명한 소재로 된 필름 또는 기판 등이 이용된다.
상기 제2 전극(221)은 상기 제1 전극(25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전극(251)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제2 전극(221)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 전극(2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251)의 교차부(251a)와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의 상측을 통과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 전극(221)은 상기 제1 전극(251)과 달리 두께가 변화하지 않고 직선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251)의 패드부(251b)와 충분한 거리가 이격된다.
이와 같은 X전극패턴(250), Y전극패턴(220) 및 그라운드 패턴(255)의 배치는 캐패시터의 변화율이 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X전극패턴(250)과 Y전극패턴(220)이 교차되는 부분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터치시 상기 X전극패턴(250)과 상기 Y전극패턴(220) 사이의 전기장 중 일부가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Y전극패턴(22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X전극패턴(250)과 상기 Y전극패턴(220) 사이의 전기장은 세기가 약해진다.
상기 X전극패턴(250)과 상기 Y전극패턴(220)의 교차부분의 면적이 클수록 상기 전기장의 세기가 커서 사용자가 터치하더라도 상기 전기장의 변화량이 크지 않는바, 상기 교차부분의 면적을 최소화하고 상기 패드부(251b)와 상기 제2 전극(221)의 거리를 최대로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200)의 전기장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251)의 교차부(251a)와 상기 제2 전극(221)이 교차하는 면적은 상기 교차부(251a)의 크기가 상기 패드부(251b)의 크기에 비해 작다. 따라서, 상기 X전극패턴(250)의 교차부(251a)와 상기 제2 전극(221)이 교차하는 좁은 부분에서만 부분적으로 전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251)과 상기 제2 전극(221) 사이의 전기장은 약화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제1 전극(251)과 상기 제2 전극(221) 사이의 전기장은 상기 교차부(251a)에서만 강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251b)와 상기 제2 전극(221)은 그라운드 패턴(255)에 의해 거리가 이격되어 있어 전기장이 매우 약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221)과 상기 패드부(251b)와의 사이에서 전기장이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전극(221)과 상기 패드부(251b)와의 거리는 상기 제2 전극(221)과 상기 교차부(251a)와의 거리의 수배 이상 되도록 상기 X패턴, 상기 Y전극패턴(220)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극(221)은 상기 제1 전극(251)과 달리 폭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상기 제2 전극(221)과 상기 패드부(251b)가 충분히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전극(251)의 패드부(251b)와 교차부(251a)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을 상기 제1 전극(251) 사이에 개재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라운드 패턴(255)과 상기 제1 전극(251) 사이의 공간(253)에서는 강한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패드부(251b)와 제2 전극(221) 사이의 전기장은 거의 형성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상기 X패턴과 제2 전극(221) 사이의 전기장이 약화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터치패널(200)의 전기장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평소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교차부(251a)와 상기 제2 전극(221) 사이에서만 전기장이 형성되다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터치패널(200)을 접촉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제2 전극(221)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전극(251)과 상기 제2 전극(221) 사이의 전기장이 약화된다.
만약, 상기 제1 전극(251)이 패드부(251b)와 교차부(251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전극(221)의 폭의 변화는 두지 않아 넓은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251)과 상기 제2 전극(221) 사이에 전기장이 강하게 형성되는 경우 그 전기장의 세기가 커, 사용자가 터치를 하더라도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기장의 변화가 크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패널의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터치시 변화하는 전기장의 변화량이 크므로, 터치패널의 감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2 전극(221)은 단부에서 은(Ag)와 같은 금속재질로 된 전극배선과 연결되어 이동단말기(100)의 제어부에 전달된다. 상기 전극배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90)에서 시각정보가 투과하는 영역 밖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전극(251)과 같이 투명할 필요가 없다.
상기 Y전극패턴(220) 위에 상기 Y전극패턴(220)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글래스(210)을 더 적층할 수 있다. 커버글래스(210)는 소정의 강도를 갖아 하부의 터치패널(200)구조를 보호하며, 반드시 딱딱한 부재일 필요는 없고, 필름과 같이 연성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글래스(210)는 하부에 OCA와 같은 투명한 광투과성 접착층(215)을 부착하여 상기 Y전극패턴(220)위에 적층한다.
100: 이동단말기 151: 디스플레이부
200: 터치패널 210: 커버글래스
215, 235: 접착층 220: Y전극패턴
221: 제2 전극 230: 제2 투명기판
250: X전극패턴 251: 제1 전극
251a: 교차부 251b: 패드부
253: 간격 255: 그라운드 패턴
260: 제1 투명기판
270: 접착층 29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7)

  1. 투명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X축 방향으로 패드부와 교차부가 반복적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이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X전극패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턴;
    상기 X전극패턴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 위에 적층되는 투명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의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상기 제1 전극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이 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Y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패드부의 두께보다 상기 교차부의 두께가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폭은,
    균일하며 상기 그라운드 패턴의 x축 방향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전극패턴 위에 결합하는 커버글래스를 더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전극패턴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더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산화주석(SnO2), 상화 인듐(In2O3), 전도성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7.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적층되며, 상면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패널층;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터치패널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터치패널을 전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투명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X축 방향으로 패드부와 교차부가 반복적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이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X전극패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의 상기 복수개의 제1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극과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그라운드 패턴;
    상기 X전극패턴 및 상기 그라운드 패턴 위에 적층되는 투명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의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상기 제1 전극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이 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Y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KR1020110144734A 2011-12-28 2011-12-28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130076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34A KR20130076225A (ko) 2011-12-28 2011-12-28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34A KR20130076225A (ko) 2011-12-28 2011-12-28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25A true KR20130076225A (ko) 2013-07-08

Family

ID=4898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734A KR20130076225A (ko) 2011-12-28 2011-12-28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2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719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KR20200063096A (ko) * 2018-11-19 2020-06-04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719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KR20200063096A (ko) * 2018-11-19 2020-06-04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0251B2 (en) Input device
KR101140920B1 (ko)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8508492B2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press operation position thereon
EP2097805B1 (en) Pet-based touchpad
KR101481929B1 (ko) 터치 스크린 스택업
KR101452042B1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터치스크린 장치
KR101362843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방법
JP5846930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00036907A (ko) 양면 일체형 터치 패널 구조
CN107436705A (zh) 触控面板及显示设备
JP2010009456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TWI514228B (zh) 觸控式顯示裝置與其製造方法
CN106155403B (zh) 触控元件
US20140197018A1 (en) Touch panel
TWI585725B (zh) 顯示裝置
KR101532403B1 (ko)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용 저항막 터치 필름
GB2559575A (en) Touch sensor
KR101339490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방법
US20150138453A1 (en) Touch panel
KR20130076225A (ko) 정전용량식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CN102402355A (zh) 容性触摸屏
US20210405788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12003522A (ja) タッチパネル
KR20150031061A (ko) 터치패널
US20100182266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detecting press operation position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