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9167A -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9167A
KR20130069167A KR1020110136756A KR20110136756A KR20130069167A KR 20130069167 A KR20130069167 A KR 20130069167A KR 1020110136756 A KR1020110136756 A KR 1020110136756A KR 20110136756 A KR20110136756 A KR 20110136756A KR 20130069167 A KR20130069167 A KR 2013006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pplication
server
daemon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배
한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13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9167A/ko
Publication of KR2013006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3Visualisation of programs or trac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8Computer systems status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데몬들로 구성되며, 이에 참여하는 데몬 들은 각각 다른 서버에서 운용될 수 있는데, 다중 데몬 들의 각각의 상태를 복합적으로 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와 서버 상태를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상태, 데몬 상태, 서버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각 서버의 운용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않아도 각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Application Status Indication System in the Multi-Server Environment and thereof.}
본 발명은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데몬들로 구성되며, 이에 참여하는 데몬 들은 각각 다른 서버에서 운용될 수 있는데, 다중 데몬 들의 각각의 상태를 복합적으로 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와 서버 상태를 효율적으로 표시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통신서비스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서비스들에는 홈페이지, 홈쇼핑, 인터넷결재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보통신서비스(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에게 하루 24시간 중단없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자들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지 항상 감시하고 있으며, 장애가 발생시 이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서버관리시스템(Server Management System, SMS)을 운영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버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관리시스템에는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111), 전자결재 애플리케이션(112), 메일 애플리케이션(113)을 구성하는 운영서버1(121), 운영서버2(122), 운영서버3(123), 운영서버4(124)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싱글 포인트(single point)의 콘솔(13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종래 서버관리시스템의 패널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영서버의 패널 구성은 서비스에 참여하는 각 운영서버의 상태를 표시하는 서버상태표시부(210)와 각 데몬의 상태를 표시하는 데몬상태표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종래의 서버관리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하나의 데몬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데몬과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는 관련 데몬의 상태와 일치하게 된다.
상기 서버관리시스템(Server Management System: SMS)은 운영서버와 데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자에게 표현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서버관리시스템의 콘솔(130)은 운영서버와 데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그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운영서버나 데몬에 장애가 발생하면 서버관리시스템의 콘솔은 장애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애플리케이션 관리자에게 효율적인 방법(알람 또는 문자서비스, 이메일 등)으로 통지하게 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관리자는 장애를 인지하면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즉각적으로 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의 애플리케이션들은 기능이 다양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데몬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중 서버 환경에서 여러 개의 데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다중 데몬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데몬과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관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애플리케이션1(311)은 서버1(331)에서 데몬1(321)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2(312)는 서버2(332)에서 데몬2(322), 데몬3(323)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3(313)은 서버2(332). 서버3(333)에서 데몬4(324) 데몬5(325)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이다.
상기한 애플리케이션들(311, 312, 313)을 구성하는 데몬(321, 322, 323, 324, 325)들은 한 서버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관리의 편이성, 확장성, 보안성, 성능 등을 고려하여 여러 대의 서버(331, 332, 333)에 기능이 분산되어 있다.
보편적인 구성으로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기능을 구분하여 model, view, control을 분리하여 웹view, 웹logic, 데이터베이스 등의 데몬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대형 기관들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업무마다 다수를 운영하고 있어서 날로 운영의 난이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한 데몬이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어느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끼치는지 쉽게 파악하기는 어렵다.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은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이며, 무중단서비스를 위하여 장애허용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장애허용시스템(Fault tolerant system)은 구성 부품의 일부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정상적으로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장애 허용 개념이 고려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조금의 장애가 발생해도 전체에 영향을 주지만 장애 허용 시스템에서는 완전하게 기능을 유지한 채로 처리를 지속하거나 장애의 정도에 따라 기능을 저하되더라도 처리는 지속한다.
장애허용시스템의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중화 구성을 하기도 하며, 좀 더 나은 성능을 위하여 부하분산 기능을 적용하기도 한다.
이중화구성은 동일한 시스템을 복수로 준비하여 장애가 발생하면 보조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장애허용시스템의 한 방식이다.
하나의 요소에서 장애가 발생되면, 이를 대신할 수 있는 다른 개체가 그 역할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성능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안된 것이 부하분산기능을 권장하고 있다.
부하분산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일종으로 둘 혹은 셋 이상의 중앙처리장치 혹은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부하분산 애플리케이션은 그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공된다.
이 기술은 보통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한 병렬처리(특히, 고가용성의 병렬처리)에 사용된다.
부하분산을 위한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은 다수의 시스템(일명, 서버 팜)을 가지고 한 가지 종류의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보통 부하 분산은 트래픽이 많은 웹 사이트, IRC 네트워크, FTP 사이트, NNTP 서버 그리고 DNS서버에 적용이 되고 있다.
상기한 부하분산기능은 가용성 및 응답시간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 1대(단일 구성체) 보다 일반적인 서버(복합 구성체) 들로 부하분산구성을 하는 것이 안정성 면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서버를 추가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성능개선을 보완할 수 있다.
이렇게 애플리케이션이 한 데몬으로 구성되지 않고, 여러 개의 데몬으로 구성된 경우 종래의 서버관리시스템으로는 각각의 데몬 상태를 잘 표시하지만, 특정 데몬의 장애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끼치는지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궁극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은 총괄적인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서버와 데몬들의 상태는 관심의 대상이 아니며, 단순히 총괄적인 서비스의 정상적인 제공 여부에 관심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중 서버환경의 애플리케이션에 상태 표현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서버관리시스템으로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표시하지는 못하였다.
즉, 모든 시스템들과 모든 데몬 들이 정상일 경우에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그 중 몇 개의 요소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 장애가 애플리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체상태표시수단에서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체(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표시함에 있어서 ON/OFF 와 같이 이원적인 표시를 탈피하여 다단계로 상태를 표시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은,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색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색상표저장부(910)와,
상기 색상표저장부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인지, 중간 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개체상태표시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상태, 데몬 상태, 서버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각 서버의 운용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않아도 각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종합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태 표시를 다단계로 하여 일시적인 무응답을 온(ON) 혹은 오프(OFF) 상태라는 일반적인 표시 이외에도 중간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태 표시를 다단계로 하여 정상적인 응답의 경우 상태의 수렴과정을 일목 요연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하 분산이 적용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전체적인 성능저하에 따라 다른 상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중화 구성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직관적인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서버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서버관리시스템의 패널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중 데몬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데몬과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관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개체상태표시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데몬 사이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개체 상태 표시를 다단계화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구성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색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색상표저장부(910)와,
상기 색상표저장부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인지, 중간 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개체상태표시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인지, 중간 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개체상태표시부(920)가 포함된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체상태표시부(920)는,
서버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버상태표시모듈(921)과,
데몬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데몬상태표시모듈(922)과,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모듈(9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모듈(923)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상태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비스상태표시모듈(923a)와,
부하 분산의 경우에는 성능값에 해당하는 색상을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며, 이중화 구성인 경우에는 장애 정도에 따른 색상을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비스수준표시모듈(92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데몬들의 앤드 조건, 오알 조건, 애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체상태표시부(920)는,
온 상태, 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온 오프 상태 이외에도 중간 상태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체상태표시부(920)는,
개체의 상태를 서비스 상태와 서비스 수준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은,
모든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상태 질의 및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개체상태수집부와,
상기 개체상태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참조하여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개체상태값결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들을 개체상태표시수단에 등록시키기 위한 초기화단계(S100)와;
등록된 모든 서버들에 대하여 서버 상태 질의 및 서버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상태수집단계(S110)와;
서버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서버 상태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서버상태처리단계(S12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서버상태값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910)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버상태표시단계(S130)와;
등록된 모든 데몬들에 대하여 데몬 상태 질의 및 데몬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데몬상태수집단계(S140)와;
데몬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데몬 상태를 참조하여 데몬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데몬상태처리단계(S15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데몬상태값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910)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데몬상태표시단계(S160)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조건이 AND 조건인지, OR 조건인지 ADD 조건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서비스조건판단단계(S17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서비스 조건별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서비스상태와 서비스수준이 판단되면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태 표시가 되면 종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종료여부판단단계(S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조건판단단계(S170) 이후에,
서비스 조건이 AND 조건이면,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100%로 표시하기 위한 앤드조건판단단계(S180)와;
서비스 조건이 OR 조건이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ON 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중치의 합으로 퍼센트를 표시하기 위한 오알조건판단단계(S181)와;
서비스조건이 ADD 조건이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ON 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중치의 합으로 퍼센트를 표시하기 위한 애드조건판단단계(S18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버(100)와;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색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색상표저장부(910)와,
상기 색상표저장부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인지, 중간 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개체상태표시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색상표저장부(910)에는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상태색상표와 같은 색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되며, 색상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체상태표시부(920)는 색상표저장부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인지, 중간 상태인지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9a에 도시된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는 모두 ON 상태에서 서비스 수준이 100%로 해당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레벨 7은 100% 서비스 수준, 레벨 6은 85% 서비스 수준 등과 같이 서비스 가용 여부에 따라 퍼센트로 설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개체상태표시부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체상태표시부(920)는,
서버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버상태표시모듈(921)과,
데몬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데몬상태표시모듈(922)과,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모듈(9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상태표시모듈(921)은 서버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게 되며, 상기 데몬상태표시모듈(922)은 데몬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게 되며,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모듈(923)은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모듈(923)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상태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비스상태표시모듈(923a)와,
부하 분산의 경우에는 성능값에 해당하는 색상을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며, 이중화 구성인 경우에는 장애 정도에 따른 색상을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비스수준표시모듈(923b)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한편,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에서도 전술한 부하분산 구성이나 이중화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는 관리 측면에서 또 다른 관점이 필요하다.
즉, 부하 분산의 경우에는 성능값 100% 상황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지, 일부의 성능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관리자는 정확히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Active - StandBy의 이중화 구성의 경우에서도 대체 서버의 가용 여부가 관리의 측면에서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상태뿐만 아니라, 서비스 수준까지 표현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여 관리자에게 보다 정확한 상태 파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서비스 수준은 부하 분산의 경우에는 성능값을 표시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성능에 따라 퍼센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중화 구성인 경우에는 장애의 정도를 표시하는 요소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데몬 사이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1(611)은 앤드(AND) 조건으로서, 다중 데몬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데몬 1 과 데몬 2가 모두 ON인 경우에만 애플리케이션1이 ON 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경우의 서비스 상태는 ON으로 표시하며, 서비스 수준은 100% 혹은 1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능값을 표시하기 위하여 퍼센트 혹은 숫자로 표시하였지만 기타 성능을 표시하기 위한 어떠한 숫자나 기호, 문자라도 상관없을 것이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2(612)는 오알(OR) 조건으로서, 무중단 서비스를 위한 이중화구성 애플리케이션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요소이다.
다수의 데몬 중 하나가 ON 이면 서비스 상태는 ON이 된다.
즉, 데몬 3이 ON 이거나 데몬 4가 ON 이라면 애플리케이션 2는 ON이 되는 것이다.
다수의 데몬이 모두 ON 이면 서비스 수준은 1 혹은 100%로 표시하지만 일부의 데몬이 OFF 이면, 서비스 수준은 그에 상응하는 값으로 표시한다.
이 부분이 종래 기술과 대비되는 차이점인 것이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3(613)은 애드(ADD) 조건으로서, 부하분산 서비스에 적용되며, 애플리케이션 2와 다른 점은 성능 차이이다.
즉, 다수의 데몬 중 어느 하나가 ON 이면 서비스 상태는 ON 이다.
예를 들어, 데몬 5가 ON 이거나 데몬 6이 ON이면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상태는 ON으로 표시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구성에는 성능값을 표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3(613)에서 각 데몬의 성능값 합산은 1 혹은 100%가 되어야 하며, 애플리케이션 3의 전체 성능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데몬 5의 성능값이 0.6 혹은 60%로 표시되면, 데몬 6의 성능값은 0.4 혹은 40%로 표시되게 된다.
즉, 데몬 5가 alive 하면 0.6 혹은 60%의 성능을 제공하고, 데몬 6 이 alive 하면 0.4 혹은 40%의 성능을 제공하며, 데몬 5와 데몬 6이 동시에 alive 한다면 1.0 혹은 100%의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성능값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1.0 혹은 100%의 값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서비스 수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한 바와 같이, 데몬들과 앤드 조건, 오알 조건, 애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체상태표시부(920)는 온 상태, 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온 오프 상태 이외에도 중간 상태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서비스 수준에 따라 중간 상태를 색깔별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체상태표시부(920)는 개체의 상태를 서비스 상태와 서비스 수준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즉, 서비스 상태에 따라 온 혹은 오프로 표시하게 되며, 서비스 수준에 따라 색깔별로 구분짓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기의 표 1은 도 6을 표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구성표이다.
애플리케이션명 애플리케이션 구성 데몬 비고
애플리케이션1 데몬1 AND 데몬2 멀티데몬 구성
애플리케이션2 데몬3 OR 데몬4 이중화구성
애플리케이션3 데몬5(0.6) ADD 데몬6(0.4) 부하분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개체 상태 표시를 다단계화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OFF(710) 은 개체의 상태가 서비스를 할 수 없음을 표시한다.
또한, ON(720) 은 개체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음을 표시한다.
그리고, 중간상태(730) 은 OFF와 ON 이외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서비스 수준을 색깔별로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표시를 데드(dead = OFF) , 얼라이브(alive = ON) 이외에도 중간 상태를 두는 다단계로 표시한다.
이때, 개체상태표시수단은 서버, 데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모든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상태 질의 및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개체상태수집부(미도시)와,
상기 개체상태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참조하여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개체상태값결정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상태확인의 응답에 따라 dead, alive의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개체(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가 순간적인 통신장애나 서버의 과부하로 인한 미응답으로 발생하게 되는 판단착오를 표시하거나, 여러 번의 질의 상태 결과를 수렴 상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성능저하(degrade) 정도를 알려주어 효율적으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는 상태 표시가 복잡하다.
다중 데몬으로 구성되거나, 이중화 구성이 적용되거나, 부하분산이 적용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이를 OFF 혹은 ON 만으로 상태를 표시할 수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다중 데몬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구성 데몬 중 일부에 장애가 발생하였다면,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OFF 또는 OFF에 인접한 상태로 예를 들어, 도 9a의 2 레벨 색깔인 연분홍색으로 표시한다.
이중화가 적용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중복 요소 중 일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ON 또는 ON 에 인접상태로 예를 들어, 도 9a의 6 레벨 색깔인 연한 녹색으로 표시한다.
부하 분산이 적용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구성 요소 중 일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성능저하의 정도에 따라 ON 에 인접한 상태로 예를 들어 도 9a의 6 레벨 색깔인 연한 녹색, 5 레벨의 진한 녹색 등으로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구성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애플리케이션(811)은 메일서버(831)의 메일 데몬(821)과 웹 데몬(822)으로 구성된다.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812)은 웹서버1(832)의 웹 데몬2(823)과 웹서버2(833)의 웹데몬3(824)을 부하 분산용으로 구성한다.
전자결재 애플리케이션(813)은 전자결재서버의 이중화 구성으로 전자결재서버1(834)의 전자결재 데몬1(825)이나 전자결재서버2(835)의 전자결재 데몬2(826) 중 하나만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도 8의 구성은 서버와 데몬 구성표를 나타낸 표 2 와 애플리케이션과 데몬 구성표를 나타낸 표 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서버 명 포함 데몬 비고
메일 서버 maild, webd1
웹 서버1 webd2
웹 서버2 webd3
전자결재 서버1 wasd1
전자결재 서버2 wasd2
maild는 메일 데몬이며, webd는 웹 데몬이며, wasd는 전자결재 데몬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 명 데몬 구성 비고
메일 애플리케이션 maild AND webd1 단순구성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webd2(0.7) ADD webd3(0.3) 부하분산
전자결재 애플리케이션 wasd1 OR wasd2 이중화구성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는 모든 구성요소에 장애가 없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도 정상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다단계 상태표시를 7로 설정한 것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애플리케이션 상태의 표시는 모든 데몬의 상태를 판단한 이후에 판정한다. 본 예에서는 다단계 상태표시를 7단계 레벨까지 설정한 것이다.
maild Webd1 판정 비고
조건 1 OFF OFF OFF(1) 서비스 불가
조건 2 OFF ON OFF(2) 서비스 불가
조건 3 ON OFF OFF(2) 서비스 불가
조건 4 ON ON ON(7) 활성
webd2 Webd3 판정 비고
조건 1 OFF OFF OFF(1) 서비스 불가
조건 2 OFF ON ON(5) 30% 성능
조건 3 ON OFF ON(6) 70% 성능
조건 4 ON ON ON(7) 100% 성능
wasd1 wasd2 판정 비고
조건 1 OFF OFF OFF(1) 서비스 불가
조건 2 OFF ON ON(6) 90% 활성
조건 3 ON OFF ON(6) 90% 활성
조건 4 ON ON ON(7) 100% 활성
상기 표 4는 단순 구성으로 예를 들어 메일 애플리케이션 상태 판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정상은 ON, 장애는 OFF로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표 5는 부하 분산으로 예를 들어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상태 판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판정시 ON, OFF 이외에도 성능값인 1, 5, 6, 7에 해당하는 색깔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표 6은 이중화로 예를 들어 전자결재 애플리케이션 상태 판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판정시 ON, OFF 이외에도 성능값인 1, 6, 7에 해당하는 색깔로 표시하게 된다.
표 4의 단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메일 애플리케이션은 maild 데몬의 상태가 ON 이지만 webd1 데몬의 상태가 OFF라면 조건 3에 해당하므로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상태의 표시색상을 OFF(1) 에 가까운 degraded(2)로 표시할 수 있는데, 도 9a를 참조하자면 연한 분홍색의 색깔로 표시하게 된다.
표 5의 부하분산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은 webd2 데몬과 webd3 데몬으로 부하분산 구성을 하였다.
ON(6)으로 표시한 것은 전체 성능의 70% 성능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webd2 데몬의 상태가 OFF 이고, webd3 데몬의 상태가 ON 이면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게 되어 ON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성능상에 저하가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상태의 색상을 ON(7) 에 가까운 degraded(5) 로 표시하게 되는데, 도 9a를 참조하자면 녹청색의 색깔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성능은 30%의 성능을 의미하게 된다.
표 6의 이중화 구성인 전자결재 애플리케이션은 wasd1 데몬과 wasd2 데몬으로 이중화 구성을 하였다.
wasd1 데몬의 상태가 OFF 이지만 webd2 데몬의 상태가 ON이라면,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데 ON되어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애플리케이션 상태의 색상을 ON(7)에 인접한 degraded(6)으로 표시하게 되는데, 도 9a를 참조하자면 연한 녹색의 색깔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성능은 90%의 활성을 의미하게 된다.
즉, 상태확인의 응답에 따라 그 성능을 색상으로 표시하여 온 상태에서도 그 성능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들을 개체상태표시수단에 등록시키기 위한 초기화단계(S100)와;
등록된 모든 서버들에 대하여 서버 상태 질의 및 서버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상태수집단계(S110)와;
서버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서버 상태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서버상태처리단계(S12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서버상태값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910)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버상태표시단계(S130)와;
등록된 모든 데몬들에 대하여 데몬 상태 질의 및 데몬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데몬상태수집단계(S140)와;
데몬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데몬 상태를 참조하여 데몬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데몬상태처리단계(S15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데몬상태값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910)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데몬상태표시단계(S160)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조건이 AND 조건인지, OR 조건인지 ADD 조건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서비스조건판단단계(S17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서비스 조건별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서비스상태와 서비스수준이 판단되면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자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들을 개체상태표시수단에 등록시키기 위한 초기화단계(S1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들을 개체상태표시수단에 등록하는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즉, 초기화 과정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 들이 등록되는데, 애플리케이션은 등록시 애플리케이션 구성표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등록된다.
이후, 등록된 모든 서버들에 대하여 서버 상태 질의 및 서버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여 서버상태를 수집(S110)하게 된다.
즉, 모든 서버들에 대하여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이는 개체상태수집부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후, 개체상태값결정부에 의해 서버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서버 상태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값을 결정(S120)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버상태 처리과정은 개체상태표시부의 서비스 상태와 서비스 수준을 결하는 것이다.
이후,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서버상태값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910)로부터 추출하여 서버상태를 표시(S130)하게 된다.
이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다단계된 상태를 적용한다.
즉, 서버상태 처리에서는 현재 서버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서버 상태를 참조하여 다음 단계를 산정한다.
서버상태 처리과정이 완료되면 서버 상태값이 결정되며, 서버상태값을 참조하여 해당 상태에 따른 색깔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모든 서버에 대하여 서버 상태 모니터링이 완료되면, 다음의 데몬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즉, 등록된 모든 데몬들에 대하여 데몬 상태 질의 및 데몬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S140)하게 되며, 이후 데몬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데몬 상태를 참조하여 데몬 상태값을 결정(S150)하게 되며,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데몬상태값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910)로부터 추출하여 화면에 데몬 상태를 표시(S160)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서버 상태 및 데몬 상태를 표시한 후에는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조건이 AND 조건인지, OR 조건인지 ADD 조건인지를 판단(S170)하게 되며,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서비스 조건별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서비스상태와 서비스수준이 판단되면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표시(S190)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후에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태 표시가 되면 종료 여부를 판단(S200)하게 되며, 종료가 아니면 서버상태수집단계(S110)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비스조건판단단계(S170) 이후에는, 서비스 조건이 AND 조건이면,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100%로 표시하기 위한 앤드조건판단단계(S180)와;
서비스 조건이 OR 조건이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ON 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중치의 합으로 퍼센트를 표시하기 위한 오알조건판단단계(S181)와;
서비스조건이 ADD 조건이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ON 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중치의 합으로 퍼센트를 표시하기 위한 애드조건판단단계(S182);를 거치게 된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조건이 앤드 조건인지, 오알 조건인지, 애드 조건인지를 판단하여 각각의 조건에 따라 달리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서비스조건에서 AND 조건이라면 앤드조건판단단계(S180)에서는 서비스상태표시모듈의 처리에 의해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상태를 ON 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수준표시모듈에 의해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수준을 1 혹은 100%로 표시하게 된다.
만약, 서비스 조건이 앤드 조건이 아니라면, 오알조건판단단계(S181)에서는 서비스상태표시모듈의 처리에 의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게 되며, 서비스수준표시모듈에 의해 서비스 수준을 ON 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중치의 합으로 퍼센트를 표시하게 된다.
만약, 서비스 조건 판단시, 앤드 조건도 오알 조건도 아니라면, 애드조건판단단계(S182)에서는 서비스상태표시모듈의 처리에 의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게 되며, 서비스수준표시모듈에 의해 서비스 수준을 ON 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중치의 합으로 퍼센트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상태, 데몬 상태, 서버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각 서버의 운용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않아도 각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서버
900 : 개체상태표시수단
910 : 색상표저장부
920 : 개체상태표시부

Claims (11)

  1.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색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색상표저장부(910)와,
    상기 색상표저장부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 데몬 상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인지, 중간 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개체상태표시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2.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인지, 중간 상태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개체상태표시부(920)가 포함된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상태표시부(920)는,
    서버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버상태표시모듈(921)과,
    데몬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데몬상태표시모듈(922)과,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모듈(9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모듈(923)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상태를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비스상태표시모듈(923a)와,
    부하 분산의 경우에는 성능값에 해당하는 색상을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며, 이중화 구성인 경우에는 장애 정도에 따른 색상을 색상표저장부에서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비스수준표시모듈(92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데몬 들의 앤드 조건, 오알 조건, 애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상태표시부(920)는,
    온 상태, 오프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온 오프 상태 이외에도 중간 상태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상태표시부(920)는,
    개체의 상태를 서비스 상태와 서비스 수준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상태표시수단(900)은,
    모든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상태 질의 및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개체상태수집부와,
    상기 개체상태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참조하여 서버, 데몬, 애플리케이션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개체상태값결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9.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몬들을 개체상태표시수단에 등록시키기 위한 초기화단계(S100)와;
    등록된 모든 서버들에 대하여 서버 상태 질의 및 서버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상태수집단계(S110)와;
    서버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서버 상태를 참조하여 서버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서버상태처리단계(S12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서버상태값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910)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서버상태표시단계(S130)와;
    등록된 모든 데몬들에 대하여 데몬 상태 질의 및 데몬 상태 응답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데몬상태수집단계(S140)와;
    데몬 상태와 이전에 누적된 데몬 상태를 참조하여 데몬 상태값을 결정하기 위한 데몬상태처리단계(S15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데몬상태값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910)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데몬상태표시단계(S160)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조건이 AND 조건인지, OR 조건인지 ADD 조건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서비스조건판단단계(S170)와;
    개체상태표시부(920)가 상기 서비스 조건별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서비스상태와 서비스수준이 판단되면 애플리케이션 상태에 따른 색상 정보를 색상표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상태표시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태 표시가 되면 종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종료여부판단단계(S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서비스조건판단단계(S170) 이후에,
    서비스 조건이 AND 조건이면,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100%로 표시하기 위한 앤드조건판단단계(S180)와;
    서비스 조건이 OR 조건이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ON 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중치의 합으로 퍼센트를 표시하기 위한 오알조건판단단계(S181)와;
    서비스조건이 ADD 조건이면 일부 애플리케이션이 ON 인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상태를 ON으로 표시하고, 서비스 수준을 ON 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중치의 합으로 퍼센트를 표시하기 위한 애드조건판단단계(S18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방법.
KR1020110136756A 2011-12-16 2011-12-16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9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756A KR20130069167A (ko) 2011-12-16 2011-12-16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756A KR20130069167A (ko) 2011-12-16 2011-12-16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167A true KR20130069167A (ko) 2013-06-26

Family

ID=4886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756A KR20130069167A (ko) 2011-12-16 2011-12-16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91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0305A (zh) * 2018-09-05 2021-02-23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消息提示方法及相关产品
KR20220082223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플랜정보기술 빅데이터 저장 플랫폼의 장애 진단 모니터링 표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0305A (zh) * 2018-09-05 2021-02-23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消息提示方法及相关产品
CN112400305B (zh) * 2018-09-05 2022-03-11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消息提示方法及相关产品
KR20220082223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플랜정보기술 빅데이터 저장 플랫폼의 장애 진단 모니터링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65721B (zh) 基于双活架构的全局负载均衡方法和系统及调度服务器
US8352589B2 (en) System for monitoring computer systems and alerting users of faults
CN102891868B (zh) 一种分布式系统的负载均衡方法及装置
US11012461B2 (en) Network device vulnerability prediction
US20070168696A1 (en) System for inventing computer systems and alerting users of faults
TW200513838A (en) System management infrastructure for corrective actions to servers with shared resources
US10019308B1 (en) Disaster-proof event data processing
CN106209411B (zh) 分布式网络系统容错方法、装置及容错式分布式网络系统
JP2012038028A (ja) インシデント管理システム、障害影響範囲可視化方法
US9417949B1 (en) Generic alarm correlation by means of normalized alarm codes
US20190354448A1 (en) High availability and disaster recovery system architecture
US10812327B2 (en) Event clusters
CN110635950A (zh) 一种双数据中心容灾系统
CN104506893B (zh) 一种信息更新方法、云端服务器及crm服务器
US8935571B2 (en) Visual outage management wizard plug-in
CN107968847A (zh) 高可用id生成器及其id生成方法和装置
Doerr et al. All quiet on the internet front?
Tripathi et al. Cost efficient design of fault tolerant geo-distributed data centers
US81711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specific address routing
Martinello et al. Web service availability—impact of error recovery and traffic model
KR20130069167A (ko) 다중 서버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상태 표시시스템 및 방법
CN107734080A (zh) 多用户域名解析及域名服务器迁移的方法
US20230171312A1 (en) Highly redundant and scalable storage area network architecture
Baumann et al. Towards measuring the geographic and political resilience of the internet
US20040015746A1 (en) Fault diagnosis in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