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795A -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795A
KR20130068795A KR1020110136171A KR20110136171A KR20130068795A KR 20130068795 A KR20130068795 A KR 20130068795A KR 1020110136171 A KR1020110136171 A KR 1020110136171A KR 20110136171 A KR20110136171 A KR 20110136171A KR 20130068795 A KR20130068795 A KR 2013006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category table
target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춘
정수연
김호동
전해영
박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795A/ko
Priority to US13/717,090 priority patent/US9491202B2/en
Publication of KR2013006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신호 또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전송한 후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서비스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 그 디바이스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하고만 연결되므로, 최적화된 세션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어, 전체 네트워크 용량(capacity) 관점에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AVAILABLE SERVICE}
본 발명은 서비스 탐색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도 디바이스들 간에 서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서비스 탐색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은 서로의 능력 정보를 탐색할 수 있어야 한다. 디바이스 및 지원되는 서비스 능력 정보의 탐색을 위해, 종래에는 OSI 7 계층 중 3계층 이상의 탐색 프로토콜들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예로, 근거리 통신 방법인 WiFi, Bluetooth 등에서의 서비스 탐색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WiFi, Bluetooth에서의 프로토콜에 따라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우선 둘 이상의 디바이스는 서로 간에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노트북과 마우스, 태블릿 PC와 프린터 등을 직접 연결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주변의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게임기, TV 등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미 형성된 네트워크에 참여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들과 새롭게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형성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 게다가, WiFi의 기본 서비스 설정(Basic Service Set: BSS)의 경우를 고려해보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반드시 엑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와의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한 이후에 또는 이미 형성된 네트워크에 참여를 해야만 네트워크에 참여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사용자 디바이스에서는 비로소 이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탐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판단하는 과정은 PHY/MAC 등의 2계층 연결이 해당 디바이스로 미리 설정된 이후에 개시된다. 이후,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디바이스로 판단된 경우, 해당 디바이스로 이미 설정된 2계층 연결을 끊고 다른 디바이스로 2계층 연결을 재설정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또다시 탐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모든 디바이스가 PHY/MAC 계층에서 AP 없이 Peer to Peer 연결하는 매커니즘은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가 수백개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연결 설정 과정은 엄청난 오버헤드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의 효율성 증대 및 사용자 경험 향상 등을 위하여 새롭게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도 디바이스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들 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도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주변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탐색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탐색 응답에 포함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정보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상대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주변 디바이스들로 전송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탐색 응답을 수신하는 연결부와, 상기 서비스 탐색 응답에 포함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상대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는 연결부와, 상기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 (Device to Device: D2D)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의 탐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D2D 네트워크 상의 모든 기기와 세션을 연결하지 않고도 즉, 본인이 하고자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기기에 한해 세션을 연결함으로써 최적화된 세션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어, 전체 네트워크 용량(capacity) 관점에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특히 세션 연결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네트워크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탐색을 위한 디바이스들 간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탐색을 위한 디바이들 간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에 따른 프레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내부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 기반의 두 디바이스 간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의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이하 D2D) 서비스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브로드캐스팅 신호 또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전송한 후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서비스 정보를 획득한 후, 획득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 그 디바이스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하고만 연결되므로, 최적화된 세션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어, 전체 네트워크 용량(capacity) 관점에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디바이스에서의 동작을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2D 네트워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디바이스1 내지 디바이스 4(100, 110, 120, 130)는 D2D 가능한 서비스 영역 내에서 서비스 A, 서비스 B, 서비스 C, 서비스D를 개별적으로 제공 및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100)에서 서비스 A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디바이스2(110)와의 연결이 필요하며, 서비스 B를 위해서는 디바이스2(110)와 디바이스3(120) 간의 연결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게 되면, 검색된 디바이스하고만 세션을 연결하면 된다. 반면, 디바이스1(100)과 디바이스4(130)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서비스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다음과 같이 분리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타겟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한 구동이 시작되면,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주변 디바이스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원하는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직접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찾기 위해 서비스 탐색 요청을 주변 디바이스들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한 응답을 보내온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미리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도 원하는 서비스를 가진 디바이스를 찾을 수 있어, 최적화된 세션 연결 절차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탐색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는 디바이스1(100)에서 타겟 서비스로 서비스 A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D2D가 가능한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들 중 서비스 A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D2D가 가능한 서비스 영역의 크기는 디바이스1(100)을 중심으로 최대 반경 수Km에 이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100)에서 200단계에서 서비스 A에 대한 구동이 시작되면 주변의 디바이스들 예컨대, 디바이스2(110), 디바이스3(120), 디바이스4(130)들로부터 210단계 내지 230단계에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D2D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브로드캐스팅 신호는 비컨(Beacon)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서는 사용자의 서비스 A에 대한 시작 요청 등에 의해 서비스 A에 대한 구동이 시작된 후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나, 다르게는 D2D가 가능한 특정 서비스 영역 예컨대, D2D 서비스를 지원하는 건물에 진입했을 경우에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는 디바이스 식별 정보(ID),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 버전 정보, 의사(intention)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ID)는 디바이스를 구별하기 위한 임시 식별(Temporary ID) 정보이며,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는 데이터 싱크(data sync) 서비스, AV 스트림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등의 여러 지원 가능한 서비스들 중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를 나타내며, 버전 정보는 서비스 카테고리 버전 정보를 나타내며, 의사 정보는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 의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디바이스2(110)에서 서비스 A, B, C를 지원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가 서비스 A라고 할 경우 브로드캐스팅 신호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 정보로는 서비스 A가 포함되게 된다. 만일 현재 이용 가능한 서비스가 서비스 A, B일 경우에는 디바이스2(110)에서는 서비스 A, B에 대한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에 대한 상세 구성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디바이스2(110)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에는 서비스 A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디바이스3(120)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에는 서비스B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디바이스4(130)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는 서비스C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면, 디바이스1(100)은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240단계에서 서비스 A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서비스 A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디바이스2(110)인 경우 디바이스1(100)는 250단계에서 디바이스2(110)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각 디바이스2, 3, 4(110, 120, 130)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는 다음과 같은 스케줄링 방식에 근거하여 송신된다. 첫번째 방식은 각 디바이스2, 3, 4(110, 120, 130) 모두가 비컨 신호를 일정 주기로 동시에 배포(distribute)하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식은 각 디바이스2, 3, 4(110, 120, 130)별로 미리 스케줄링된 방식에 따라 주기적으로 비컨 신호를 각각 배포하는 방식이다. 세번째 방식은 미리 할당된 특정 구간에서 경쟁 기반으로 비컨 신호를 각각 배포하는 방식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탐색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는 각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요청 및 응답을 기반으로 한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100)은 300단계에서 서비스 A에 대한 구동이 시작되면, 주변의 디바이스들 예컨대, 디바이스2(110), 디바이스3(120), 디바이스4(130)들이 지원하는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해 310단계 내지 330단계에서 각 디바이스2, 3, 4(110, 120, 130)로 서비스 탐색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탐색 요청은 디바이스1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정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디바이스1(100)의 식별 정보(ID),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 디바이스1(100)이 가지고 있는 서비스 카테고리 버전 정보,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 의사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1(100)은 자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주변 디바이스2, 3, 4(110, 120, 130)로 자신의 서비스 정보를 알려준다.
이러한 서비스 탐색 요청을 수신한 각 디바이스2, 3, 4(110, 120, 130)에서는 서비스 탐색 요청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디바이스2(110)이 디바이스1(100)에서 요청한 서비스 예컨대, 서비스 A를 지원할 수 있는 경우 340단계에서 디바이스2(110)에서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응답을 디바이스1(100)로 전송한다. 만일 디바이스3(120) 및 디바이스4(130)에서 서비스 탐색 요청을 수신하였더라도 디바이스1(100)에서의 서비스 A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350단계 및 360단계에서와 같이 서비스 탐색 응답을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100)에서는 370단계에서 디바이스2(110)로부터의 서비스 탐색 응답을 기반으로 디바이스2(100)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만일 서비스 A를 디바이스2(110) 이외에 디바이스3(120)에서도 지원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디바이스3(120)에서도 서비스 탐색 응답을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디바이스1(100) 입장에서는 복수개의 서비스 탐색 응답을 수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서비스 탐색 응답을 받은 순서로 세션 연결을 먼저 시도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복수개의 수신된 서비스 탐색 응답 중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이 최하위 레벨 즉, 상세한 서비스 종류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응답을 보낸 디바이스와 먼저 세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120)가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이 최상위 레벨에 해당하는 레벨1을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응답을 보냈으며, 디바이스3(130)이 중간 레벨에 해당하는 레벨2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응답을 보낸 경우에는 디바이스1(100)에서는 디바이스3(130)과 먼저 세션을 연결한 후, 이어 디바이스2(120)와의 세션을 연결한다. 이러한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외에도 복수개의 서비스 탐색 응답을 수신할 경우 디바이스1(100)의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탐색 응답을 보낸 디바이스들 중 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이 구현된 디바이스1(100)의 동작 및 그 구성 요소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D2D 연결부(420), 서비스 정보 저장부(430),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바이스1(100)은 스마트폰,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게임기, 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유닛 등 D2D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들이 해당된다.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받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만일 선택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복수개 검색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D2D 연결부(420)는 주변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저장부(430)는 자신이 지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러한 서비스 정보는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획득된 서비스 정보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저장부(430)에 저장되는 서비스 정보 중 자신의 식별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통해 주변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난 후 인식된 주변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와는 다르게 설정된다. 이러한 디바이스1(100)의 식별 정보는 D2D 서비스가 수행되는 로컬 지역에서 사용되는 임시 식별 정보로, 주변 디바이스들과의 연결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ID이다.
따라서 디바이스1(100)의 식별 정보는 실제 로컬 지역에서 한번 사용 후에는 폐기되므로, 다른 로컬 지역에서 사용할 경우 또는 같은 로컬 지역에서 재접속시 새롭게 다시 만들어야 하는 정보이다. 이러한 식별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 octets 정도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의 임시적인 ID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기능의 안정 장치 수단을 제공 가능하며, 사용자가 공개할 경우만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정보 중 지원 가능한 서비스는 리스트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지원 가능한 서비스는 서비스 유형별로 분류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포털 기반으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유형별로 서비스 카테고리를 분류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서비스 유형은 레벨 단위 즉, 계층적으로 상위 레벨로부터 하위 레벨 순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표 1에서의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은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구성은 디바이스마다 달라질 수 있다. 즉, 디바이스마다 고유의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을 가지고 있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거나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활성화 상태의 서비스와, 인스톨되어 있으나 실행되지 않은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비활성화(inactive) 상태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포털 기반으로 서비스를 분류하면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포털 기반으로 서비스 카테고리를 분류한 경우에는 디바이스1(100)은 서비스 탐색 요청 시 지원 가능한 서비스들 중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명으로써 예를 들어, NAVER에서 제공하는 Group game(Soccer game)이 현재 자신의 디바이스1(100)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정보를 포함시켜 주변 디바이스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정보 중 서비스 카테고리 버전 정보는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버전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은 상기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레벨 1~3으로 범주화시킨 테이블 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보유하고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테이블은 D2D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의해 배포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관리 및 업데이트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서비스 정보 중 의사 정보는 상기 표 1 또는 표 2에서와 같은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에 대한 의향을 나타낸다.
제어부(440)는 주변 디바이스들 중 타겟 서비스가 가능한 디바이스를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의 시작은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탐색 요청이 입력되거나, 디바이스1(100)이 턴 온되는 경우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40)는 타겟 서비스가 가능한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해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거나 직접 서비스 탐색 요청을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탐색한 경우, 탐색된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브로드캐스팅 신호에는 상기 표 1 또는 표 2에서와 같은 형태를 기반으로 현재 이용 중인 즉, 활성화(active) 상태인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활성화 상태의 서비스 정보는 비컨 신호에 실어 보내지며, 이에 따라 제어부(440)는 비컨 신호에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어떠한 레벨로 지원 가능한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한다. 만일 가장 상세한 서비스 정보가 레벨 3이고 주변 디바이스가 레벨 3을 기반으로 활성화 상태의 서비스 정보를 보낸다면, 상기 표 1의 레벨 3에 속한 모든 상세 서비스를 표현한 서비스 정보가 비컨 신호에 실리게 된다. 예를 들어, 액티브 상태의 서비스가 SMS, MMS, IM일 경우 이러한 서비스 정보를 알리기 위해서는 3번에 걸쳐 비컨 신호를 보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버헤드의 우려가 있으므로, 비컨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비컨 신호를 프레임 형식으로 표현하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도 5(c)에서는 매 프레임마다 즉, 매 비컨 신호마다 레벨 3(560)에 해당하는 액티브 상태의 서비스 정보가 실리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SMS, MMS, IM 등의 서비스명이 레벨 3에 해당하므로, 만일 디바이스1(100)이 SMS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컨 신호에 SMS라고 표기된 서비스명을 확인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SMS라고 표기된 비컨 신호, MMS라고 표기된 비컨 신호, IM라고 표기된 비컨 신호를 각각 수신함으로써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으나, 타겟 서비스를 찾고자 하는 디바이스 입장에서는 필요할 때 언제든지 상세한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손쉽게 타겟 서비스 및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찾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반면, 도 5(a)에서는 첫번째 프레임(500)에서만 레벨3의 액티브 상태의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며, 두번째부터 여섯번째 프레임(510)까지는 레벨2의 액티브 상태의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며, 다음 주기의 첫번째 프레임(520)에서 비로소 레벨3의 액티브 상태의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5(b)에서는 첫번째 프레임(530)에서만 레벨3의 액티브 상태의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며, 두번째 및 세번째 프레임(540)까지는 레벨2의 액티브 상태의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며, 네번째 프레임(550)에서 레벨3의 액티브 상태의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른 디바이스1(100)에서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바이스1(100)은 도 5(a)에서와 같이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찾기 위해 레벨 3에 해당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바로 원하는 디바이스를 찾아 그 디바이스와 세션 연결을 통해 D2D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600단계에서 만일 도 5(a)의 첫번째 레벨 2(511)에 해당하는 비컨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605단계에서 디바이스1(100)이 구동되면, 610단계에서도 레벨 2에 해당하는 두번째 비컨 신호(512)를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비컨 신호(512)를 수신하면, 디바이스1(100)은 615단계에서 비컨 신호(512)를 해석하고 레벨 주기를 분석한다. 이때, 디바이스1(100)은 레벨 3에 대한 비컨 신호(520)가 수신되는 레벨 주기를 알고 있기 때문에 레벨 3의 비컨 신호(520)가 올 때까지 620단계에서와 같이 슬립 모드 진입을 통해 대기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디바이스1(100)은 다음 주기의 레벨 3에 해당하는 비컨 신호(520)를 수신할 때까지 625단계 내지 635단계에서와 같이 3번의 비컨 신호(513, 514, 515)를 더 기다려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레벨 3에 해당하는 비컨 신호(520)를 수신하기 위해 디바이스1(100)은 640단계에서 슬립 모드를 해제한 후 645단계에서 레벨 3에 해당하는 비컨 신호(520)를 수신한다. 이러한 레벨 3에 해당하는 비컨 신호(520)를 수신하게 되면, 현재 이용 중인 상세 서비스 정보를 알 수 있게 되어, 650단계에서와 같이 상대방의 상세 서비스 분석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0)에서의 동작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는 서비스 기반의 D2D 네트워크에서 D2D를 지원하는 디바이스1(100)이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탐색한 이후에 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100)은 타겟 서비스에 대한 구동 시작이 있으면, 700단계에서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브로드캐스팅 신호는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수신되며, 디바이스1(100)은 705단계에서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다. 이러한 서비스 분석을 통해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가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어느 레벨 형태로 보내지는지와, 레벨 주기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나서 디바이스1(100)은 710단계에서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 기반으로 연결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 기반으로 연결할 지의 여부는 다음과 같은 방식들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먼저, 디바이스1(100)의 사용자 선택에 따를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이 최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상세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725단계로 진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브로드캐스팅 신호에는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을 제공하겠다는 의사가 표기된 경우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는 상기 표 1 또는 표 2에서와 같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을 기반으로 한 형태로 실리게 된다. 예를 들어, 분석 결과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이 레벨 2에 해당한다면, 디바이스1(100)의 사용자는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통해 디바이스가 메시징(messaging), 호(call), 교통 서비스(traffic service) 등의 레벨 2 서비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지원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SMS, MMS, IM 등의 메시징 서비스 종류에 상관없이 단순히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을 기반으로 서비스 연결해도 좋다고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세 서비스 정보 즉, 최하위 레벨인 레벨 3에 해당하는 서비스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빠른 서비스 연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반면, 자동 선택에 따른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705단계에서의 분석 결과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이 최하위 레벨인 레벨 3에 해당하면, 디바이스1(100)은 SMS, MMS, IM 등의 레벨 3에 해당하는 상세 서비스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 기반으로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결정된다.
그러나, 710단계에서 디바이스1(100)은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 기반으로 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예컨대,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에 속한 하위 레벨이 있다고 판단되거나 사용자가 상세 서비스 정보를 얻기 위해 현재 서비스 카테고리 레벨 기반으로 한 연결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720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하위 레벨이 있어 이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석 결과를 통해 하위 레벨의 다음 주기를 알고 있으므로, 720단계에서 슬립 모드를 유지하다가 상기 하위 레벨의 다음 주기에 웨이크업한 후 700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브로드캐스팅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725단계에서 디바이스1(100)은 원하는 서비스 예컨대, 서비스 A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도 2에서는 서비스 A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통해 서비스 A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D2D 전체 서비스 중 서비스를 특정하지 않은 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통해 각 디바이스마다 현재 이용 중인 모든 서비스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1(100)은 분석된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디바이스1(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상에 주변에 검색된 서비스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보여준 후, 디바이스1(100)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100)의 사용자는 서비스 유형별로 또는 포털 사이트별로 분류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중에서 원하는 특정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세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에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보낸 디바이스가 현재 이용 가능한 서비스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어, 서비스 선택의 기회가 넓어지게 된다.
이어, 730단계에서 디바이스1(100)은 선택된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진행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만일 세션 연결을 진행할 경우에는 735단계에서 선택된 디바이스로 세션 연결을 요청한 후, 740단계에서 보안키를 교환함으로써 745단계에서 보안이 확보된 세션 연결이 완료되게 된다. 이에 따라 750단계에서와 같이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보안키 등의 보안 정보를 주고 받게 되는 경우는 두 디바이스 간 보안이 설정된 네트워크라고 가정할 수 있어, 서비스 연결을 위해 세션 연결 후, 상대 디바이스에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서비스 수행 시에 제공되는 정보 예로는 NAVER ID, 게임 ID 등 실제 D2D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유저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D2D 기술 이외의 디바이스가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고 하면 다른 통신 프로로콜의 지원 여부를 연결 정보에 포함할 수 있고 이런 경우에는 WiFi/BT 연결도 가능하여 WiFi/BT로 전환하여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0)에서의 동작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8의 825단계 내지 850단계에서의 동작은 도 7의 725단계 내지 750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8에서는 800단계 및 805단계에서 미리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팅 신호 즉, 비컨 신호를 통해 식별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주변 기기와 중복되지 않는 자신만의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도 7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생성한 이후에 디바이스1(100)은 810단계에서 주변 디바이스들에게 자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탐색 요청을 전송한다. 이어, 디바이스1(100)는 815단계에서 서비스 탐색 요청에 대응한 응답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820단계에서 서비스 탐색 응답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도 7에서와 달리 디바이스1(100)은 이미지 자신이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알려준 상태이므로, 서비스 탐색 응답은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0)

  1. 디바이스에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주변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탐색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탐색 응답에 포함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정보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상대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임시 식별 정보, 상기 타겟 서비스명,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버전 정보,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 의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서비스 정보는,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임시 식별 정보,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명,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버전 정보,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 의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상기 주변 디바이스들의 임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 디바이스들의 임시 식별 정보를 근거로 중복되지 않는 자신의 임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5. 디바이스에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임시 식별 정보,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명,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버전 정보,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 의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서비스 유형별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유형은,
    계층적으로 상위 레벨로부터 상기 상위 레벨에 속하는 하위 레벨순으로 구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포털 기반으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상위 레벨에 속하는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위 레벨에 속하는 서비스가 포함된 경우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위 레벨에 속하는 서비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하위 레벨의 상세 서비스가 포함된 브로드캐스팅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12.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탐색 요청을 주변 디바이스들로 전송하고, 상기 주변 디바이스들 중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탐색 응답을 수신하는 연결부와,
    상기 서비스 탐색 응답에 포함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상대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임시 식별 정보, 상기 타겟 서비스명,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버전 정보,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 의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서비스 정보는,
    상기 상대 디바이스의 임시 식별 정보,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명,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버전 정보,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 의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상대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16.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주변 디바이스들로부터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수신하는 연결부와,
    상기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서비스 정보를 근거로 타겟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와의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타겟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임시 식별 정보, 현재 이용 중인 서비스명,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버전 정보,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제공 의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은,
    상기 주변 디바이스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서비스 유형별로 분류하여 저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유형은,
    계층적으로 상위 레벨로부터 상기 상위 레벨에 속하는 하위 레벨순으로 구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의 상위 레벨에 속하는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위 레벨에 속하는 서비스가 포함된 경우 슬립 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하위 레벨의 상세 서비스가 포함된 브로드캐스팅 신호가 수신되는 주기가 되면 웨이크업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주변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10136171A 2011-12-16 2011-12-16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30068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71A KR20130068795A (ko) 2011-12-16 2011-12-16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13/717,090 US9491202B2 (en) 2011-12-16 2012-12-17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earching for availabl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71A KR20130068795A (ko) 2011-12-16 2011-12-16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795A true KR20130068795A (ko) 2013-06-26

Family

ID=4861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171A KR20130068795A (ko) 2011-12-16 2011-12-16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91202B2 (ko)
KR (1) KR201300687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503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281A (ko) * 2012-02-10 2013-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서 최신의 서비스 카테고리 테이블로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JP6265607B2 (ja) * 2013-02-22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WO2016018365A1 (en) * 2014-07-31 2016-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activity control
WO2016139309A1 (en) 2015-03-04 2016-09-09 Ipcom Gmbh & Co. Kg Selection of communication partners using location and velocity information
CN105517193A (zh) * 2016-01-29 2016-04-20 深圳市凯立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立连接的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5915B1 (en) * 2001-09-05 2006-04-2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P address assignment
US7206934B2 (en) * 2002-09-26 2007-04-17 Sun Microsystems, Inc. Distributed indexing of identity information in a peer-to-peer network
US8477731B2 (en) * 2005-07-25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a wide area network
US7720976B2 (en) * 2008-03-31 2010-05-18 Alcatel-Lucent Usa Inc. Peer-to-pee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internet hosts
US20100118834A1 (en) * 2008-11-07 2010-05-13 Amit Kalhan Device beacon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s
US8285860B2 (en) * 2009-03-16 2012-10-09 Apple Inc. Efficient service discovery for peer-to-peer networking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503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59537A1 (en) 2013-06-20
US9491202B2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418B1 (ko) 장치와 서비스의 발견 방법, 및 장치 미들웨어
US9258768B2 (en) Method for using legacy Wi-Fi and Wi-Fi P2P simultaneously
KR102005771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ip 주소 할당 방법 및 장치
EP3550888B1 (en) Wireless connection switching method and terminal
US100981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nnection establishment
US9031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group owner in establishment of Wi-Fi direct connection
EP255782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wi-fi p2p group using Wi-Fi Direct
CN110121902B (zh) 一种通信建立的方法及终端
KR101700937B1 (ko)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탐색 방법 및 장치
JP6026668B2 (ja) マルチバンドサービスディスカバリ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85470B1 (ko) 단말 검색 방법 및 장치
EP29017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fidelity direct(wfd) connection in a wfd network environment
KR20180050389A (ko) 무선 서비스 플랫폼들에서 서비스 발견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기 위한 스마트 코-프로세서
WO2017028743A1 (zh) 中继用户设备控制方法、装置及用户设备
CN104852984B (zh) 基于多屏互动的智能终端间数据传输方法及系统
KR20130142394A (ko) Wi-Fi P2P 네트워크에서 단말 간 연결 방법 및 그 단말
KR20130068795A (ko)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1011116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0278568B (zh) 基于网络设备构建组网的方法、网络系统
EP2894834A1 (en) Providing service description
US9832798B2 (en) Method of updating into service category table in device and device for the same
KR20160045062A (ko) 직접 통신을 이용한 타 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140906A1 (zh) 一种无线传感器网络中设备入网方法及装置
CN113543277A (zh) 配网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099125B2 (en) Game system,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readable processing program, processing method, gam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