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603A -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 Google Patents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603A
KR20130067603A KR1020110134337A KR20110134337A KR20130067603A KR 20130067603 A KR20130067603 A KR 20130067603A KR 1020110134337 A KR1020110134337 A KR 1020110134337A KR 20110134337 A KR20110134337 A KR 20110134337A KR 20130067603 A KR20130067603 A KR 20130067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ersed liquid
polymer dispersed
composite film
crystal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김배인
최광휘
정갑하
이승철
김창근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7603A/ko
Publication of KR2013006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다관능성 올리고머 0.1중량% 내지 20중량%, 희석제 0.1중량% 내지 99중량%, 가교제 0.1중량% 내지 99중량% 및 광개시제 0.1중량% 내지 99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와 가교제는 30:1 내지 99:1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다관능성 올리고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우레탄계 메타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합물이고, 상기 희석제는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가교제는 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이며, 상기 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각 성분의 신규 혼합비와 함께 부착력이 우수한 희석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비교하여 UV 경화 후 부착력이 개선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Prepolymer composition for a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and PDLC form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관능기를 가지는 수지와, 희석제, 가교제 및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프리폴리머 조성물과, 이를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의 지지체로 이용함으로써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피착체인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분산형 액정 표시장치인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고분자 물질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미세한 액정 방울들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반응하여 산란 또는 투과의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상기한 기능을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와 비교해서 액정 기능을 유연한 필름 내에서 발휘시킬 수 있고, 편광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광산란에 기초한 새로운 광 스위칭 모드이다. 그러므로, 광 이용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뿐 아니라 대면적화가 가능해지는 등 액정만으로는 실현 불가능하였던 기능의 전개가 가능하여 신규 디스플레이 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소자 내의 액정 분자와 고분자는 상 분리를 일으켜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작은 액정 방울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 방울 내의 액정 분자들이 임의의 방향으로 배열하게 되어 액정 방울의 유효 굴절률과 고분자의 굴절률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 입사되는 빛은 불투명하게 산란되며, 전압이 인가되면 이 액정 방울 내의 액정 분자들이 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고분자의 굴절률과 같아지게 되고, 그 결과 입사되는 빛은 시편을 투명하게 투과되는 등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전압의 유무에 따라 빛이 투과되는 상태와 산란되는 두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가 구동된다.
상기한 특성을 갖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의 고분자 매트릭스는 일반적으로 모노머, 광개시제, 커플링제, 올리고머 등이 투입되고, UV 경화기의 UV 조사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통상 광 산란 작용이 완벽하게 발휘될 수 있는 소정의 두께인 10μm 이상의 두께로 두껍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두께로 복합막이 제작되는 경우에 이 두께에 비례한 높은 구동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화면 소자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구동 전압의 인가를 위해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낮추게 되면 구동 전압은 적절하게 낮출 수 있으나, 입사된 광의 산란 효과가 떨어져 대비비가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제안이 되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71410호의 "폴리우레탄계 전구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고분자분산 액정복합막"은 특정 히드록시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를 적절히 조절하여 폴리우레탄계 전구체를 제조하고, 이를 홀로그래픽 고분자분산 액정복합막에 사용하면 고분자 매트릭스의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액정과의 상분리 및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높은 효율과 낮은 구동전압 및 수축률이 낮은 고기능성 홀로그래픽 고분자분산 액정복합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0136860호의 "전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막"은 낮은 구동 전압과 높은 대비비 등 우수한 동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전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막용 전폴리머 조성물로서, 다관능성 수지 0.1중량%~20중량%, 희석제 0.1중량%~99중량%, 가교제 0.1중량%~99중량% 및 광개시제 0.1중량%~99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희석제와 가교제는 1:99 내지 99:1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다관능성 수지는 2이상의 작용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합물이고, 상기 희석제는 알킬계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이며, 상기 가교제는 1,6-헥사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비닐 에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이며, 상기 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및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막용 전폴리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들에서 개시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이 낮은 구동 전압과 높은 대비비의 면에서 개선한 점은 있다 하더라도, UV경화 후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피착체인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부착력이 만족할 정도로 충분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로 대비비가 우수하고 충분히 낮은 구동전압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피착체인 전도성 ITO 필름 간의 부착력이 낮으면 외부충격 또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쉽게 박리되어 기본적인 구조를 유지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UV 경화 후 롤(Roll) 권취가 어려우며, 제품의 2차 가공시 취급상 문제가 발생되는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액정 복합막과 피착체인 전도성 ITO 필름 간의 부착력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있어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피착체인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부착력에서 우수한 기술에 대해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71410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013686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대비비가 우수하고 충분히 낮은 구동전압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피착체인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부착력에서 우수하여 외부충격 또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쉽게 박리되지 않아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로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있어서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한 다관능기를 가지는 올리고머, 희석제, 가교제 및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희석제 및 가교제를 일정 비율로 배합된 신규한 혼합비와 함께 부착력이 우수한 희석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비교하여 UV 경화 후 부착력이 개선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을 얻을 수 있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규명하므로서 달성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다관능성 올리고머 0.1중량% 내지 20중량%, 희석제 0.1중량% 내지 99중량%, 가교제 0.1중량% 내지 99중량% 및 광개시제 0.1중량% 내지 99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와 가교제는 30:1 내지 99:1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다관능성 올리고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우레탄계 메타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합물이고, 상기 희석제는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가교제는 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이며, 상기 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전압인가 유무에 따라 빛의 산란, 투과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스마트 윈도우용으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다관능성 올리고머 0.1중량% 내지 20중량%, 희석제 0.1중량% 내지 99중량%, 가교제 0.1중량% 내지 99중량% 및 광개시제 0.1중량% 내지 99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과, 액정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희석제와 가교제는 30:1 내지 99:1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다관능성 올리고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우레탄계 메타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합물이고, 상기 희석제는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가교제는 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이며, 상기 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복합막의 프리폴리머 조성물과 액정 물질의 혼합비는 1:99 내지 99:1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각 성분의 신규 혼합비와 함께 부착력이 우수한 희석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비교하여 UV 경화 후 부착력이 개선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해 UV 경화 후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전도성 ITO 필름 간의 부착력이 낮으면 발생되는 외부충격 또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쉽게 박리되는 문제점과, 롤 권취상의 문제 및 제품의 2차 가공시 취급상의 문제를 본 발명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의 전압 유무에 따른 빛의 투과 및 산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전압이 인가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은 다관능성 올리고머 0.1중량% 내지 20중량%, 희석제 0.1중량% 내지 99중량%, 가교제 0.1중량% 내지 99중량% 및 광개시제 0.1중량%~99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희석제와 가교제는 30:1 내지 99:1의 조성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희석제로는 부착력이 우수한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개시제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로는 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올리고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우레탄계 메타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프리폴리머 조성물과 액정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리폴리머 조성물과 액정 물질의 혼합비는 1:99 내지 99: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있어서, 상기 액정 물질은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이 산란되고,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광이 투과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희석제로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EOEOEA) 9.2kg과 가교제로 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HDDA) 0.20kg, 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HMPPO) 0.01kg을 혼합한 후, 올리고머로는 우레탄계 올리고머(Ebecryl 1259) 0.9kg을 투입하여 완전한 균일 상으로 혼합하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희석제로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EOEOEA) 9.2kg과 가교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PEGDMA) 0.20kg, 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HMPPO) 0.01kg을 혼합한 후, 올리고머로는 우레탄계 올리고머(Ebecryl 1259) 0.9kg을 투입하여 완전한 균일 상으로 혼합하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희석제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8.8kg을 사용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프리폴리머 각각을 액정(E7, 머크사)과 3:7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을 하판 ITO 필름에 코팅한 후 상판 ITO 필름을 합지하고, UV선을 조사하여 PIPS(polymerization induced phase separation) 방법에 의해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복합막에 대한 부착력은 T-박리(peel)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여기서, T-박리 강도는 Universal Testing Instrument Model TM 설비를 사용하였으며, 200g의 로드셀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시편의 폭은 2.54cm이다.
프리폴리머 조성물 두께(㎛) T-박리 강도(gm/2.54cm)
실시예 1 20 190
실시예 2 20 175
비교예 1 20 15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된 복합막은 기존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비교하여 부착력이 월등하게 우수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스마트 윈도우, 스크린용 등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다관능성 올리고머 0.1중량% 내지 20중량%, 희석제 0.1중량% 내지 99중량%, 가교제 0.1중량% 내지 99중량% 및 광개시제 0.1중량% 내지 99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와 가교제는 30:1 내지 99:1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다관능성 올리고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우레탄계 메타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합물이고, 상기 희석제는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가교제는 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이며, 상기 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압인가 유무에 따라 빛의 산란, 투과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스마트 윈도우용으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3. 다관능성 올리고머 0.1중량% 내지 20중량%, 희석제 0.1중량% 내지 99중량%, 가교제 0.1중량% 내지 99중량% 및 광개시제 0.1중량% 내지 99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과, 액정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희석제와 가교제는 30:1 내지 99:1의 조성비를 가지고, 상기 다관능성 올리고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유도된 우레탄계 메타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합물이고, 상기 희석제는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가교제는 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다이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이며, 상기 광개시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막의 프리폴리머 조성물과 액정 물질의 혼합비는 1:99 내지 99:1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KR1020110134337A 2011-12-14 2011-12-14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KR20130067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337A KR20130067603A (ko) 2011-12-14 2011-12-14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337A KR20130067603A (ko) 2011-12-14 2011-12-14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603A true KR20130067603A (ko) 2013-06-25

Family

ID=4886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337A KR20130067603A (ko) 2011-12-14 2011-12-14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76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6023A (zh) * 2017-12-28 2019-07-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交通工具的聚合物分散液晶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6023A (zh) * 2017-12-28 2019-07-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交通工具的聚合物分散液晶膜
KR20190080579A (ko) * 2017-12-28 2019-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송 수단용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CN109976023B (zh) * 2017-12-28 2024-03-2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交通工具的聚合物分散液晶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962B1 (ko) 점착제 조성물
JP6097474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951052B1 (ko) 광학용 감압성 접착제 시트
JP6097473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4250524B (zh) 粘接性组合物、粘接剂以及粘接片
CN101910343B (zh) 用于液晶显示器的光学粘合剂
JP3594206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
KR102278242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CN112961610B (zh) 压敏粘合性组合物、压敏粘合剂以及压敏粘合片
CN104177539A (zh) 一种聚合物分散液晶材料的制备方法
CN102540542A (zh) 一种聚合物分散液晶薄膜及其制造方法
WO2018072399A1 (zh) 视角可切换智能显示膜的制备方法及含该显示膜的复合膜
JP2016539212A (ja) 粘着剤組成物
KR20210130739A (ko) 플렉서블 적층체
KR20210130169A (ko) 플렉서블 적층체
CN113474701A (zh) 柔性层叠体
KR101100533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KR101577372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및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100812276B1 (ko) 전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막
TWI814940B (zh) 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影像顯示面板及影像顯示裝置
JP2005298724A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用粘着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光学部材
KR101212404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필름
KR20130067603A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KR101872030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TW202023809A (zh) 影像顯示面板及影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