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618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618A
KR20130075618A KR1020110146289A KR20110146289A KR20130075618A KR 20130075618 A KR20130075618 A KR 20130075618A KR 1020110146289 A KR1020110146289 A KR 1020110146289A KR 20110146289 A KR20110146289 A KR 20110146289A KR 20130075618 A KR20130075618 A KR 20130075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quid crystal
bplc
optical path
chang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린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3/348,944 priority Critical patent/US8629968B2/en
Publication of KR2013007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며 상기 제1 전극과 함께 수직 전계를 형성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제공된 블루상 액정, 및 상기 제1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전극에 대향하여 제공된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이 상기 수직 전계에 대해 상기 블루상 액정에 경사지게 입사되도록 상기 입사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상 액정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안정화 블루상 액정 표시 장치(Polymer-Stabilized blue phase liquid crystal displays; PS-BPLCD)는 배향막 처리 공정 없이 액정을 배향할 수 있으며, 기존 네마틱 액정 대비 100배 이상의 빠른 구동속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PS-BPLCD는 높은 구동 전압과 낮은 광학적 투과도 문제로 인하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PS-BPLCD의 경우, 등방상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계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는 복굴절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구동 방법에서는 수평전계구동(in-plane switching ; IPS) 방법으로 구동 특성을 얻기 때문이다. IPS 구동 시, 패턴된 전극 상부는 투과광을 얻을 수 없으므로 낮은 개구율 특성을 가질 수 밖에 없으며, 수평 전계의 세기는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상부 기판에 가까워질수록 급격히 감소되므로 유도되는 복굴절량 또한 매우 낮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블루상을 얻기 위해 도핑된 고분자에 의한 유효전계 감소와 함께 기존의 PS-BPLCD가 낮은 투과율 및 높은 구동전압을 가지게 하는 근본적 원인이었다.
1. Z. Ge, S. Gauza, M. Jiao, H. Xianyu, and S. T. Wu, Appl. Phys. Lett., Vol. 94(10). pp. 101104(2009). 2. J. Yan, M. Jiao, L. Rao, and S. T. Wu, Appl. Phys. Lett., Vol. 96(7). pp. 071105(2010).
PS-BPLCD를 수직전계로 구동할 경우에는 광축이 수직 입사된 빛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직교편광자쌍 사이에서 전압에 따른 계조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패턴된 전극이 요구되지 않는 수직 전계 구동 PS-BPLCD를 제안하며, 이를 기판 상하판에 적절한 광굴절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를 부착함으로써 높은 개구율에 따른 고휘도, 상대적으로 낮은 구동 전압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며 상기 제1 전극과 함께 수직 전계를 형성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제공된 블루상 액정, 및 상기 제1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전극에 대향하여 제공된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이 상기 수직 전계에 대해 상기 블루상 액정에 경사지게 입사되도록 상기 입사광의 경로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IPS 구동 방식의 블루상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투과율이 높으면서도 낮은 구동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PS 블루상 액정 모드의 기존의 낮은 투과율과 높은 구동전압을 해결 할 수 있는 수직전계 구동 블루상 액정 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터닝된 전극 구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 과정이 매우 간단하며, 기존의 IPS 블루상 액정 모드와 달리, 높은 개구율, 낮은 구동전압, 및 감소된 이력 현상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PS-BPLC에 대한 전기장의 제곱값에 따른 상온에서의 Δninduced/λ의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셀 갭이 각각 다른 세 개의 PS-BPLC 셀에 있어서, 다양한 입사각(θi)에 따른 PS-BPLC 셀의 전압-투과율 커브(V-T curv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것과 부착하지 않은 수직-전계-구동 PS-BPLC 셀의 증가하는 전압을 인가하여 측정한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제1 기판의 외측면에만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경우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외측면 모두에 프리즘 시트들을 부착한 경우의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기존의 IPS 셀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구동 PS-BPLC 셀의 프리즘 각도에 따른 전압-투과율 그래프이다.
도 7은 낮은 프리즘 각도와 높은 프리즘 각도를 가진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PS-BPLC 셀의 인가된 전압에 따른 전계-유도 Δneff와 Δneff·d 그래프이다.
도 8은 두 개의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수직-전계-구동 PS-BPLC 셀과 기존의 IPS PS-BPLC 셀의 V-T 그래프이다.
도 9a 및 도 9b는 IPS PS-BPLC 셀과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압에 따른 ΔV/Vp값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IPS PS-BPLC 셀과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압에 따른 온-오프 응답 시간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SUB1), 제2 기판(SUB2), 블루상 액정(BPLC),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 제1 편광자(POL1), 및 제2 편광자(POL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SUB1)은 제1 베이스 기판(BS1)과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 상에 제공된 제1 전극(EL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SUB1)은 상기 제1 전극(EL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L1)이 복수 개로 제공될 경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제1 전극(EL1)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전극(EL1)에 제공되는 구동 신호를 스위칭한다.
상기 제2 기판(SUB2)은 상기 제1 기판(SUB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2 베이스 기판(BS2)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 상에 제공된 제2 전극(EL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EL1)과 상기 제2 전극(EL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전극(EL1)과 상기 제2 전극(EL2)에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전극(EL1)과 상기 제2 전극(EL2) 사이에 수직 전계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BS1) 및 상기 제2 베이스 기판(BS2)은 투명한 절연 기판으로서, 유리, 플라스틱, 수정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L1) 및 상기 제2 전극(EL2)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상기 제1 기판(SUB1)과 상기 제2 기판(SUB2) 사이,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전극(EL1)과 상기 제2 전극(EL2)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일반적으로 카이럴 네마틱(chiral nematic; cholesteric) 상과 등방 액정상 사이의 온도 범위 안에서 나타나는 카이랄 액정에서만 나타나는 중간상이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네마틱 액정에 약 10%의 카이럴 도펀트를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콜레스테릭상 액정과 유사하게, 원편광된 빛의 선택적 반사를 보여준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이중꼬임 실린더(double-twist cylinder(DTC))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중꼬임 실린더 구조는 중앙에서 축에 평행한 액정 방향자가 반경에 대해 공간적으로 회전하고 있는 형태이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격자 결함에 의해 구조가 안정화된 유체 격자를 가진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상기 특성 때문에 가시광의 브래그 회절과 광 밴드(photonic band) 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루상 액정은 고분자 안정화된 블루상 액정(PS-BPLC; polymer stabilized blue phase liquid crystal)일 수 있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등방상과 콜레스테릭 상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존재한다. 상기 온도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블루상 액정(BPLC)에 고분자를 선택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에 고분자가 분산되어 교차 결합된 네트워크(crosslinked network)를 이루게 되면 상기 블루상 액정 분자들의 정렬이 안정화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는 블루상 액정 방향자를 정렬하여 안정화시키고, 또는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의 정렬 구조를 고정시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분자 안정 블루상 액정(PS-BPLC)은 열적으로 안정화되고 고분자 안정화되지 않은 블루상 액정 보다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블루 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은 초기에 등방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블루상 액정(BPLC)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계에 따라 굴절률이 변하는 커 효과(Kerr effect)에 의해 등방 상태에서 비등방 상태로 스위칭된다.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은 상기 제1 기판(SUB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루상 액정(BPLC)에 대향한다. 즉, 상기 제1 기판(SUB1)의 외측면에 제공된다.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은, 외부로부터의 입사광(Li)이 상기 블루상 액정(BPLC)에 입사할 때, 상기 제1 전극(EL1)과 상기 제2 전극(EL2)에 의해 형성된 수직 전계(E)에 대해 경사지게 입사되도록 상기 입사광(Li)의 경로를 변경한다.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은 광학 시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은 판상의 본체(BD)와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P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PR)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다각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각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PR) 각각은 사각뿔의 피라미드 형상이나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PR)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은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은 상기 제2 기판(SUB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루상 액정층(BPLC)에 대향한다. 즉, 상기 제2 기판(SUB2)의 외측에 제공된다.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은 상기 블루상 액정(BPLC)으로부터의 출사광(Lo)을 상기 제2 기판(SUB2)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상기 출사광(Lo)의 경로를 변경한다.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 또한 광학 시트일 수 있는 바, 도면에서는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이 판상의 본체(BD)와 상기 본체(BD)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P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들(PR)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다각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각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PR) 각각은 사각뿔의 피라미드 형상이나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PR) 각각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은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과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자(POL1)는 상기 입사광(Li)을 제3 방향으로 편광한다. 상기 제1 편광자(POL1)는 상기 제1 기판(SUB1)과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 사이에 제공되거나,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SUB1)에 대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자(POL2)는 상기 출사광(Lo)을 제4 방향으로 편광한다. 상기 제2 편광자(POL2)는 상기 제2 기판(SUB2)과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 사이에 제공되거나,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기판(SUB2)에 대향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방향은 상기 제3 방향과 제4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3 방향에 대해 둘 다 45도 각도로 경사진 동일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편광자(POL1)가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SUB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편광자(POL2)가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기판(SUB2)에 대향하여 배치된 것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다.
상기 제1 편광자(POL1)와 상기 제2 편광자(POL2)의 편광축은 서로 평행하거나 서로 수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4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편광자(POL1) 및 상기 제2 편광자(POL2)의 편광축이 서로 수직인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가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LCM1) 및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LCM2)만을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추가적인 광학 시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회절 현상이나 모아레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확산시트와 같은 광학 시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시 장치에는 외부에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수직 배향 모드로 구동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루상 액정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블루상 액정은 굴절율 이방성을 가지지 않으며, 상기 블루상 액정을 통과하는 광은 상기 직교 편광자들에 의해 차단되어 블랙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블루상 액정에 전계가 인가되면 상기 전계의 방향을 따라 위상 지연축이 생성된다. 상기 블루상 액정은 상기 전계에 의해 굴절률 이방 상태로 변형된다. 전계-유도 복굴절은 아래의 수식에 의해 전계의 방향을 따라 유도된다.
[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Δn은 전계-유도 복굴절, λ는 입사광의 파장, K는 블루상 액정의 커 상수, 그리고 E는 블루상 액정 층의 전계값을 나타낸다. 상기 전계에 의해 상기 블루상 액정 자체가 등방상태에서 비등방 상태로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수직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블루상 액정은 c-플레이트 상태가 된다. 상기 블루상 액정을 통과하는 광은 상기 직교 편광자들에 의해 차단되어 블랙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배치시켜 외부광이 상기 블루상 액정에 경사 입사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 기판의 외측면에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이 프리즘 시트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블루상 액정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에 의해 스넬의 법칙에 따라 굴절되어 θi의 입사각(0°<θi<90°)를 가지고 상기 블루상 액정으로 입사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전계가 인가되었을 때 전계-인가 유효 복굴절 값과, 상기 입사각을 가지고 경사지게 입사한 광에 따른 투과율은 다음과 같은 식 2 및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02
[식 3]
Figure pat00003
여기서, Δneff(θi, E)는 경사 입사된 입사광에 의한 전계-인가 유효 복굴절이다. 그리고 d(θi)는 유효 셀 갭으로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실질적인 간격이다. 상기 입사각과 전계-유도 유효 위상지연차 값의 결과는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에 있어서 프리즘 산의 각도(θp)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은 상기 제2 베이스 기판면에 경사지게 진행하는 광을 상기 제2 베이스 기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집광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베이스 기판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 즉 사용자가 영상을 보는 정면 방향으로의 광량이 증가하고, 휘도가 상승하며, 콘트라스트비 또한 증가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기존의 IPS 고분자 안정화 된 블루상 액정 모드에서 보여 지는 높은 이력현상 특징, 낮은 광 효율, 높은 구동전압과 같은 심각한 문제들이 개선된다. 또한 제1 및 제2 기판에 부착 된 두 개의 광 경로 굴절 수단들을 이용함으로써 광학적으로 효율적인 전계-유도 유효 위상 지연차 값을 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의 결과로서 높은 광 효율, 낮은 구동전압, 및 빠른 응답 속도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고분자 안정화된 블루상 액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상 액정의 재료로는 65 wt%의 전구체(precursor) Host Nematic LC(NLC), 25 wt%의 Chiral dopant (S811, Merck), 10 wt%의 prepolymers(trimethylopropane triacrylate(TMPTA, Tokyo Kasei Kogyo)와 RM257(Merck)), 및 미량의 광개시제를 혼합한 액정을 사용하였다. 상기 광개시제는 광중합 반응이 쉽게 일어나게 하여 고분자의 밀도를 disclination 선에 집중적으로 밀집시키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광유도 상분리 방법(photo-induced phase separation method)으로 혼합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Host NLC (BYLC53XX, BaYi Space Co.)는 여러 개의 메소겐(mesogen) 유닛으로 구성 된 복굴절률 0.119를 가지는 공융 혼합물(eutectic mixture)이다. 그리고 혼합된 전구체의 상분리 순서는 등방상 (48℃)-블루상1-(47℃)-콜레스테릭상이다.
상기 혼합된 전구체를 주입한 셀에 10 mW/cm2(365nm)의 UV 광 (metal halide lamp)을 상기 블루상 액정에 3분간 조사하여 고분자 안정화 블루상 액정(PS-BPLC) 셀을 완성하였다. 상기 PS-BPLC 셀은 상온이 포함되는 45℃ ~ 0℃까지 열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도 2는 PS-BPLC에 대한 전기장의 제곱값에 따른 상온에서의 Δ n induced/λ의 그래프이다. 도 2에서 기울기는 커 상수를 나타낸다. 도 2에 따르면 측정된 커 상수는 식 1로부터 계산된 값보다 더 낮은 약 0.09 nm/V2이다.
실시예 2. 경사 입사에 따른 전기 광학 효과
도 3a 내지 도 3c는 셀 갭이 각각 다른 세 개의 PS-BPLC 셀에 있어서, 다양한 입사각(θ i )에 따른 PS-BPLC 셀의 전압-투과율 커브(V-T curv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있어서, 세 개의 샘플에 있어서 셀 갭을 제외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전압과 투과율이 측정되었다. 각 샘플(sample)의 셀 갭 조건은 도 3a에서 d=4 ㎛, 도 3b에서 6 ㎛, 도 3c에서 10 ㎛ 이었다. 각 셀들에서 전계-유도 유효 위상지연차 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공기와 베이스 기판들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학적 손실 양을 측정하였다. 우선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편광자를 하부 편광자의 투과 축과 평행하게 하여 셀의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그 후 상부 편광자를 하부편광자의 투과축과 수직이 되게 회전시켜 전압을 인가한 후 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편광자 쌍과 셀에서의 광학적 손실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한 두 투과율은 광학적 손실을 비례축소함으로써 정량화하였다.
도 3a 내지 도 3c의 전압-투과율 커브는 PS-BPLC 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증가시킴으로써 측정 되었다. 이후 내용에서는, 전압 스위핑 조건은 이력현상 실험을 제외하고는 항상 같은 전압 조건을 가지도록 설정되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모든 샘플들의 투과율이 입사각 θi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것은 같은 전압 조건하에서 유효 위상지연차 값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d=4 ㎛, 6 ㎛의 셀 갭을 가진 샘플의 투과율은 θi가 38°가 되어 포화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여전히 50% 이하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실험에 사용된 PS-BPLC 물질의 낮은 커 상수로 인해 최대 전계-유도 유효 위상지연차 값이 작기 때문이다. 하지만 셀 갭을 10 ㎛까지 증가시킴으로써 90% 이상을 초과하는 투과율을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인 IPS PS-BPLC 모드에서는 셀 갭을 증가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투과율을 증가 시킬 수 없다. 왜냐하면 횡 전계가 하부기판에서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IPS 모드의 투과율은 그 물질의 커상수에 의해서만 전계-유도 위상지연차 값을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투과율을 향상시키기에는 매우 제한적이다. 하지만, 제안된 구조에서는 전계-유도 유효 위상지연차 값은 셀 갭의 유연성으로 인해 효율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데, 이것은 PS-BPLC의 전체 부피 영역에서의 고른 전계 분포 때문이다. 포화된 투과율을 나타내기 위해 요구되는 전압은 선형적으로 셀 갭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한다.
실시예 3. 프리즘 시트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 경로 변경 수단으로 프리즘 시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비등방 습식 식각(anisotropic wet etching)된 실리콘(Si) 웨이퍼를 사용한 임프린팅(imprinting)으로 제작하였다.
상기 프리즘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식각 공정 전에 실리콘 웨이퍼 표면을 SiO2 표면(Oxidation depth of 1 ㎛)이 되도록 열적 산화(thermal oxidation)시킨다. 그리고 주기적인 SiO2 선 패턴(선폭=20 ㎛, 선 사이의 간격=100 ㎛, 선길이=2 cm)을 포토-리쏘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과 버퍼산화식각(BOE)용액을 이용해 형성하였다. 이 후 5%로 희석된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사이드(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TMAH)) 용액을 이용하여 비등방 습식 식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54.7°의 식각 각도를 가진 톱날 같은 모양을 가진 주기적인 패턴(주기성=120 ㎛)을 상기 웨이퍼의 표면에 형성하였다. 이상적인 프리즘 구조를 얻기 위해 식각률(0.8 ㎛/min)과 식각 깊이를 주의 깊게 제어하였다.
다음으로, 식각된 상기 실리콘 웨이퍼 표면을 소수성 표면이 되도록 테플론을 스핀 코팅하였다. 그 다음, 실리콘 웨이퍼 구조를 중합된 polydimethlysiloxane(PDMS) 필름을 이용하여 복제하였다. 상기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소수성 처리를 하였기 때문에 복제된 PDMS 몰드는 어떠한 손상(defects)도 없이 쉽게 떼어졌다. 마지막으로, 투명한 프리즘 시트를 PDMS 몰드와 UV 경화 고분자(NOA89, Norland)를 사용하여 임프린팅 공정으로 베이스 기판 표면에 형성 하였다. NOA89에 의해 획득한 최종적인 프리즘 구조의 프리즘 각도(θp)는 비등방 습식 식각된 실리콘 웨이퍼 표면의 식각 각도와 동일하다. NOA89의 굴절률(nprism)은 본 실험에 사용 된 광원의 파장(488 nm)에서 약 1.45의 값을 가진다. 상기 프리즘 표면에서 수직으로 입사된 빛의 굴절을 고려했을 때 블루상 액정 층으로 입사되는 각도(θi)는 스넬의 법칙에 의해 약 24°가 되었다. 상기 프리즘/베이스 기판 계면 사이의 추가적인 굴절 효과는 무시할 수 있는데 베이스 기판으로 사용된 유리 기판의 굴절률(nglass~1.5)과 프리즘 시트의 굴절률(nprism)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상기 전압-투과율 커브에서 보았듯이 24°의 입사각은 광학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투과율은 여전히 40% 이하였다. 또한, 10 ㎛의 셀 갭을 가진 셀에서도 낮은 투과율을 보여주었다.
상기 프리즘 시트의 프리즘 각도를 θp=54.7°에서 θp=64°로 증가시킨 경우, 상기 블루상 액정 층으로의 입사각은 θi=24°에서 θi=28°로 증가되었다. 이 경우에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d=10 ㎛)이 60%를 초과하는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도 3a 내지 도 3c를 다시 참조하면, 38°이상의 θi에서 높은 투과율을 나타낸다. 38°의 입사각(θi)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78.5°의 θp를 요구되나, 프리즘 시트의 공기/프리즘 계면에서 반사에 의한 손실 또한 θ p 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 4. 계조 특성
도 4는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것과 부착하지 않은 수직-전계-구동 PS-BPLC 셀(d=10mm in both cells)의 증가하는 전압을 인가하여 측정한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로,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아르곤 레이저(Argon laser; 488 nm)를 수직으로 조사할 때 PS-BPLC 셀의 투과율을 측정한 것이다. 이때, 상기 PS-BPLC 셀의 외측면에는 각각 프리즘 시트(θp=54.7°)가 부착되었다. 상기 프리즘 시트는 포토-리쏘그라피 공정과 임프린팅 방법에 의해 가장자리에 얼라인 마크가 패터닝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상하기판의 프리즘 시트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부착하였다. 상기 투과율을 얻기 위해, 우선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 편광자에 수평으로 투과된 빛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직교 편광자 상에서 전압을 증가시키며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프리즘 시트를 부착하지 않은 셀(d=10 ㎛, θi=24°)을 셀 로테이션 방법과 같은 틸팅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낮은 프리즘 시트의 각도로 인해 블루상 액정 층으로 입사되는 빛의 각도가 작으며, 포화 상태에서의 투과율이 약 35%로 광학적 효율 향상이 크게 향상 되지 않았다. 하지만 두 개의 전압-투과율 커브가 잘 일치하였다. 이것은 공기/프리즘 시트의 계면을 제외한 추가적인 굴절 효과는 무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 프리즘 시트와 시야각
도 5는 제1 기판의 외측면에만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경우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외측면 모두에 프리즘 시트들을 부착한 경우의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있어서, 샘플 I은 제1 기판의 외측면에만 프리즘 시트가 부착된 경우이며, 샘플 II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외측면 모두에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경우이다. 블루상 액정을 포함한 다른 셀 조건(d=10 ㎛, θi=24°)들은 모두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기판의 외측면에 프리즘시트가 부착되지 않은 셀은 경사입사각 시야각도에서의 휘도가 정면에서의 휘도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샘플 I에서 최고의 투과율을 보여주는 시야각은 θi=24°를 고려하였을 때 이론적으로 약 37.5°를 가지며,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샘플 II는 이와는 다르게 시야각이 커짐에 따라 휘도는 점진적으로 감소되었고, 정면 시야방향에서 가장 높은 휘도를 보여 주었다. 이는 제2 기판 외측면에 프리즘 시트가 제공되어 광을의 재굴절시켜 정면 휘도가 증가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6. 광 효율과 구동 전압
도 6은 기존의 IPS 셀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구동 PS-BPLC 셀의 프리즘 각도에 따른 전압-투과율 그래프이다. 상기 IPS 셀은 프리즘 시트들이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형태의 IPS PS-BPLC 셀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구동 PS-BPLC 셀은 프리즘 시트들의 프리즘 각도가 달리 설정되었다.
수직 전계 구동 PS-BPLC 셀의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리즘 각도(θp=64°)를 높인 2개의 프리즘 시트가 셀(d=10 ㎛)에 부착되었다. 이 경우에 PS-BPLC층으로 들어가는 빛의 입사각은 높아진 프리즘 각도로 인해 28°가 된다.
낮은 프리즘 각도를 가진 두 개의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d=10 ㎛, θp=54.7°)의 전압-투과율 커브와 일반적인 IPS 전극 구조에 의해 구동되는 PS-BPLC 셀(d=3 ㎛)의 전압-투과율 커브를 비교 하기 위해 한 그래프에 같이 구성하였다. IPS PS-BPLC 셀에서 수평 패턴 된 ITO 전극의 간격과 선 폭은 각각 3 ㎛와 4 ㎛이다.
두 개의 프리즘시트를 부착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압-투과율 커브를 비교하였을 때, 높은 프리즘 각도를 가진 두 개의 프리즘 시트가 부착된 셀의 포화된 투과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프리즘 각도를 가진 두 개의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셀보다 두 배 이상 높은 투과율을 보여주었다. 증가된 θp때문에 입사각이 24°에서 28°로 증가된 것을 고려하면 d(θi)는 d(θi=24°)=10.95㎛에서 d(θi=28°)=11.27 ㎛로 약 3% 가량 증가되었다.
도 7은 낮은 프리즘 각도와 높은 프리즘 각도를 가진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PS-BPLC 셀의 인가된 전압에 따른 전계-유도 Δneff와 Δneff·d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계-유도 Δneff(θi)는 0.0089에서 0.0133으로 약 48% 증가하였다. 이것은 증가된 θi를 이용함으로써 Δneff(θi)에서 유래된 광 효율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다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IPS PS-BPLC 셀과 낮은 프리즘 각도를 가진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압-투과율 커브를 비교하였을 때 두 셀의 포화된 투과율이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되었다. 하지만 낮은 구동 전압 범위에서는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투과율이 IPS PS-BPLC 셀보다 더욱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전계-유도 복굴절률이 비교적 낮은 구동전압에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체 부피 영역에 고르게 인가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체 위상지연차 값은 셀 갭을 통과하는 경사입사광을 따라 축적된다. 반면에 IPS PS-BPLC 셀에서는 낮은 구동전압에서는 제2 기판 부근에서의 커 효과가 불충분 하다.
반면에, 높은 프리즘 각도를 가진 프리즘 시트가 부착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은 포화된 투과율이 IPS PS-BPLC 셀 투과율의 두 배인 거의 68%에 가깝게 향상 되었다. IPS PS-BPLC 셀의 최고 이용 가능한 투과율은 IPS 전극 구조로 인한 낮은 개구율 때문에 43%이하로 제한되어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PS-BPLC 물질의 특성에 상관없이 IPS 전극 위부분에 전계가 약해 액정이 회전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무시해도 될 정도의 전계-유도 유효 위상지연차 값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IPS PS-BPLC 모드에서, IPS 전극 간격과 구동전압 사이의 관계는 필연적으로 상충관계에 포함된다. 같은 전극간격 조건하에 개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극의 폭은 반드시 좁아져야만 한다. 이것은 제품 수율에 강력하게 관련된 요소이다.
도 6의 포화된 투과율 영역에 있어서, 포화 투과율의 90%를 나타내기 위해 요구되어지는 인가 전압은 두 개의 프리즘 시트(θp=64°)를 부착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에서 약 43 V이며, IPS PS-BPLC 셀에서 약 64 V로서, 두 개의 프리즘 시트(θp=64°)를 부착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이 약 20 V로 더 낮은 구동 전압으로도 구동 됨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블루상 액정 보다 더 높은 커 상수 물질을 사용한다면 구동전압을 10 V(여기서 보여주는 구동전압의 1/4)에 가깝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6를 살펴보면, IPS PS-BPLC 셀이 가진 최고 투과율과 같은 값을 얻기 위해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에서 요구되는 구동전압은 단지 20 V 밖에 되지 않는다. 이것은 IPS PS-BPLC 셀의 구동전압보다 40 V 이상 더 낮은 것이다. 또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계를 인가하였을 때와 인가하지 않았을 때의 응답속도는 70V의 구동전압에서 각각 약 0.2 ms와 0.6 ms를 보여 주었다.
실시예 7. 이력 현상
도 8은 두 개의 프리즘 시트를 부착한 수직-전계-구동 PS-BPLC 셀(d=10 ㎛)과 기존의 IPS PS-BPLC 셀(전극 간격=3 ㎛, 전극 폭=4 ㎛, 셀 갭=3 ㎛)의 V-T 그래프로서, 일반적인 IPS PS-BPLC 셀의 이력현상과 2개의 프리즘 시트(θp=64°)를 부착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이력현상이 도시되었다.
도 8을 참조하면 IPS PS-BPLC 셀의 전압-투과율 커브에서 일반적인 이력 특성은 최고 투과율의 90% 지점에서 스위핑 전압(Vp)에 대해 ΔV~8 V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ΔV는 이력 전압으로서, 최고 투과율의 중간 지점에서 전압의 차이에 의해 정의된다. 여기서 정점 스윕 전압(Vp)과 ΔV의 비는 ΔV/Vp~12.7%이다. 63 V의 같은 정점 스윕 전압에서,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도 ΔV~3 V와 ΔV/Vp~4.7%의 이력현상을 나타내었는 바, 이력현상이 효율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점 스윕 전압이 40 V일 때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과 IPS PS-BPLC 셀의 뚜렷한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IPS PS-BPLC셀의 전압-투과율 커브는 여전히 ΔV~3.5 V의 이력현상을 보여주었으나,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증가/감소 전압 스윕에서 거의 동일한 전압-투과율 커브를 보여주었는 바, 이는 전계 분포의 결과로 보인다. 수직전계 구동 셀에서 고른 전계가 형성 되지만, IPS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는 상대적으로 고르지 않다. 게다가, 일반적인 IPS PS-BPLC 모드에서는 극단적으로 높은 전계가 하부기판 근처에서 요구되며 매우 낮은 투과율 또한 나타낸다. 특히,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에서는 40 V의 구동전압에서 수직전계의 강도가 약 4 V/㎛이고 거의 60%의 투과율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IPS PS-BPLC 셀에서는 40 V의 구동전압에서 제1 기판 부근에서의 횡전계는 13.3 V/㎛이고 투과율은 25%이하였다. 이는 블루상 액정과 IPS 모드를 사용하여 이력현상 없이 구동하기 위해서는 구동전압이 12 V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IPS PS-BPLC 셀은 이력현상 없는 구동을 위한 임계 전압은 약 12 V로서 실험적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 12 V의 인가된 전압 이하에서 IPS PS-BPLC 셀의 투과율은 단지 약 3%를 나타내기 때문에 어떠한 의미는 부여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가 고른 전계 분포의 이점을 제공함으로서 뿐만 아니라 전계-유도 위상지연차 값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이력현상을 줄이는 것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9a 및 도 9b는 IPS PS-BPLC 셀과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압에 따른 ΔV/Vp값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도 8에서의 이력현상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IPS PS-BPLC셀에서는 12 V에서 ΔV/Vp값이 커지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은 40 V에서 ΔV/Vp값이 커졌고, 이는 앞의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IPS PS-BPLC 셀과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압에 따른 온-오프 응답 시간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a 및 도 10b을 참조하면, 구동 전압 조건에서 on time과 off time 둘 다 IPS PS-BPLC 셀보다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이 더 빠르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수직전계 구동 PS-BPLC 셀의 전체 액정 셀 영역에서 고른 전계가 걸리기 때문에 액정의 회전 각도가 더 작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BPLC : 블루상 액정 BS1 : 제1 베이스 기판
BS2 : 제2 베이스 기판 EL1 : 제1 전극
EL2 : 제2 전극 L : 광
LCM : 광 경로 변경 수단 POL1 : 제1 편광자
POL2 : 제2 편광자 SUB1 : 제1 기판
SUB2 : 제2 기판

Claims (15)

  1.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며 상기 제1 전극과 함께 수직 전계를 형성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제공된 블루상 액정층; 및
    상기 제1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전극에 대향하여 제공되며,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이 상기 수직 전계에 대해 상기 블루상 액정층에 경사지게 입사되도록 상기 입사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여 제공되며 상기 블루상 액정층을 투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 또는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광학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는 피라미드 형상을 갖는 광학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리즘 산들을 가지는 프리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리즘 산들을 가지는 프리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루상 액정층에에 대향되고, 상기 블루상 액정층에 제공되는 입사광을 제3 방향으로 편광하는 제1 편광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자는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자는 상기 제1 광 경로 변경 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루상 액정층에 대향하여 제공되고, 상기 블루상 액정층을 투과한 투과광을 상기 제3 방향과 수직한 제4 방향으로 편광하는 제2 편광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자는 상기 제2 광 경로 변경 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전극과 대향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자와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제공된 제1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 편광자와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제공된 제2 베이스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상 액정층은 체심 입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상 액정층은 고분자 안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10146289A 2011-07-13 2011-12-29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75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48,944 US8629968B2 (en) 2011-07-13 2012-01-1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7031209 2011-12-27
KR20117031209 2011-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618A true KR20130075618A (ko) 2013-07-05

Family

ID=4898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289A KR20130075618A (ko) 2011-07-13 2011-12-29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56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53B1 (ko) 2016-05-12 2016-09-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제독된 유황을 갖는 유황수를 이용한 친환경 어류 수생균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53B1 (ko) 2016-05-12 2016-09-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제독된 유황을 갖는 유황수를 이용한 친환경 어류 수생균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996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476137B2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386169B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Lee et al. Emerging vertical‐alignment liquid‐crystal technology associated with surface modification using UV‐curable monomer
US20100315585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lor
US2013012816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Cheng et al. Blue-phase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vertical field switching
TWI437331B (zh) 液晶顯示裝置
US2008025925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21528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H11142831A (ja) 高分子分散型液晶表示装置
TWI391759B (zh) 液晶顯示器及其製造方法
KR100887497B1 (ko)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콜레스테릭 블루상 액정을 이용한 프린지 인플레인 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소자
JP3072513B2 (ja) 高分子分散型液晶表示パネル
JPH09510300A (ja) 電気光学的カラーデバイス
KR20110039926A (ko) 광등방성 액정표시소자
JP2014186045A (ja) 液晶表示装置
US6950171B2 (en) Liquid crystal color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0712618B2 (en) Electrooptic device based on multiple domain scattering effect
KR20130075618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104472B1 (ko) 저전력 광등방성 액정표시소자
KR0163944B1 (ko) 유전율 이방성이 음이고 카이랄리티를 가지는 액정 혼합물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2005265953A (ja) 液晶表示素子
Cheng et al. 4.1: Distinguished Student Paper: Low‐Voltage and Hysteresis‐Free Blue‐Phase LCD with Vertical Field Switching
Li Polymer-stabilized Blue Phase Liquid Crystal Disp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