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742A -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742A
KR20130073742A KR1020110141748A KR20110141748A KR20130073742A KR 20130073742 A KR20130073742 A KR 20130073742A KR 1020110141748 A KR1020110141748 A KR 1020110141748A KR 20110141748 A KR20110141748 A KR 20110141748A KR 20130073742 A KR20130073742 A KR 2013007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session connection
messag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161B1 (ko
Inventor
김종흠
김진한
김종안
박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4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단말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말 각각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과 제 1 단말과 동일 그룹에 포함된 제 2 단말을 식별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1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SERVER AND METHOD FOR PERFORMING SESSION CONNECTION BETWEEN APPLICATIONS OF DEVICES, AND THE DEVCIES}
단말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한 스마트 단말이 대중화되고 있다. 스마트 TV,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은 이러한 스마트 단말의 대표적인 일 예들이다.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PC에 종속되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서비스 공급자는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 개발을 위한 투자를 계속한다.
한편, N 스크린(Screen) 서비스는 TV,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기기에서 독립적으로 이용하던 서비스를 사용자 또는 컨텐츠를 중심으로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N 스크린 서비스가 제공됨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복수의 기기에서 동시에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기술 및 복수의 기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복수의 기기 중 다른 기기에서 끊임 없이(Seamless) 재생하는 기술 등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11-0009587에는 복수의 단말로 동용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간의 재생 이력 동기화를 구현하여 이 기종 단말간의 동영상 컨텐츠 이어보기를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N 스크린 서비스는 단순 단말과 단말간의 컨텐츠 공유로부터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간의 컨텐츠 공유로 확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는 스마트 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직접 공유가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간의 N 스크린 서비스는 기존의 단말과 단말간의 세션 연결만으로는 효율적인 서비스가 제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과 어플리케이션간의 다이렉트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 1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제 2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단말 각각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과 상기 제 1 단말과 동일 그룹에 포함된 제 2 단말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부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수행부를 포함하는 세션 연결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제 1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1 단말과 동일 그룹에 포함된 제 2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다른 단말간의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요청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세션 연결 서버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수신부 및 상기 세션 연결을 기반으로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데이터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상기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메시지는 상기 다른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상기 다른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연결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인 것인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 각각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간의 다이렉트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제 2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션 연결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0)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연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세션 연결 서버(10), 복수의 단말들(21 내지 23) 및 서비스 관리 서버(30)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21 내지 23)들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세션 연결 서버(10)는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단말(22)의 어플리케이션 A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세션 연결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때, 메시지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의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세션을 활성화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메시지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의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하여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및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식별된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세션 연결 서버(10)는 단말(22)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하여 단말(22)의 어플리케이션 A를 활성화시킨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은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위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을 온(On)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메시지의 일 예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소켓(Socket) 기반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세션 연결 서버(10)는 복수의 단말들(21 내지 23) 중 적어도 둘 이상간에 TCP 소켓 기반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션 연결 서버(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TCP 소켓과 제 2 어플리케이션 TCP 소켓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세션 연결은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에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기에 효과적이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동일 사용자 정보에 등록된 단말들(21 및 22)을 하나의 그룹(200)으로 관리하고, 동일 그룹(200) 내의 단말들(21 및 22)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세션 연결 서버(10)는 그룹 아이디를 통해 동일 그룹(200)에 포함된 단말들(21 내지 22)을 식별할 수 있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단말 및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세션 연결 서버(10)는 단말(21)로부터 단말(21)의 그룹 아이디와 단말(21)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21) 및 단말(21)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21 내지 23)은 세션 연결 서버(10)로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복수의 단말(21 내지 23)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메시지의 일 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21 내지 23)의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세션을 활성화 시킬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의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세션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세션 연결을 통해 단말(22)의 어플리케이션 A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A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이다. 예를 들어,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의 서비스 상태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관리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또는 세션 연결 서버(10)와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다른 하나의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조회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단말(21 내지 23) 중 다른 하나의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어느 하나의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관리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다른 하나의 단말로 다른 하나의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로서 다른 하나의 단말로부터 다른 하나의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의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의 단말 정보, 서비스 상태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세션 연결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서버(30)는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 세션 연결 서버(10) 또는 컨텐츠 서버(30)로부터 정보들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각각, 세션 연결 서버(10) 또는 컨텐츠 서버(3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션 연결 서버(1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세션 연결 서버(10)는 메시지 송수신부(11), 그룹 식별부(12), 어플리케이션 식별부(13), 세션 연결 수행부(14) 및 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세션 연결 서버(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션 연결 서버(10)는 관리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관리자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메시지 송수신부(11)는 복수의 단말 각각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다. 도 1을 통해 예시하면, 메시지 송수신부(11)는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1 단말(21)로부터 수신한다. 이 때, 제 1 단말(21)은 앞서 설명된 도 1의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종류 및 형태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단말(21)로 예시된 것에 불과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2 의 제 2 단말(22) 역시 앞서 설명된 도 1의 복수의 단말(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종류 및 형태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단말(22)로 예시된 것에 불과하다.
메시지 송수신부(11)는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송수신부(11)는 제 1 단말(21) 및 제 2 단말(2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메시지 송수신부(11)는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 메시지를 송신한다.
메시지에는 단말 각각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2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는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 및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포함된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단말(22)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는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 및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메시지의 일 예는 TCP 소켓 메시지를 포함한다.
그룹 아이디는 복수의 단말 중 동일 사용자 정보에 등록된 단말들을 포함하는 그룹의 아이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21) 및 제 2 단말(22) 모두 동일 사용자 정보와 매핑된 단말들의 그룹에 포함된 경우, 제 1 단말(21) 또는 제 2 단말(22)과 송수신되는 메시지에는 제 1 단말(21) 또는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다.
그룹 아이디는 복수의 단말 각각이 포함된 그룹의 아이디 및 각각의 단말의 그룹 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2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아이디는 제 1 단말(21)이 포함된 그룹의 아이디 및 제 1 단말(21)의 그룹 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예시하면, 제 2 단말(22)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그룹 아이디는 제 2 단말(22)이 포함된 그룹의 아이디 및 제 2 단말(22)의 그룹 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소켓(Socket)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2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의 TCP 소켓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그룹 식별부(12)는 수신된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각각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그룹 식별부(12)는 제 1 단말(2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그룹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1 단말(21)을 식별한다.
그룹 식별부(12)는 동일한 그룹에 포함된 단말들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그룹 식별부(12)는 수신된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21)과 제 1 단말(21)과 동일 그룹에 포함된 제 2 단말(22)을 식별한다. 이를 위해, 그룹 식별부(12)는 제 1 단말(2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그룹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1 단말(21)을 식별한 후, 제 2 단말(22)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그룹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2 단말(22)을 식별한다.
어플리케이션 식별부(13)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그룹 식별부(12)는 제 1 단말(2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한다. 다른 예를 들어, 그룹 식별부(12)는 제 2 단말(22)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추출하고,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한다.
세션 연결 수행부(14)는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세션 연결 수행부(14)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이 때, 세션 연결 수행부(14)는 TCP 소켓 기반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션 연결 수행부(14)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의 TCP 소켓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 메시지들을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의 TCP 소켓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 1 어플리케이션의 TCP 소켓과 제 2 어플리케이션의 TCP 소켓간에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은 세션 연결을 기반으로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과의 세션 연결을 기반으로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어플리케이션들간에 세션 연결을 기반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컨텐츠를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컨텐츠를 공유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과 컨텐츠 자체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에는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TCP 소켓 기반의 데이터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과의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는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원격재생 또는 원격제어하기 위해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요청 데이터일 수도 있고,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제 2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한다. 이 때,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는 모바일 단말 용 IPTV 제어 어플리케이션(이하, 'requester')이고, 제 2 단말의 일 예는 IPTV의 제어 어플리케이션(이하, 'worker')이다.
Requester는 IPTV의 채널 및 VoD 카달로그 정보를 읽고 세션 연결 서버(10)를 통해 worker로 서비스의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면, worker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requester의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명령은 단순 command의 처리 형태일 수도 있고, command 처리 후 후속 처리요청을 통한 연동형 서비스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데이터의 일 예에는 채널 재생, 전환, 예약, 녹화 및 VoD 실행, 정지, 배속 등 IPTV 단말의 다양한 재생을 위한 제어 데이터들, 파워 온/오프, 숫자 및 문자 입력, 방향키를 포함하는 리모콘 또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인터페이스 키 입력을 위한 제어 데이터들, 또는 단말의 콘텐츠 재생 현황 정보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후속 처리요청의 일 예에는 VoD 재생 종료 후 requester로 통보 요청(예를 들어, VoD 종료 시 추천 정보 연동), 콘테츠를 재생하면서 광고 노출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 requester에 해당정보 통보(예를 들어, 광고 정보 연동) 등이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시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메시지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TCP 소켓 기반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메시지의 일 예는 앞서 설명된 데이터의 일 예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앞서 설명된 메시지와 데이터는 구분을 위해 다르게 표현된 것일 뿐, 동일한 TCP 소켓 기반의 메시지들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메시지는 도 2의 메시지 송수신부(11)와 단말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물론 단말들과 도 1의 서비스 관리 서버(30)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와 같이 도 1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예를 들어, 패킷)은 패킷 길이, TopicId, 메시지 내용 및 구분자들을 포함한다. 이 때, 패킷 길이는 전체 패킷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TopicId는 패킷의 유형(type)을 포함한다. 패킷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LGIN, CMMD, PING 또는 NRL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LGIN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패킷의 타입을 의미하고, NRLY는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세션 관리 서버(10)로 하여금 다른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기를 요청하는 패킷의 타입을 의미하고, CMMD는 NRLY를 수신한 세션 관리 서버(10)가 다른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의 타입을 의미하고, PING은 세션 연결이 유지된 상태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의 타입으로서 예를 들어, 세션 유지 연결에 필요한 패킷의 타입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 내용은 패킷의 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의 타입이 LGIN인 메시지는 메시지 내용에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라는 내용을 포함한다. 이 때, 그룹 아이디의 일 예는 nScreenID이고,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의 일 예는 AppId이다. 다른 예를 들어, 메시지의 타입이 NRLY인 메시지는 메시지의 수신 노드에게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는 메시지 내용에 수신 노드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그리고 송신 노드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는 송신 노드가 수신 노드에게 요청한 소정의 동작에 대한 수행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메시지의 타입이 PIGN 메시지는 메시지 내용에 세션을 유지하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메시지의 타입이 CMMD인 메시지는 송신 노드의 어플리케이션이 수신 노드의 어플리케이션에게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는 메시지 내용에 수신 노드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그리고 송신 노드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는 송신 노드가 수신 노드에게 명령한 소정의 동작에 대한 수행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분자는 복수의 아스키코드로 이루어진다. 이 때, Ascii(13) + ascii(10)는 메시지가 여러 개 전송되는 경우의 구분자, 즉 멀티전송구분자를 의미하고, ascii(2) + ascii(3)은 패킷 종료 구분자로서 메시지가 끝난 것을 표시하도록 패킷에 마지막에 첨부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패킷은 분리자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분리자의 일 예에는 TopicId와 메시지 내용과의 분리자인 ascii(124) 또는 메시지의 마지막을 분리하는 ascii(124)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메시지의 일 에는 도 3의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도 3의 메시지의 일 예에 불과하므로, 도 3으로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는 세션 연결 서버(1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세션 연결 서버(10)와 세션 연결 서버(1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는 제 1 단말(21)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5)의 일 예에는 세션 연결 서버(1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원격 재생과 원격 제어에 대응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이 때, 앞서 설명된 메시지 및 데이터는 모두 TCP 소켓 기반의 데이터로서 통칭될 것이며, 특히 앞서 설명된 메시지는 로그인 데이터로 표현되고, 나머지 데이터도 요청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등으로 표현될 것이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제 1 단말(21)로부터 로그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로그인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 및 제 1 단말(22)의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1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 이 때, 로그인 데이터의 일 예는 패킷 타입으로서 LGIN를 포함하고, 메시지 내용으로서,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인 nScreenID,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인 APPId 및 제 1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제 2 단말(22)로부터 로그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로그인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 및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 이 때, 로그인 데이터의 일 예는 패킷 타입으로서 LGIN를 포함하고, 메시지 내용으로서,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인 nScreenID,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인 APPId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이 때, 세션 연결 서버(10)는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와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제 1 단말(21)과 제 2 단말(22)이 동일 사용자 정보에 등록된 단말들임을 인식하고, 자동적으로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데이터에는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포함될 수 있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원격재생 또는 제어에 필요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데이터를 제 2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이 때, 전달되는 요청 데이터의 일 예는 패킷 타입으로서 CMMD를 포함하고, 메시지 내용으로서,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원격재생 또는 제어를 위한 실행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원격재생 또는 제어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 데이터를 제 1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이 때, 전달되는 결과 데이터의 일 예는 패킷 타입으로서 CMMD를 포함하고, 메시지 내용으로서, 제 1 단말(21)의 그룹 아이디, 제 2 단말(22)의 그룹 아이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원격재생 또는 제어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연결 서버(10)는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과 주기적으로 세션 연결을 유지하는 유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유지 데이터의 일 예는 패킷 타입으로서 PING를 포함하고, 메시지 내용으로서 세션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질의하는 alive check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2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20)은 요청 메시지 생성부(201), 메시지 송수신부(202), 데이터 메시지 생성부(203) 및 데이터베이스(204)를 포함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단말(2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20)은 사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20)은 일반적인 단말에 포함된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요청 메시지 생성부(201)는 단말(20) 및 단말(20)과 다른 단말간의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앞서 도 2를 통해 예시하면, 단말(20)은 제 1 단말(21)이고, 단말(20)은 제 2 단말과의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소켓(Socket)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메시지 송수신부(202)는 생성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세션 연결 서버(10)로 전송한다. 이 때, 세션 연결 서버(10)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20)의 그룹 아이디, 단말(20)의 제 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다른 단말의 그룹 아이디, 다른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단말(20)과 다른 단말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이 경우, 세션 연결은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메시지 생성부(203)는 단말(20)과 다른 단말간의 세션 연결을 기반으로 다른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때, 데이터 메시지는 다른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다른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4)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는 단말(2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단말(20)과 단말(2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04)는 세션 연결 서버(10)로 전송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04)의 일 예에는 단말(2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단말(20)은 앞서 설명된 제 1 단말(21) 또는 제 2 단말(22)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단말(20)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제 1 단말(21) 또는 제 2 단말(22)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단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단말(20)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서 설명된 제 1 단말(21)과 제 2 단말(22)에 대해서 설명된 내용을 준용한다. 즉, 이하에서 단말(20)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연결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션 연결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션 연결 서버(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의 세션 연결 서버(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션 연결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에서 메시지 송수신부(11)는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21)로부터 제 1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52에서 메시지 송수신부(11)는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22) 제 2 단말(22)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S53에서 그룹 식별부(12)는 제 1 메시지 및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단말(21) 및 제 1 단말(21)과 동일 그룹에 포함된 제 2 단말(22)을 식별한다. 단계 S54에서 어플리케이션 식별부(13)는 제 1 메시지 및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단말(21)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단말(22)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한다. 단계 S55에서 세션 연결 수행부(14)는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세션 연결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세션 연결 서버
11: 메시지 송수신부
12: 그룹 식별부
13: 어플리케이션 식별부
14: 세션 연결 수행부
20: 단말

Claims (9)

  1. 단말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 각각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그룹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과 상기 제 1 단말과 동일 그룹에 포함된 제 2 단말을 식별하는 그룹 식별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부;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수행부를 포함하는 세션 연결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아이디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동일 사용자 정보에 등록된 단말들을 포함하는 그룹의 아이디인 것인, 세션 연결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아이디는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이 포함된 그룹의 아이디 및 상기 각각의 단말의 상기 그룹 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세션 연결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소켓(Socket) 기반의 메시지이고,
    상기 세션 연결 수행부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소켓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소켓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인, 세션 연결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세션 연결을 기반으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인, 세션 연결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원격재생 또는 원격제어에 필요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하고,
    상기 원격재생 또는 원격제어의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세션 연결 서버.
  7. 세션 연결 서버에 의하여 단말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 중 제 1 단말로부터 제 1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제 2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과 상기 제 1 단말과 동일 그룹에 포함된 제 2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 및 상기 제 2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연결 방법.
  8. 세션 연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 및 상기 단말과 다른 단말간의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요청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세션 연결 서버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수신부; 및
    상기 세션 연결을 기반으로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 메시지를 생성하는 데이터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상기 단말의 제 1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메시지는 상기 다른 단말의 그룹 아이디와 상기 다른 단말의 제 2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연결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간의 세션 연결인 것인, 단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소켓(Socket)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세션 연결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소켓과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 소켓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것인, 단말.
KR1020110141748A 2011-12-23 2011-12-23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144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48A KR101442161B1 (ko) 2011-12-23 2011-12-23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48A KR101442161B1 (ko) 2011-12-23 2011-12-23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42A true KR20130073742A (ko) 2013-07-03
KR101442161B1 KR101442161B1 (ko) 2014-11-03

Family

ID=4898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748A KR101442161B1 (ko) 2011-12-23 2011-12-23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0402A1 (en) * 2013-10-03 2015-04-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evice-to-device relate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16737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케이티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WO2020122477A1 (ko) * 2018-12-13 2020-06-1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형 평면아이디를 활용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이동성, 멀티캐스팅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193B1 (ko) * 2007-12-31 2014-04-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160382B1 (ko) * 2008-04-04 2012-06-2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1696A (ko) * 2009-06-30 201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이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0402A1 (en) * 2013-10-03 2015-04-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evice-to-device relate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28257B2 (en) 2013-10-03 201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evice-to-device relate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16737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케이티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미디어 재생 장치
WO2020122477A1 (ko) * 2018-12-13 2020-06-1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형 평면아이디를 활용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이동성, 멀티캐스팅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161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532B1 (ko) 복수의 디바이스들 상에서 복수의 명령들의 실행을 허용하는 것에 의해 강화되는, m2m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레이어와 관리 레이어 사이의 동작들
US9307398B2 (en) Wireless network host in silent mode
US20180167785A1 (en) Methods and aparatus for analyzing and grouping service layer subscriptions and notifcations for enhanced efficiency
CN102224715A (zh) 低资源设备中的优化轮询
CN104935454A (zh) 面向服务的架构中的能力监测
US201401641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signage related to mobile terminal
JP2010231759A (ja) モバイルクラウドプラットホームを具備したモバイル端末装置
RU2009138333A (ru) Установление выборочного фаз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EP2421259B1 (en) Method, system and home stream media server for implementing video on demand service
US9155117B2 (en) Directly transferring data between devices
KR20140113253A (ko) 네트워크상의 장치들의 애플리케이션 연결 방법
KR101442161B1 (ko) 단말들의 어플리케이션들간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세션 연결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CN112666877A (zh) 一种物联网的控制系统
KR20130116458A (ko) 단말의 유해 자원 접근을 관리하는 유해 자원 접근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JP2009089003A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102014774B1 (ko) 단말의 음성인식을 제어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CN102439946B (zh) 数据传输方法和设备
KR20130042763A (ko) 콘텐츠 공유 관리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단말
JP2017534945A (ja) ネットワーク内でタグにアクションを割り当てる方法、ネットワーク及び制御デバイス
KR101909257B1 (ko) 단말로부터 요청된 가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CN114143569B (zh) 一种网页录制和直播方法及系统
CN104768056A (zh) 电子装置及其串流媒体的播放方法
KR101546387B1 (ko) 단말들간의 콘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공유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JP2005275690A (ja) 認証代行方法及び配信管理装置並びに認証代行方法のプログラム
CN103795760A (zh) 通过网络处理文档的方法、系统及通过网络处理数据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