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133A -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133A
KR20130070133A KR1020110137302A KR20110137302A KR20130070133A KR 20130070133 A KR20130070133 A KR 20130070133A KR 1020110137302 A KR1020110137302 A KR 1020110137302A KR 20110137302 A KR20110137302 A KR 20110137302A KR 20130070133 A KR20130070133 A KR 2013007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magnetic saturation
inductor
low pass
pas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919B1 (ko
Inventor
심재강
유영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919B1/ko
Priority to ES12196520.6T priority patent/ES2525414T3/es
Priority to US13/711,517 priority patent/US9337896B2/en
Priority to EP12196520.6A priority patent/EP2608418B1/en
Priority to CN201210555550.0A priority patent/CN103166679B/zh
Priority to JP2012276821A priority patent/JP5643283B2/ja
Publication of KR2013007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2Bandpass or bandstop filters with adjustable bandwidth and fixed centre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1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ing filtering and bypa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패시터와 다수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부, 상기 인덕터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인덕터의 자기포화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자기포화 방지 회로 및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접속 또는 개방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와 중성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BLOCKING FILT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차단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 통신에 적용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이란 옥내, 옥외에 시설되어 있는 저압 배전선 또는 고압 배전선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하여 음성, 데이터 신호 등을 고속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력선 통신은 통신선로의 추가 설치 없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어서 투자비용이 저렴하고, 플러그의 접속만으로 간단히 통신할 수 있다른 장점과, 수용가의 설비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려는 욕구 및 정보기기의 발전에 따라 원격검침(Automatic Meter Reading; AMR) 시스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양방향 원격검침(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시스템, 공장 자동화 등의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력선 상에 수많은 분기가 존재하게 되어 이로 인한 신호 손실 및 노이즈 유입 등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제약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전력선 통신 주파수 대역의 불필요한 신호의 흐름 예컨대, 전력선 분기로 전력선 통신 신호의 흐름, 전력 설비 이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 및 기타 전력선에 근접한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의 유입 등의 불필요한 신호의 흐름을 방지하거나 각기 다른 전력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개별 네트워크 간 전력선 통신 신호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원격검침(AMR) 시스템의 경우 옥내의 높은 잡음과 낮은 임피던스가 옥외의 전력선 통신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차단 필터의 사용을 권장하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인접한 네트워크 간의 물리적인 구별을 위해 차단 필터의 사용이 요구된다.
한편, 이러한 차단 필터는 수용가의 전력량계의 다음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술한 양방향 원격검침(AMI) 시스템의 경우는, 집중장치로부터 수용가의 전력량계 및 ESI(Energy Service Interface)에 이르기까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차단 필터의 일반적인 설치 위치를 고려한다면, 옥내의 ESI가 차단 필터의 다음에 위치하게 되므로 전력선 통신 신호가 ESI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전력선 통신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차단 필터의 적용 여부가 좌우되므로, 전력선 통신 서비스의 변동으로 인하여 차단 필터를 반복적으로 설치 또는 제거하여야 하므로 전력 사용자 또는 전력 사업자의 불편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전력선에 흐르는 통신 신호를 선택적으로 차단/전달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는 커패시터와 다수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부, 상기 인덕터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인덕터의 자기포화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자기포화 방지 회로 및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접속 또는 개방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와 중성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는 전력선에 직렬접속되는 제1 및 제2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의 접점과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온(ON)'이면 상기 제1 스위치는 접속되고,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가 동작하여 상기 인덕터의 자기포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오프(OFF)'이면 상기 제1 스위치는 개방되고,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는 상기 전력선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 상기 입력전류에서 소정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위상보정 회로 및 상기 위상보정 회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제공하는 증폭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는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접속 또는 개방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위상보정 회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옥외의 전력선 통신 신호와 옥내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차단 또는 전달할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설치/제거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다양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에 구비되는 자기포화 방지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은 전력사업자 서버,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력사업자 서버와 고톡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집중장치, 다수의 수용가(10, 20, 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사업자 서버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집중장치로부터 각 수용가(10, 20, 30)의 각종 검침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상기 검침정보는 각 수용가(10, 20, 30)의 월별, 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 순시 전력량, 사용 전력량의 총합 등을 나타낸다.
상기 집중장치는 각 수용가(10, 20, 30)와 옥외 전력선(L)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옥외 전력선(L)이라 함은 주상 변압기의 출력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집중장치와 수용가(10, 20, 30) 간에 시설되는 저압의 배전선을 나타낸다. 상기 집중장치는 수용가(10, 20, 30)로부터 검침정보를 전송받아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전력사업자 서버로 제공한다.
수용가(10, 20, 30)에는 전력량계(11, 21, 31), 차단 필터(12, 22, 32), ESI(energy service interface) 또는 홈 서버(13, 23, 33), 단말(14, 24, 34) 등이 설치되고, 상기한 전력량계(11, 21, 31), 차단 필터(12, 22, 32), ESI 또는 홈서버(13, 23, 33), 단말(14, 24, 34)은 옥내 전력선(15, 25, 35)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차단 필터(12, 22, 32)는 수용가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방향 원격검침(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시스템의 경우, 차단 필터(12, 22, 32)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전력량계(11, 21, 31)와 ESI(13, 23, 33)가 옥내 전력선(15, 25, 35)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하므로, 차단 필터(12, 22, 32)가 설치되면 전력량계(11, 21, 31)와 ESI(13, 23, 33) 사이의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써,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 옥내의 각종 노이즈 신호의 옥외 유출을 막고, 이웃 수용가의 전력선 통신 신호 등의 노이즈 신호의 옥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차단 필터(12, 22, 32)가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원격검침 시스템(Automatic Meter Reading; AMR)에서도 차단 필터(12, 22, 32)의 설치는 필수적인데, 옥내의 각종 노이즈 신호의 옥외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서 차단 필터의 설치/철거가 불필요하게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차단 필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는 저역 통과 필터부(100),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 및 스위치(300)를 포함한다.
저역 통과 필터부(100)는 전력선(L)에 직렬접속되는 제1 및 제2 인덕터(L1, L2), 일단이 제1 인덕터(L1)와 제2 인덕터(L2) 간의 접점과 접속되고 타단이 스위치(300)와 접속되는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는 제1 및 제2 인덕터(L1, L2)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인덕터(L1, L2)의 자기포화를 방지한다.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는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접속 또는 개방되는 일종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가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됨에 따라, 제1 및 제2 인덕터(L1, L2)의 포화/불포화 여부도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결정되며, 이에 따라 저역 통과 필터부(100)의 필터링 여부도 결정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스위치(300)는 커패시터(C)와 중성선(N) 사이에 연결된다. 스위치(300)는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접속 또는 개방되어 커패시터(C)와 중성선(N)과의 접속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저역 통과 필터부(100)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필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선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거나 또는 그대로 전달한다. 상기 차단제어신호는 수용가에서 전력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고, 또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전력사업자 서버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상기 수용가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온'인 경우는 상기 차단 필터가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AMR 시스템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오프'인 경우는 상기 차단 필터가 입력 신호를 그대로 통과(전달)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며, 상술한 AMI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온'인 경우, 스위치(300)가 접속되고,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가 동작하게 되어, 차단 필터는 입력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즉, 스위치(300)가 접속됨에 따라 커패시터(C)는 제1 및 제2 인덕터(L1, L2)의 접점과 중성선(N)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가 동작함으로써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는 포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온'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필터는 전력선에 접속되는 두 개의 인덕터(L1, L2)와, 인덕터 사이의 접점과 중성선 사이에 병렬접속되는 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저역 통과 필터가 되므로, 차단 주파수를 기준으로 고대역 신호를 필터링한다. 상기 차단 주파수는 제1 및 제2 인덕터(L1, L2)와 커패시터(C)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오프'인 경우, 스위치(300)가 개방되고,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차단 필터는 입력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킨다. 즉, 스위치(300)가 개방됨에 따라 커패시터(C)가 연결된 병렬 지로는 개방되고,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가 동작하지 않음으로써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는 포화되어 직렬 지로의 임피던스가 실질적으로 '0'이 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오프'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필터는 직렬 지로는 임피던스가 '0'이고, 병렬 지로는 개방되므로, 전력선에 흐르는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 필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선 통신 신호를 필터링하지 않고 그대로 전달하거나 또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로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에 구비되는 자기포화 방지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211),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212), 위상보정 회로(214), 증폭 회로(215)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개방 또는 접속되는 스위치(21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제1 인덕터(L1)와 제2 인덕터(L2)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 2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은 제1 인덕터(L1)와 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를 예로써 도시한다.
변류기(211)는 제1 인덕터(L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전력선(L)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변류기(211)는 제1 인덕터(L1)에 역상 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입력전류를 제공하는데, 전력선(L)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상기 입력전류를 얻는다.
저역 통과 필터(212)는 변류기(211)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입력전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예컨대 60Hz의 전력 신호보다 높은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한다.
위상보정 회로(214)는 저역 통과 필터(212)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의 위상차를 보정하여 상기 입력전류와 반대 위상, 즉, 상기 입력전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출력전류를 생성한다.
증폭 회로(215)는 위상보정 회로(214)에서 생성된 상기 출력전류를 소정 이득으로 증폭하여 제1 인덕터(L1)에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213)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개방 또는 접속되어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오프'인 경우 스위치(213)가 개방되어,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가 동작하지 않고,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온'인 경우 스위치(213)가 접속되어,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가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스위치(213)가 저역 통과 필터(212)와 위상보정 회로(214)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스위치(213)는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의 신호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포화 방지 회로(210)는, 제1 인덕터(L1)에 역상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속(magnetic flux)을 상쇄시킴으로써, 전력선(L)에 흐르는 대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인덕터(L1)의 자기포화를 방지한다. 즉, 제1 인덕터(L1)는 전자기 유도원리에 의하여 1차측인 전력선(L)에 소정 크기 이상의 임피던스(impedance)를 유도하여 전력선 통신 신호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데, 전력선 통신의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감쇠 특성을 얻기 위해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에 있어서,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자계의 증가에 따라 자속밀도가 증가하여 자기포화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페라이트 코어의 경우, 최대 포화 자속밀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전력선에 흐르는 대전류에 의해 쉽게 자기포화가 발생하므로, 전력선 통신 신호의 적절한 차단을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자기포화 방지 회로가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에서,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 전류보다 매우 낮은 레벨의 포화 전류를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단 필터가 필터로서 동작하지 않을 경우(즉,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오프'인 경우)에는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가 포화되고, 상기 차단 필터가 필터로서 동작하는 경우(즉,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온'인 경우)에는 제1 인덕터(L1) 및 제2 인덕터(L2)가 포화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화 전류가 낮은 인덕터를 사용함으로써 저가의 차단 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저역 통과 필터부
210, 220 : 자기포화 방지 회로
300 : 스위치

Claims (6)

  1. 커패시터와 다수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부;
    상기 인덕터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인덕터의 자기포화를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자기포화 방지 회로; 및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접속 또는 개방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와 중성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는,
    전력선에 직렬접속되는 제1 및 제2 인덕터; 및
    상기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의 접점과 상기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온(ON)이면,
    상기 제1 스위치는 접속되고,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가 동작하여 상기 인덕터의 자기포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제어신호가 오프(OFF)이면,
    상기 제1 스위치는 개방되고,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는,
    상기 전력선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
    상기 입력전류에서 소정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위상보정 회로; 및
    상기 위상보정 회로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인덕터에 제공하는 증폭회로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포화 방지 회로는,
    상기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접속 또는 개방되고, 상기 저역 통과 필터와 상기 위상보정 회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KR1020110137302A 2011-12-19 2011-12-19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KR101302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302A KR101302919B1 (ko) 2011-12-19 2011-12-19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ES12196520.6T ES2525414T3 (es) 2011-12-19 2012-12-11 Filtro de bloqueo para comunicaciones mediante línea eléctrica
US13/711,517 US9337896B2 (en) 2011-12-19 2012-12-11 Block filt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EP12196520.6A EP2608418B1 (en) 2011-12-19 2012-12-11 Block filt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CN201210555550.0A CN103166679B (zh) 2011-12-19 2012-12-19 用于电力线通信的闭塞滤波器
JP2012276821A JP5643283B2 (ja) 2011-12-19 2012-12-19 電力線通信用遮断フィル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302A KR101302919B1 (ko) 2011-12-19 2011-12-19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133A true KR20130070133A (ko) 2013-06-27
KR101302919B1 KR101302919B1 (ko) 2013-09-06

Family

ID=4755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302A KR101302919B1 (ko) 2011-12-19 2011-12-19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7896B2 (ko)
EP (1) EP2608418B1 (ko)
JP (1) JP5643283B2 (ko)
KR (1) KR101302919B1 (ko)
CN (1) CN103166679B (ko)
ES (1) ES252541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835B1 (ko) * 2019-11-04 2020-04-27 중원 주식회사 원격감시용 ct 2차 개방 방지시스템을 구비한 29kv gi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9780B2 (en) * 2012-04-30 2016-03-08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ers, filter assemblies, filter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nstallation of qualified filter elements
US9584187B2 (en) * 2012-10-15 2017-02-28 Broadcom Corporation Non-interruptive filtering of transmission line communications
JP6405515B2 (ja) * 2014-11-12 2018-10-17 Necマグナ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遠隔検針システム
JP6405516B2 (ja) * 2014-11-21 2018-10-17 Necマグナ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力線通信システム
RU171172U1 (ru) * 2016-12-07 2017-05-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вления помех возникающих при передаче информации по линиям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JP7127963B2 (ja) * 2017-02-10 2022-08-30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分電システム
JP6888601B2 (ja) * 2018-11-13 202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双方向電力変換器、電気自動車、及び、双方向電力変換器の制御方法
CN112165343B (zh) * 2020-09-25 2021-10-22 合肥阳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高频通信装置、高频载波传输方向控制方法、装置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45852A1 (fr) * 1976-03-26 1977-10-21 Alsthom Cgee Dispositif de filtrage pour lignes a haute tension utilisees comme support de teletransmissions
JPS5354447A (en) * 1976-10-27 1978-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ilter for stopping power line carrier
JP2002232331A (ja) 2001-02-07 200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線搬送通信システムおよびフィルタ装置
KR100454106B1 (ko) * 2002-01-08 2004-10-28 주식회사 엠에이티 전력선 통신용 필터
CA2485094A1 (en) * 2002-05-03 2003-11-13 Ambient Corporation Construction of medium voltage power line data couplers
JP4954512B2 (ja) 2005-08-26 2012-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分電盤
JP2008227885A (ja) 2007-03-13 2008-09-25 Yamaha Corp 電力線搬送通信の伝送線路構造および電力線開閉器
JP2008244701A (ja) 2007-03-27 2008-10-09 Smk Corp 電力線通信システム
GB0709824D0 (en) 2007-05-23 2007-07-04 Kitchener Renato Intrinsically safe power and communication
KR100996139B1 (ko) * 2008-12-08 2010-11-24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선 통신용 비접촉식 블로킹 필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835B1 (ko) * 2019-11-04 2020-04-27 중원 주식회사 원격감시용 ct 2차 개방 방지시스템을 구비한 29kv g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919B1 (ko) 2013-09-06
JP2013128283A (ja) 2013-06-27
EP2608418B1 (en) 2014-11-05
US20130156116A1 (en) 2013-06-20
CN103166679A (zh) 2013-06-19
US9337896B2 (en) 2016-05-10
CN103166679B (zh) 2015-05-20
JP5643283B2 (ja) 2014-12-17
ES2525414T3 (es) 2014-12-22
EP2608418A1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919B1 (ko) 전력선 통신용 차단 필터
US20230164568A1 (en) Communication enabled circuit breakers
RU2463705C2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п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м линиям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US7245212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6506711A5 (ko)
US9584187B2 (en) Non-interruptive filtering of transmission line communications
KR101201385B1 (ko)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피엘씨 에이엠알 시스템
AU2008223635A1 (en) Nulling current transformer
CN102751952A (zh) 功率放大器阻抗匹配电路及阻抗匹配方法
CN102077313B (zh) 高频截止元件的闭合
JP6405516B2 (ja) 電力線通信システム
CN112114272A (zh) 一种电能表漏电流检测系统及漏电流检测方法
JP6405515B2 (ja) 遠隔検針システム
Jain et al. Monitoring, control, and protection of radial distribution networks by using a two‐level control architecture
CN113507299B (zh) 断路器装置及配电台区通信系统
JP2016086359A (ja) 遠隔検針システム
Zhao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directional relay for use within a distribution network restoration scheme
JP2017220729A (ja) 電力線搬送通信用カプラ
JP2016219994A (ja) 電力線通信システム
CN112383325A (zh) 电力线载波耦合单元、电力线应用终端以及应用系统
JP2016220142A (ja) 遠隔検針システム
Kreveld Protection Relays: To Protect and Serve
JP2005203915A (ja) 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
CN105429010A (zh) 两元化低压出线控制柜
JPH03118737A (ja) 配電線搬送通信用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