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065A -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 Google Patents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065A
KR20130068065A KR1020110135302A KR20110135302A KR20130068065A KR 20130068065 A KR20130068065 A KR 20130068065A KR 1020110135302 A KR1020110135302 A KR 1020110135302A KR 20110135302 A KR20110135302 A KR 20110135302A KR 20130068065 A KR20130068065 A KR 2013006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ut
mounting
subframe
vehicle
mou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52808B1 (en
Inventor
구도회
송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13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808B1/en
Publication of KR2013006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0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mounting unit for a sub frame in a vehicle is provided to minimize construction costs and shorten an assembly process 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a side member. CONSTITUTION: A mounting unit for a sub frame in a vehicle comprises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30,50) and a pipe nut(10). The pipe nut comprises a hollow screw hole(11) and is installed inside a side member(1). The hollow screw hole is formed to fasten a sub frame(7) to the lower part of the side member using a bolt.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a side inner member(5).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separately suppor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pe nut inside the side member.

Description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Mounting unit for vehicle subframe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멤버의 하부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for fastening the subframe to a lower portion of a side member.

일반적으로, 중심 지지 방식의 차량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01)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에 볼팅에 의해 결합된다.In general, in a centrally supported vehic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ubframe 101 is bolted to the front side member 103.

즉, 상기 서브 프레임(101)은 그 전방과 후방 양측이 좌우 양측의 각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에 체결된다. That i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ubframe 101 are fastened to the front side members 103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상기한 서브 프레임(101)에는 엔진과 트랜스미션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차량의 정면 충돌 시 서브 프레임(101)의 좌굴에 의해 엔진의 드롭을 유도하여 엔진이 강제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그 충돌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The subframe 101 has an engine and a transmission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designed to prevent the engine from being pushed by inducing a drop of the engine by buckling of the subframe 101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collision safety is guaranteed.

이러한 서브 프레임(101)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종래 체결 방법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선단 하부에 장착 브라켓(111)을 용접 고정하고,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하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너트(113)를 장착 브라켓(111)에 장착한 상태에서, 체결볼트(115)를 서브 프레임(101)과 파이프 너트(113)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그 서브 프레임(101)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를 볼팅 체결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fastening method of the sub-frame 101 and the front side member 103, the mounting bracket 111 is weld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With the pipe nut 113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111, the fastening bolt 115 is fastened to the subframe 101 and the pipe nut 113 by the subframe 101 and the front side member. The bolt 103 can be bolted.

그런데,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서브 프레임(101)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장착 브라켓(111)에 설치된 파이프 너트(113)를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하부에 연결하므로, 실질적으로 사이드 멤버(103)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해 조립 공정 및 투자비가 증가하게 되며, 사이드 멤버(103)의 사이즈가 증가하게 되고, 부품의 소재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ub-frame 101 and the front side member 103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ipe nut 113 provided on the mounting bracket 111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the side member 103 is substantially complicated,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investment cost ar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the size of the side member 103 is increased, and the material cost of the parts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장착 브라켓(111)에 설치된 파이프 너트(113)를 프론트 사이드 멤버(103)의 하부에 연결하므로, 경차 또는 소형차의 경우 엔진룸의 공간 부족으로 정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pipe nut 113 installed on the mounting bracket 11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103, a light vehicle or a small car may have a problem of poor serviceability due to lack of space in the engine room. hav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이드 멤버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여 조립 공정의 단축 및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이드 멤버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부품 소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side member,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shorten the assembly process and minimize the investment cost, to reduce the size of the side member, to reduce the material cost of part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차 또는 소형차의 경우 엔진룸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정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제공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to further improve serviceability by maximizing utilization of engine room space in the case of a light vehicle or a small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사이드 멤버 하부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멤버의 하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한 중공의 나사홀이 구비된 파이프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astening a subframe to a lower side of a side member of a vehicl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side member, and bolts the subframe to a low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It may include a pipe nut having a hollow screw hole for fasten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는 사이드 아웃터 멤버와 사이드 인너 멤버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드 아웃터 멤버와 사이드 인너 멤버가 상호 용접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member is composed of a side outer member and a side inner member, the side outer member and the side inner member can be configured to be welded to each other.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nut may b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side inner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는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 측을 지지하는 제1 장착 브라켓과, 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단부 측을 지지하는 제2 장착 브라켓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subframe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has a first mount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side of the pipe nut, and the lower end side of the pipe nut The supporting second mounting bracket may be fixedl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제1 장착홀을 지닌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1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unting unit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unting bracket is a first support having a first mounting hole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pipe nut is fitted and fixed, and the first It may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formed integr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first welding portion extending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은 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제2 장착홀을 지닌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2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unting bracket has a second support having a second mounting hol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pipe nut is fitted and fixed,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formed integr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welding portion extending to the second bent portion and wel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파이프 너트의 나사홀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unting unit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connected to the screw hole of the pipe nut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사이드 멤버 하부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멤버의 하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한 중공의 나사홀이 구비된 파이프 너트와, ⅱ)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 측을 지지하며,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1 장착 브라켓과, ⅲ)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단부 측을 지지하며,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2 장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unit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astening the subframe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member of the vehicle, i) installed inside the side member, and the subframe is installed in the side member. A pipe nut having a hollow screw hole for fastening the bolt to a lower portion of the pipe nut, ii) a first mounting bracket supporting an upper end side of the pipe nut, weld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member, and iii) the pipe nut. Supporting the lower end side of the, may include a second mounting bracket welded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사이드 아웃터 멤버와 사이드 인너 멤버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을 통해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nut is configured between the side outer member and the side inner member, the side inn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It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브 프레임을 사이드 멤버에 장착하기 위한 파이프 너트와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을 사이드 멤버의 내측에 구성함으로써 사이드 멤버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여 조립 공정의 단축 및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이드 멤버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부품 소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side member by configuring the pipe nut 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for mounting the sub-frame to the side member inside the side member, and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It can shorten and minimize the investment cost, reduce the size of the side members, and reduce the material cost of par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차 또는 소형차의 경우 엔진룸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정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serviceability 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engine room space in the case of a light car or a compact car.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적용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서브 프레임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부분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se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ate of a front side member and a subframe by applying a general subframe mounting unit.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artial sid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is shown by enlarging the thickness 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It wa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도시한 부분 측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along the line AA of Figure 3,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00)은 차량의 사이드 멤버(1) 하부에 서브 프레임(7)을 일체로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unting frame 100 for a sub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ntegrally mounting the subframe 7 to the lower side of the side member 1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사이드 멤버(1)는 엔진룸의 양측에 배치되는 바, 사이드 아웃터 멤버(3)와 사이드 인너 멤버(5)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드 아웃터 멤버(3)와 사이드 인너 멤버(5)가 상호 용접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ide member 1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engine room, the side outer member (3) and the side inner member (5), the side outer member (3) and side inner member (5) It can be constructed by welding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사이드 멤버(1)는 사이드 아웃터 멤버(3)와 사이드 인너 멤버(5)가 상호 용접되어 구성됨에 따라 소정의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내측 공간은 사이드 인너 멤버(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de member 1 forms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s the side outer member 3 and the side inner member 5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inner space is formed on the side inner member 5. It can be formed by.

상기에서 서브 프레임(7)은 차량에 주로 적용되는 서스펜션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이드 멤버(1)에 용접 연결되고, 차체에 연결되며 스티어링계, 변속기, 엔진 등의 부품을 지지하여 진동, 소음 등을 절연하고, 차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ub-frame 7 is provided in the suspension mainly applied to the vehicle, welded to the side member (1),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o support the components such as steering system, transmission, engine, etc. to prevent vibration, noise, etc. Insulation and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car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00)은 사이드 멤버(1)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여 조립 공정의 단축 및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이드 멤버(1)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부품 소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Mounting unit 100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side member (1), reduce the number of parts can shorten the assembly process and minimize investment costs, side members The size of (1)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which can reduce the material cost of components is ma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00)은 경차 또는 소형차의 경우 엔진룸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정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ounting frame 100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further improve serviceability 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engine room space in the case of a light vehicle or a small vehicl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00)은 사이드 멤버(1)에 서브 프레임(7)을 장착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그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 구성하고 있다.To this end, the mounting frame 100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components for mounting the subframe 7 to the side member 1 inside the side member 1 and have.

상기에서와 같이 사이드 멤버(1)에 서브 프레임(7)을 장착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너트(10)와,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30, 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 component for mounting the subframe 7 to the side member 1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pe nut 10 and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30 and 50. It is configured as follows, which will be described by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 너트(10)는 서브 프레임(7)을 볼트(B)로서 사이드 멤버(1)의 하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ipe nut 10 is for bolting the subframe 7 to the lower part of the side member 1 as a bolt B.

이러한 파이프 너트(10)는 사이드 멤버(1)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브 프레임(7)을 사이드 멤버(1)의 하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한 중공형의 나사홀(11)이 길이 방향(도면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ipe nut 10 is installed inside the side member 1, and the hollow screw hole 11 for bolting the subframe 7 to the lower part of the side member 1 is longitudinally (in the dra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상기 파이프 너트(10)는 사이드 멤버(1)의 사이드 아웃터 멤버(3)와 사이드 인너 멤버(5) 사이에 구성되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30, 50)을 통해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실질적으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pipe nut 10 is configured between the side outer member 3 and the side inner member 5 of the side member 1, 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30 and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further provided. It can be installed to be substantial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장착 브라켓(30)은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서 파이프 너트(10)의 상단부 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unting bracket 30 supports the upper end side of the pipe nut 10 from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1,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inner member 5. Can be.

상기한 제1 장착 브라켓(30)은 파이프 너트(10)의 상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제1 지지부(31)와, 제1 지지부(31)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부(33)와, 제1 절곡부(33)에 연장되며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1 용접부(35)를 포함한다.The first mounting bracket 30 has a first support part 31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pipe nut 10 is fitted and fixed, and a first bent part 33 integrally bent to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part 31. ) And a first welded portion 35 extending to the first bent portion 33 and weld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상기 제1 지지부(31)는 파이프 너트(1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으로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파이프 너트(10)의 상단부가 끼워지며 용접될 수 있는 제1 장착홀(H1)을 형성하고 있다.The first support portion 31 is formed as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pipe nut 10, the upper end of the pipe nut 10 is fitted in the center to form a first mounting hole (H1) that can be welded have.

상기 제1 절곡부(33)는 제1 지지부(31)의 양단에서 사이드 멤버(1)의 길이 방향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부분으로, 제1 지지부(3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first bent portion 33 is a portion bent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ember 1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and serves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portion 31.

그리고, 상기 제1 용접부(35)는 제1 절곡부(33)에서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으로 연장된 날개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그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eld part 35 is formed as a wing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bent part 33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and is weld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장착 브라켓(50)은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서 파이프 너트(10)의 하단부 측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unting bracket 50 supports the lower end side of the pipe nut 10 from the inside of the side member 1,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inner member 5. Can be.

이러한 제2 장착 브라켓(50)은 파이프 너트(10)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제2 지지부(51)와, 제2 지지부(51)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부(53)와, 제2 절곡부(53)에 연장되며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2 용접부(55)를 포함한다.The second mounting bracket 50 has a second support part 51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pipe nut 10 is fitted and fixed, and a second bent part 53 integrally bent to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part 51. And a second welding portion 55 extending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53 and weld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상기 제2 지지부(51)는 파이프 너트(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으로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파이프 너트(10)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용접될 수 있는 제2 장착홀(H2)을 형성하고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51 is formed as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pipe nut 10, the lower end of the pipe nut 10 is fitted in the center to form a second mounting hole (H2) that can be welded have.

상기 제2 절곡부(53)는 제2 지지부(51)의 양단에서 사이드 멤버(1)의 길이 방향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부분으로, 제2 지지부(5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second bent portion 53 is a portion that is bent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member 1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1, and serves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portion 51.

그리고, 상기 제2 용접부(55)는 제2 절곡부(53)에서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으로 연장된 날개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그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welding part 55 may be formed as a wing shape extending from the second bending part 53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and may be weld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Can be.

여기서,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바닥면에는 파이프 너트(10)의 나사홀(11)과 상호 연결되는 관통홀(H3)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through hole (H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interconnected with the screw hole (11) of the pipe nut (10).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00)에 의하면,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30, 50)을 통해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 파이프 너트(10)를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mounting unit 100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ipe inside the side member (1)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30, 50) The nut 10 can be fixedly install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서 파이프 너트(10)의 상하 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30, 50)을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각각 용접 접합함으로써 파이프 너트(10)를 사이드 인너 멤버(5)의 내측 면에 실질적으로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30 and 50 respectively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pe nut 10 inside the side member 1 have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The pipe nuts 10 can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5 substantially by welding each other.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너트(10)의 나사홀(11)과 사이드 인너 멤버(5)의 관통홀(H3)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볼트(B)를 서브 프레임(7)에 끼우고 파이프 너트(10)의 나사홀(11)에 체결하게 되면, 그 서브 프레임(7)을 사이드 멤버(1)의 하부에 일체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crew hole 11 of the pipe nut 10 and the through hole H3 of the side inner member 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bolt B is inserted into the subframe 7. When the screw hole 11 of the pipe nut 10 is fastened, the subframe 7 can be integrally moun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ide member 1.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100)에 의하면, 서브 프레임(7)을 사이드 멤버(1)에 장착하기 위한 파이프 너트(10)와, 그 파이프 너트(10)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30, 50)을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 구성함으로써 사이드 멤버(1)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여 조립 공정의 단축 및 투자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이드 멤버(1)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부품 소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so far, according to the vehicle subframe moun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nut 10 for mounting the subframe 7 to the side member 1 and the pipe By constructing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30 and 50 supporting the nut 10 inside the side member 1, the structure of the side member 1 can b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It can shorten and minimize the investment cost, reduce the size of the side member (1), it can reduce the material cost of par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프레임(7)을 사이드 멤버(1)에 장착하기 위한 파이프 너트(10)와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30, 50)을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 구성하므로, 경차 또는 소형차의 경우 엔진룸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정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nu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30 and 50 for mounting the subframe 7 to the side member 1 are disposed inside the side member 1. Because of the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a light car or a small ca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serviceability by maximizing utilization of the engine room space.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사이드 멤버 3... 사이드 아웃터 멤버
5... 사이드 인너 멤버 7... 서브 프레임
10... 파이프 너트 11... 나사홀
30... 제1 장착 브라켓 31... 제1 지지부
33... 제1 절곡부 35... 제1 용접부
50... 제2 장착 브라켓 51... 제2 지지부
53... 제2 절곡부 55... 제2 용접부
H1... 제1 장착홀 H2... 제2 장착홀
H3... 관통홀
1 ... side member 3 ... side outer member
5 ... side inner member 7 ... sub-frame
10 ... pipe nut 11 ... screw hole
30 ... 1st mounting bracket 31 ... 1st support
33 ... First bend 35 ... First weld
50 ... 2nd mounting bracket 51 ... 2nd support part
53 ... 2nd bend 55 ... 2nd weld
H1 ... first mounting hole H2 ... second mounting hole
H3 ... through hole

Claims (9)

차량의 사이드 멤버 하부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멤버의 하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한 중공의 나사홀이 구비된 파이프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for fastening a subframe below a side member of a vehicle,
A pipe nut installed inside the side member and provided with a hollow screw hole for fastening the subfram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는 사이드 아웃터 멤버와 사이드 인너 멤버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드 아웃터 멤버와 사이드 인너 멤버가 상호 용접되어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member is composed of a side outer member and a side inner member, these side outer member and the side inner member is constructed by welding each other,
And the pipe nut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inner mem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는,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 측을 지지하는 제1 장착 브라켓과, 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단부 측을 지지하는 제2 장착 브라켓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inner member,
And a first mount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side of the pipe nut and a second mount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side of the pipe nut are fixedly install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제1 장착홀을 지닌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1 용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mounting bracket,
A first support part having a first mounting hole in which an upper end of the pipe nut is fitted and fixed;
First bent portions formed integr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 first weld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ent portion and weld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은,
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제2 장착홀을 지닌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2 용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mounting bracket,
A second support having a second mounting hole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pipe nut is fitted and fixed;
A second bent part integr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part;
A second welded portion extending to the second bent portion and weld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파이프 너트의 나사홀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connected to the screw hole of the pipe nut.
차량의 사이드 멤버 하부에 서브 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멤버의 하부에 볼트 체결하기 위한 중공의 나사홀이 구비된 파이프 너트;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 측을 지지하며,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1 장착 브라켓; 및
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단부 측을 지지하며, 상기 사이드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2 장착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A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a vehicle for fastening a subframe below a side member of a vehicle,
A pipe nut installed inside the side member and provided with a hollow screw hole for fastening the subfram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member;
A first mounting bracket supporting an upper end side of the pipe nut and welded to an inner side of the side member; And
A second mounting bracket supporting a lower end side of the pipe nut and welded to an inner side of the side member
Mounting unit for a sub-frame of the vehicle comprising 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는 사이드 아웃터 멤버와 사이드 인너 멤버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드 아웃터 멤버와 사이드 인너 멤버가 상호 용접되어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 너트는 상기 사이드 아웃터 멤버와 사이드 인너 멤버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장착 브라켓을 통해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de member is composed of a side outer member and a side inner member, these side outer member and the side inner member is constructed by welding each other,
The pipe nut is configured between the side outer member and the side inner member, the mounting unit for the sub-fram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brackets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제1 장착홀을 지닌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1 용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착 브라켓은 상기 파이프 너트의 하단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제2 장착홀을 지닌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에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인너 멤버의 내측 면에 용접되는 제2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mounting bracke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having a first mounting hole in which an upper end of the pipe nut is fitted and fixed, a first bent portion integr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first bent portion. An extended first welded portion welded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inner member;
The second mounting bracke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art having a second mounting hole in which a lower end of the pipe nut is fitted and fixed, a second bent part integr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second bent part. And a second welding part which is extended and is weld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inner member.
KR1020110135302A 2011-12-15 2011-12-15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KR101352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02A KR101352808B1 (en) 2011-12-15 2011-12-15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02A KR101352808B1 (en) 2011-12-15 2011-12-15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065A true KR20130068065A (en) 2013-06-25
KR101352808B1 KR101352808B1 (en) 2014-01-17

Family

ID=4886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302A KR101352808B1 (en) 2011-12-15 2011-12-15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80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36B1 (en) * 2013-09-30 2014-09-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Combination structure crossmember and body mounting bracket of subframe for automobile
KR20210151378A (en)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포스코 Front side member for vehicle
KR20240014241A (en) * 2022-07-25 2024-02-01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Automobile sub-frame and body mount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8261A (en) * 1994-08-08 1996-02-20 Honda Motor Co Ltd Subframe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bile front side frame
JP3799467B2 (en) 1999-11-02 2006-07-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Fastener and vehicle fastening structure
KR100826473B1 (en) * 2007-07-16 2008-04-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KR101137256B1 (en) * 2009-12-23 2012-04-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36B1 (en) * 2013-09-30 2014-09-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Combination structure crossmember and body mounting bracket of subframe for automobile
KR20210151378A (en)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포스코 Front side member for vehicle
KR20240014241A (en) * 2022-07-25 2024-02-01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Automobile sub-frame and body mou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808B1 (en)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766B1 (en)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CN104968558B (en) Car body fore part arrangement
EP2749478B1 (en) Structure for front section of vehicle body
JP5630613B2 (en) Motor mount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JP5952385B2 (en) Body front structure
JP2020029162A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CN110949523A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101488326B1 (en) Structure of engine-room
KR20170068326A (en) Battery assembl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JP2013203243A (en) Front sub-frame structure
KR101361372B1 (en) Device for assembling fender panel of vehicle
KR101352808B1 (en)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CA2695934A1 (en) Cowl top panel and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for automobile
KR20130027247A (en)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KR101220372B1 (en) Sub frame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JP2015193282A (en) Reinforcement member of bumper device for vehicle
CN112441126A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CN205801245U (en) Mounting bracket of shock absorber, rear overhang installation assembly and rear overhang mounting structure
JP5141963B2 (en) Body structure
KR102335348B1 (en) Reinforcement unit for engine room
WO2018016368A1 (en) Vehicle chassis front section structure
JP6079752B2 (en) Steering support structure
JP5900363B2 (en) Instrument panel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352807B1 (en) Mounting unit for sub-frame in vehicles
JP2011063118A (en) Roof reinforcing structure of high ro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