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189A -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 Google Patents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189A
KR20130074189A KR1020110142110A KR20110142110A KR20130074189A KR 20130074189 A KR20130074189 A KR 20130074189A KR 1020110142110 A KR1020110142110 A KR 1020110142110A KR 20110142110 A KR20110142110 A KR 20110142110A KR 20130074189 A KR20130074189 A KR 20130074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anel
terminal
detection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3316B1 (ko
Inventor
박기주
김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에너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에너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1014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3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변전 설비를 구성하는 전송로의 노출된 충전부에 설치되어 전기의 통전 여부,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설치된 위치에서 통전여부 및 온도 범위를 표시함과 아울러, 감지결과를 무선으로 외부 패널 또는 제어실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설비의 세밀한 동작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는 전력선의 통전여부와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따른 상기 전력선의 통전상태와 온도 상태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표시하며, 상기 통전여부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한 동작상태정보를 작성하는 검출단말; 및 상기 검출단말과 별도로 설치되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검출단말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동작상태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단말이 설치된 상기 전력선의 상기 통전상태와 상기 온도상태를 패널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표시하는 검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Multi-dsiplay Detector For Power Equipment}
본 발명은 전력 설비의 충전로에 설치되어 충전로의 동작상태를 감지 및 표시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변전 설비를 구성하는 전송로의 노출된 충전부에 설치되어 전기의 통전 여부,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설치된 위치에서 통전여부 및 온도 범위를 표시함과 아울러, 감지결과를 무선으로 외부 패널 또는 제어실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설비의 세밀한 동작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 소비가 많은 대형 빌딩, 공장, 지역에서는 전력계통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수배전설비(또는 수변전설비)가 시설된다. 이러한 수변전설비는 송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압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수용가에서 사용가능한 저압 또는 재분배를 위해 송전전압에 비해 낮은 전압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변전설비는 일반적으로 옥외든 옥내든 별도의 케이스 내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도록 하여, 고압 설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 내부에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전송로에 연결되는 각종 개폐기, 차단기, 퓨즈, 변압기 등이 연결되고, 케이스 내부에서 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한 뒤 고압과 구분되는 전송로를 통해 외부로 저압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수변전설비는 안정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 장치 및 감지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들이 이용된다. 특히, 이러한 감지 및 표시장치 중 통전표시장치(또는 활선표시장치)는 전기가 통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충전된 전송로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부주의로 인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감지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수변전 설비의 경우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 경우 고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감지장치들 중 일부는 설치위치에서 설치된 기구, 전송로의 이상여부를 직접 표시토록 하거나, 케이스의 외부면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을 통해 이상여부를 알리도록 하고 있다. 이로인해, 종래의 감지장치들 특히, 통전표시장치, 온도센서들의 확인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반드시 감지장치의 표시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감지장치의 경우 단순 점등, 비프음 발생으로 인해 수전설비의 상태를 세밀하게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변전 설비를 구성하는 전송로의 노출된 충전부에 설치되어 전기의 통전 여부,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설치된 위치에서 통전여부 및 온도 범위를 표시함과 아울러, 감지결과를 무선으로 외부 패널 또는 제어실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설비의 세밀한 동작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는 전력선의 통전여부와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따른 상기 전력선의 통전상태와 온도 상태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표시하며, 상기 통전여부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한 동작상태정보를 작성하는 검출단말; 및 상기 검출단말과 별도로 설치되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검출단말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동작상태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단말이 설치된 상기 전력선의 상기 통전상태와 상기 온도상태를 패널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표시하는 검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출단말 또는 상기 검출패널은 상기 전력선의 온도상태 또는 상기 통전상태에 따라 어느 한 색이 점등되는 다색표시부에 의해 상기 전력선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검출단말은 복수로 구성되고, 다상 전력선의 각 상에 설치되며, 상기 검출패널은 상기 각 상의 동작상태를 각각 표시한다.
상기 검출단말 또는 상기 표시단말은 상기 전력선이 통전상태에서 정상 온도범위인 경우 녹색, 상기 전력선이 통전상태에서 주의 온도범위인 경우 황색, 상기 전력선이 단전되거나 위험온도 범위인 경우 적색으로 상기 표시부를 점등한다.
상기 검출단말은 상기 전력선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상기 전력선에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단말전원부; 상기 단말전원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통전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전력선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전력선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작성하는 단말제어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점등하여 상기 전력선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검출패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말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출단말은 상기 동작상태정보의 임시저장을 위한 메모리; 상기 단말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충전하여 저장하는 충전부; 및 상기 전력선의 단선시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단말제어부, 상기 출력부, 상기 단말 통신부에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출패널은 상기 검출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는 패널통신부; 상기 동작상태정보에 따른 상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패널출력부; 상기 패널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동작상태정보에 의해 상기 패널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패널제어부; 및 상기 패널통신부, 상기 패널출력부, 상기 패널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출단말 또는 상기 검출패널은 상기 전력선이 단전되거나 위험온도 범위인 경우 음향에 의한 알람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는 수변전 설비를 구성하는 전송로의 노출된 충전부에 설치되어 전기의 통전 여부, 온도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설치된 위치에서 통전여부 및 온도 범위를 표시함과 아울러, 감지결과를 무선으로 외부 패널 또는 제어실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설비의 세밀한 동작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수변전 설비의 외부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 및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표시 검출기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3의 검출단말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예시도.
도 5는 도 3의 검출패널 구성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구성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표시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은 수변전 설비의 외부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 및 배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변전 설비는 고전압 설비가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관리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폐쇄형 박스 형태로 이용된다. 이러한 수변전 설비는 케이스(10) 내부에 전력설비가 설치된다. 케이스(10)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3)과, 내부와 외부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함(14) 및 내부 동작 상태의 확인과 조절이 가능하도록 컨트롤패널(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형성되어 정비, 점검 시 내부로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접지 연결 등을 위한 단자함(14)이 마련된다.
그리고 케이스(10) 내부에는 개폐기, 퓨즈, 변압기와 같은 수변전 장치들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압선로가 케이스(10)의 내부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50)와 퓨즈(50)에 연결되고, 계기용변압기(70)를 거쳐 변압기(80)에 연결된다. 그리고, 변압기(80)를 통해 변압된 전력은 차단기(90)를 거쳐 부하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전력설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부스바(또는 버스바, Bus-bar : 98) 또는 전력케이블(99)이 이용된다. 이러한 부스바(98)와 전력케이블(99)(여기서, 이하에서는 부스바와 전력케이블을 통칭하여 '전력선'으로 통칭하기로 한다.)은 수변전 설비가 정상동작 하는 동안 변압기(70, 80), 개폐기(50) 등과 마찬가지로 고전압이 도통(또는 충전)된 상태로 유진된다.
아울러,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중표시 검출기는 이와 같은 전력선(98, 99)에 결합되어, 전력선(98, 99) 도통여부와 온도를 검출하여 이상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중표시 검출기에 대해서는 도 3 및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표시 검출기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표시 검출기는 검출단말(100)과 검출패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출단말(100)은 전력설비의 전력선(98, 99) 특히, 통전여부와 온도의 상승을 감지하고자 하는 전력선(98,99)에 부착되어, 부착된 전력선(98, 99)의 통전 여부와 온도에 의한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동작상태 정보를 검출패널(20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단말(100)은 전력선(98, 99)으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또한, 검출단말(100)은 전력선(98, 99)의 온도를 측정하여, 도통 여부와 온도에 따른 동작상태를 출력하여 관리자가 전력선(98, 99) 및 전력설비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검출단말(100)은 전력선(98, 99)에 전력이 공급되면, 전자기유도에 의해 자체전원을 생산하여 동작을 하며, 이를 통해 전력선(98, 99)의 전력 공급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검출단말(100)은 전력 공급에 따라 동작하여 전력선(98, 99)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따라 정상, 주의, 위험 상태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특히, 검출단말(100)는 단상 전력선(98, 99)에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삼상 전력선(98, 99) 각각에 설치되어, 각 상의 통전상태와 온도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는 검출패널(200)로 무선으로 전송되어, 검출단말(100)과 검출패널(200)이 같은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검출단말(100)은 단말본체(110)와 단말본체(110)에 구성되는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본체(110)는 검출단말(100)을 전력선(98, 99)에 부착할 수 있도록 플랜지(111)와 결합홀(112)이 형성되고, 결합홀(112)에 케이블 타이, 밴드와 같은 결합부재를 결합시켜 전력선(98, 99)에 설치하게 된다. 표시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지만, 통전 및 상태에 대한 시인성이 양호하도록 3색에 의해 구분된다. 도 3에 도시된 표시부(120)는 삼색에 의해 전력선(98, 99)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 녹색(121), 황색(122) 및 적색(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녹색(121)은 전력선(98, 99)에 전력이 공급되며, 온도가 안정범위일 때 점등되고, 황색(122)은 전력선(98, 99)에 전력이 공급되며 온도가 주의범위일 때 점등된다. 또한, 적색(123)은 전력선(98, 99)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위험범위일 때 또는 전력선(98, 99)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전력선(98, 99)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는 충전된 전원에 의해 적색(123)이 점등되도록 하여 전력선(98, 99) 및 전력선(98, 99)에 연결된 전력 설비의 동작상태를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검출단말(100)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충전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비상상태 즉, 위험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검출패널(200)은 검출단말(100)로부터 동작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검출패널(200)은 관리자가 검출패널(200)을 확인하기 용이한 곳 예를들어, 케이스(10)의 외면, 도어(12)와 같은 곳에 설치되어 무선으로 검출단말(100)로부터 동작상태정보를 제공받는다. 검출패널(200)은 하나 이상의 검출단말(100) 특히, 각 상 별로 설치되는 검출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관리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동작상태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일례로, 도 3에는 삼상 전력선의 각 상에 설치된 3개의 검출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패널표시부(220)를 가지는 검출패널(200)이 도시되어 있다. 검출패널(200)은 패널본체(210)에 3상 각각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21, 222, 223)가 구성될 수 있다. 검출패널(200)의 패널표시부는 R상표시부(221), S상표시부(222) 및 T상표시부(223) 각각에 대한 동작상태를 표시하며, 검출단말(100)과 같이 녹색, 황색, 적색에 의해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검출패널(200)의 패널표시부(220)는 각각 R상 전력선(98, 99)에 부착된 검출단말(100), S상 및 T상에 부착된 검출단말(100)과 실시간으로 동일한 동작상태 정보 즉, 동일한 색이 점등됨으로써, 검출단말(100)에 의해 전달되는 동작상태정보를 관리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된다. 한편, 패널표시부(220)의 하단에는 검출단말(100)과의 통신상태, 알람 유무, 패널전원의 정상입력 여부 등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서브표시부(22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 검출패널(200)은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어, 동일한 정보를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검출단말(100)과 검출패널(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검출단말(100)은 다상 전력설비 중 어느 한 상의 통전 및 온도검출을 위해 전력선(98, 99)에 부착되어 설치된다. 이후, 동작을 시작하면 검출단말(100)은 전력선(98, 99)의 온도와 통전을 감지하여 동작상태정보를 표시부(120)의 점등을 통해 출력함과 아울러, 작성된 동작상태정보를 검출패널(200)과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검출패널(2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검출단말(100)이 설치된 전력선에 전기가 공급되는 상태이고, 온도는 안정범위 예를들어, 55도씨 이하의 온도로 전력선(98, 99)의 온도가 유지되면, 검출단말(100)의 표시부 중 녹색 표시부(121)가 점등되어 유지된다. 이와 함께 검출패널(200)의 패널표시부(220)에도 녹색 표시부가 점등된다. 이때, 검출단말(100)이 R상의 통전 및 온도를 감지하는 검출단말(100)이면 R상 표시부(221)의 녹색 표시부가 점등되어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동작중에 전력선(98, 99) 이상, 전력설비 이상과 같은 고장 발생으로 인해 전력선(98, 99)의 온도가 상승하면, 예를 들어 섭씨 55도 초과 섭시 85도 이하의 범위로 온도가 상승하면, 검출단말(100)은 녹색 표시부(121)를 소등하고, 황색표시부(122)를 점등하게 된다. 아울러, 검출패널(200)도 검출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동작상태정보에 따라 R상 표시부(221)의 녹색 표시부를 소등하고, 황색 표시부를 점등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비프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전력선(98, 99)의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검출단말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출단말(100)은 온도센서(310), 단말전원부(320), 충전부(330), 전원제어부(340), 단말제어부(350), 메모리(360), 출력부(370) 및 단말통신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도센서(310)는 검출단말(100)이 설치된 전력선(98, 99)의 온도를 검출하여 온도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온도정보를 단말제어부(350)에 전달한다.
단말전원부(320)는 검출단말(100)이 설치된 전력선(98, 99)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검출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검출단말(100)의 각 구성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단말전원부(32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유도기(321)와 유도기(321)에 의해 생성된 교류전력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기(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전부(330)는 정류기(326)를 통해 정류된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을 전원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공급한다.
전원제어부(340)는 정류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단말제어부(350), 출력부(370) 및 단말통신부(380)에 전달한다. 특히, 전원제어부(340)는 전력선(98,99)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은 정류기(326)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단말제어부(350), 출력부(370) 및 단말통신부(380)에 전달하고, 전력선(98,99)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충전부(330)의 전력을 단말제어부(350), 출력부(370), 단말통신부(380)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전원제어부(340)는 전력선(98, 99)에 전력 공급이 끊기더라도 일정시간동안 전력선(98, 99)의 고장 또는 위험을 관리자에게 표지할 수 있게 된다.
단말제어부(350)는 온도센서(310)로부터 제공되는 온도정보와, 단말전원부(3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선(98, 99)의 통전여부, 동작 온도를 확인하여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출력부(370)를 통해 동작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단말제어부(350)는 단말통신부(380)를 통해 동작상태 정보를 검출패널(200)에 전달한다. 한편, 단말제어부(350)는 메모리(360)에 저장된 온도 범위 정보를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정보와 비교하여, 전력선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정상, 주의, 위험 구간으로 나누어 출력부(370)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메모리(360)는 검출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정보와, 전력선(98, 99)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범위정보가 저장된다.
출력부(370)는 단말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동작상태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3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황색, 적색 점등에 의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제어부(150)로부터의 점등신호에 따라 녹색, 황색, 적색 표시부(121 내지 123)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하게 된다.
단말통신부(180)는 검출패널(200)과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단말제어부(350)로부터 전달되는 동작상태정보를 통신채널을 통해 검출패널(200)에 전달한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80)는 동작상태가 변경된 경우, 즉 전력선(98, 99)의 온도가 정상 범위, 주의 범위, 위험범위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거나, 전력의 공급이 중단 또는 재개된 경우에만 검출패널(2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동작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통신부는 블루투스, 지그비, RS485 통신과 같이 저전력, 다수 장치 간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검출패널 구성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출패널(200)은 패널통신부(410), 패널제어부(420), 패널출력부(430) 및 패널전원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통신부(410)는 검출단말(100)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검출단말(100)로부터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패널통신부(410)는 검출단말(100)과 주기적으로 통신채널을 형성하거나, 통신채널을 실시간으로 유지하여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패널제어부(420)는 패널통신부(410)로부터 동작상태정보를 전달받아 패널출력부(43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패널제어부(420)는 복수의 검출단말(100)로부터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 검출단말(100)의 동작상태정보를 이에 대응되는 패널표시부(220)를 통해 출력하도록 각 동작상태정보를 구분하게 된다. 예를 들어, R상 검출단말(100)로부터 동작상태정보가 수신되면, 패널제어부(420)는 수신된 동작상태정보를 발신한 검출단말(100)을 확인하거나, 해당 동작 상태정보가 어느 상의 동작상태정보인지 확인한 후, 해당 상의 동작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패널표시부(220)를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패널표시부(220)를 통해 동작상태정보가 출력되도록 패널출력부(430)를 제어하게 된다.
패널출력부(430)는 패널제어부(420)를 통해 동작상태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패널출력부(430)는 도 3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상, 각 검출단말 별로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220)가 마련된다. 한편, 패널출력부(430)는 검출단말(100)과 같이 녹, 황, 적으로 표시되는 점등표시 외에도 비프음 등 알람음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널전원부(440)는 검출패널(2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 패널전원부(440)는 전력선(98, 9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어려운 위치에 시설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충전 전원,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11 : 컨트롤패널 12 : 도어
13 : 투시창 14 : 단자함 50 : 자동개폐기
60 : 퓨즈 70 : 계기용 변압기 80 : 변압기
90 : 차단기 98 : 버스바 99 : 전력케이블
100 : 검출단말 110 : 단말본체 111 : 플랜지
112 : 결합홀 120 : 표시부 121 : 녹색표시부
122 : 황색표시부 123 : 적색표시부 200 : 검출패널
210 : 패널본체 220 : 패널표시부 221 : R상표시부
222 : S상표시부 223 : T상표시부 224 : 서브표시부
310 : 온도센서 320 : 단말전원부 321 ; 유도기
326 : 정류기 330 : 충전부 340 : 전원제어부
350 : 단말제어부 360 : 메모리 370 : 출력부
380 : 단말통신부 410 : 패널통신부 420 : 패널제어부
430 : 패널 출력부 440 : 전원부

Claims (8)

  1. 전력선의 통전여부와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따른 상기 전력선의 통전상태와 온도 상태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표시하며, 상기 통전여부 및 온도 정보를 포함한 동작상태정보를 작성하는 검출단말; 및
    상기 검출단말과 별도로 설치되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검출단말로부터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동작상태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단말이 설치된 상기 전력선의 상기 통전상태와 상기 온도상태를 패널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표시하는 검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말 또는 상기 검출패널은
    상기 전력선의 온도상태 또는 상기 통전상태에 따라 어느 한 색이 점등되는 다색표시부에 의해 상기 전력선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말은
    복수로 구성되고, 다상 전력선의 각 상에 설치되며,
    상기 검출패널은 상기 각 상의 동작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말 또는 상기 표시단말은
    상기 전력선이 통전상태에서 정상 온도범위인 경우 녹색, 상기 전력선이 통전상태에서 주의 온도범위인 경우 황색, 상기 전력선이 단전되거나 위험온도 범위인 경우 적색으로 상기 표시부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말은
    상기 전력선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상기 전력선에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단말전원부;
    상기 단말전원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통전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전력선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온도 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전력선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작성하는 단말제어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점등하여 상기 전력선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검출패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말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말은
    상기 동작상태정보의 임시저장을 위한 메모리;
    상기 단말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충전하여 저장하는 충전부; 및
    상기 전력선의 단선시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단말제어부, 상기 출력부, 상기 단말 통신부에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패널은
    상기 검출단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동작상태정보를 수신하는 패널통신부;
    상기 동작상태정보에 따른 상기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패널출력부;
    상기 패널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동작상태정보에 의해 상기 패널출력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패널제어부; 및
    상기 패널통신부, 상기 패널출력부, 상기 패널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말 또는 상기 검출패널은
    상기 전력선이 단전되거나 위험온도 범위인 경우 음향에 의한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KR1020110142110A 2011-12-26 2011-12-26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KR101303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110A KR101303316B1 (ko) 2011-12-26 2011-12-26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110A KR101303316B1 (ko) 2011-12-26 2011-12-26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189A true KR20130074189A (ko) 2013-07-04
KR101303316B1 KR101303316B1 (ko) 2013-09-03

Family

ID=4898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110A KR101303316B1 (ko) 2011-12-26 2011-12-26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599A (ko) * 2019-10-10 2021-04-20 한국전력공사 활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3222A (ko) * 2019-10-11 2021-04-21 한국전력공사 시험용 단자대 디지털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변압기 보호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406B1 (ko) 2013-09-10 2014-04-17 주식회사 이테크 부스바 표면 온도 감지용 무선형 온도센서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767U (ko) * 2008-02-27 2009-09-01 한국중부발전(주) 분산제어설비
KR20100025937A (ko) * 2008-08-28 2010-03-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전반 온도 모니터링 장치
KR100880440B1 (ko) * 2008-10-31 2009-01-29 주식회사 아이파워 수배전반의 전력 케이블 감시장치 및 방법
KR101064867B1 (ko) * 2010-12-17 2011-09-15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안전관리 및 인공지능형 음성경보장치와 2차원 온도센싱 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및 mcc,분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599A (ko) * 2019-10-10 2021-04-20 한국전력공사 활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3222A (ko) * 2019-10-11 2021-04-21 한국전력공사 시험용 단자대 디지털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변압기 보호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316B1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5217B2 (ja) 無線分岐回路エネルギー監視システム
KR101412711B1 (ko)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JP5249647B2 (ja) 遠隔検針システム
KR101334306B1 (ko) 아크 플래시 감지를 통해 차단 기능을 가지는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US2012014037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Quantity of Energy in Said Supply Device for Consumer
JP5153959B1 (ja) エネルギ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CN104201571A (zh) 用于干式变压器防误操作的接地保护机构
KR101008956B1 (ko) 계통설비별 색상정보를 이용한 변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5845B1 (ko) 자가발전 무선온도 진단장치
KR20140014747A (ko)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복합 센서
KR20120138145A (ko)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에너지 관리기능을 갖는 지능형 분전반
KR20130003531A (ko) 차단기 결합용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선이상 정보 검출 시스템
KR101303316B1 (ko)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JP2014039364A (ja) 給電制御装置
KR101208579B1 (ko) 배전반 감시 및 알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감시 및 알림 방법
US20120022813A1 (en) End user electricity network, use, method and assembly
KR101376214B1 (ko) 무정전 피크제어 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감시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케이블 덕트 취부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20180054246A (ko) IoT 기반의 실시간 원격감시가 가능한 과부하를 포함하는 아크겸용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장치
KR101658705B1 (ko) 무정전 2모선수변전설비
KR20080092718A (ko) 전원분배장치 전용 분전함
KR101627780B1 (ko) 가공 송전선로 및 변전소기기 접속부 과열경보장치
KR100991417B1 (ko) 누설전류의 상시 검출이 가능한 접지 단자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0555926B1 (ko) Plc 모뎀을 이용한 다목적 배전자동화 시스템
KR101274166B1 (ko) 수용가 인입선로의 위상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2069A (ko) 지능형 분전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