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961A -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 Google Patents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961A
KR20130067961A KR1020110135038A KR20110135038A KR20130067961A KR 20130067961 A KR20130067961 A KR 20130067961A KR 1020110135038 A KR1020110135038 A KR 1020110135038A KR 20110135038 A KR20110135038 A KR 20110135038A KR 20130067961 A KR20130067961 A KR 2013006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main body
shift lever
direction selection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686B1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6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3Range indicator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g. showing selected range or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인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킨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방향 선택 버튼, 상기 방향 선택 버튼의 작동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으로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 수행 버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변속 수행을 입력받기 위한 PCB 및 상기 변속 수행 버튼에는 상기 방향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을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ELECTRONIC AUTOMATIC SHIFT LEVER}
본 발명은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인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킨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 장치에서는 전진 또는 후진 등의 차량의 주행 방향 결정과 중립, 주행, 주차 등의 동력 전달 여부의 결정은 운전자가 직접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변속 수행을 위해 차량의 콘솔 박스에는 변속 레버가 장착된다.
종래와 같은 자동 변속 레버의 경우 콘솔 박스 상에 돌출되어 있거나 스티어링 휠 옆에 위치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자동 변속 레버는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오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바로 변속이 수행되므로 사고의 우려가 있다.
또한, 변속 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컵 홀더 등의 수납 공간이 적고 필요한 버튼 기능을 배치하기 어렵다. 그리고, P/R/N/D/M(+/-) 단 등 각 단의 조작을 위해 스트로크 확보 시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자동 변속 레버는 충돌 시 운전자의 머리가 부딪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내포한다.
이에,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용되고 있는 구조로서, 자동 변속 레버가 스티어링 휠의 옆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오조작 되더라도 바로 변속이 수행되어 사고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H-MATIC 기능을 레버 측에 배치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 레버의 조작감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식 변속 레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 레버는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방향 선택 버튼, 상기 방향 선택 버튼의 작동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으로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 수행 버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변속 수행을 입력받기 위한 PCB 및 상기 변속 수행 버튼에는 상기 방향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을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차량의 콘솔 박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 선택 버튼은 좌우로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방향 선택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PCB에 의해 P단, R단, N단, D단, M단이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방향 선택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D단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 레버에 의하면, 차량의 스티어링 휠 또는 콘솔 박스에 배치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동궤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변속단이 절환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본체(10)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1)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차량의 콘솔 박스(미도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는 본체(10), 방향 선택 버튼(12, 13), 변속 수행 버튼(14), PCB(16) 및 표시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차량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10a) 및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10a)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과 변속 수행 버튼(14)은 상기 본체(10)의 커버(10b)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운전자가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 또는 변속 수행 버튼(14)을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의 조작에 따라 변속단의 절환을 전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PCB(16)가 포함된다. 이러한 PCB(16)는 운전자가 변속하고자 하는 변속단을 입력받게 된다.
또한,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의 조작에 의해 변환되는 변속단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15)가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부(15)는 운전자가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변속 수행 버튼(14)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변속단이 절환되는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을 이용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작함으로써 순차적으로 P단, R단, N단, D단 및 M단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화살표 등의 표식을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방향 선택 버튼(12, 13)을 조작함으로써 운전자가 의도하는 변속단으로 전환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 중 일측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순차적으로 변속단이 표시부(15)에 표시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운전자가 의도하는 변속단이 표시되었을 때, 변속 수행 버튼(14)을 누르게 되면 상기 PCB(16)를 통하여 확정적으로 변속 수행을 명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속단은 반복적으로 순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을 조작하여 P단 측으로 전환 중 P단에서 동 방향의 방향 선택 버튼(12, 13)을 누르면 M단으로 변환하도록 하고, 반대로 M단측으로 전환 중 M단에서 동 방향의 방향 선택 버튼(12, 13)을 누르면 재차 P단으로 변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운전자가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을 조작하여 상기 M단에서 변속 수행 버튼(14)을 누르게 되면 H-matic모드로 전환된다. 이것은 수동 변속 모드로서 상기 표시부(15)에는 1 내지 5 또는 그 이상의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주행 중 M단으로 선택하게 되면 현재 주행 중인 속도에 대응되는 변속단이 표시되며, 이후 운전자가 방향 선택 버튼(12, 13)을 조작함으로써 업시프트(up-shift) 또는 다운시프트(down-shift)를 수동적으로 절환시킬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M단에서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 2개를 동시에 누르면 D단으로 변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상기 방향 선택 버튼(12, 13)을 의도치 않게 누르게 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인 조작이 없으면 변환 전의 변속단으로 리턴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운전자의 의도와 달리 변속 조작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본체
10a: 지지 플레이트
10b: 커버
12, 13: 방향 선택 버튼
14: 변속 수행버튼
15: 표시부
16: PCB

Claims (6)

  1.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방향 선택 버튼;
    상기 방향 선택 버튼의 작동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으로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 수행 버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변속 수행을 입력받기 위한 PCB; 및
    상기 변속 수행 버튼에는 상기 방향 선택 버튼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을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차량의 콘솔 박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선택 버튼은 좌우로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방향 선택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PCB에 의해 P단, R단, N단, D단, M단이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방향 선택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D단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KR1020110135038A 2011-12-15 2011-12-15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KR10133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38A KR101338686B1 (ko) 2011-12-15 2011-12-15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38A KR101338686B1 (ko) 2011-12-15 2011-12-15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961A true KR20130067961A (ko) 2013-06-25
KR101338686B1 KR101338686B1 (ko) 2013-12-06

Family

ID=4886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038A KR101338686B1 (ko) 2011-12-15 2011-12-15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6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222B1 (ko) * 2014-02-25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499223B1 (ko) * 2014-03-04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527054B1 (ko) * 2014-04-11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큐브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US9500276B2 (en) 2013-12-13 2016-11-22 Hyundai Motor Company Shift by wire auto lever controlling structure using integrated controller having 2 buttons
KR101704253B1 (ko) * 2015-09-09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4661B2 (en) * 2001-02-01 2003-05-20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torable shifter with electronic gear shift reset
KR100495440B1 (ko) * 2003-01-13 2005-06-14 김진만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조작장치
KR100649164B1 (ko) * 2005-05-02 2006-11-27 에스엘 주식회사 변속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 키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0276B2 (en) 2013-12-13 2016-11-22 Hyundai Motor Company Shift by wire auto lever controlling structure using integrated controller having 2 buttons
KR101499222B1 (ko) * 2014-02-25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499223B1 (ko) * 2014-03-04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527054B1 (ko) * 2014-04-11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큐브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US9897196B2 (en) 2014-04-11 2018-02-20 Hyundai Motor Company Cube-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KR101704253B1 (ko) * 2015-09-09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686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0624B1 (en) Motor vehicle having a selecting device
KR101338686B1 (ko)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US9694677B2 (en) Vehicle having a gearshift element arranged on the steering wheel
US7028575B2 (en) Transmission shifting mechanism
US7603924B2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9772031B2 (en) Shifter assembly including display and actuation for driver control
US8789439B2 (en) Device for operating functions of a motor vehicle
JP4747083B2 (ja) 伝動装置用の変速位置
KR101527054B1 (ko) 큐브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US6904822B2 (en) Signal transmitter for setting the operating states of an automatic shifting device
CN102725165A (zh) 换档装置
KR102557103B1 (ko)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KR101704253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KR101499222B1 (ko) 버튼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439137B1 (ko)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KR20130063159A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용 자동변속장치
CN113513582A (zh) 工程车辆自动变速箱用电控换挡手柄及其控制方法
CN112344007B (zh) 一种单稳态电子换挡机构的换挡方法
CN113137469B (zh) 换挡器以及车辆
CN112392943A (zh) 一种按键式电子换挡器
CN208982646U (zh) 用于车辆的手动变速器的电子换挡系统、换挡器以及用于控制车辆中的挡位选择的系统
JP2021062701A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JP2021062699A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CN210196431U (zh) 一种汽车挡把
JPH0217265A (ja) 押ボタン型電子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