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838A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글로메라타 균주의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글로메라타 균주의 진단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4838A KR20130074838A KR1020110141907A KR20110141907A KR20130074838A KR 20130074838 A KR20130074838 A KR 20130074838A KR 1020110141907 A KR1020110141907 A KR 1020110141907A KR 20110141907 A KR20110141907 A KR 20110141907A KR 20130074838 A KR20130074838 A KR 201300748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ma
- lane
- strain
- primer
- glomer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수입 묘목류 및 종자에서의 검역병원균인 병자각균 포마 속 (Phoma sp.)을 고속으로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분류 및 동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PCR을 위한 적절한 PCR 사이클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20 30, 40 사이클 후 PCR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레인 1: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CBS162.78, 193bp), 레인 2: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CBS761.70, 222bp), 레인 3: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CBS761.70, 206bp), 레인 4: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CBS562.81, 180bp), 레인 5: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CBS108.62, 205bp), M: 100bp marker.
도 3은 PCR을 위한 적절한 주형 (Template) DNA 농도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CBS761.70, 222bp),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CBS761.70, 206bp),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 (CBS562.81, 180bp),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 (CBS108.62, 205bp)의 DNA를 배수별 (10배, 50배, 100배, 500배, 1000배)로 희석하여 PCR을 수행하여 낮은 농도에서의 검출능을 조사한 것이다. 레인 1: 1x 희석액, 레인 2: 10x 희석액, 레인 3: 50x 희석액, 레인 4: 100x 희석액, 레인 5: 500x 희석액, 레인 6: 1000x 희석액, M: 마커 (100bp 또는 25/100bp).
도 4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5 (PD-BTP1)를 이용하여 12개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CBS162.78, 193bp), 레인 2: 포마 속 (Phoma sp.)(KACC40355), 레인 3: 포마 속 (Phoma sp.)(KACC41362), 레인 4: 포마 속 (Phoma sp.)(KACC41841), 레인 5: 포마 속 (Phoma sp.)(KACC42405), 레인 6: 포마 속 (Phoma sp.)(KACC42444), 레인 7: 포마 속 (Phoma sp.)(KACC42445), 레인 8: 포마 속 (Phoma sp.)(KACC42479), 레인 9: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0333), 레인 10: 포몹시스 디오스피리 (Phomopsis diospyri)(KACC41009), 레인 11: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2446), 레인 12: 포몹시스 이포모에-바타타스 (Phomopsis ipomoeae-batatas)(KACC 43114).
도 5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4 (PE-BTP1)를 이용하여 12개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CBS761.70, 222bp), 레인 2: 포마 속 (Phoma sp.)(KACC40355), 레인 3: 포마 속 (Phoma sp.)(KACC41362), 레인 4: 포마 속 (Phoma sp.)(KACC41841), 레인 5: 포마 속 (Phoma sp.)(KACC42405), 레인 6: 포마 속 (Phoma sp.)(KACC42444), 레인 7: 포마 속 (Phoma sp.)(KACC42445), 레인 8: 포마 속 (Phoma sp.)(KACC42479), 레인 9: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0333), 레인 10: 포몹시스 디오스피리 (Phomopsis diospyri)(KACC41009), 레인 11: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2446), 레인 12: 포몹시스 이포모에-바타타스 (Phomopsis ipomoeae - batatas)(KACC 43114).
도 6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3 (PG-BTP1)를 이용하여 12개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포마 글로메라타 (P. glomerata)(KACC41361, 214bp); 2: Phoma sp.(KACC40355), 레인 3: 포마 속 (Phoma sp.)(KACC41362), 레인 4: 포마 속 (Phoma sp.)(KACC41841), 레인 5: 포마 속 (Phoma sp.)(KACC42405), 레인 6: 포마 속 (Phoma sp.)(KACC42444), 레인 7: 포마 속 (Phoma sp.)(KACC42445), 레인 8: 포마 속 (Phoma sp.)(KACC42479), 레인 9: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0333), 레인 10: 포몹시스 디오스피리 (Phomopsis diospyri)(KACC41009), 레인 11: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2446), 레인 12: 포몹시스 이포모에-바타타스 (Phomopsis ipomoeae - batatas)(KACC 43114).
도 7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2 (PL-BTP1)를 이용하여 12개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CBS562.81, 180bp), 레인 2: Phoma sp.(KACC40355), 레인 3: 포마 속 (Phoma sp.)(KACC41362), 레인 4: 포마 속 (Phoma sp.)(KACC41841), 레인 5: 포마 속 (Phoma sp.)(KACC42405), 레인 6: 포마 속 (Phoma sp.)(KACC42444), 레인 7: 포마 속 (Phoma sp.)(KACC42445), 레인 8: 포마 속 (Phoma sp.)(KACC42479), 레인 9: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0333), 레인 10: 포몹시스 디오스피리 (Phomopsis diospyri)(KACC41009), 레인 11: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2446), 레인 12: 포몹시스 이포모에-바타타스 (Phomopsis ipomoeae - batatas)(KACC 43114).
도 8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1 (PM-BTP1)를 이용하여 12개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CBS108.62, 205bp), 레인 2: 포마 속 (Phoma sp.)(KACC40355), 레인 3: 포마 속 (Phoma sp.)(KACC41362), 레인 4: 포마 속 (Phoma sp.)(KACC41841), 레인 5: 포마 속 (Phoma sp.)(KACC42405), 레인 6: 포마 속 (Phoma sp.)(KACC42444), 레인 7: 포마 속 (Phoma sp.)(KACC42445), 레인 8: 포마 속 (Phoma sp.)(KACC42479), 레인 9: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0333), 레인 10: 포몹시스 디오스피리 (Phomopsis diospyri)(KACC41009), 레인 11: 포몹시스 속 (Phomopsis sp.)(KACC42446), 레인 12: 포몹시스 이포모에-바타타스 (Phomopsis ipomoeae -batatas)(KACC 43114).
도 9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5 (PD-BTP1)를 이용하여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와 8개의 포마 속 (Phoma)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DW, 음성 대조군, 레인 2: 포마 데스트럭티바 (P. destructiva) (CBS162.78), 레인 3: 포마 트라케이필라 (Phoma tracheiphila)(KACC 45210), 레인 4: 포마 큐커비타세아룸 (P. cucurbitacearum)(KACC45215), 레인 5: 포마 플라시다 (P. flaccida)(KACC45216), 레인 6: 포마 펀지콜라 (P.fungicola) (KACC45217), 레인 7: 포마 링감 (P. lingam)(KACC45218), 레인 8: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KACC45220), 레인 9: 포마 마크도날디 (P. macdonaldii)(KACC45221), 레인 10: 포마 마크로스토마 (P. macrostoma var . macrostoma)(KACC 45222).
도 10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4 (PE-BTP1)을 이용하여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와 8개의 포마 속 (Phoma)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DW, 음성 대조군, 레인 2: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CBS761.70), 레인 3: 포마 트라케이필라 (Phoma tracheiphila)(KACC 45210), 레인 4: 포마 큐커비타세아룸 (P. cucurbitacearum)(KACC45215), 레인 5: 포마 플라시다 (P. flaccida)(KACC45216), 레인 6: 포마 펀지콜라 (P.fungicola) (KACC45217), 레인 7: 포마 링감 (P. lingam)(KACC45218), 레인 8: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KACC45220), 레인 9: 포마 마크도날디 (P. macdonaldii)(KACC45221), 레인 10: 포마 마크로스토마 (P. macrostoma var . macrostoma)(KACC 45222).
도 11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3 (PG-BTP1)을 이용하여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와 8개의 포마 속 (Phoma)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DW, 음성 대조군, 레인 2: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레인 3: 포마 트라케이필라 (Phoma tracheiphila)(KACC 45210), 레인 4: 포마 큐커비타세아룸 (P. cucurbitacearum)(KACC45215), 레인 5: 포마 플라시다 (P. flaccida)(KACC45216), 레인 6: 포마 펀지콜라 (P.fungicola) (KACC45217), 레인 7: 포마 링감 (P. lingam)(KACC45218), 레인 8: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KACC45220), 레인 9: 포마 마크도날디 (P. macdonaldii)(KACC45221), 레인 10: 포마 마크로스토마 (P. macrostoma var . macrostoma)(KACC 45222).
도 12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2 (PL-BTP1)를 이용하여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와 8개의 포마 속 (Phoma)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DW, 음성 대조군, 레인 2: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 (CBS 562.81), 레인 3: 포마 트라케이필라 (Phoma tracheiphila)(KACC 45210), 레인 4: 포마 큐커비타세아룸 (P. cucurbitacearum)(KACC45215), 레인 5: 포마 플라시다 (P. flaccida)(KACC45216), 레인 6: 포마 펀지콜라 (P.fungicola) (KACC45217), 레인 7: 포마 링감 (P. lingam)(KACC45218), 레인 8: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KACC45220), 레인 9: 포마 마크도날디 (P. macdonaldii)(KACC45221), 레인 10: 포마 마크로스토마 (P. macrostoma var . macrostoma)(KACC 45222).
도 13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1 (PM-BTP1)를 이용하여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와 8개의 포마 속 (Phoma) 균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M: 25/100 bp, 레인 1: DW, 음성 대조군, 레인 2: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 (CBS 108.62), 레인 3: 포마 트라케이필라 (Phoma tracheiphila)(KACC 45210), 레인 4: 포마 큐커비타세아룸 (P. cucurbitacearum)(KACC45215), 레인 5: 포마 플라시다 (P. flaccida)(KACC45216), 레인 6: 포마 펀지콜라 (P.fungicola) (KACC45217), 레인 7: 포마 링감 (P. lingam)(KACC45218), 레인 8: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KACC45220), 레인 9: 포마 마크도날디 (P. macdonaldii)(KACC45221), 레인 10: 포마 마크로스토마 (P. macrostoma var . macrostoma)(KACC 4522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1 내지 5를 이용하여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중 어느 하나와 비교 균주로서 3개의 필로스틱타 속 (Phyllosticta sp.) 균주에 대하여 실시한 PCR 결과를 나타낸다. M: 25/100bp, 레인 1: DW, 음성 대조군, 레인 2: 각각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레인 3: 필로스틱타 카피타렌시스 (Phyllosticta capitalensis)(KACC 45111), 레인 4: 필로스틱타 시트리아시아나 (Phyllosticta citriasiana)(KACC 45113), 레인 5: 필로스틱타 무사룸 (Phyllosticta musarum)(KACC 45114).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1 내지 5를 이용하여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중 어느 하나와 비교 균주로서 4종의 토양 병원균에 대하여 실시한PCR 결과를 나타낸다. M: 25/100bp, 레인 1: 각각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 레인 2: 푸사리움 속 (Fusarium sp.), 레인 3: 리조크토니아 속 (Rhizoctonia sp.), 레인 4: 피티움 속 (Pythium sp.), 레인 5: 피톱쏘라 속 (Phytophthora sp.)
도 16은 프라이머 세트 5 (PD-BTP1)를 이용하여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에 감염된 10가지의 치커리(Chicory), 카놀라(Canola), 알팔파 (Alfalfa), 당근(Carrot), 수수(Sorghum), 고추(Pepper), 토마토(Tomato), 보리(Wild rye), 벼(Rice), 야자(Palm) 종자에서의 프라이머 검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M: 15/7000bp, (-): 물, (+):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레인 1: 치커리(Chicory), 레인 2: 카놀라(Canola), 레인 3: 알팔파 (Alfalfa), 레인 4: 당근 (Carrot), 레인 5: 수수 (Sorghum), 레인 6: 고추 (Pepper), 레인 7: 토마토 (Tomato), 레인 8: 보리 (Wild rye), 레인 9: 벼 (Rice), 레인 10: 야자 (Palm seed).
도 17은 프라이머 세트 4 (PE-BTP1)를 이용하여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에 감염된 10가지의 치커리(Chicory), 카놀라(Canola), 알팔파 (Alfalfa), 당근(Carrot), 수수(Sorghum), 고추(Pepper), 토마토(Tomato), 보리(Wild rye), 벼(Rice), 야자(Palm) 종자에서의 프라이머 검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M: 15/7000bp, (-): 물, (+):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레인 1: 치커리(Chicory), 레인 2: 카놀라(Canola), 레인 3: 알팔파 (Alfalfa), 레인 4: 당근 (Carrot), 레인 5: 수수 (Sorghum), 레인 6: 고추 (Pepper), 레인 7: 토마토 (Tomato), 레인 8: 보리 (Wild rye), 레인 9: 벼 (Rice), 레인 10: 야자 (Palm seed).
도 18은 프라이머 세트 3 (PG-BTP1)를 이용하여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에 감염된 10가지의 치커리(Chicory), 카놀라(Canola), 알팔파 (Alfalfa), 당근(Carrot), 수수(Sorghum), 고추(Pepper), 토마토(Tomato), 보리(Wild rye), 벼(Rice), 야자(Palm) 종자에서의 프라이머 검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M: 15/7000bp, (-): 물, (+):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레인 1: 치커리(Chicory), 레인 2: 카놀라(Canola), 레인 3: 알팔파 (Alfalfa), 레인 4: 당근 (Carrot), 레인 5: 수수 (Sorghum), 레인 6: 고추 (Pepper), 레인 7: 토마토 (Tomato), 레인 8: 보리 (Wild rye), 레인 9: 벼 (Rice), 레인 10: 야자 (Palm seed).
도 19는 프라이머 세트 2 (PL-BTP1)를 이용하여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에 감염된 10가지의 치커리(Chicory), 카놀라(Canola), 알팔파 (Alfalfa), 당근(Carrot), 수수(Sorghum), 고추(Pepper), 토마토(Tomato), 보리(Wild rye), 벼(Rice), 야자(Palm) 종자에서의 프라이머 검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M: 15/7000bp, (-): 물, (+):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레인 1: 치커리(Chicory), 레인 2: 카놀라(Canola), 레인 3: 알팔파 (Alfalfa), 레인 4: 당근 (Carrot), 레인 5: 수수 (Sorghum), 레인 6: 고추 (Pepper), 레인 7: 토마토 (Tomato), 레인 8: 보리 (Wild rye), 레인 9: 벼 (Rice), 레인 10: 야자 (Palm seed).
도 20은 프라이머 세트 1 (PM-BTP1)를 이용하여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에 감염된 10가지의 치커리(Chicory), 카놀라(Canola), 알팔파 (Alfalfa), 당근(Carrot), 수수(Sorghum), 고추(Pepper), 토마토(Tomato), 보리(Wild rye), 벼(Rice), 야자(Palm) 종자에서의 프라이머 검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M: 15/7000bp, (-): 물, (+):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 레인 1: 치커리(Chicory), 레인 2: 카놀라(Canola), 레인 3: 알팔파 (Alfalfa), 레인 4: 당근 (Carrot), 레인 5: 수수 (Sorghum), 레인 6: 고추 (Pepper), 레인 7: 토마토 (Tomato), 레인 8: 보리 (Wild rye), 레인 9: 벼 (Rice), 레인 10: 야자 (Palm seed).
도 21은 포마 메디카지니스 (Phoma medicaginis), 포마 로티콜라 (Phoma loticola),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포마 엑시구아 (Phoma exigua), 포마 데스트럭티바 (Phoma destructiva)의 접종 농도 (1x105, 1x104, 1x103, 1x102, 1x101 cfu/ml)에 따른 검출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M: 15/7000bp, 레인 1, 6, 11, 16, 21: 1x105 cfu/ml, 레인 2, 7, 12, 17, 22: 1x104 cfu/ml, 레인 3, 8, 13, 18, 23: 1x103 cfu/ml. 레인 4, 9, 14, 19, 24: 1x102 cfu/ml, 레인 5, 9, 14, 19, 25: 1x101 cfu/ml.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PCR 수행 과정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개발프리믹스 키트에서의 5종의 프라이머별 검출능을 검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M, 마커; 1, 양성대조구; 2, 사과묘목에서 추출한 DNA; 3, 음성대조구; 4, DW(증류수)
프라이머 세트 |
서열번호 |
서열 (5'→3') |
scale
(μ mol ) |
bp |
1 | 1 | CAC CAC GAC AAT CAC CAT GCA CCA GCA G | 0.2 | 205 |
2 | CAC AGT TCG TTG TAA TAG AGC GTG TCA GTT | 0.2 | ||
2 | 3 | TGT TTA CCA ACA ACA ACT AAC AAC GGC CA | 0.2 | 180 |
4 | CTT CGA AGA GCG TGT CAA TTA | 0.2 | ||
3 | 5 | TAA CCT TCT CAT GTC GGC GGC A | 0.2 | 214 |
6 | T AGA AGC GGT CAG CAC TCG CAG TCC GTC TGA | 0.2 | ||
4 | 7 | GTA AGT ACA CAT YTA MTG TAT TCT CTC GTY GYC ATC CG | 0.2 |
206
222 |
8 | TGTAT TCTCT CGTCG CCATC CG | 0.2 | 206 | |
9 | GGTCA GCACT CGCAG TCCGT C | 0.2 | 222 | |
5 | 10 | AACAG CCAGC TCACA ATTGA CAGGG | 0.2 | 193 |
11 | G GTCAG CACTC GCAGT CCGTC | 0.2 |
Claims (4)
-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갖는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갖는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지는,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 제1항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여 포마 속 (Phoma sp.) 균주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균주의 검출방법.
- 제2항에 있어서,
a) 검색 시료를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검색 시료 및 제1항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중합효소연쇄반응의 증폭산물을 분석하여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균주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균주의 검출방법.
-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마 글로메라타 (Phoma glomerata) 검출용 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1907A KR101429185B1 (ko) | 2011-12-26 | 2011-12-26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글로메라타 균주의 진단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1907A KR101429185B1 (ko) | 2011-12-26 | 2011-12-26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글로메라타 균주의 진단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4838A true KR20130074838A (ko) | 2013-07-05 |
KR101429185B1 KR101429185B1 (ko) | 2014-08-14 |
Family
ID=4898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1907A Active KR101429185B1 (ko) | 2011-12-26 | 2011-12-26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글로메라타 균주의 진단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918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67468A (zh) * | 2013-11-29 | 2014-03-26 | 宁波检验检疫科学技术研究院 | 葡萄茎枯病菌的实时荧光pcr检测试剂及检测方法 |
-
2011
- 2011-12-26 KR KR1020110141907A patent/KR101429185B1/ko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67468A (zh) * | 2013-11-29 | 2014-03-26 | 宁波检验检疫科学技术研究院 | 葡萄茎枯病菌的实时荧光pcr检测试剂及检测方法 |
CN103667468B (zh) * | 2013-11-29 | 2015-09-23 | 宁波检验检疫科学技术研究院 | 葡萄茎枯病菌的实时荧光pcr检测试剂及检测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9185B1 (ko) | 2014-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trayer et al. | A multiplex real-time PCR assay differentiates four Xanthomonas species associated with bacterial spot of tomato | |
CN106987653B (zh) | 一种马铃薯晚疫病菌lamp检测引物及其可视化检测方法 | |
CN110982922B (zh) | 基于lamp快速检测水稻恶苗病病原菌藤仓镰孢菌的引物组合物及方法 | |
Li et al. | Specific and sensitive detection of Phytophthora nicotianae by nested PCR and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s | |
Katoh et al. | Rapid detec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infected strawberry plants using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 |
CN103667468B (zh) | 葡萄茎枯病菌的实时荧光pcr检测试剂及检测方法 | |
Guan et al. | A TaqMan-based real time PCR assay for specific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Xylella fastidiosa strains causing bacterial leaf scorch in oleander | |
Qiao et al. | Development of nested PCR, multiplex PCR, and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s for rapid detection of Cylindrocladium scoparium on Eucalyptus | |
Singh et al. | First report of mixed infection of phytoplasmas and begomoviruses in eggplant in India | |
KR20210050703A (ko) | Acidovorax citrulli 균주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애시도보락스 시트룰리 균주 검출방법 | |
KR101429185B1 (ko)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글로메라타 균주의 진단 방법 | |
KR101429188B1 (ko)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엑시구아 균주의 진단 방법 | |
Zhang et al. | Development of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assay for the rapid detection of Alternaria alternata | |
KR101429190B1 (ko)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데스트럭티바 균주의 진단 방법 | |
KR101429182B1 (ko)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로티콜라 균주의 진단 방법 | |
KR101429175B1 (ko) | Pcr을 이용한 병자각균 포마 메디카지니스 균주의 진단 방법 | |
Hamada et al. | Rapid detection of Fusarium graminearum complex in wheat seeds using species-specific PCR primer designed based on a microsatellite region | |
CN104513853B (zh) | 桃褐腐菌抗dmi类杀菌剂的田间检测试剂盒 | |
KR20150074845A (ko) | Xanthomonas campestris pv. lespedezae 검출용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 제조 방법 | |
KR102003917B1 (ko) | 필로스틱타 드라코니스를 특이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 |
KR20150075894A (ko) | Xanthomonas axonopodis pvs. dieffenbachiae, manihotis 또는 phyullanthi 검출용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 제조 방법 | |
CN113789401B (zh) | 环介导等温扩增法检测烟草疫霉菌的引物及其检测方法 | |
Tonka et al. | Development of loop 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for rapid species detection of Armillaria ostoyae using assimilating probe. | |
Franova et al. |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toplasmas infecting apple trees in Czech Republic during 2010 | |
Bandakkanavara et al. | Molecula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na Aster (Callistephus chinensis L. Nees.) Phyllody Phytoplasm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6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2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05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05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