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478A -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478A
KR20130070478A KR1020110137817A KR20110137817A KR20130070478A KR 20130070478 A KR20130070478 A KR 20130070478A KR 1020110137817 A KR1020110137817 A KR 1020110137817A KR 20110137817 A KR20110137817 A KR 20110137817A KR 20130070478 A KR20130070478 A KR 2013007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mage
information
display
i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소정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0478A/ko
Publication of KR2013007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어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장치로부터 제 1 메뉴 항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목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Remote controlling system,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관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나 정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원격제어장치(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사용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입력된 키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TV, 에어컨, VCR 등의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발달에 따라 거의 모든 전자기기에 원격제어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홈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다수의 원격제어장치를 하나로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하여 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원격제어장치는 일반 가정에서뿐 아니라, 전자기기가 설치될 수 있는 어떤 장소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버튼형 원격제어장치와, 제스처 인식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버튼형 원격제어장치는, 원격제어장치에 구비된 다수의 선택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요구 명령을 목표 장치(예를 들어, TV)에 전달할 수 있다.
제스처 인식 원격제어장치는, 목표장치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켜, 상기 목표장치에 표시된 다수의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의 메뉴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요구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버튼형 원격제어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키가 모두 구비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사용용도에 따라 미사용되는 키가 존재함에 따라 사용 활용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스처 인식 원격제어장치는, 유연성은 뛰어나지만 이에 익숙해지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타 장치에 표시된 포인터를 자신이 원하는 데로 정확히 제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 직관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어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장치로부터 제 1 메뉴 항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목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는 제어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메뉴 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목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제 1 이미지상에서 선택된 특정 메뉴에 대한 정보가 상기 목표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 상태에 따라 현재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선택 화면상에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재 입력할 수 있는 선택 버튼만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사용자 선택 화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시스템은 목표 장치(100) 및 상기 목표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목표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를 가정에서 사용한다면, 상기 목표 장치(100)는 텔레비전, 오디오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컴퓨터 및 게임기 등의 가전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목표장치(100)의 사용상태에 따라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조작할 목표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조작하고자 하는 목표 장치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목표장치(100)가 TV이고, 현재 채널전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채널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제품을 구매할 것인지를 최종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입력할 수 있는 메뉴만이 포함된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목표장치(100)의 동작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목표장치(100)를 디스플레이장치라 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 상태에 따라 현재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태가 채널 전환을 위한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채널 전환을 위한 채널 선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 상태가 현재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특정 물품을 선택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특정 물품에 대한 구매 확정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상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 구매 확정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선택화면은 상기 기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키 버튼을 각각 구비하지 않고, 현재 입력할 수 있는 키에 대응하는 메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표시되는 사용자 선택 화면상에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수신한 메뉴 정보에 포함된 메뉴의 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각각의 분할 영역에 상기 메뉴를 각각 표시한다.
상기 표시되는 메뉴는, 특정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대표 아이콘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에 포함된 메뉴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OSD 상에 'YES' 메뉴와, 'NO' 메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된 경우, 이에 대한 메뉴 이미지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전송되는 메뉴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메뉴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화면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중 선택 메뉴에 대응하는 이미지만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화면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메모리부(210), 통신부(220), 표시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1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나, 동작중에 발생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특히, 통신부(220)는 제어 대상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통신부(22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표시부(23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들로 구성된 이미지, 다시 말해서 사용자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23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되는 메뉴 항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상기 표시부(2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230)에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미지상에 존재하는 특정 항목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표시부(230)가 터치 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다이얼로그 기반의 대화상자만을 상기 출력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 항목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된 이미지상에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40)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메뉴만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현재 상태에 따른 입력 가능한 메뉴만이 포함된 메뉴 항목 정보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메뉴를 대표할 수 있는 대표 아이콘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대표 아이콘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대표 아이콘은 메모리부(2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형성되는 이미지(사용자 선택 화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230)에는 다수의 아이콘(420)을 포함하는 이미지(400)가 표시된다.
상기 다수의 아이콘(42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메뉴들의 대표 아이콘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아이콘(420)은 현재 입력 가능한 메뉴만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된 이미지(400)에서 특정 아이콘(420)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아이콘(420)에 대응하는 메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상기 선택된 아이콘(420)이 배치된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우선적으로 상기 이미지(400)의 각 영역에 어떠한 아이콘이 표시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이미지(400)를 표시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전송되는 메뉴 항목을 기준으로 표시될 아이콘 수(메뉴 수)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확인된 아이콘 수에 대응하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상기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각 영역에 상기 메뉴 항목에 따른 각각의 아이콘을 표시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40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400)에서 특정 아이콘(420)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아이콘(420)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전송되는 메뉴 항목을 재수신한다.
상기 재수신되는 메뉴항목에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 다시 말해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들을 포함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420)이 채널 선택에 관한 메뉴에 대응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상기 재수신되는 메뉴 항목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채널을 각각 대표하는 아이콘들이 포함된 이미지(500)가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메뉴 항목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상에 포함된 메뉴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메뉴 항목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팝-업 되어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에 포함된 메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물품 구매에 대한 OSD(600)가 표시된 경우, 상기 전송되는 메뉴 항목에 대한 정보는 상기 OSD(600)에 포함된 메뉴(610)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되는 메뉴 항목에 대한 정보는 상기 메뉴(610)에 대응하는 메뉴 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전송되는 메뉴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 화면(700)을 구성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부(2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 가능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 및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이미지상에 존재하는 특정 항목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표시부(230)가 터치 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다이얼로그 기반의 대화상자만을 상기 표시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메뉴 항목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재 입력할 수 있는 선택 버튼만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0를 통해 전송되는 메뉴 항목 정보를 수신한다(810단계).
상기 수신되는 메뉴 항목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현재 입력 가능한 메뉴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뉴 항목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상에 포함된 메뉴에 대한 정보, 즉, 디스플레이 화면에 팝-업 되어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에 포함된 메뉴이다. 또한, 상기 메뉴 항목 정보는 상기 OSD 에 포함된 메뉴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메뉴 항목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포함된 이미지를 생성한다(820단계).
상기 이미지에는 상기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메뉴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의 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각 영역에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를 대표하는 아이콘을 삽입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전송되는 메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830단계).
사용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상에서 특정 아이콘(메뉴)을 선택한다(840단계).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현재 어떤 아이콘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850단계).
이후,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860단계).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200: 원격제어장치

Claims (16)

  1. 제어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장치로부터 제 1 메뉴 항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미지에 포함된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목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는,
    상기 목표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라 현재 입력 가능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메뉴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구성된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의 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메뉴의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제 2 메뉴 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 2 메뉴 항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는,
    상기 목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상에 포함된 메뉴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목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목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팝-업 되어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에 포함된 메뉴인 원격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7. 제어 대상에 대응하는 목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메뉴 항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목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하는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제 1 이미지상에서 선택된 특정 메뉴에 대한 정보가 상기 목표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는, 상기 목표장치의 사용 상태에 따라 현재 입력 가능한 메뉴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원격제어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는,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메뉴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구성되는 원격제어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 포함된 메뉴의 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상기 표시부의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원격제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상에서 터치된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목표장치로 전송하는 원격제어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항목 정보는, 상기 목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상에 포함된 메뉴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목표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상기 목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팝-업 되어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에 포함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제 1 메뉴 항목 정보에는 상기 OSD에 포함된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제 1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14.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 상태에 따라 현재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정보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메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메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선택 화면상에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수신한 메뉴 정보에 포함된 메뉴의 수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표시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각각의 분할 영역에 상기 메뉴를 표시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에 포함된 메뉴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상기 수신된 메뉴의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10137817A 2011-12-19 2011-12-19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30070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17A KR20130070478A (ko) 2011-12-19 2011-12-19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817A KR20130070478A (ko) 2011-12-19 2011-12-19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478A true KR20130070478A (ko) 2013-06-27

Family

ID=4886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817A KR20130070478A (ko) 2011-12-19 2011-12-19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04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9513802B2 (en)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JP57494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92802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view display
US11650667B2 (en) Haptic feedback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EP2302909A1 (en) Remote operation device, remote operation device system, remote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40160353A1 (en)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v interface
US20130271404A1 (en) Remote controller equipped with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76223A1 (en)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8779894B2 (en) Method for setting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applying the same
KR101864276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1451942B1 (ko) 카테고리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US20130187870A1 (en) Remote control device
US10073611B2 (en)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30070478A (ko) 원격제어 시스템,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5802312B2 (ja) 放送受信装置、拡張機能実行装置、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352506B1 (ko) 단말 장치에서의 아이템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단말 장치
KR20130070477A (ko) 원격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4084346A1 (ja) 情報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