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743A - 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 Google Patents

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743A
KR20130073743A KR1020110141750A KR20110141750A KR20130073743A KR 20130073743 A KR20130073743 A KR 20130073743A KR 1020110141750 A KR1020110141750 A KR 1020110141750A KR 20110141750 A KR20110141750 A KR 20110141750A KR 20130073743 A KR20130073743 A KR 20130073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 unit
unit
walking aid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42009B1 (en
Inventor
송원경
김경
손량희
이정수
김종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11014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009B1/en
Publication of KR2013007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7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4Accelera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92Optical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A61H2230/625Pos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Abstract

PURPOSE: An active walking and standing-up frame and a method of supporting walking and standing-up are provided to correspond according to the movement state of a user,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being damaged. CONSTITUTION: An active walking and standing-up frame (10) consists of a main body unit, a sensor unit (100), a control unit (110), and a driving unit (120). The main body unit consists of a walk supporting frame, a support, and a plurality of wheels. The support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k supporting frame, and a user applies the weight to the support with arms. The wheels are arranged under the frame. The sensor unit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unit in order to measure the movement state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analyzes data about the state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and generates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riving unit drives the active walking and standing-up frame based on the control signals. A method of supporting walking and standing-up using the active walking and standing-up frame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state of the use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user; and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driving an active walk supporting function or an active stand supporting function. [Reference numerals] (100) Sensor unit; (110) Control unit; (120) Driving unit; (130) Warning unit

Description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방법{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본 발명은 능동형 보행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감지하여 대응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형 보행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walking aid and an active walking ai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ive walking aid and an active walking aid method for preventing a user's damage by detecting a user's exercise state and performing a corresponding action. .

보행보조기는 하지의 일상생활 동작을 보조하는 안전장치이다. The walking aid is a safety device that assists the daily operation of the lower limbs.

보행보조기는 수동형 보행보조기와 능동형 보행보조기로 구분할 수 있다. The walking aid can be classified into a passive walking aid and an active walking aid.

도 1은 종래의 수동형 보행보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anual walking aid.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인 보행보조기의 구성은 사용자가 기대기 위한 지지대가 보행보조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한 차륜이 배치되는 형태를 띠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basic walk brac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upport for a user to lean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lker assist frame, and a wheel for ease of movement is disposed below the frame.

그런데, 도 1에서 나타낸 수동형 보행보조기의 경우에는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가 이를 경사면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보행보조기와 사용자 간 거리가 멀어지면서 사용자가 넘어져 부상을 입는 등의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assive walking aid shown in FIG. 1, when the user who is uncomfortable to use it on an inclined surface or the like walks away from the walking aid and the user, an accident such as a user falls and injuries often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행보조기의 동작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몇 가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ome techniques related to a walking aid for a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aid have been proposed.

예컨대, 사용자를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통하여 보행용 재활훈련기의 주행 속도 및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자(보행 장애인)와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사용자가 보행보조기(재활훈련기)에 항상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보행보조기에 신체가 구속됨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부상의 정도가 오히려 더 심해지는 문제도 있었다. For example, there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walking aid that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from a user (walking disabled) by adjusting the traveling speed and direction of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er through a connecting means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user. However, this form has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should always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walking aid (rehabilitation train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injury is more severe when an accident occurs as the body is bound to the walking aid.

다른 기술로는 사용자로부터 지지대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통하여 보행보조기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단순히 지지대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만으로 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보행보조기와 사용자 간 거리가 멀어지거나 보행보조기와 사용자의 신체가 따로 움직이는 등의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없어 사용자의 부상 위험성이 상존하였다. Another technique involves a walk aid tha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speed of the walk aid through the strength of pressure applied to the support. 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speed is adjusted only by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upport, the user cannot cope with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walking aid and the user or the body of the walking aid and the user moving separately. Risk of inju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감지하여 대응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형 보행보조기 및 능동 보행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e walking aid and an active walking assistance method that can prevent the user's damage by performing a corresponding action by detecting the user's exercise stat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는, 보행보조기 프레임, 상기 보행보조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팔로 체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 개 배치된 차륜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한 구동작용을 수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ctive walking aid and standing ai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ing aid frame, the support brace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lking aid frame and the user supports the weight with the arm and a plurality of lower parts of the frame A main body unit including a wheel arranged,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measuring a movement state of the user, and analyzing the state data of the user measured and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and a driving unit for performing a driving a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이 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륜을 전후진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 및 기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 motor and a gear unit for driving the wheel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 연장 기둥 및 상기 프레임 연장 기둥을 신축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 및 기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rame extension pillar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frame and an electric motor and a gear unit for stretching and driving the frame extension pillars.

또한,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감각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경보를 생성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recognizable through the sensory orga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ensor unit.

아울러, 상기 센서부는 광학센서유닛, 압력센서유닛, 가속도센서유닛, 초음파 센서유닛, 레이저센서유닛, 적외선센서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tical sensor unit, a pressure sensor unit, an acceleration sensor unit, an ultrasonic sensor unit, a laser sensor unit, an infrared sensor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는, 보행보조기측 단말과 사용자측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행보조기측 단말은, 보행보조기 프레임, 상기 보행보조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팔로 체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 개 배치된 차륜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한 구동작용을 수행하는 구동부 및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의 송신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측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상기 보행보조기측 단말의 상기 수신부로 무선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ive walking aid and standing assist device includes a walking aid side terminal and a user side terminal, wherein the walking aid side terminal is disposed on a walking aid frame and the walking aid frame and is provided by a user. A first sensor unit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 weight with an arm and a body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wheels disposed below the frame, and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the first sensor unit The controller analyzes the state data of the user measured an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a driver performing a driving a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transmitter of the user terminal. And a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an exercise state of the user.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econd sensor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tatus data of the use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o the receiving unit of the walking assistant side terminal including a sensor unit.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 방법은, 센서부, 제어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부를 이루는 각각의 센서유닛에서 사용자의 운동에 관한 상태 데이터가 측정되고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상태측정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상태 데이터가 분석되고, 수행되어야 하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에 관한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상태판단단계 및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이 구동되는 판단결과대응단계를 포함한다. Active walk assistance and standing assistan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hrough an active walk aid including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nd a drive unit, the state data about the movement of the user in each sensor unit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 status determination step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relating to the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to be analyzed and performed by the state data in the controller, and an activ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n the driver. And a step of 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is driven.

이 때,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상기 능동형 보행보조기와 상기 사용자 간 거리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허용임계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허용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tate measuring step,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active walking aid and the user and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from the user is out of the allowable threshold range, and the drive unit if it is out of the allowable threshold range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generating.

또한,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상기 능동형 보행보조기와 상기 사용자 간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복수의 센서유닛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의거한 패턴 정보가 허용임계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허용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urther, in the state measuring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pattern information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active walking aid and the user and the data measured by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user's body is out of the allowable threshold range And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when it is out of the allowable threshold range.

본 발명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감지하여 대응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active walking aid and standing aid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user by performing a corresponding action by sensing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도 1은 종래의 수동형 보행보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센서부(100)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수행되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이루어지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도 4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이루어지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능동 보행보조기에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능동 보행보조기에서 사용자가 일어서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능동 보행보조기에서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anual walking ai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or unit 100 of FIG. 2 in more detail.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an active walking aid function performed in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performed in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performed in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user sits in the active walk ai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standing in the active walk assistance device,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user stands up in an active walking aid.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10)는 본체부(도시하지 않음), 센서부(100), 제어부(110), 구동부(120) 및 경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active walking ai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art (not shown), a sensor part 100, a control part 110, a driving part 120, and an alarm part 130. .

본체부는 능동형 보행보조기(10)의 프레임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팔로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보행보조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의 용이성을 위한 차륜이 배치된다. The main body is a part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active walking aid 10,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weight with the user's arm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lking aid frame, the wheel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for ease of movement.

센서부(100)는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이 장착된 부분이다. The sensor unit 100 is a part in which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measuring a user's state is mounted.

제어부(110)는 센서부(100)를 통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대응조치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저장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상태 패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장치에 저장해둘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통하여, 능동형 보행보조기(10)와 사용자 간 거리 및 사용자의 높이 정보, 현재 운동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analyzes the state data of the use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and performs corresponding measure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microprocessor, a user interface device, and a storage device. In addition, data relating to a state pattern for analyzing the state data of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active walking aid 10 and the user,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the current exercise state, and the like in real time through the state data of the user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0.

구동부(120)는 센서부(100)로부터의 구동명령신호에 따라 차륜을 전후진 구동하거나 보행보조기의 전후 프레임을 상하방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부에서 이루어지는 구동에 의하여, 능동형 보행보조기(10)는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능동적인 위험예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는 차륜이나 프레임의 기둥을 직접 구동할 수 있도록 모터 및 기어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된다.The driving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driving the wheel forward and backward or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front and rear frames of the walking ai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ommand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00. By the driving made in the drive unit, the active walking aid 10 is able to perform an active risk prevention function that can prevent the risk of falling, such as the user. The drive unit is implemented to include a motor and a gear device to directly drive the pillar of the wheel or frame.

경보부(130)는 센서부(100)로부터의 경보명령신호에 따라 사용자 또는 사용자 주변의 보호자 등에게 위험상황을 알림으로써 위험상황에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경보부(130)는 부저 등 청각적인 경보수단이든 램프 등 시각적인 경보수단이든 폭넓게 포함할 수 있다. The alarm unit 130 may cope with the dangerous situation by notifying the user or the guardian around the user of the dangerous condition according to the alarm command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00. The alarm unit 130 may broadly include an audible alarm means such as a buzzer or a visual alarm means such as a lamp.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능동형 보행보조기(10)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보행보조기(10)에는 배터리가 더 탑재됨으로써, 보행보조기(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drive the active walking aid 10, a power supply capable of supplying power is required. To this end, the walk assistant 1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battery to supply power to the walk assistant 10.

도 3은 도 2의 센서부(100)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or unit 100 of FIG. 2 in more detail.

도 2의 센서부(100)에는 광학센서유닛(102), 압력센서유닛(104) 및 가속도센서유닛(106)이 포함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00 of FIG. 2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unit 102, a pressure sensor unit 104, and an acceleration sensor unit 106.

광학센서유닛(102)은 CMOS, CCD 등 촬상소자를 통하여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한 센서유닛이다. 광학센서유닛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지 않더라도 촬영대상영역의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운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unit 102 is a sensor unit for photographing a user's state through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MOS or a CCD. By using the optical sensor unit, even if a separate sensor is not attached to the user's body, the current movement state of the user can be grasped by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압력센서유닛(104)은 사용자로부터 능동형 보행보조기(1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유닛이다. 압력센서유닛(104)은 능동형 보행보조기(10) 프레임 상단과 지지대를 연결하는 영역 또는 지지대의 표면 일부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압력센서유닛(104)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능동형 보행보조기(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 결과값은, 다른 센서유닛에서 측정된 정보와 조합하여 제어부(110)로 하여금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데에 활용된다. The pressure sensor unit 104 is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ressure applied to the active walking aid 10 from the user. The pressure sensor unit 104 may be arranged on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support or the area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active walk aid 10 frame and the support. The result of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active walking aid 10 from the user through the pressure sensor unit 104 is combined with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other sensor unit to allow the controller 110 to derive a significant analysis result. Is utilized.

가속도센서유닛(106)은 능동형 보행보조기(10)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유닛이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의 전후좌우 기울기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보행 및 앉기/서기 동작 보조를 받을 때에 사용자의 기울기에 관한 측정값을 활용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유닛은 능동형 보행보조기(10) 본체에 부착될 수도,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될 수도 있으며, 이들 양측에 모두 부착될 수도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unit 106 is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applied to the active walking aid (10). The acceleration sensor is an important means for measuring the stability of the user by measur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tilt information of the user. The measurement of the user's inclination may be used when receiving walking and sitting / standing motion assistance.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may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active walking aid 10, may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may be attached to both sides.

또한, 도 3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초음파 센서 유닛 및 가시광의 범위를 벗어나는 광파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유닛, 적외선 센서유닛 등도 센서부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센서부에 포함되는 각 센서유닛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ultrasonic sensor unit, a laser sensor unit for detecting light waves outside the range of visible light, an infrared sensor uni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sensor unit, and each sensor unit included i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the following. Any one can perform the same six actions.

○ 사용자와 보행보조기 사이의 거리 및 사용자의 높이 정보를 동시 측정할 수 있는 센서:○ Sensor that can measure distance between user and walker and user's height at the same time:

사용자와 보행보조기 사이의 거리 및 사용자의 높이 정보는 보행보조기 안전장치에 사용자의 안전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동작 보조를 받는 동안, 사용자와 보행보조기 사이의 거리 및 사용자의 높이가 변한다. 이러한 사용자와 보행보조기 사이의 거리 및 사용자의 높이 정보는 초음파 센서, 광센서, 레이저 센서, 마그네틱 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계측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walking aid and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of the user to the walking aid safety device. While receiving motion ass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walking aid and the height of the user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walking aid and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measured using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including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a laser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 사용자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Sensors that can measure your tilt information:

사용자의 전후좌우로의 기울기 정보는 사용자의 안정성(Stability)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보행 및 앉기/서기 동작 보조를 받을 때, 사용자의 전후좌우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계측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기울기는 accelerometer, gyroscope 및 자기(magnetic) 센서 등을 포함한 위치 및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여 계측할 수 있다.Tilt information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user is an important tool for measuring the stability of the user (Stability). When receiving walking and sitting / standing motion assista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whether the user can stably perform the motion by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user. These users' tilts can be measured using position and tilt sensors, including accelerometers, gyroscopes, and magnetic sensors.

○ 사용자의 상하지 주요 관절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A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pper and lower major joint angles of the user: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하지 동작 보조를 받을 때 사용자의 신체 관절의 각도는 동작에 맞는 궤적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러한 관절각도 값은 일어서기 동작을 보조받기 위하여 하지 각 관절의 초기 각도가 준비가 되었는지, 상판을 지지하고 있는 팔꿉 관절의 각도가 낙상으로 인하여 변했는지 등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limb movement assistance is received using the walking aid, the angle of the body joint of the us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These joint angle values can be used as important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initial angle of each lower limb joint is ready to assist the standing up movement, and whether the angle of the elbow joint supporting the upper plate is changed due to the fall.

○ 보행 및 앉기/서기 동작을 보조받을 때, 사용자가 보행보조기의 상판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A sensor that allows the user to measure the pressure exerted on the walker's top plate when assisted in walking and sitting / standing:

사용자는 동작 보조를 받는 동안, 보행보조기의 상판에 일정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위험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압력 값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보행보조기 상판의 압력은 로드셀 및 6축 Force/Torque 센서 등 힘을 측정할 수 있는 힘센서를 포함한다. During the operation assistance, the user applies a certain pressure to the upper plate of the walking aid. However, if a sudden dangerous situation occurs, the pressure value will change. This change can detect the user's dangerous situation. The pressure on the walker aid plate includes a force sensor that can measure force, such as a load cell and a six-axis force / torque sensor.

○ 사용자가 보행 및 앉기/서기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A sensor that can measure the user's biosignal when the user walks and sits / stands up:

앉기/서기 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다리 근육 신호는 크게 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함으로써 동작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When performing a sitting / standing motion, the user's leg muscle signals are greatly activa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by measuring the bio-signal of the user.

○ 발목관절의 각도(기울기) 및 각속도, 보행보조기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발목 부위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Sensors that can measure the relative ankle speed based on the angle (tilt), angular velocity, and walking aid of the ankle joint:

보행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발목관절은 지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보행 동작이 이루어진다. 특히,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보행 동작을 보조 받을 때, 사용자의 하지가 뒤쪽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의 COG (Center of gravity)가 보행보조기지지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고, 하지의 퇴보 현상이 발생하여 낙상의 위험 상황이 초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위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발목관절의 기울어지는 각도 및 각속도 신호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발목에서 측정되는 발목 부위의 속도 값은 보행보조기의 속도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보행보조기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발목관절로부터 얻는 신호는 accelerometer 및 gyroscope 등을 이용하여 계측이 가능하다. During the gait movement, the ankle joint is walking at an angle with the ground. In particular, when the walking aid is assisted by using the walking aid, the user's lower limb tilts backwar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OG) of the user is moved away from the supporting part of the walking aid. There are cases when it happens. In order to detect this dangerous situa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tilt angle and angular velocity signal of the user's ankle joint. In addition, the ankle speed value measured at the ankle can be compared with the speed of the walking aid can confirm whether the user is using the walking aid safely. Signals from these ankle joints can be measured using accelerometers and gyroscope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능동형 보행보조기(10)에 모든 구성요소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2 to 3 illustrate a case in which all the components are included in the active walking aid 10.

반면,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보행보조기측 단말(20)과 사용자측 단말(30)이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함께 능동형 보행보조기를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walker assisting terminal 20 and the user terminal 30 are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form an active walker.

이때, 보행보조기측 단말(20)에는 센서부(200), 제어부(210), 구동부(220), 경보부(230), 제동부(240) 및 수신부(25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측 단말(30)에는 센서부(300) 및 송신부(350)가 더 포함된다. In this case, the walking aid side terminal 20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200, a control unit 210, a driving unit 220, an alarm unit 230, a brake unit 240, and a receiving unit 250.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300 and a transmitter 350.

도 2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도 센서유닛 중 일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센서유닛도 보행보조기(10)로부터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배선에 따른 이용의 편의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In some embodiments of FIGS. 2 to 3, some of the sensor units may be attached to the user's body. In this case, since the sensor unit attached to the user's body also needs to be connected by wire from the walking aid 1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venience of use due to the wiring is deteriorated.

이에 따라, 도 4의 센서부(200,300), 제어부(210), 구동부(220) 및 경보부(230)는 각각 도 2 내지 도 3의 센서부(100), 제어부(110), 구동부(120) 및 경보부(130)에 대응되며, 이들 대응 구성요소의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Accordingly, the sensor units 200 and 300, the controller 210, the driver 220, and the alarm unit 230 of FIG. 4 are respectively the sensor unit 100, the controller 110, the driver 120, and FIGS. 2 to 3. Corresponds to alarm 130, and performs the same function of these corresponding components.

한편, 송신부(350)는 사용자측 단말의 센서부(3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보행보조기측 단말(20)로 무선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응하여, 수신부(250)는 사용자측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제어부(2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 송신부(350)와 수신부(250) 간에 이루어지는 통신은 공지의 무선 데이터 통신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예컨대 RF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등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타 사용자의 보행보조기에 의한 교란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의 인증 메커니즘을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측 단말(30)과 보행보조기측 단말(20)이 1:1로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mitter 350 performs a function of wirelessly transmitting the user's state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300 of the user terminal to the walker assisting terminal 20. In response, the receiver 250 receives a user's state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user's state data to the controller 210.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er 350 and the receiver 250 may be any know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RF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and Zigbee communication may be appropriately applied. In addition, by appropriately applying a known authentication mechanism in order to prevent disturbance by the walking aid of another user, the user side terminal 30 and the walking aid side terminal 20 may correspond to 1: 1.

나아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행보조기측 단말(20)과 사용자측 단말(30) 각각에는 배터리 등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더 포함되도록 하여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Furthermore, as mention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each of the walking aid side terminal 20 and the user side terminal 30 further includes means for supplying power such as a batter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수행되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the active walking aid function performed in the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능동 보행보조기능은 상태측정단계(S100), 상태판단단계(S110) 및 판단결과대응단계(S120) 등 3단계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5, the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includes three steps, such as a state measurement step S100, a state determination step S110, and a determination result response step S120.

상태측정단계(S100)는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센서부를 이루는 각각의 센서유닛에서 이루어진다. 사용자의 상태에 대응하는 능동형 보행보조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태측정단계에서 각각의 센서유닛을 통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는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제어부로 전송된다.State measurement step (S100) is made in each sensor unit forming a sensor unit of the active walk aid. In order to perform the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tate, first of all,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must be accurately measured. As mentioned above, the user's state data measured through each sensor unit in the state measuring step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active walker.

상태판단단계(S110)는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며, 센서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을 정의하고, 정의된 능동 보행보조기능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능동 보행보조기능을 실행한다. 예컨대,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차륜을 제동시키는 것(brake)에 관한 제동제어신호인 경우, 해당 제동제어신호를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제동부로 전송하여 보행보조기를 제동(긴급정지 등)시킬 수 있으며,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경보신호인 경우, 경보부로 하여금 소정의 경보 작용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tatus determination step (S110) is made in the control unit of the active pedestrian aid, analyzes the user's stat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to define the active pedestrian assist function to be performed in the current active pedestrian aid, and defined active pedestrian assist function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For example, if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a braking control signal for braking the wheel, the braking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braking unit of the active walker assist to brake the walker assistant (emergency stop, etc.). When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an alarm signal, it is possible to cause the alarm unit to execute a predetermined alarm action.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이루어지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performed in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능동형 보행보조기(60)의 지지대 상판 일부영역에는 압력센서(602)가 장착되고, 제어부(610)와 함께 지지대 상판의 하단부에 사용자(A)를 비출 수 있는 광학센서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된다. 또한, 차륜에는 차륜을 전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620)가 장착된다. As shown in FIG. 6, the pressure sensor 602 is mount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of the active walker aid 60, and the optical sensor unit may project the user A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together with the controller 610. (Not shown) is mounted. In addition, the wheel is equipped with a drive unit 620 that can drive the wheel by electric.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보행시의 보행안전도가 어떻게 판단되며, 판단결과에 따라 어떠한 능동 보행보조기능이 수행되는지를 설명한다. 6 illustrates how the walking safety at the time of walking in the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and what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능동형 보행보조기(60)의 광학센서유닛은 사용자(A)까지의 거리(duw)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optical sensor unit of the active walking aid 60 performs a function of measuring the distance (d uw ) to the user (A).

일반적으로 안전한 상태에서는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지지대에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압력이 크게 가해지며, 이에 따라, 지지대 부분에 장착된 압력센서(602)에서도 높은 정도의 압력이 감지된다. 아울러, 사용자와 보행보조기 간 거리(duw)가 안전거리의 상한문턱값보다는 짧고 하한문턱값보다는 긴 상태로 유지된다. In general, in a safe state,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is greatly applied to the support of the active walker, and thus, a high degree of pressure is also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602 mounted on the support part.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walking aid (d uw ) is kept shorter than the upper threshold value of the safety distance and longer than the lower threshold value.

만약 거리(duw)가 지나치게 짧아지거나 지나치게 길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A)가 낙상을 하는 위험에 처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압력센서(602)에 가해지는 압력도 작아지는 현상이 관측된다. If the distance d uw is too short or too long, the user A may be in danger of falling, in which ca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602 is also reduced. .

이러한 센서 데이터를 토대로, 제어부(610)는 표 1과 같은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Based on this sensor data, the controller 6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s shown in Table 1.

센서 데이터Sensor data 압력센서 압력 낮음Pressure sensor low pressure 압력센서 압력 높음
Pressure sensor pressure high
거리(duw)가
하한문턱값보다 짧음
The distance (d uw )
Shorter than the lower threshold
전진구동 제어신호 생성Generation of forward drive control signal --
거리(duw)가
하한문턱값과 상한문턱값의 사이임
The distance (d uw )
Is between the lower and upper threshold
-- --
거리(duw)가
상한문턱값보다 멈
The distance (d uw )
Stops above the upper threshold
후진구동 제어신호 생성Reverse drive control signal generation --

표 1의 제어신호에 따라, 예컨대 거리(duw)가 하한문턱값보다 짧고 압력센서 압력이 낮은 경우에 일정한 거리/지속시간만큼 전진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620)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A)와 능동형 보행보조기(60) 사이가 충분한 간격이 되도록 능동 보행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거리(duw)가 상한문턱값보다 멀어서 사용자(A)가 지지대를 놓치기 직전인 상황인 경우(압력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압력도 함께 낮아지게 된다), 일정한 거리/지속시간만큼 후진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620)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A)와 능동형 보행보조기(60) 사이가 충분한 간격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A)가 지지대를 놓치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able 1,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d uw ) is shorter than the lower threshold value and the pressure sensor pressure is low, by generating a forward drive control signal by a certain distance / duration time to drive the drive unit 62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ctive walk assistance function so that there is a sufficient gap between A) and the active walk aid 60. Similarly, if the distance (d uw ) is greater than the upper limit threshold and the user A is about to miss the support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is also lowered), the reverse driving control by a certain distance / duration By generating a signal to drive the driving unit 620, the user (A) and the active walking aid 60 is a sufficient distance so that the user (A) does not miss the support.

한편, 센서 데이터가 각각의 문턱값을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만 위험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sensor data may determine that each threshold value is a dangerous state only when the time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도 7은 도 4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이루어지는 능동 보행보조기능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performed in an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능동형 보행보조기(70)의 지지대 상판 일부영역에는 압력센서(702)가 장착되고, 제어부(710)에는 센서유닛(704,705,706,707)을 통하여 측정된 상태 데이터가 사용자측 단말의 송신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보행보조기측 단말의 수신부(도시하지 않음)를 경유하여 무선 전송된다. 이와 차륜에는 차륜을 전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720)가 장착된다. As shown in FIG. 6, the pressure sensor 702 is mount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walker 70, and the control unit 710 transmits the state data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s 704, 705, 706, and 707 to the user's terminal. (Not shown) is wirelessly transmitted via a receiver (not shown) of the walker assisting terminal. The wheel is equipped with a driving unit 720 that can drive the wheel by electric.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7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보행보조기에서 보행시의 보행안전도가 어떻게 판단되며, 판단결과에 따라 어떠한 능동 보행보조기능이 수행되는지를 설명한다. As in FIG. 6, FIG. 7 illustrates how the walking safety level when walking is determined in the activ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ich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사용자가 낙상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하여 파악되는 사용자의 운동 패턴(보행보조기와의 거리, 기울기, 관절각도 등)이 보행시의 패턴을 벗어나게 된다. When the user falls, the user's movement pattern (distance, tilt, joint angle, etc. with the walking aid) tha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attached to the user's body is out of the walking pattern.

도 6의 실시예에서 제어부(710)는 센서유닛(704~707)을 통하여 측정된 상태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A)까지의 거리(duw) 및 사용자의 기울기값, 관절각도패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control unit 710 may measure a distance (d uw ) to the user A, a tilt value of the user, a joint angle pattern, and the like through the state data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s 704 to 707. Can be.

이러한 센서 데이터를 토대로, 제어부(710)는 표 2과 같은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Based on the sensor data, the controller 7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s shown in Table 2.

센서 데이터Sensor data 기울기값과 관절각도
패턴이 정상범위임
Slope value and joint angle
Pattern is within normal range
기울기값과 관절각도
패턴이 정상범위를 벗어남
Slope value and joint angle
The pattern is out of normal range
거리(duw)가
하한문턱값보다 짧음
The distance (d uw )
Shorter than the lower threshold
-- 전진구동 제어신호 생성Generation of forward drive control signal
거리(duw)가
하한문턱값과 상한문턱값의 사이임
The distance (d uw )
Is between the lower and upper threshold
-- --
거리(duw)가
상한문턱값보다 멈
The distance (d uw )
Stops above the upper threshold
-- 후진구동 제어신호 생성Reverse drive control signal generation

표 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예컨대 거리(duw)가 하한문턱값보다 짧고 기울기값과 관절각도 패턴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일정한 거리/지속시간만큼 전진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720)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A)와 능동형 보행보조기(70) 사이가 충분한 간격이 되도록 능동 보행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거리(duw)가 상한문턱값보다 멀어서 사용자(A)가 지지대를 놓치기 직전인 상황인 경우(압력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는 압력도 함께 낮아지게 된다), 일정한 거리/지속시간만큼 후진구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720)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A)와 능동형 보행보조기(70) 사이가 충분한 간격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A)가 지지대를 놓치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able 2,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d uw ) is shorter than the lower threshold value and the slope value and the joint angle pattern is determined to be out of the normal range, the driving unit generates a forward drive control signal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 duration time. By driving the 720, the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re is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user A and the active walking aid 70. Similarly, if the distance (d uw ) is greater than the upper limit threshold and the user A is about to miss the support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is also lowered), the reverse driving control by a certain distance / duration By generating a signal to drive the driving unit 720, there is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user (A) and the active walking aid 70 so that the user (A) does not miss the support.

도 8은 능동 보행보조기에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 도 9는 능동 보행보조기에서 사용자가 일어서고 있는 상태, 도 10은 능동 보행보조기에서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8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sits in the active walking aid, 9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stands in the active walker, and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stands in the active walker.

본 발명에 따른 능동 보행보조기(80)는 사용자(B)가 안전하게 앉고 서는 행위를 하기 위한 능동적 보조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active walking aid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active assist function for the user B to safely sit and stand.

사용자(B)는 도 8로부터 도 9를 거쳐 도 10에 이르기까지 일어서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체 및 하체의 각 관절각도에 일정한 궤적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체가 지지대 상판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 또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변화하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B)가 일어선 경우에는 보행보조기(80)의 높이가 상승하여야 하는 필요도 발생한다. While the user B performs the operation of standing up from FIG. 8 to FIG. 10 to FIG. 10, a constant trajectory is formed at each joint angl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that the upper body exerts on the support plate also changes with a certain pattern. Furthermore, when the user B stands up, there is also a need for the height of the walking aid 80 to rise.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B)의 신체에는 센서(802,803,804)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서는 센서(802,803,804)를 통하여 측정된 각 센서들의 공간적 배치 상태에 관한 패턴 정보(805)가 분석된다. 또한, 구동부(822,824)가 각각 전방 프레임 연장 기둥(823) 및 후방 프레임 연장 기둥(825)과 연결되어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지지대 상판의 일부 영역에 설치된 압력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사용자(B)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측정된다.As illustrated in FIG. 8, sensors 802, 803, and 804 are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B, and in the controller (not shown), pattern information 805 about spatial arrangement of the sensors measured through the sensors 802, 803, and 804. ) Is analyzed. In addition, the driving units 822 and 824 are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extension pillar 823 and the rear frame extension pillar 825, respectivel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rame.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user B is measured through a pressure sensor (not shown)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of the support.

도 9에서는 사용자가 일어서는 동작을 진행함에 따라 도 8에서와는 공간적 배치 상태가 변화한 센서(802',803',804')들에 의한, 각 센서들의 공간적 배치 상태에 관한 변화한 패턴 정보(805')가 제어부에 의하여 분석된다. 제어부는 패턴 정보(805)와 대비한 패턴 정보(805')가 사용자(B)의 기립 운동에 따른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압력센서로부터 인식된 압력에 관한 정보가 더욱 정확한 판단에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기립 작용을 보조하기 위하여 보행보조기(80)의 전방 프레임 연장기둥(823) 및 후방 프레임 연장 기둥(825)을 신장시키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822,824)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 연장 기둥(823)이 후방 프레임 연장 기둥(825)보다 천천히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B)의 안정적인 기립 동작을 보조하도록 할 수 있다. 관절각도 및 압력 신호 등을 제어부에서 분석하여 정상적인 기립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올바른 기립 상태가 진행 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및 능동형 기립보조기기의 작동을 중지하거나 안전한 자세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용을 통하여, 사용자의 팔이 지지대에 끼는 등의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In FIG. 9, the pattern information 805 about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sensors is changed by the sensors 802 ', 803', and 804 'whose spatial arrangement has changed as shown in FIG. ') Is analyzed by the controller. If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pattern information 805 'contrasted with the pattern information 805 is based on the standing movement of the user B (information about the pressure recognized from the pressure sensor may be used for more accurate determination), The driving units 822 and 824 may be driven by generating a driving control signal for extending the front frame extension pillar 823 and the rear frame extension pillar 825 of the walking aid 80 to assist the user in stand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9, the front frame extension pillar 823 may be extended more slowly than the rear frame extension pillar 825 to assist a stable standing operation of the user B. FIG. By analyzing the joint angle and pressure signals in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normal standing state. If the correct standing condition is not in place, it is possible to disable the warning and the active standing assist device or change to a safe posture. Through this a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such as the user's arm caught on the support.

도 10에는 사용자(B)가 기립 동작을 완료한 상태가 표현되어 있다. In FIG. 10, the state in which the user B completes the standing operation is represented.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신장된 전방 프레임 연장 기둥(823')과 후방 프레임 연장 기둥(825')에 의하여 사용자(B)는 기립 상태에서도 자세의 어색함이 없이 안정적으로 보행보조기(80)의 지지대 상판에 상체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0, by the extended front frame extension pillar 823 ′ and the rear frame extension pillar 825 ′, the user B stably supports the walking aid 80 without standing awkward even in a standing position. The upper body can be supported on the top plate.

도 8 내지 도 10의 예시에서는 일부의 센서(802,803,804)만을 예시적으로 언급하였으나, 사용자가 앉기/서기 동작을 행할 때에는 하지의 상태 패턴 정보도 특징적으로 변화하므로, 하지의 각 영역에도 센서를 부착하여 상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In the example of FIGS. 8 to 10, only some of the sensors 802, 803, and 804 are exemplarily mentioned. However, since the state pattern information of the lower limbs also changes characteristically when the user performs a sitting / standing operation, a sensor may be attached to each region of the lower limbs. Of course, you can collect state data.

이처럼 보행보조기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지 않고도 사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능동적 보조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보조기를 이용하면서 처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a dangerous situation that the user may face while using the walking aid by accurately detecting the user's state and performing an active auxiliary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without being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walking aid. Actively cope with

Claims (9)

보행보조기 프레임, 상기 보행보조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팔로 체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 개 배치된 차륜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한 구동작용을 수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A body part including a walking aid frame, a support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walking aid frame to support a user's weight with an arm, and a plurality of wheels disposed below the frame;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state data of the user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sensor unit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An active walking aid and standing aid comprising a drive unit for performing a driving a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륜을 전후진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 및 기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is an active walking aid and standing aid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and a gear unit for driving the wheel forward and back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 연장 기둥 및 상기 프레임 연장 기둥을 신축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 및 기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 extension pillar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frame, and an electric motor and a gear unit for stretching and driving the frame extension pill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감각기관을 통하여 인식 가능한 경보를 생성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recognizable through the sensory orga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학센서유닛, 압력센서유닛, 가속도센서유닛, 초음파 센서유닛, 레이저센서유닛, 적외선센서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is an active walking aid and standing ai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optical sensor unit, a pressure sensor unit, an acceleration sensor unit, an ultrasonic sensor unit, a laser sensor unit, an infrared sensor unit.
보행보조기측 단말과 사용자측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로서,
상기 보행보조기측 단말은,
보행보조기 프레임, 상기 보행보조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팔로 체중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 개 배치된 차륜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한 구동작용을 수행하는 구동부 및
상기 사용자측 단말기의 송신부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측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상태 데이터를 상기 보행보조기측 단말의 상기 수신부로 무선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기.
An active walking aid and standing aid comprising a walking aid side terminal and a user side terminal,
The walking aid side terminal,
A body part including a walking aid frame, a support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walking aid frame to support a user's weight with an arm, and a plurality of wheels disposed below the frame;
A first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exercise state of the user,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the state data of the user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first sensor unit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A driving unit performing a driving ac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receiver which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ransmitter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side terminal,
A second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unit for measuring an exercise state of the user;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the state data of the user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unit to the receiver of the walker assisting terminal.
센서부, 제어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부를 이루는 각각의 센서유닛에서 사용자의 운동에 관한 상태 데이터가 측정되고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는 상태측정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상태 데이터가 분석되고, 수행되어야 하는 능동 보행보조기능 또는 기립보조기능에 관한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상태판단단계 및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능동 보행보조기능 또는 능동 기립보조기능이 구동되는 판단결과대응단계를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 방법.
An active walking aid and standing assistance method of an active walking aid including a sensor unit, a controller, and a driver,
A stat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state data on a user's movement in each sensor unit constituting the sensor unit and transmitting the state data to the controller;
A state judging step in which the state data is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signal relating to an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or a standing assistance function to be performed is generated;
And a determination result corresponding step of driving the active walking assistance function or the active standing assistanc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n the driv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상기 능동형 보행보조기와 상기 사용자 간 거리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허용임계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허용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state measuring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active walking aid and the user and the magnitude of pressure exerted by the user are out of an allowable threshold range; and
And a step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driving unit when the allowable threshold range is out of ran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단계에서,
상기 능동형 보행보조기와 상기 사용자 간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복수의 센서유닛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의거한 패턴 정보가 허용임계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허용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능동 보행보조 및 기립보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state measuring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pattern information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active walking aid and the user and the data measured by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user's body is outside of an allowable threshold range; and
And a step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driving unit when the allowable threshold range is out of range.
KR1020110141750A 2011-12-23 2011-12-23 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KR101342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50A KR101342009B1 (en) 2011-12-23 2011-12-23 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50A KR101342009B1 (en) 2011-12-23 2011-12-23 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43A true KR20130073743A (en) 2013-07-03
KR101342009B1 KR101342009B1 (en) 2013-12-16

Family

ID=4898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750A KR101342009B1 (en) 2011-12-23 2011-12-23 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009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726A (en) * 2014-01-16 2015-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motive apparatus for assisting user in walking
KR101595517B1 (en) * 2014-10-24 2016-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mart walking support machine
KR101633193B1 (en) * 2014-12-15 2016-06-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Moving guide apparatus for senior
CN107669448A (en) * 2017-09-25 2018-02-09 上海市杨浦区市东医院 A kind of gravity brake walking aid
WO2018046346A1 (en) * 2016-09-08 2018-03-15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 walking aid, control device for a walkng aid, and walking aid
KR20180084566A (en) * 2017-01-17 2018-07-2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 aided walking system for elderl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123792A (en)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엔티로봇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helping standing up and sitting down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same
US10617535B2 (en) 2014-10-22 2020-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module,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upporting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tion assistance apparatus
KR20210047003A (en) * 2019-10-21 2021-04-29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trolling assistant walker and assistant walker using the method
JP2022051617A (en) * 2020-09-22 2022-04-01 公立大学法人 富山県立大学 Standing/sitting support device and walker
CN114272086A (en) * 2020-09-28 2022-04-0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Active walking a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879B1 (en) * 2016-03-21 2017-10-19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of ZMP-based gait trajectory generation for control of wearable robot and control method of gait trajectory gene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641B1 (en) 2007-06-29 2008-04-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handlebar of walking assistant
JP5463569B2 (en) * 2009-09-30 2014-04-09 公益財団法人ヒューマンサイエンス振興財団 Walking support devic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726A (en) * 2014-01-16 2015-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motive apparatus for assisting user in walking
US10617535B2 (en) 2014-10-22 2020-04-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module,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upporting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tion assistance apparatus
KR101595517B1 (en) * 2014-10-24 2016-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mart walking support machine
KR101633193B1 (en) * 2014-12-15 2016-06-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Moving guide apparatus for senior
WO2018046346A1 (en) * 2016-09-08 2018-03-15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 walking aid, control device for a walkng aid, and walking aid
KR20180084566A (en) * 2017-01-17 2018-07-2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ustom aided walking system for elderl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123792A (en) *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엔티로봇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helping standing up and sitting down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same
CN107669448A (en) * 2017-09-25 2018-02-09 上海市杨浦区市东医院 A kind of gravity brake walking aid
CN107669448B (en) * 2017-09-25 2024-03-26 上海市杨浦区市东医院 Gravity brake walking aid
KR20210047003A (en) * 2019-10-21 2021-04-29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trolling assistant walker and assistant walker using the method
JP2022051617A (en) * 2020-09-22 2022-04-01 公立大学法人 富山県立大学 Standing/sitting support device and walker
CN114272086A (en) * 2020-09-28 2022-04-0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Active walking a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009B1 (en) 201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009B1 (en) Active walking and stand-up frame and method for active walking and standing up thereof
US9987511B2 (en) Gait training apparatus
US9433552B2 (en) Electric walking assistant device
CN101803988B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rehabilitation robot for assisting stand and walk
US10702442B2 (en) Walking aid device
KR102186840B1 (en) Electromotive apparatus for assisting user in walking
US8532841B2 (en) Rehabilitation device
KR101203669B1 (en) walking assisting device having user recognition function
TWI492743B (en) Rehabilitation device
KR101219305B1 (en) Auxiliary platform for walking
JP5901083B2 (en) Self-supporting walking support device
KR101304283B1 (en) a zimmer frame for postural balance use to help them walk
KR100555990B1 (en) Walking Training Support Robot with the distributed control of Pneumatic actuator
JP2015024160A5 (en)
JP5601117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and mobility assistance control program
JP5610294B2 (en) Walking support device and walking support program
JP7121939B2 (en) Mobile cart and mobile cart control program
CN115475348A (en) Walking train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6970050B2 (en) Walking assist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walking assist device
KR102124558B1 (en) Smart Feedback Stick for Walking Aid to Stroke Patients
KR101407465B1 (en) a device for gait training and postural balance
JPH04133832U (en) Walking aid monitor device
KR20130068555A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device
TWI814510B (en) Rehabilitation Walking Assist Device
US20220401286A1 (en) Walking train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