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288A - 휴대단말에서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288A
KR20130069288A KR1020120014004A KR20120014004A KR20130069288A KR 20130069288 A KR20130069288 A KR 20130069288A KR 1020120014004 A KR1020120014004 A KR 1020120014004A KR 20120014004 A KR20120014004 A KR 20120014004A KR 20130069288 A KR20130069288 A KR 20130069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garbage object
touch event
screen interface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054B1 (ko
Inventor
이신준
김영리
드로어 아미르
엥골즈 오피르
김일환
차상옥
정재훈
홍경수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709,941 priority Critical patent/US9400600B2/en
Priority to CN201280062233.3A priority patent/CN104011639B/zh
Priority to JP2014547117A priority patent/JP6307438B2/ja
Priority to PCT/KR2012/011035 priority patent/WO2013089539A1/en
Priority to EP12858466.1A priority patent/EP2791771A4/en
Publication of KR2013006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reality effect) 기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멀티터치 기반의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객체를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하여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ITY EFFECT IN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 및 그의 사용자 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이벤트에 따라 종이를 구기고 펴는 것과 같은 현실 효과(reality effect)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음성 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 영상통화,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재생, 인터넷, 음악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신저, 사전, 게임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 중 메모, 메시지, 문서작성 및 사진 편집 등의 기능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들이 빈번히 사용하는 기능들 중 하나이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 중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하나의 작업을 취소하거나 삭제하고자 할 시, 휴대단말에 있는 종료(또는 삭제) 버튼 또는 표시되는 아이템(예컨대, 휴지통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수행하는 작업을 취소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수행 중인 작업을 종료하거나 취소할 시 아날로그적 요소를 접목하여 사실적 기반의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입력에 따라 실행화면을 실제 종이를 구기고 펴는 것과 같은 아날로그적 요소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터치 이벤트의 입력에 따라, 잠금 화면을 구기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잠금 해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의 멀티터치 기반의 이벤트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접히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실행화면이 접힌 상태의 가비지 객체(garbage object)를 멀티터치 기반의 이벤트 입력에 따라 펴지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며, 실행화면이 접힌 상태의 가비지 객체를 싱글터치 기반의 이벤트 입력에 따라 삭제하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아날로그적인 사실감을 표현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휴대단말의 사용성 및 휴대단말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실 효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멀티터치 기반의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객체를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하여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천이된 가비지 객체에서 싱글터치 기반의 제2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천이된 가비지 객체에서 제2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터치 디바이스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천이된 가비지 객체에서 싱글터치 기반의 제2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하고, 제2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천이된 가비지 객체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제3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3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터치 디바이스에 있어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 및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 이벤트들에 따라 변화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터치 이벤트들에 따른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표시를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검출된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가비지 객체 천이를 제어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검출된 제2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여 제2 화면 인터페이스로의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검출된 제3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검출된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가비지 객체 천이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검출된 제2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여 제2 화면 인터페이스로의 전환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검출된 제3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터치 디바이스에서 현실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터치 디바이스에서 아날로그적인 사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 운용 시 현실 세계에서와 같은 아날로그적인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기능 운용에 따른 사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이를 구기고 펴는 것과 같은 아날로그적 요소로 화면 인터페이스를 구겨 삭제/종료 대기 상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것과 같이 현실에서 수행되는 실제 효과를 휴대단말에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구겨진 종이를 휴지통에 버리는 것과 같은 아날로그적 요소로 화면 인터페이스가 천이된 상기 가비지 객체를 화면상에서 제거하는 것과 같이 현실에서 수행되는 실제 효과를 휴대단말에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잠금 상태를 종이를 구기는 것과 같은 아날로그적 요소로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를 구겨 잠금 해제 대기 상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현실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구겨진 종이를 휴지통에 버리는 것과 같은 아날로그적 요소로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가 천이된 상기 가비지 객체를 화면상에서 제거하면서 휴대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디바이스에서 현실 효과 구현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아날로그적 사실감 표현이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garbage object)로 천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가비지 객체가 제공되는 형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여 현재 작업을 삭제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가비지 객체를 이용하여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화면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가비지 객체가 생성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 화면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reality effect) 기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에서 현재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거나 현재 표시중인 화면을 통해 입력 또는 편집된 사항을 취소 또는 삭제(이하, "삭제"로 통칭함)하고자 할 시, 터치 이벤트 입력에 따라 종이를 구기는 것과 같은 아날로그적 사실감이 표현된 현실 효과를 애니메이션(animation)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구겨진 가비지 객체(garbage object)를 사용자 이벤트 입력에 따라 다시 펴는 애니메이션으로 복원하거나, 또는 사용자 이벤트 입력에 따라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하여 삭제하는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비지 객체는 현재 화면(display)에 표시중인 화면 인터페이스가 터치 이벤트에 따라 결정된 형태로 상기 화면상에서 천이(transition)되는 객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가비지 객체는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의한 작업의 삭제를 대기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가비지 객체가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 또는 상기 화면상에서 제거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화면상에서 제거될 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이루어진 작업은 삭제되고, 새로운 화면 인터페이스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휴지통 아이콘은 상기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가비지 객체가 이동될 시 상기 가비지 객체에 대응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된 작업을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휴지통 아이콘은 이미지 타입, 텍스트 타입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그 표시가 생략되거나 토글(toggle)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잠금 기능에 따라 제공되는 잠금 화면에서 터치 이벤트 입력에 의해 상기 잠금 화면이 구겨지고, 구겨진 잠금 화면에 대응되는 가비지 객체에 대해 추가의 터치 이벤트 입력에 따라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와,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와 같은 사용자의 입력 행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양손 각각의 손가락 또는 한손의 두 손가락에 의한 터치 제스처로, 핀치(pinch)(
Figure pat00001
), 스프레드(spread)(
Figure pat00002
), 로테이트(rotate)(
Figure pat00003
), 그리고 프레스 앤 드래그(press & drag)(
Figure pat00004
)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드래그(drag), 스윕(sweep),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탭(tap), 더블 탭(double tap), 그리고 플릭(flick) 등의 입력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이벤트는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엄지손가락 등) 및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중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멀티터치가 이동되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에 따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결정된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 중인 가비지 객체에서 싱글터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싱글터치가 이동되는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가비지 객체를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하여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에 표시 중인 가비지 객체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멀티터치가 이동되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스프레드)에 따라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터치스크린(100), 저장부(200), 오디오처리부(400), 진동 모터(500), 그리고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피사체의 정적영상 및 동적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 하드 키(Hard key) 기반의 입력 지원을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화 등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무선 통신부, 무선 랜(LAN, Local Area Network),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터치스크린(100)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입출력 수단으로, 표시부(110)와 터치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10)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 및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10)는 휴대단말의 잠금 화면, 홈스크린(home screen), 메뉴스크린(menu screen), 메시지 작성 화면, 워드 작성 화면, 사진 편집 화면, 채팅 화면,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에 따른 각각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요소를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10)는 터치 이벤트 입력에 따라 현재 실행화면이 점차적으로 구겨지거나, 찢어지거나, 접히는 등과 같은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10)는 접히거나 구겨진 형태의 가비지 객체를 점차적으로 펴는(예컨대,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것과 같은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10)는 가비지 객체가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애니메이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10)의 화면 구성 및 그의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그리고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10)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시부(110)는 앞서와 같은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표시부(110)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 110)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100) 표면에 접촉하는 터치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상기 표시부(110)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 또는 상기 표시부(110)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 이벤트 입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패널(13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30)은 잠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휴대단말에서 진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200)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내장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외장 하드디스크, 메모리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매체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표시부(11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휴대단말에서 아날로그적 사실감을 표현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 입력 및 그에 따른 처리(예컨대, 애니메이션, 음향, 햅틱)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200)는 휴대단말에서 아날로그적 사실감을 표현하기 위한 운용 동작과 관련된 설정정보(250)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설정정보(250) 예시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정정보(250)는 본 발명의 기능 구현에 따른 각 옵션들 및 상기 각 옵션들별 설정되는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정보(25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 시 가비지 객체 생성을 위해 구현될 애니메이션을 구기기, 접기, 찢기 및 랜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벤트에 따라 작업 삭제(또는 작업 취소)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가비지 객체의 천이된 상태를 구겨진 구체, 찢어진 조각, 접힌 모형(예컨대, 종이 비행기 모형, 종이 배 모형 등) 및 랜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정정보(25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 시 가비지 객체의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하여 작업을 삭제하는 과정에 필요한 옵션들(예컨대, 가비지 객체 이동 시간, 가비지 객체 이동 방향 등)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정보(250)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애니메이션 부여 시 가비지 객체의 표시 여부 즉, 구겨지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자동 삭제 여부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비지 객체 자동 삭제 옵션이 온(on)으로 설정될 시 구겨지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가비지 객체로 천이된 후 자동으로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되거나,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가비지 객체에 대한 그림자 효과를 비롯하여, 애니메이션 구현 또는 가비지 객체의 이동 및 삭제 과정에서 부여될 수 있는 음향 효과 및 햅틱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인터페이스가 구겨지는 애니메이션에 대응하여 실제 종이가 구겨지는 음향/햅틱 효과를 출력하고, 가비지 객체가 펴지는 애니메이션에 대응하여 실제 종이가 구겨진 상태에서 펴지는 음향/햅틱 효과를 출력하며, 가비지 객체가 휴지통 아이콘으로 날아가 사라지는 애니메이션에 대응하여 종이가 날아가는 음향 효과 및 종이가 휴지통으로 들어가는 음향/햅틱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효과 및 햅틱 효과는 사용자가 각각의 효과에 대해 개별 설정하거나, 또는 일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정보(250)는 휴대단말에서 아날로그적 사실감을 표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아날로그적 사실감을 표현을 위한 현실 효과 모드를 허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메모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 및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 및 편집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아날로그적 사실감 표현을 위한 현실 효과 모드를 허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화면을 잠금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잠금 해제하는 잠금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정보(25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설정된 옵션 및 설정 값은 적어도 하나의 매핑테이블(mapping table)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30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처리부(400)는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아날로그적 사실감 증대 표현에 따른 음향 피드백(예컨대, 실제 종이가 구겨지거나 펴지는 효과음 등)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화면 인터페이스가 종이처럼 구겨질 때의 효과음, 가비지 객체가 펴질 때의 효과음, 가비지 객체가 휴지통 아이템으로 이동할 때의 효과음 등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400)에 의한 피드백은 진행되는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500)는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진동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 모터(500)는 햅틱과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한다. 즉, 제어부(300)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종이가 구겨지거나 펴지거나 이동하는 햅틱 피드백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동 모터(500)를 구동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진동 모터(500)에 의한 피드백은 진행되는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적 사실감 표현을 위한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사용자 운용에 따른 실행화면(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잠금 화면, 대기 화면 등)을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실행화면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시 상기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화면을 작업 취소(또는 작업 삭제, 화면 전환 등)의 상태인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비지 객체는 설정정보(250)에 따라 구체, 조각, 모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가 변화되는 변화량(예컨대, 멀티터치의 드래그의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가비지 객체로 천이되는 빠르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설정정보(250)에 따라 상기 가비지 객체 생성 없이 상기 실행화면에 대한 천이를 바로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가 제공된 상태에서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시 상기 천이된 가비지 객체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화면상에서 제거하는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와 상기 가비지 객체에 따른 작업을 취소(또는 삭제, 전환 등)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현재 운용 중인 실행화면에서 휴지통 아이콘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휴지통 아이콘이 위치된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상기 설정정보(250)를 기반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 방향, 랜덤 방향 및 휴지통 아이콘의 위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가 제공된 상태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시 상기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화면 인터페이스의 원래 형태로 복원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가 변화되는 변화량(예컨대, 멀티터치의 드래그의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로의 복원 빠르기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 시 설정정보(250)에 따라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와 함께 음향 효과 및 햅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300)는 터치패널(130)로부터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휴대단말에서의 아날로그적 사실감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효과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그 내부에 GPU(Graphic Processing Unit)(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GPU(350)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 및 가비지 객체가 변형되는 애니메이션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GPU(350)는 화면에 표시된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한 후 상기 멀티터치가 이동하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를 검출하면,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애니메이션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GPU(350)는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싱글터치를 검출한 후 상기 싱글터치가 이동하는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면, 상기 가비지 객체를 휴지통 아이콘 또는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삭제하는 애니메이션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GPU(350)는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한 후 상기 멀티터치가 이동하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스프레드)를 검출하면,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는 애니메이션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GPU(350)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애니메이션 처리 시 터치 이벤트의 진행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후술됨)에 도달하기 전에 해제될 시 진행되던 애니메이션을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GPU(350)는 휴대단말에서 아날로그적 요소(예컨대, 종이를 구기거나 펴는 사실적 기반의 요소 등)를 표현하기 위한 앞서와 같은 애니메이션 처리에 따른 시각적 처리를 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아날로그적 사실감 증대를 위한 애니메이션 처리는 GPU(350) 및 제어부(300)(특히, 제어부(300)의 AP(Application Processor) 모두에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AP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350)가 SoC(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P는 CPU 및 GPU가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상기 휴대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이벤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 CPU 또는 GPU를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 제어 방법은 디지털 TV(Digital Television), DS(Digital Signage), LFD(Large Format Display),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아날로그적 사실감 표현이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01> 내지 참조번호 <2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아날로그적 사실감 표현 시 그 형태가 고정되는 고정 영역(A)과, 터치 이벤트에 따른 아날로그적 사실감 표현을 위해 그 형태가 변경되는 애니메이션 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영역(A)은 참조번호 <2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상태 정보(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통신에 대한 수신신호 세기 정보, 배터리 정보, 모드(진동, 소리, 매너) 정보 등)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바(Status Bar)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영역(A)은 상기 스테이터스바를 비롯하여, 참조번호 <203> 및 참조번호 <2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운용을 위한 기능 도구 아이콘 영역(확장 메뉴 영역, 도구 메뉴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영역(A)은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참조번호 <2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확장 메뉴 영역의 경우 참조번호 <2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비지 아이템이 이동되는 휴지통 아이콘과 메뉴 활성화를 위한 확장메뉴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메뉴 영역의 경우 참조번호 <2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확장메뉴 아이콘에 의해 화면에 표시중인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편집을 지원하는 편집 툴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 메뉴의 활성화에 대응하여 상기 휴지통 아이콘은 활성화된 공간만큼 옆으로 이동되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애니메이션 영역(B)은 아날로그적 사실감이 표현된 애니메이션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애니메이션 영역(B)은 화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가 구겨지거나 펴지는 애니메이션과, 가비지 객체가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삭제되는 애니메이션이 제공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애니메이션 영역(B)은 참조번호 <201> 내지 참조번호 <2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전체 화면에서 고정 영역(A)과 함께 일 영역만이 할당되어 제공되거나, 참조번호 <2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전체 화면이 할당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에서는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가비지 객체를 생성하는 동작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애니메이션 타입이 구기기 방식으로 설정되고 생성되는 가비지 객체가 구체 형태로 설정된 경우의 화면 예시에 나타낸다. 즉, 상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소정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301> 및 참조번호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메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메모장 화면 인터페이스가 나타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번호 <301>의 경우 사용자의 메모 입력을 위한 가상의 키패드(720)가 활성화된 상태의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참조번호 <303>의 경우 상기 참조번호 <301>에서 상기 가상의 키패드(720)가 비활성화된 상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번호 <301> 또는 참조번호 <3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의 두 포인트(point)들에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를 들어, 핀치)를 이용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에 대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핀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현실 세계에서 종이를 구기는 것과 같은 현실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이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되는 핀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종이가 구겨지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처리되며,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와 더불어 종이가 구겨지는 음향 피드백 및 진동 피드백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번호 <301> 또는 참조번호 <3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멀티 포인트(multi point)에 터치를 입력한 후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멀티 포인트들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멀티 포인트들에 의한 상기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터치를 검출할 시 현실 효과 모드 진입으로 결정하고 다음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현실 효과 모드 진입 결정 시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현실 효과 모드 진입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00)는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모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문서작성 어플리케이션,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응하지는 판별하고, 미리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할 시 상기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현실 효과 모드 진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3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터치를 안쪽 방향(두 포인트들 간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핀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에 위치된 각 입력들을 안쪽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드래깅(dragging), 플리킹(flicking) 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핀치에 응답하여 상기 참조번호 <3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점차적으로 구겨지는 애니메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를 구겨진 형태의 가비지 객체(770)로 천이하여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가 변화되는 변화량(예컨대, 멀티터치의 드래그(또를 플릭)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가비지 객체로 천이되는 빠르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참조번호 <30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가비지 객체(770)로 천이될 시, 상기 가비지 객체(320)의 배경으로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2 화면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 이전에 이용되던 화면 인터페이스이거나,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작업을 위한 새로운 화면 인터페이스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전에 작업 중이던 화면이거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전에 실행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대기화면 포함)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메모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모장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를 작성 중에, 현재 작성 중인 메모를 삭제하고자 하는 등의 이유로 앞서와 같은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현재 작업 중이던 화면이 구김 처리되어 상기 참조번호 <307>과 같은 가비지 객체(770)로 천이되어 나타나고, 그 배경으로 새로운 메모장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번호 <3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에 대응하는 가비지 객체(770)가 생성되어 임의의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비지 객체(770)가 생성되는 위치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설정정보(250)에 따라 특정 위치(예컨대, 센터)에 고정되어 나타나거나, 랜덤한 위치에 나타나거나, 입력된 멀티터치 타입에 따른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된 멀티터치 타입에 따른 가비지 객체(770)의 생성 위치는 입력된 두 개의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의 포인트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포인트에 대한 이동만 이루어지는 경우 그 움직임이 고정된 포인트를 중심으로 가비지 객체(770)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305> 내지 참조번호 <307>와 같이 터치 이벤트에 따라 가비지 객체(770)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점차적으로 구겨짐에 따라 나타나는 배경인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의 경우,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구겨지는 애니메이션 정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나타나며,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가비지 객체(760)로 천이될 시 그 배경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비지 객체(770)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무시 처리되고, 상기 가비지 객체(770)에 대한 효과 처리를 위한 입력만이 유효 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가비지 객체가 제공되는 형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4는 애니메이션 옵션에 대해 구기기 방식으로 설정되고 가비지 객체가 구겨진 구체의 형태로 설정된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도 5는 애니메이션 옵션에 대해 찢기 방식으로 설정되고 가비지 객체가 찢어진 조각의 형태로 설정된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도 6은 애니메이션 옵션에 대해 접기 방식으로 설정되고 가비지 객체가 접힌 모형(예컨대, 종이 비행기 모형)으6로 설정된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를 통해 현재 표시 중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구겨진 구체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구겨진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 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구기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구체 형태의 가비지 객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애니메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를 통해 현재 표시 중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찢겨진 조각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찢겨진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 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찢으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찢긴 조각 형태의 가비지 객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애니메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를 통해 현재 표시 중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접힌 모형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접힌 모형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 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접으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접힌 모형 형태의 가비지 객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애니메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애니메이션 타입에 대응하는 가비지 객체가 설정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타입에 관계없이 각 애니메이션 타입별로 다양한 가비지 객체의 운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의 구기기 방식의 애니메이션 타입에서 상기 구체 형태의 가비지 객체를 비롯하여, 조각 형태의 가비지 객체 또는 모형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의 찢기 방식의 애니메이션 타입에서 상기 조각 형태의 가비지 객체를 비롯하여, 구체 형태의 가비지 객체 또는 모형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의 접기 방식의 애니메이션 타입에서 상기 모형 형태의 가비지 객체를 비롯하여, 구체 형태의 가비지 객체 또는 조각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7에서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천이된 가비지 객체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던 현재 작업을 삭제하는 동작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도 3에서 참조번호 <307>과 같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가비지 객체(770)로 천이된 상태이고, 그 배경으로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가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상기 참조번호 <7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가비지 객체(770) 또는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의 임의의 영역에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를 입력하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드래깅, 플리킹 등)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770)를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770)에 대해 설정정보(250)에 따라 휴지통 아이콘(350)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랜덤 방향으로 이동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휴지통 아이콘(350)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가비지 객체(320)를 상기 휴지통 아이콘(35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비지 객체(320)는 휴지통 아이콘(350)의 존재 유무에 따라,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따른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휴지통 아이콘(350)이 위치하는 영역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는 휴지통 아이콘(730)이 표시되고, 상기 가비지 객체(770)를 터치 이벤트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휴지통 아이콘(730)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가비지 객체(320)의 이동 시 설정정보(250)에 따라 목적지 방향으로 직선, 포물선 및 곡선 중 하나의 이동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이동에 따른 속도는 설정된 속도 값에 따른 등속(constant velocity)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속도 값은 가비지 객체(320)가 목적지(예컨대, 휴지통 아이콘의 위치)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 값(예컨대, 1초, 2초, 3초 등)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초당 이동 속도 값(예컨대, 50cm/s, 30cm/s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참조번호 <703>과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770)에 터치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터치를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참조번호 <703> 내지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770)를 상기 휴지통 아이콘(730)이 위치된 영역으로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770)를 목적지인 휴지통 아이콘(730)으로 이동 시 참조번호 <703> 내지 참조번호 <7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770)의 크기가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770)에 그림자 효과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가비지 객체(770)의 이동 및 크기 변화에 따라 가비지 객체(770)의 그림자 역시 이동 및 크기를 변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770)의 상기 휴지통 아이콘(730)으로 이동 시 그의 이동되는 속도를 등속으로 이동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703> 내지 참조번호 <707>과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760)가 이동되어 상기 휴지통 아이콘(730) 상에 위치할 시 참조번호 <7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770)가 상기 휴지통 아이콘(730) 내에 인입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여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770)를 화면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770)가 사라질 시 상기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를 활성화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7에서는 상기 가비지 객체(770)의 결정된 방향(예컨대, 휴지통 아이콘 등)으로 이동 시 터치된 입력을 이동하는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드래깅, 플리킹)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로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을 위한 터치 이벤트는 드래그 앤 드롭, 탭, 그리고 더블 탭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되거나,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멀티터치의 드래깅, 플리킹)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8에서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천이된 가비지 객체를 이용하여, 다시 원래의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는 동작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도 3에서 참조번호 <307>와 같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가비지 객체(970)로 천이된 상태이고, 그 배경으로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801>과 같은 상태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스프레드)에 의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770)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의 상태로 복원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레드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현실 세계에서 종이를 펴는 것과 같은 현실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이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되는 스프레드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종이를 펴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처리되며, 상기 애니메이션 처리와 더불어 종이가 펴지는 음향 피드백 및 진동 피드백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참조번호 <8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포인트들에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참조번호 <803> 및 참조번호 <8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터치를 바깥쪽 방향(두 포인트들 간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프레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에 위치된 각 입력들을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드래깅, 플리킹 등)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스프레드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참조번호 <803> 내지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770)가 점차적으로 펴지면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로 복원되는 애니메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8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770)를 펴진 형태의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로 천이(복원)하여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스프레드)가 변화되는 변화량(예컨대, 멀티터치의 드래그(또는 플릭) 속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천이되는 빠르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참조번호 <805> 및 참조번호 <807>과 같이 터치 이벤트에 따라 가비지 객체(770)가 펴지면서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점차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가 점차적으로 가려지며, 제1 화면 인터페이스(710)가 완전히 활성화될 시 상기 제2 화면 인터페이스(760)는 백그라운드로 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9에서는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비지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잠금 기능을 해제하는 동작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9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10)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가 나타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9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10)의 두 포인트들에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를 이용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10)에 대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멀티 포인트들에 터치를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멀티 포인트들에 의한 상기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터치를 검출할 시 현실 효과 모드 진입으로 결정하고 다음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된 터치가 이동되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를 검출하면, 참조번호 <9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10)가 점차적으로 구겨지면서 참조번호 <9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10)를 가비지 객체(1030)로 천이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비지 객체(1030)가 천이되는 위치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설정정보(250)에 따라 결정된 위치(예컨대, 센터)에 고정되어 나타나거나, 랜덤한 위치에 나타나거나, 입력된 멀티터치 타입에 따른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903> 내지 참조번호 <907>과 같이 터치 이벤트에 따라 가비지 객체(1030)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10)가 점차적으로 구겨짐에 따라 나타나는 배경인 제2 화면 인터페이스(1020)(예컨대, 홈스크린 등)의 경우,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10)가 구겨지는 애니메이션 정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나타나며,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1010)가 가비지 객체(1030)로 천이될 시 그 배경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비지 객체(1010)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2 화면 인터페이스(10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무시 처리되고, 상기 가비지 객체(1030)에 대한 효과 처리를 위한 입력만이 유효 입력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907>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가비지 객체(1030) 또는 제2 화면 인터페이스(1020)의 임의의 영역에 참조번호 <9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되는 터치를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드래깅, 플리킹 등)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1030)를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 9에서는 휴지통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로서, 상기 가비지 객체(1030)는 터치 이벤트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참조번호 <909>와 같은 상태에서 앞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가비지 객체(1030)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참조번호 <909> 내지 참조번호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1030)를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참조번호 <903> 내지 참조번호 <911>과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1030)가 이동되어 화면 밖으로 벗어나는 시점에서 참조번호 <9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비지 객체(1030)를 화면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1030)가 사라질 시 상기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 의한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상기 제2 화면 인터페이스(1020)를 활성화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가비지 객체가 생성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화면 인터페이스가 구겨지는 변형 정도를 구김 팩터(Crumpled factor)(f)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001>의 경우, 특정 화면 인터페이스가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참조번호 <1001>과 같이 화면 인터페이스가 구겨짐이 없는 일반적인 상태인 경우 구김 팩터(f)를 "팩터(f)=0"으로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1003>의 경우,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에 따라 두 개의 포인트들 간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를 나타내며, 화면 인터페이스가 구겨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003>의 경우 구김 팩터(f)를 "팩터(f)=0.25"로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1005>의 경우,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에 따라 두 개의 포인트들 간의 간격이 참조번호 <1003>의 경우보다 좁혀진 상태를 나타내며, 그에 따라 화면 인터페이스가 참조번호 <1003>의 화면 예시보다 더 구겨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005>의 경우 구김 팩터(f)를 "팩터(f)=0.5"로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1007>의 경우,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에 따라 두 개의 포인트들 간의 간격이 참조번호 <1005>의 경우보다 좁혀진 상태를 나타내며, 그에 따라 화면 인터페이스가 참조번호 <1005>의 화면 예시보다 더 구겨진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007>의 경우 구김 팩터(f)를 "팩터(f)=0.75"로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1009>의 경우, 특정 화면 인터페이스가 터치 이벤트에 따라 가비지 객체로 완전히 천이된 상태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참조번호 <1009>과 같이 화면 인터페이스가 완전히 구겨져 가비지 객체로 천이된 상태인 경우 상기 구김 팩터(f)를 "팩터(f)=1"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면 인터페이스를 터치 이벤트에 따라 가비지 객체가 천이되는 정도는 다음의 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f"는 구겨지는 변형 정도의 팩터(Crumpled factor)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환산 값에 따라 "0(효과의 시작 값으로 구겨지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과 "1(효과의 종료 값으로 완전히 구겨진 가비지 객체로 천이된 상태)"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1"은 상기 팩터에 대해 할당되는 최댓값으로 효과가 종료된 즉, 완전히 구겨진 상태를 지시하는 환산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initial distance"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최초 입력되는 두 개의 포인트들에 대한 초기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각 좌표에 따른 실제 거리 값이 아니라, 그 최댓값이 "1"로 환산된 환산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initial distance"는 최초 입력되는 두 개의 포인트들의 실제 거리에 상관없이 환산 값인 "1"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current distance"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이 이동되어 변화되는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 간의 현재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최대 "1"의 환산 값을 기준으로 좁혀지는 간격의 정도에 따라 그 값이 환산되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에 대응하여 화면 인터페이스가 점차적으로 구겨지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효과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구김 팩터를 연속되게 산출하고, 구김 팩터의 변화 정도를 인식하여 화면 인터페이스의 구겨진 상태를 결정 및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는 동작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어 날아가는 변형 정도를 시간 변화에 대한 위치(location at time)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101>의 경우, 특정 화면 인터페이스가 가비지 객체로 천이되어 결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참조번호 <1101>과 같이 가비지 객체가 최초 제공되는 위치는 시간의 변화가 없으므로 시간(t)을 "시간(t)=0"으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1103>의 경우, 가비지 객체가 터치 이벤트에 의해 결정된 방향(예컨대, 휴지통 아이콘의 위치 방향 또는 터치 이벤트의 진행 방향 등)으로 소정 위치만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가비지 객체는 이동된 위치에 준하여 그 크기가 축소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103>의 경우 시간(t)을 "시간(t)=0.33"으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1105>의 경우, 가비지 객체가 터치 이벤트에 의해 진행 중인 방향으로 소정 위치만큼 이동된 상태로서 상기 참조번호 <1103>의 경우보다 더 이동되고 이동된 위치에 준하여 그 크기가 상기 참조번호 <1103>의 경우보다 축소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105>의 경우 시간(t)을 "시간(t)=0.75"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참조번호 <1107>의 경우, 상기 가비지 객체가 최초의 위치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이동되어 사라진 상태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참조번호 <1107>과 같이 가비지 객체가 터치 이벤트에 따라 화면상에서 사라진 상태인 경우 시간(t)을 "시간(t)=1"로 환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107>의 경우 가비지 객체가 터치 이벤트에 의해 진행 중인 특정 방향의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되어 사라진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가비지 객체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서 페이드아웃(fade out)과 같은 효과를 통해 화면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비지 객체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위치의 정도는 다음의 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상기 <수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l"은 가비지 객체가 시간 변화에 따라 이동된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환산 값에 따라 "0(효과의 시작 값으로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지 않은 초기 상태)"과 "1(효과의 종료 값으로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어 제거된 상태)"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1"은 상기 시간에 대해 할당되는 최댓값으로 효과가 종료된 즉, 가비지 객체가 화면상에서 제거된 상태를 지시하는 환산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t"는 가비지 객체가 특정 위치까지의 이동에 소요되는 상대 시간을 나타내며,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현재 시간에서 시작 시간의 차를 전체 애니메이션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PStart"는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는 애니메이션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PEnd"는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어 사라지는 애니메이션의 종료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의해 가비지 객체를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응하여, 가비지 객체가 점차적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진행 방향 또는 특정 고정된 위치의 진행 방향 등으로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그 크기가 줄어드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효과는 상기 <수학식 2> 및 상기 <수학식 3>에서와 같이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가비지 객체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위치를 연속되게 산출하고, 위치의 변화 정도를 인식하여 가비지 객체의 변화 상태를 결정 및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는 속도는 미리 정의된 특정 속도 값에 따라 등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비지 객체의 이동 시작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총 소요 시간을 "1초"라 정의할 시, 가비지 객체의 이동 시작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무관하게 상기 총 소요 시간 "1초"에 준하여 이동 속도가 결정되고, 결정된 이동 속도에 따라 등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 속도를 "50cm/s"라 정의할 시, 가비지 객체는 상기 이동 속도 "50cm/s"에 준하여 등속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제1 화면 인터페이스 표시 및 그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16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메모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메모장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메모 작업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나타난 상태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1603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두 개의 포인트들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에 의한 멀티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멀티터치를 검출할 시 현실 효과 모드 진입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다음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검출된 멀티터치가 이동하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를 검출할 수 있다(1605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된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이 좁혀지는 핀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핀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드래깅 또는 플리킹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핀치)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16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를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변화에 대응하게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변화되는 애니메이션(종이가 점차 구겨지는 것과 같은 애니메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시 그에 대응하게 설정된 음향 효과 및 햅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중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간격이 미리 정의된 제1 임계값에 도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609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 간의 최소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핀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가비지 객체로 천이되는 기준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임계값은 두 터치들의 이동 거리의 합이 2cm 이상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임계값은 휴대단말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환경 설정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간격이 상기 제1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을 시(1609단계의 NO), 앞서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계속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1 임계값에 도달하기 전 해제될 시 애니메이션 효과로 변형된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여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간격이 상기 제1 임계값에 도달할 시(1609단계의 YES),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여 나타낼 수 있다(1611단계). 상기 가비지 객체는 설정정보(250)에서 결정된 영역 및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비지 객체가 천이되는 위치는 상기 설정정보(250)에 따라 결정된 위치(예컨대, 센터)에 고정되어 나타나거나, 랜덤한 위치에 나타나거나, 입력된 터치 이벤트 타입에 따른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 타입에 따른 가비지 객체의 천이 위치는 입력된 두 개의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의 포인트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포인트에 대한 이동만 이루어지는 경우 그 움직임이 고정된 포인트를 중심으로 가비지 객체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비지 객체는 상기 설정정보(250)에 따라 구겨진 구체, 찢어진 조각, 접힌 모형(예컨대, 종이 비행기, 종이 배 등) 및 랜덤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가 나타난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가 검출되면(1613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가 싱글터치에 해당하는지 또는 멀티터치에 해당하는지 상기 터치 이벤트의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1615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기 위한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기 위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1615단계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싱글터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1617단계),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161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가 나타난 상태에서 상기 싱글터치 입력을 검출할 시 상기 설정정보(250)를 참조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에 대해 설정된 이동 방식에 대한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 방향은 휴지통 아이콘이 위치된 영역의 방향, 터치 이벤트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및 랜덤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에 대한 이동 방향이 결정되면,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162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가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으로 등속 이동하면서 점차 작아지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시 그에 대응하게 설정된 음향 효과 및 햅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중 상기 가비지 객체의 위치가 미리 정의된 제2 임계값에 도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623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임계값은 휴지통 아이콘의 위치 또는 화면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에 의해 상기 가비지 객체가 화면상에서 제거되는 기준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된 위치가 상기 제2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을 시(1623단계의 NO), 앞서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계속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가 상기 제2 임계값에 도달하기 전 해제될 시 애니메이션 효과로 이동 중인 상기 가비지 객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여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된 위치가 상기 제2 임계값에 도달할 시(1623단계의 YES), 상기 가비지 객체를 화면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1625단계).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를 화면상에서 제거할 시 제2 화면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나타낼 수 있다(1627단계). 예를 들어, 상기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어 휴지통 아이콘의 영역에 위치할 시 상기 가비지 객체가 상기 휴지통 아이콘 내로 들어가서 사라지는 페이드아웃과 같은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비지 객체가 이동되어 화면상의 경계에 위치할 시 상기 가비지 객체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는 페이드아웃과 같은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가비지 객체와 함께 배경으로 처리되는 제2 화면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여 전체 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1615단계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가 멀티터치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1631단계), 상기 검출된 멀티터치가 이동하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스프레드)를 검출할 수 있다(1633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입력된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이 넓혀지는 스프레드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드 기반의 터치 이벤트는 드래깅 또는 플리킹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예컨대, 스프레드)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에 대해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163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을 위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변화에 대응하게 상기 가비지 객체가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변화되는 애니메이션(구겨진 종이가 점차 펴지는 것과 같은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시 그에 대응하게 설정된 음향 효과 및 햅틱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처리 중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간격이 미리 정의된 제3 임계값에 도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637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임계값은 상기 두 개의 포인트들 간의 최대 거리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핀치 줌-인에 의해 상기 가비지 객체가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되는 기준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임계값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가 화면 경계로부터 1.5cm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터치가 화면 경계로부터 상기 1.5cm 이내의 영역에 도달할 시 상기 제3 임계값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임계값은 휴대단말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환경 설정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핀치 줌-인에 따른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간격이 상기 제3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을 시(1637단계의 NO), 앞서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계속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핀치 줌-인에 따른 두 개의 포인트들의 간격이 상기 제3 임계값에 도달할 시(1637단계의 YES),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여 나타낼 수 있다(1639단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를 제공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찢기 기반의 아날로그적 요소를 표현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상기 도 15에서는 애니메이션 옵션으로 찢기가 설정된 경우의 동작 예시를 나타내며, 특히 찢기를 할 시 터치 이벤트의 입력 지점 및 방향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로 피드백 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501>과 같이 표시부(110)를 통해 화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참조번호 <1503> 내지 참조번호 <15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표시 중인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참조번호 <15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를 찢어진 조각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찢어진 형태의 가비지 객체로 천이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어느 일부분부터 찢어지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조각 형태의 가비지 객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애니메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503>의 경우, 두 개의 포인트들에 입력된 멀티터치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드래깅, 플리킹 등)하는 찢기 모션에 의해 찢기 애니메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화면 인터페이스가 찢어지는 애니메이션이 시작되는 위치는 상기 멀티터치가 입력된 지점 및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터치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멀티터치가 입력된 좌측의 인접 영역(임계 범위가 미리 정의될 수 있음)을 기준으로, 화면 인터페이스가 위에서 아래로 찢어지는 애니메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터치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멀티터치가 입력된 상측의 인접 영역(임계 범위가 미리 정의될 수 있음)을 기준으로, 화면 인터페이스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짖어지는 애니메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책의 페이지를 접착면을 중심으로 찢는 아날로그적 요소에 대응하는 현실 효과일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507>의 경우, 두 개의 포인트들에 입력된 멀티터치 중 어느 하나의 제1 터치는 터치된 포인트에 고정하여 고정 영역을 지정하고, 다른 하나의 제2 터치를 상기 제1 터치를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드래깅, 플리킹 등)하는 찢기 모션에 의해 찢기 애니메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화면 인터페이스가 찢어지는 애니메이션이 시작되는 위치는 상기 멀티터치가 입력된 지점 및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터치 중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포인트를 기준선으로 좌측 영역을 고정 영역으로 지정하고, 상기 제2 터치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고정 영역을 기준으로, 화면 인터페이스가 위에서 아래로 찢어지는 애니메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종이를 자를 대고 찢는 아날로그적 요소에 대응하는 현실 효과일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1509>의 경우, 두 개의 포인트들에 입력된 멀티터치 중 어느 하나의 제1 터치와 다른 하나의 제2 터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이동(예컨대, 드래깅, 플리킹 등)하는 찢기 모션에 의해 찢기 애니메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화면 인터페이스가 찢어지는 애니메이션이 시작되는 위치는 상기 멀티터치가 입력된 지점 및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터치가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단에서 이루어질 시,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멀티터치의 각 포인트들의 안쪽 영역을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로 찢어지는 애니메이션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종이를 엇갈리는 방향으로 찢는 아날로그적 요소에 대응하는 현실 효과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클라우드 시스템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에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아날로그적 사실감 표현을 위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 및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받고, 입력된 터치 이벤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전송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애니메이션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는 처리된 애니메이션을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휴대단말은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처리된 애니메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과 클라우드 서버는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현실 효과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터치스크린
110: 표시부
130: 터치패널
200: 저장부
300: 제어부
350: GPU
400: 오디오처리부
500: 진동 모터

Claims (23)

  1.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멀티터치 기반의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가비지 객체를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하여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싱글터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싱글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터치가 이동하는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멀티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터치가 이동하는 멀티터치 기반의 제2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의 형상을 상기 제1 터치 이벤트의 이동에 대응하게 변형하고,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미리 정의된 기준 값에 도달할 시 변형되는 제1 화면 인터페이스를 상기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시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비지 객체를 등속(constant velocity)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은
    미리 결정된 방향, 상기 터치 이벤트의 진행 방향, 그리고 휴지통 아이콘이 위치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객체는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구겨진 구체 형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찢어진 조각 형태, 그리고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접혀진 모형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미리 정의된 임계값에 도달할 시 상기 가비지 객체의 천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변화되는 변화량에 따라 상기 가비지 객체가 천이되는 빠르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하는 과정은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미리 정의된 임계값에 도달할 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의 복원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이벤트가 변화되는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의 복원 빠르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에 따른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의 변형에 따라 배경으로 제2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객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화면 인터페이스에 의한 입력은 무효 처리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 대한 입력만을 유효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효과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표시 시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15.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 기반의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를 가비지 객체로 천이하는 과정과,
    상기 천이된 가비지 객체에서 싱글터치 기반의 제2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멀티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터치가 이동되는 상기 멀티터치 기반의 제1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잠금 화면 인터페이스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의 현실 효과 제공 방법.
  17. 휴대단말에 있어서,
    멀티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 및 싱글터치 기반의 터치 이벤트를 입력받는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 이벤트들에 따라 변화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터치 이벤트들에 따른 상기 애니메이션 효과 표시를 위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검출된 멀티터치 기반의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가비지 객체 천이를 제어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검출된 제2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여 제2 화면 인터페이스로의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검출된 제3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의 복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시 상기 가비지 객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비지 객체의 등속(constant velocity)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비지 객체 이동 시 휴지통 아이콘으로 이동, 상기 제2 터치 이벤트의 진행 방향 및 미리 결정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객체는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구겨진 구체 형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찢어진 조각 형태, 그리고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접혀진 모형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이벤트가 이동되어 미리 정의된 제1 임계값에 도달할 시 상기 가비지 객체의 천이를 결정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가 상기 제2 터치 이벤트에 따라 이동되어 미리 정의된 제2 임계값에 도달할 시 상기 가비지 객체를 화면상에서 삭제하고,
    상기 제3 터치 이벤트가 미리 정의된 제3 임계값에 도달할 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의 복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 이벤트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가비지 객체가 천이되는 빠르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3 터치 이벤트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가 복원되는 빠르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3. 휴대단말에서 구현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검출된 제1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 인터페이스의 가비지 객체 천이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검출된 제2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를 이동하여 제2 화면 인터페이스로의 전환하고,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검출된 제3 터치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가비지 객체에서 상기 제1 화면 인터페이스로 복원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20014004A 2011-12-16 2012-02-10 휴대단말에서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3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09,941 US9400600B2 (en) 2011-12-16 2012-12-10 Method, apparatu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on a touchscreen display
CN201280062233.3A CN104011639B (zh) 2011-12-16 2012-12-17 用于在触摸屏显示器上提供可视效果的方法、设备和图形用户界面
JP2014547117A JP6307438B2 (ja) 2011-12-16 2012-12-17 タッ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で視覚効果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PCT/KR2012/011035 WO2013089539A1 (en) 2011-12-16 2012-12-17 Method, apparatu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on a touchscreen display
EP12858466.1A EP2791771A4 (en) 2011-12-16 2012-12-17 METHOD, DEVICE AND GRAPHIC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VISUAL EFFECTS ON A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76497P 2011-12-16 2011-12-16
US61/576,497 2011-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288A true KR20130069288A (ko) 2013-06-26
KR101933054B1 KR101933054B1 (ko) 2019-03-18

Family

ID=4886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004A KR101933054B1 (ko) 2011-12-16 2012-02-10 휴대단말에서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451A (ko) * 2014-06-25 2017-02-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능형 단말을 위한 제어 방법
CN111886569A (zh) * 2018-03-22 2020-11-03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和执行该电子装置的功能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396A (ko) * 2009-01-13 201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잠금 화면 제어방법
JP2010250465A (ja) * 2009-04-14 2010-11-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24428A (ko) * 2009-05-19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396A (ko) * 2009-01-13 201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잠금 화면 제어방법
JP2010250465A (ja) * 2009-04-14 2010-11-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24428A (ko) * 2009-05-19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451A (ko) * 2014-06-25 2017-02-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지능형 단말을 위한 제어 방법
US10599252B2 (en) 2014-06-25 2020-03-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telligent terminal control method utilizing touch contact location and pressure
CN111886569A (zh) * 2018-03-22 2020-11-03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和执行该电子装置的功能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054B1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7438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で視覚効果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6908753B2 (ja) 仮想コンピュータキーボード
JP636336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含む画面表示制御装置及び画面表示制御方法
US20220222093A1 (en) User interface for a touch screen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a physical keyboard
EP2701056B1 (en)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6309705B2 (ja) 携帯端末機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その装置
US93610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book i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e-book reader
US974701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811253C (en) Transitional view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JP6313028B2 (ja) タッチ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
US20140240255A1 (en) Method for providing a feedback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nd a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909812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30045781A (ko) 전자책 리더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전자책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50346973A1 (en) Seamlessly enabling larger ui
WO2016195785A1 (en) Linkin multiple window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KR102073024B1 (ko)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편집장치 및 방법
KR101933054B1 (ko) 휴대단말에서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298068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WO2015183405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redictive keyboard
WO201405951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30088695A (ko)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