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265A -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265A
KR20130073265A KR1020110141019A KR20110141019A KR20130073265A KR 20130073265 A KR20130073265 A KR 20130073265A KR 1020110141019 A KR1020110141019 A KR 1020110141019A KR 20110141019 A KR20110141019 A KR 20110141019A KR 20130073265 A KR20130073265 A KR 2013007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chitooligosaccharide
vegetables
aqueous solution
degrading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814B1 (ko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지
Priority to KR102011014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8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ertilizer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량 200,000 이상의 키토산을 라이조푸스 균주 배양물을 발효시켜 분자량 10,000 이하의 올리고머 형태로 분해시켜 이를 액비로 과채류에 관주, 또는 엽면시비 한 결과, 해당 과채류에서 키토올리고당이 과채류 체성분으로 검출되어 특정한 기능성을 가지는 과채류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The vegetable cultivating method to use fermented liquid chitooligosaccharide fertilizer}
본 발명은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생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량 200,000 이상의 키토산을 라이조푸스 균주 배양물을 발효시켜 분자량 10,000 이하의 올리고머 형태로 분해시켜 이를 액비로 과채류에 관주, 또는 엽면시비 한 결과, 해당 과채류에서 키토올리고당이 과채류 체성분으로 검출되어 특정한 기능성을 가지는 과채류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키토올리고당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까지 특정 유효 성분을 과채류에 흡수시켜 체성분으로 전환, 발현되는 상품은 거의 없었으며 천연고분자로서 우수한 효능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키토산을 과채류에 흡수시켜 유효성분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 및 재배 방법 또한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키토산은 분자량이 높아 참외의 흡수가 어려우며 흡수 가능하도록 저분자화 하는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재배방법의 개발에 따라 출시되는 기능성 농산물이 나오고 있지만 기능성 자체의 실효성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나, 종래의 키토산을 참외 등의 농산물에 흡수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다.
특허 제0880603호는 키토산과 키토산 분해효소를 이용한 정수장 슬러지 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 비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 키토산을 이용하여 정수장 슬러지를 응집시킴으로서 정수장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응집처리하고, 효과적인 응집성과 친환경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고분자량의 키토산을 라이조푸스 등의 식물에 유익한 키토산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저분자량으로 분해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슬러지를 비료화 하여, 일반적인 수처리 약품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의 매립 또는 해양투기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키토산이 식물에 미치는 생육발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 제0880990호는 키토산과 키토산 분해효소를 이용한 석분 슬러지 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 비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분자 키토산을 이용하여 석분 슬러지를 응집시킴으로서 석분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응집처리하고, 효과적인 응집성과 친환경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고분자량의 키토산을 라이조푸스 등의 식물에 유익한 키토산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저분자량으로 분해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슬러지를 비료화 하여, 일반적인 수처리 약품에 의해 발생된 슬러지의 매립 또는 해양투기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키토산이 식물에 미치는 생육발달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 제0992213호는 라이조푸스를 이용한 저분자 키토산의 생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키토산 함유 식물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젖산 용액에 키토산을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키토산이 용해된 용액에 라이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 KCCM 10624 배양물을 섞어 분자량 3600 이하의 저분자 키토산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저분자 키토산을 토마토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분자 키토산 함유 토마토의 생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각 기술들은 키토산을 분해하여 저분자 키토산으로 만들고, 만들어진 저분자 키토산을 농산물에 투여하여 저분자 키토산이 함유된 농산물을 생산하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키토산을 저분자화된 키토올리고당 형태로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대량생산에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의 천연물 고분자 키토산을 상기의 발명과 비교하여 획기적으로 짧은 반응시간에서 올리고머 형태로 분해되어 과채류가 흡수, 함유가능한 조건으로 저분자화 된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과채류에 적용함으로써 키토올리고당을 체성분으로 함유한 과채류 생산방법을 확립함으로써 기능성(키토올리고당 함유) 과채류의 다양한 상품화로 가공제품의 이용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짧은 시간에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자량 200,000(Mw) 이상의 키토산을 0.1 ~ 3%의 수용액 일정량에 키토산 분해효소 배양물 일정량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키토산 분해효소 균주 배양물과 키토산 수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1 ~ 4 시간 동안 방치하여 키토산 분해효소를 배양하는 단계; 교반기에 분자량 200,000(Mw) 이상의 0.1 ~ 3% 키토산 수용액을 채우고, 상기 교반기에 상기 키토산 분해효소가 배양된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키토산 분해효소가 배양된 혼합물을 상기 교반기에 투입한 후 500 ~ 1500 rpm의 속도로 5 ~ 15분 동안 고속교반하는 단계; 상기 고속교반 후 교반기 속도를 100 ~ 300 rpm으로 2 ~ 10시간 동안 저속교반하는 단계; 상기 저속교반 완료 후 생성된 키토올리고당을 과채류에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키토산 분해효소는, 라이조푸스(Rhizopus sp.), 스트렙토마이시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바실러스(Bacillus sp.) 트리코데르마 하마툼(Trichoderma hamatum), 트리코데르마 하지아눔(Trhchoderma harzian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또는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균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근권미생물인 라이조푸스균주는 식물생장을 촉진시키고 병저항성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속교반시에는 교반기 내로 공기를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키토산을 분해할 수 있다. 키토산 분해효소들은 호기성 균주이기 때문에 공기가 공급되면서 교반하는 경우, 공기가 촉매작용을 하여 키토산을 빨리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키토올리고당을 투여하는 단계는, 액상분과 고형분을 분리하여 액상분은 엽면시비하고 고형분은 토양에 살포할 수 있다. 키토올리고당으로 분해된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액상과 고형분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의 천연물 고분자 키토산을 상기의 발명과 비교하여 획기적으로 짧은 반응시간에서 올리고머 형태로 분해되어 과채류가 흡수, 함유가능한 조건으로 저분자화 된 키토올리고당을 제조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분자화된 키토올리고당을 과채류에 적용함으로써 키토올리고당을 체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키토올리고당 함유) 과채류의 다양한 상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짧은 시간에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엽면시비나 살포의 방법으로 인해 토양에 공급되는 기존의 키토산류 액체비료 등과는 달리 토양과 키토산을 균일하게 정전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떼알구조를 형성하여 통기성과 보습력이 좋아 노지에 사용될 경우 외부 기후변화의 영향 없이 지속적으로 작물의 뿌리발육을 좋게 하고 토양에 유익한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토질을 개량하고 지력을 증진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조푸스 균주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 분해효소의 투입유무에 따른 키토산 점도 변화 그래프.
도 4는 포도박의 분해 대사산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라이조푸스 균주와 발효액비의 투입량에 따른 키토올리고당 검출 그래프.
도 5는 라이조푸스 균주와 키토산 발효액비의 투입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대사산물의 투입량에 따른 키토올리고당의 검출 그래프.
도 6은 라이조푸스 균주와 키토산 발효액비의 투입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대사산물의 투입량에 따른 키토올리고당의 검출 그래프.
도 7은 라이조푸스 균주의 동일한 투입조건에서 키토산 발효액비 및 대사산물의 투입에 따른 키토올리고당의 검출 그래프.
도 8은 라이조푸스 균주, 키토산 발효액비 및 대사산물의 투입조건에 따른 키토올리고당의 검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자량 200,000(Mw) 이상의 키토산을 0.1 ~ 3%의 수용액으로 만든다. 만들어진 키토산 수용액의 일정량에 키토산 분해효소 균주 배양물 일정량을 혼합하게 된다(S1). 0.1 ~ 3%의 키토산 수용액 3L에 키토산 분해효소 균주 배양물 3k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데, 분말형태가 수용액에 들어가게 되어 반죽형태로 되며, 반죽형태의 상태로 1 ~ 4시간 정도 방치하여 키토산 분해효소를 배양하게 된다(S2). 키토산 분해효소 균주 배양물은 키토산 분해효소인 키티나아제(chitinase)를 생산할 수 있는 균주와 균주에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물질들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교반기에 분자량 200,000(Mw) 이상의 0.1 ~ 3% 키토산 수용액 일정량을 채우게 된다. 채워지는 키토산 수용액은 97L를 채운다. 키토산 분해효소 균주 배양물에 포함된 3L와 교반기에 채워진 수용액 97L를 합쳐서 100L가 되도록 한다. 교반기에 채워진 키토산 수용액에는, 키토산 분해효소가 배양된 혼합물을 투입하게 된다(S3).
다음으로, 교반기에 키토산 분해효소가 배양된 혼합물을 투입한 후에 500 ~ 1500 rpm의 속도로 5 ~ 15분 동안 고속교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4). 고속교반하는 것은 키토산 분해효소가 키토산 수용액에 골고루 섞이게 하기 위함이다. 키토산을 분해하기에 앞서 키토산 수용액 내에 빨리 그리고 충분히 키토산 분해효소인 키티나아제를 분포시켜서 키토산 분해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속교반 후에는 교반기 속도를 100 ~ 300 rpm으로 2 ~ 10시간 동안 저속교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5). 저속교반은 키티나아제와 키토산이 지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면적을 넓혀주기 위해 일정속도로 저속교반을 계속 실시한다. 저속교반시 공기를 교반기에 투입하면서 교반할 수 있다(S5'). 균주가 호기성 균주이기 때문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교반하는 경우 공기가 촉매역할을 수행하여 키토산을 빠른 시간내에 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저속교반을 끝난 후 키토산은 키토올리고당으로 분해된 상태가 되고, 상기 키토올리고당을 과채류에 투여하게 된다(S6). 과채류에 투여하는 키토올리고당은 액상이나 고형분 또는 고형분과 액상이 혼합된 형태로 잎사귀나 토양에 투입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 선정 >
실험조건 : 키토산 발효를 위한 미생물 배양 및 배양 조건
- 배양온도 : 30℃
- 배양습도 : 60%
- 미생물의 종류 : 천연고분자 및 토양 비료 성분을 분해 또는 발효시킬 수 있는 효소 선정
<근권미생물 종류별 균사생육 상태>
미생물의 종류 균사 생육 상태
라이조푸스 (Rhizopus sp .) +++++
스트렙토마이시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 ++
바실러스(Bacillus sp.) +++
트리코데르마 하마툼(Trichoderma hamatum) ++
트리코데르마 하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 +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
유용 미생물들의 종류별 균사 생육 정도는 라이조푸스(Rhizopus sp.)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광학 현미경 사진은 도 2와 같다.
< Rhizopus sp .에 의한 키토올리고당 ( chitooligosaccharide ) 제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토산 분해효소를 넣지 않은 시료와 키토산 분해효소를 넣은 시료에 대한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간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효소를 넣었을 때와 넣지 않았을 때의 차이가 극명히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소를 넣었을 때의 초기 점도가 효소를 넣지 않았을 때보다 훨씬 낮음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의 원인으로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은 효소를 넣지 않았을 때의 그래프를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점도가 약간씩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초산에 의해 키토산이 약간 분해되는 경시 변화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소를 넣은 시료로 측정했을 때에는 키토산 시료가 이미 이전 실험에 사용한 시료보다 점도가 더 떨어졌을 것이고, 두 번째로 효소를 첨가한 후 mixing 하는 동안에 이미 분해가 시작되어 점도가 더 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실험 시작 이후 점도 데이터(data)가 안정적이지 않은 이유로는 일단 시료에 포함된 기포가 터지면서 발생했을 가능성과 기기에서 가해준 자극이 스테디(steady)한 상태로 가는 데 시간이 걸렸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토산 분해효소를 넣은 경우와 넣지 않은 경우가 명백하게 구별됨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효소를 넣은 경우 키토산의 분해가 스테디(steady)한 상태가 되는 시간은 대략 7200초 즉, 분해가 완료되는 시간은 약 2시간 가량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는 키토산이 키토올리고당으로 분해되는시간이 3시간 이내로 획기적으로 줄어듦을 알 수 있다.
<과채류에 투여>
발효된 키토올리고당을 과채류에 엽면시비하거나 토양에 비료로 투여하게 된다. 액비 또는 기비로 투여하거나 액상분과 고형분이 함께 포함된 형태로 과채류에 투여할 수 있다. 발효된 키토올리고당을 과채류에 투여하는 경우 과채류 체성분 함유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발효된 키토올리고당에 포도박이나 유박 등을 미생물로 분해한 대사산물을 함께 병행하여 과채류에 처리함으로써 기능성 과채류의 키토올리고당 함유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과채류 선정>
키토올리고당 참외 재배시스템을 이용하여 참외의 초기 생육효과 등 작물 효과 시험을 검증하기 위해 공인기관에 시험(비료의 품질 검사 방법)을 의뢰한 결과, 처리별 참외의 초기 생육은 엽장, 엽폭, 엽수, 엽중으로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유기질비료 처리구에서 대부분 증가되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엽중은 113~114% 이상 증진되어 작물 생육촉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처리별 참외의 초기 생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추천량 처리구에서 104%~108% 증가하여 작물생육촉진효과가 나타났다.
본 시험 과정에 의한 참외재배에서 생육초기 약해 및 비해 증상과 생리장해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참외재배 농가 8곳, 40여동(1동:200평)에 정식 에서 출하까지 참외 생육기별로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라이조푸스 균주(Rhizopus sp.), 키토올리고당 발효 액비 및 포도박 분해 대사산물을 처리하였으며 기타 작물로는 파프리카, 피망, 고추 등을 시험포장에서 재배하였다.
<재배시스템 적용 농가 및 재배 품종현황>

품종 정식일 수정일 예상출하일
(수정 후 40~45일)
처리내역
1 부자꿀/에이스플러스 3/10 4/10~4/15 5/20 재배 농가 참외 생육기별로 키토올리고당발효액비, 포도박 대사산물, 라이조푸스 균주, 등을 조건별로 처리
2 오복/타잔 3/6 4/11 5월 말경
3 오복/용암토좌 3/12 4월 초 5/20
4 명문/무병장수 2/13 4/10 5/20
5 만리장성 3/20 4/20 5월 말경
6 만리장성/무병장수 2/30 4/10 5월 말경
7 오복, 금보석/타잔 2/31 3월 말 5월 중순
8 오복/만리장성 3/25 4/26 5월 말경
<참외 재배기간에 따른 처리조건(200평기준)>
구분 미생물 발효액비 효소제 비고
1 1 1 0 단위:
라이조푸스 균주: 3Kg
발효액비:10L
대사산물:5Kg
2 2 1 0
3 3 1 0
4 1 2 0
5 2 2 0
6 3 2 0
7 1 1 1
8 2 1 1
9 3 1 1
10 1 2 2
11 2 2 2
12 3 2 2
< 키토올리고당의 검출분석>
생산된 키토올리고당 참외는 한국식품공업협회에 체성분 분석을 의뢰하여 키토올리고당 함유성적서를 확보하였으며 미생물제제, 키토산발효액비, 효소제 처리농도별 키토올리고당 검출 경향은 다음과 같다.
<키토올리고당 검출경향 분석>
구분 라이조푸스 균주 발효
액비
대사
산물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비고
실시예 a 1 1 0 - - 0 - 0.08 0.05 단위:
라이조푸스 균주: 3Kg
발효액비:
10L
대사산물:
5Kg
실시예 b 2 1 0 - - - - 0.11 0.10
실시예 c 3 1 0 - - - - 0.10 0.10
실시예 d 1 2 0 - - 0.16 - 0.31 0.32
실시예 e 2 2 0 - - 0.17 - 0.30 0.33
실시예 f 3 2 0 - - 0.17 - 0.35 0.36
실시예 g 1 1 1 - - 0.18 - 0.25 0.22
실시예 h 2 1 1 - - 0.19 - 0.25 0.23
실시예 i 3 1 1 - - 0.22 - 0.28 0.24
실시예 j 1 2 2 - - 0.28 - 0.50 0.52
실시예 k 2 2 2 - - 0.34 - 0.52 0.51
실시예 l 3 2 2 0 0.01 0.37 - 0.58 0.55
비교예 m 3 0 2 - - 0 - 0 0
라이조푸스 균주(Rhizopus sp.), 키토산 발효액비, 포도박 분해 대사산물의 양을 각각 달리하여 참외를 재배 하였을 때 참외 체성분으로 검출되는 키토올리고당의 함량에 미치는 경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상기 표 4의 비교예 m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이조푸스 균주와 대사산물 처리만으로 재배한 참외에서는 체성분으로 키토올리고당이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상기 기술로 발명된 키토산 발효액비의 효과로 재배작물의 체성분에 키토올리고당이 함유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도 4는 포도박의 분해 대사산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라이조푸스 균주와 발효액비의 투입량에 따른 키토올리고당 검출 그래프이다. 라이조푸스 균주 투입량과 발효액비의 투입량에 따른 키토올리고당 검출량은 동일조건에서 비교할 때 재배지역에 따라 검출량에 편차는 있었으나 대부분 라이조푸스 균주의 개체수가 많고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발효 키토올리고당의 투입량이 많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은 라이조푸스 균주와 키토산 발효액비의 투입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대사산물의 투입량에 따른 키토올리고당의 검출 그래프이다. 라이조푸스 균주와 발효액비의 투입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대사산물의 투입에 따른 키토올리고당 검출량은 대사산물의 투입량이 많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대사산물이 키토올리고당 검출에 상승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도 7은 라이조푸스 균주의 동일한 투입조건에서 키토산 발효액비 및 대사산물의 투입에 따른 키토올리고당의 검출 그래프이다. 동일한 라이조푸스 균주의 처리조건에서 키토산 발효액비와 대사산물의 영향을 고찰해본 결과 대사산물보다 키토산 발효액비의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도 8은 라이조푸스 균주, 키토산 발효액비 및 대사산물의 투입조건에 따른 키토올리고당의 검출 그래프이다. 앞서 그림 4와 같이 라이조푸스 균주와 키토산 발효액비 만으로도 키토올리고당 함유 참외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에 비해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키토올리고당 함량이 월등이 높아지는 것을 도 5 및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라이조푸스 균주와 대사산물이 투입이 과채류에 키토올리고당 함량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가 투여된 식물들에 대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9는 참외에 대한 시험성적서로서 키토올리고당이 0.37(mg/g)이고, 도 10은 파프리카에 대한 시험성적서로서 키토올리고당이 0.03(mg/g)이며, 도 11은 고추에 대한 시험성적서로서 키토올리고당이 0.19(mg/g)이 함유되어 있음이 표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4)

  1. 분자량 200,000(Mw) 이상의 키토산을 0.1 ~ 3%의 수용액 일정량에 키토산 분해효소 균주 배양물 일정량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키토산 분해효소 균주 배양물과 키토산 수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1 ~ 4 시간 동안 방치하여 키토산 분해효소를 배양하는 단계;
    교반기에 분자량 200,000(Mw) 이상의 0.1 ~ 3% 키토산 수용액을 채우고, 상기 교반기에 상기 키토산 분해효소가 배양된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키토산 분해효소가 배양된 혼합물을 상기 교반기에 투입한 후 500 ~ 1500 rpm의 속도로 5 ~ 15분 동안 고속교반하는 단계;
    상기 고속교반 후 교반기 속도를 100 ~ 300 rpm으로 2 ~ 10시간 동안 저속교반하는 단계;
    상기 저속교반 완료 후 생성된 키토올리고당을 과채류에 투여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분해효소는, 라이조푸스(Rhizopus sp.), 스트렙토마이시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바실러스(Bacillus sp.) 트리코데르마 하마툼(Trichoderma hamatum), 트리코데르마 하지아눔(Trhchoderma harzianum),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또는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균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저속교반시에는 교반기 내로 공기를 투입하면서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을 투여하는 단계는, 액상분과 고형분을 분리하여 액상분은 엽면시비하고 고형분은 토양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KR1020110141019A 2011-12-23 2011-12-23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KR10135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19A KR101357814B1 (ko) 2011-12-23 2011-12-23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19A KR101357814B1 (ko) 2011-12-23 2011-12-23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265A true KR20130073265A (ko) 2013-07-03
KR101357814B1 KR101357814B1 (ko) 2014-02-04

Family

ID=4898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019A KR101357814B1 (ko) 2011-12-23 2011-12-23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8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9433A (zh) * 2019-11-11 2020-01-14 安庆师范大学 一种园林植物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
KR102089777B1 (ko) * 2019-08-14 2020-03-17 서정한 라이조푸스 속 균주와 키토산 및 사포닌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0745A (ko) * 2019-08-14 2021-02-24 서정한 라이조푸스 속 균주와 키토산 및 사포닌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사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59B1 (ko) 2007-06-28 2008-09-05 박종득 항고혈압 활성이 향상된 친환경 유기농포도의 재배방법
KR20090101565A (ko) * 2008-03-24 2009-09-29 주식회사 건풍바이오 식물의 오탄당인산 경로를 촉진시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
KR20100050869A (ko) * 2008-11-06 2010-05-14 전태희 기능성 마와 그 재배방법
KR100977293B1 (ko) 2009-09-11 2010-08-23 정승혜 과채류의 품질 개선을 위한 재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777B1 (ko) * 2019-08-14 2020-03-17 서정한 라이조푸스 속 균주와 키토산 및 사포닌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0745A (ko) * 2019-08-14 2021-02-24 서정한 라이조푸스 속 균주와 키토산 및 사포닌을 포함하는 액상 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재배된 사과
CN110679433A (zh) * 2019-11-11 2020-01-14 安庆师范大学 一种园林植物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814B1 (ko)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5004B (zh) 一种利用复合发酵剂生产土壤生物肥料的制作方法
CN103193525B (zh) 一种海藻液肥的生产方法
CN110498712B (zh) 一种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4671860A (zh) 农业废弃物为原料的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2344315A (zh) 一种复合微生物海藻有机液态肥及其制备方法
CN101357857B (zh) 用于水产养殖水稻田的生物有机肥料及其生产方法
CN100393672C (zh) 一种促进农业废物堆肥腐熟的活性添加剂及其应用
CN106916021A (zh) 一种双源腐植酸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357814B1 (ko) 키토올리고당 발효액비를 이용한 과채류의 재배방법
CN115925486A (zh) 用于防治土壤青苔的海藻复合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Yanti et al. Quality improvement of sugarcane top as animal feed with biodelignification by phanerochaete chrysosporium fungi on in-vitro digestibility of NDF, AD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CN110615704A (zh) 利用含脂肪、皂甙及蛋白类中药渣废弃物制备生物肥料的方法
CN112919941A (zh) 一种利用蔬菜易腐残体及残次果菜制备农用酵素的方法
CN108017428A (zh) 一种秸秆腐解菌剂及其应用
Sunarya et al. Utilization of baglog waste as bokashi fertilizer with local microorganisms (MOL) activator
CN106701600A (zh) 一种秸秆发酵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734322A (zh) 一种海藻酸盐辅助农作物秸秆发酵的方法
CN110746220A (zh) 一种尿素碱复合药剂促进还田秸秆分解的方法
CN110655422A (zh) 一种促腐熟保氮素的堆肥方法及有机肥料的应用
CN105581021A (zh) 秸秆速解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5343772A (ja) 有機質肥料用組成物および有機質肥料の製造方法
CN106278572A (zh) 一种利用混合微生物降解的海藻肥制备方法
CN105585346A (zh) 一种促进农业废物堆肥腐熟的活性添加剂及其应用
CN104355919A (zh) 植物源杀虫生物肥
CN103710270A (zh) 一种降解松树凋落物的腐熟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