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543A -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543A
KR20130072543A KR1020110140021A KR20110140021A KR20130072543A KR 20130072543 A KR20130072543 A KR 20130072543A KR 1020110140021 A KR1020110140021 A KR 1020110140021A KR 20110140021 A KR20110140021 A KR 20110140021A KR 20130072543 A KR20130072543 A KR 20130072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verters
inverter
energy module
renewabl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승
노병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우
Priority to KR102011014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2543A/ko
Publication of KR2013007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30State monitoring, e.g. fault, temperature monitoring, insulator monitoring, corona discharge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인버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라 최적화된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변환에 따른 계통연게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용량을 초과하는 전력에 대해서 복수의 인버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대응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최대출력에 따라 저비용으로 인버터의 수와 용량을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출력에 최적화되도록 능동적으로 구동 인버터의 수를 가변함으로써 비용 대비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Switching system for grid-connected inverter according to output of renewalbe energy module}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인버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라 최적화된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변환에 따른 계통연게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천연자원의 고갈과 화력 및 원자력 발전에 대한 환경 및 안정성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기존의 연료를 대체하여, 햇빛, 물, 지열, 생물 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신재생 에너지가 급부상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를 원하는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양한 모듈이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신재생 에너지 모듈로서, 햇빛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나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 등을 예로 들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기에너지는 부하단에 선형이나 비선형의 부하가 걸릴지라도 균일한 출력을 유지하고 안정하게 동작하는 반면, 신재생 에너지 모듈은 가변적 발전환경에 따라 비선형적인 특성을 보이는 전력원이다.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전압과 전류는 일정한 값이 아니고, 부하전류에 따라서 출력전압이 결정되는 비선형 전류원(Non-linear Current Source)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생성되는 전력(power) 또한 부하에 따라서 특성이 가변되는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에서 제공되는 출력을 이용한 기존의 전력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재생 에너지 모듈(10), 인버터(20), MPPT부(21) 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버터(20)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1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출력을 받아 해당 직류출력을 계통에 사용하기 적합한 교류출력으로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이 비선형 전류원이므로 교류출력을 일정하게 제공하는게 쉽지 않다.
이를 위해, 상기 인버터(20)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면서 최대효율로 계통(30)으로 교류출력을 보내기 위해서,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의 최대 전력점에서 상기 교류 출력을 내보낼 수 있도록 최대전력점의 전압을 추적하는 MPPT부(21)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MPPT부(21)의 최대 전력점 추적을 통해 계통(30)으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신재생 에너지 모듈(10)의 효율이 증가하거나 패널이 증설되는 경우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인버터(20)가 지원하는 전력용량도 증가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버터(20)의 용량을 확정해야 하는데, 상기 인버터(20)는 지원하는 전력용량이 3KW, 7,5KW, 20KW, 75KW 순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4KW만의 전력용량이 요구되더라도 7.5KW로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더군다나, 상기 인버터(20)는 지원 전력용량이 증가할때마다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시스템 구성을 위한 부담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 모듈(10)의 계통(30) 연계시 계통(30)으로 제공되는 출력에 최적화된 인버터(20) 구성을 제공하고, 저비용으로 계통 연계 인버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726024호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인버터의 지원 전력용량을 초과하는 전력에 대해서 복수의 인버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대응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최적화된 시스템 구성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은 직류 전력을 제공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과,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최대 생산전력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병렬 연결되며 상기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인버터와, 상기 복수의 인버터와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인버터 중 사용할 인버터를 선택 구동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복수의 인버터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누적하며 입력전력에 대한 크기를 펄스로 제공하는 테스트 포트를 구비한 일반 상용 전력 적산계와, 상기 전력적산계의 테스트 포트와 연결되어 현재 측정되는 전력량에 대한 펄스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의 출력을 통해 현재 전력량을 판단하며, 현재 전력량과 상기 인버터의 구동 개수에 따른 전체 전력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구동 인버터의 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인버터가 구동중인 경우 인버터의 전체 전력용량과 기설정된 수치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버터 중 다른 인버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인버터가 구동중인 경우 현재 전력량과 기존 전력량을 비교하여 전력량의 상승 및 하강을 판단하여 구동 인버터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전력량이 상승하는 경우 현재 구동중인 인버터의 수에 따른 전체 전력용량과 상기 카운터부의 출력을 통해 측정된 현재 전력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상승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인버터를 추가 구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부는 전력량이 하강하는 경우 현재 구동중인 인버터의 수에 따른 전체 전력용량과 상기 카운터부의 출력을 통해 측정된 전력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하강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복수의 인버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인버터 중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전력용량을 가지는 경우 복수의 임계치와 각 임계치에 따른 구동 인버터의 수가 기설정되며, 상기 카운터부의 출력을 통해 측정된 현재 전력량과 상기 각 임계치를 비교하여 구동 인버터의 수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인버터는 기설정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알고리즘을 통해 최대전력점에 해당하는 전압을 판단하는 MPPT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인버터는 상기 MPPT부의 전압에 따라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PPT부의 최대전력점을 모니터링하는 MPPT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MPPT 관리부는 현재 구동되는 각 인버터의 MPPT부로부터 최대전력점에 해당하는 전압을 수신하여, 어느 하나의 MPPT부를 기준으로 전압을 상호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상용 전력적산계의 테스트포트(Testport)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른 인버터의 전력용량을 초과하는 전력에 대해서 복수의 인버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대응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최대출력에 따라 저비용으로 인버터의 수와 용량을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출력에 최적화되도록 능동적으로 구동 인버터의 수를 가변함으로써 비용 대비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모듈을 이용한 전력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의 구동 인버터 선택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PPT 제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기존 계통과 연결된 단일 인버터에서 신재생 에너지 모듈에서 제공되는 출력을 모두 처리하는 구성으로 인하여,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생산 전력용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생산전력 용량을 수용할 수 있는 상이한 전력용량을 가진 인버터로 교체하는데 있어서, 인버터의 지원 전력용량이 증가하는 경우 인버터의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시스템 구성 비용이 크게 증가하며, 비선형적인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생산 전력용량이 인버터의 지원 전력용량과의 차이가 큰 경우 인버터의 구성 비용 대비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생산 전력용량을 복수의 인버터를 통해 수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생산 전력용량이 가변함에 따라 복수의 인버터 중 구동 인버터를 선택 구동하도록 스위치하여 인버터의 구성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 가변에 따른 구동 인버터의 수를 조절하여 시스템 구성 비용 대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제안한다.
상술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전력을 제공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과,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의 최대 생산전력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병렬 연결되며 상기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인버터(200)와, 상기 복수의 인버터(200)와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인버터(200) 중 사용할 인버터(200)를 선택 구동하는 스위치부(600)와, 상기 복수의 인버터(20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누적하며 입력전력에 대한 크기를 펄스로 제공하는 테스트 포트를 구비한 일반 상용 전력 적산계(300)와, 상기 전력적산계(300)의 테스트 포트와 연결되어 현재 측정되는 전력량에 대한 펄스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400)와, 상기 카운터부(400)의 출력을 통해 현재 전력량을 판단하며, 현재 전력량과 상기 인버터(200)의 구동 개수에 따른 지원 전력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600)를 통해 구동 인버터(200)의 수를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은 태양전지, 풍력 발전기 등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다양한 모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인버터(200)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KW, 7.5KW, 20KW, 75KW 등의 지원 전력용량을 가진 일반 상용 인버터(200)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버터(200)를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생산 전력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지원 전력용량을 가진 인버터(20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면, 우선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은 비선형적인 직류 전력을 생산하여 상기 스위치부(600)로 제공하며, 상기 스위치부(600)는 상기 복수의 인버터(200)에 상기 직류 전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600)는 최초 구동시 상기 복수의 인버터(200) 중 하나의 인버터(200)를 선택하여 구동하며, 구동중인 해당 인버터(200)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로부터 제공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일반 상용 전력적산계(300)로 제공한다.
상기 일반 상용 전력적산계(300)는 상기 교류전력을 측정하여 테스트 포트를 통해 펄스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테스트 포트에 연결된 상기 카운터부(400)는 상기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여 출력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운터부(400)의 출력에 연결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카운터부(400)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전력적산계(300)가 측정하는 현재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구동되는 인버터(200)의 수를 판단하여, 하나의 인버터(200)가 구동되는 경우 현재 전력량과 기설정된 수치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600)를 통해 미리 인버터(200)를 추가 구동하고, 기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현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인버터(200)의 추가 구동에 따라 복수의 인버터(200)에서 제공되는 출력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적산계(300)와 카운터부(400)를 통해 현재 전력량으로 얻을 수 있으며, 현재 구동되는 인버터(200)가 복수인 경우 기존 전력량과 현재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승 및 하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는 전력량이 상승하는 경우 각 인버터(200)의 지원 전력용량을 합산한 전체 전력용량과 상기 현재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전체 전력용량과 현재 전력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상승 임계치 이하인 경우 현재 운용되는 복수의 인버터(200) 중 미구동중인 인버터(200)를 추가 구동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500)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의 비선형적인 출력에 따라 전력량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전체 전력용량과 현재 전력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하강 임계치 이상인 경우 현재 운용되는 복수의 인버터(200) 중 어느 하나를 정지하여 인버터(200) 구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함으로써 시스템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시스템 동작에 대한 상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전력량이 4KW인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600)를 통해 3KW의 인버터(200)를 복수로 선택 구동하여 상기 4KW의 전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 단일 인버터(200)로 구성된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전력 제공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이 4KW를 출력하는 경우 이를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해 7.5KW의 인버터(200)를 이용해야 하므로, 인버터(200)의 지원 전력용량 증가에 따른 기하급수적인 비용 증가로 인하여 부담이 증가하고, 필요 이상의 지원 전력용량을 가진 인버터(200) 사용으로 인하여 시스템 구성 효율이 비용 대비 현저히 낮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3KW의 인버터(200)를 병렬 구성하여 4KW 중 인버터(200)의 지원 전력용량을 초과하는 1KW에 대해서 추가 인버터(200)를 선택 구동하여 복수의 인버터(200)에서 4KW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낮은 가격의 인버터(200) 사용으로 인한 시시스템 구성 비용 절감과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의 현재 전력량에 따라 인버터(200)의 지원 전력용량을 맞춤형으로 구성하여 최적화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전력량과 기존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승 및 하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버터(200) 운용 중에 전력량이 4KW에서 2.7KW로 떨어지는 경우 현재 운용되는 복수의 인버터(200)에 대한 전체 전력용량과 상기 현재 전력량의 차이(3.3KW)를 기설정된 하강 임계치(3.2KW)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하강 임계치 이상인 경우 복수의 인버터(20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위치부(600)를 통해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복수의 인버터 운용 중에 현재 전력량이 4KW에서 5.9KW로 증가하는 경우 복수의 인버터(200)에 대한 전체 전력용량과 상기 현재 전력량의 차이(0.1KW)를 기설정된 상승 임계치(0.2KW)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복수의 인버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위치부(600)를 통해 미리 추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인버터(200)를 운용중인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500)는 현재 운용중인 인버터(200)의 전체 전력용량과 기설정된 수치를 비교하여 현재 전력량이 기설정된 수치(2.8KW)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600)를 통해 미리 다른 인버터(200)를 선택 구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버터(200)의 구동 제어 이외에도, 상기 복수의 인버터(200)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전력용량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복수의 임계치와 각 임계치에 대하여 구동 인버터(200)의 수가 기설정되어, 상기 카운터부(400)의 출력을 통해 측정되는 현재 전력량과 각 임계치를 비교하여 구동 인버터(200)의 수를 가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의 출력에 대한 상승 및 하강을 판단하고, 현재 전력량에 최적화된 인버터(200)의 수로 복수의 인버터(200)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시스템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버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알고리즘에 따라 최대전력점을 추적하여 최대전력점에 해당하는 기준 전압으로 상기 인버터를 구동하는 MPPT부(21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인버터(200)는 상기 MPPT부(210)의 기준 전압에 따라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버터(200)의 MPPT부(210)는 전압 대비 전류 스위핑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100)의 전압 대비 전류 특성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압 대비 전류 특성 정보를 근거로 전압 대비 전력 특성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전압 대비 전력 특성정보를 근거로 최대전력점과, 최대 전력점의 전압을 추출하여 이를 기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PPT부(210)의 최대전력점을 모니터링하는 MPPT 관리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MPPT 관리부(700)는 현재 구동되는 각 인버터의 MPPT부(210)로부터 최대전력점에 해당하는 기준 전압을 수신하여, 어느 하나의 MPPT부(210)를 기준으로 모든 MPPT부(210)의 기준 전압을 상호 동기화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각 MPPT부(210)는 주기적으로 상기 최대전력점과 이에 대한 기준 전압을 상기 MPPT관리부(700)에 제공하며, 기존 기준 전압을 갱신하여 최대전력점 추적을 주기적으로 동기화할 수 있어, 복수의 인버터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을 최대 효율로 유지할 수 있다.
100: 신재생 에너지 모듈 200: 인버터
210: MPPT부 300: 전력적산계
400: 카운터부 500: 제어부
600: 스위치부 700: MPPT 관리부

Claims (8)

  1. 직류 전력을 제공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최대 생산전력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병렬 연결되며 상기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인버터;
    상기 복수의 인버터와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인버터 중 사용할 인버터를 선택 구동하는 스위치부;
    상기 복수의 인버터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누적하며 입력전력에 대한 크기를 펄스로 제공하는 테스트 포트를 구비한 일반 상용 전력 적산계;
    상기 전력적산계의 테스트 포트와 연결되어 현재 측정되는 전력량에 대한 펄스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카운터부의 출력을 통해 현재 전력량을 판단하며, 현재 전력량과 상기 인버터의 구동 개수에 따른 전체 전력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구동 인버터의 수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인버터가 구동중인 경우 인버터의 전체 전력용량과 기설정된 수치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버터 중 다른 인버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인버터가 구동중인 경우 현재 전력량과 기존 전력량을 비교하여 전력량의 상승 및 하강을 판단하여 구동 인버터의 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량이 상승하는 경우 현재 구동중인 인버터의 수에 따른 전체 전력용량과 상기 카운터부의 출력을 통해 측정된 현재 전력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상승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인버터를 추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량이 하강하는 경우 현재 구동중인 인버터의 수에 따른 전체 전력용량과 상기 카운터부의 출력을 통해 측정된 전력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하강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복수의 인버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인버터 중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전력용량을 가지는 경우 복수의 임계치와 각 임계치에 따른 구동 인버터의 수가 기설정되며, 상기 카운터부의 출력을 통해 측정된 현재 전력량과 상기 각 임계치를 비교하여 구동 인버터의 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인버터는 기설정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알고리즘을 통해 최대전력점에 해당하는 전압을 판단하는 MPPT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인버터는 상기 MPPT부의 전압에 따라 상기 신재생 에너지 모듈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MPPT부의 최대전력점을 모니터링하는 MPPT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MPPT 관리부는 현재 구동되는 각 인버터의 MPPT부로부터 최대전력점에 해당하는 전압을 수신하여, 어느 하나의 MPPT부를 기준으로 전압을 상호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 모듈에 따른 계통 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KR1020110140021A 2011-12-22 2011-12-22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KR20130072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21A KR20130072543A (ko) 2011-12-22 2011-12-22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21A KR20130072543A (ko) 2011-12-22 2011-12-22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43A true KR20130072543A (ko) 2013-07-02

Family

ID=4898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021A KR20130072543A (ko) 2011-12-22 2011-12-22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25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4367A1 (en) * 2016-03-30 2017-10-05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and controlling converters and switching element modules in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10044292B2 (en) 2016-04-08 2018-08-07 Lsi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inverter system
CN110927500A (zh) * 2019-12-11 2020-03-27 许昌开普检测研究院股份有限公司 多电源切换变流器测试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4367A1 (en) * 2016-03-30 2017-10-05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and controlling converters and switching element modules in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WO2017171182A1 (ko) * 2016-03-30 2017-10-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 시스템의 컨버터 구동 장치 및 컨버터 제어 장치, 풍력 발전 시스템의 스위칭 소자 모듈 구동 장치 및 스위칭 소자 모듈 제어 장치
US10669989B2 (en) 2016-03-30 2020-06-02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for driving and controlling converters and switching element modules in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10044292B2 (en) 2016-04-08 2018-08-07 Lsi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inverter system
CN110927500A (zh) * 2019-12-11 2020-03-27 许昌开普检测研究院股份有限公司 多电源切换变流器测试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5041B2 (ja) 充電制御装置、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制御方法
DK2956572T3 (en) Electrolysis roof and electrolyzer
US20130088900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120049635A1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CN101826821B (zh) 光网混合供电不间断逆变电源的电能控制方法
US20090039826A1 (en) Solar energy charging/discharging system and charging/discharging method thereof
CN102170241A (zh) 用于单级功率变换系统的系统与方法
KR20160001249A (ko)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10978876B2 (e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hybrid control of an energy storage system
US20160118846A1 (en) Isolated-Type Hybrid Solar Photovoltaic System and Switching Control Method
Fathabadi Novel high-efficient large-scale stand-alone solar/wind hybrid power source equipped with battery bank used as storage device
CN105119266A (zh) 一种直流微电网的能量调控方法
KR101440197B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인버터 출력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인버터 출력 제어 방법
JP2011205824A (ja) 蓄電システム
KR20130072543A (ko) 신재생 에너지 모듈의 출력에 따른 계통연계 인버터 스위칭 시스템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hen et al. DC-link capacitor selections for the single-phase grid-connected PV system
US10396563B2 (en) Renewable energy load management and power balancing system and operation
KR102016731B1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ain et al. A Simple Methodology for Sizing of Stand-Alone PV-Battery System
CN204118758U (zh) 一种分布式太阳能并网控制箱
KR101278113B1 (ko) 고효율 태양광 배전반 발전장치
Azmi et al. Fuzzy logic control bas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technique in stand alone photovoltaic system
CN113795996A (zh) 用于管理配电网络中的电力的系统和方法
Chen et al. Application of Supercapacitor to Photovoltaic Module for Power Generation Compen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