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393A -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393A
KR20130067393A KR1020110134417A KR20110134417A KR20130067393A KR 20130067393 A KR20130067393 A KR 20130067393A KR 1020110134417 A KR1020110134417 A KR 1020110134417A KR 20110134417 A KR20110134417 A KR 20110134417A KR 20130067393 A KR20130067393 A KR 20130067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otating body
power transmission
coils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858B1 (ko
Inventor
이기범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3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8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series, e.g. for multiplication of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수전코일에서 수신한 고주파 전력을 효율적으로 합치는 것은 물론, 정류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약화된 전력을 보상할 수 있는,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회전체; 상기 회전체 근방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고주파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송신하는 복수 개의 송전코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송전코일로부터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복수 개의 수전코일; 상기 수전코일에서 수신한 고주파 전력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와, 고주파 전력을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전코일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한 DC 전압을 합쳐 출력하는 DC 전압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ELECTROMAGNETIC COUPLED RESONANCE TYPE WIRELESSLY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SUPPLYING AN ELECTRIC POWER TO A SENSOR ATTACHED ON ROTATING SPINDLE}
본 발명은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회전체에 설치된 복수 개의 수전코일에서 수신하는 고주파 전력을 효율적으로 합치면서 정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신된 전력이 약화될 때 이를 보상할 수 있는,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가 등장하면서,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바,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 자동차를 구동시킨다. 이는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다가, 최근 공해 문제의 심각성으로 다시 개발되어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 모터와 내부 연소 엔진 모두를 사용하는 자동차인데, 이는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엔진 모두를 장착하여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발생량을 줄인 자동차이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역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시켜 사용함으로써 가솔린 연료 사용량을 부분적으로 대체하고 있는데, 가솔린 엔진과 전기 엔진의 장점만을 결합해 운전하면서 도로와 주변 환경에 걸맞게 자동으로 가솔린 엔진과 전기 엔진 변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종래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유선 플러그를 사용하여 케이블로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충전한바, 이는 전기자동차를 주차장에 세우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유선 케이블을 자동차의 배터리 플러그에 연결하여 전기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반드시 사람이 케이블을 직접 연결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은 크게 자계 커플링 방식, 전자계 방사 방식 및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하는 자계 커플링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자계 커플링 방식은 코일을 여러 번 감아서 고주파수의 전류를 코일에 흘려주면 한 방향으로 강하게 자계가 유기되는데, 비슷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코일이 아주 근접하게 되면 커플링이 일어나면서 전력이 전송되는 방식인바, 이러한 자계 커플링 방식은 전송 효율이 아주 나빠서 아주 근접한 거리에서만 전력 전송이 가능하고, 각도가 조금만 틀어져도 전송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전자계 방사 방식은, 모노 폴이나 혼 안테나 등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계와 자계가 서로 영향을 주면서 방사가 일어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같은 주파수의 안테가나 있을 경우 입사파의 극 특성에 맞게 전력을 수신할 수는 있으나, 모든 방향으로 전력을 전송하므로 전력 전송 효율이 매우 낮고, 방사 전력이 증가되면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하는 자계 커플링 방식은 자계 커플링 방식보다 다소 먼 거리 전력 전송이 가능하고, 효율적인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지만, 비싼 유전체 공진기를 제작, 사용하여야 하고, 커플링 코일 공진기 방식에 비하여 전송 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된 것이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8621호에는 "전자기감응공명에 의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충전시키는 무선전력충전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주파수가 동일한 무선전력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기 감응 공명에 의해 전력을 송수신함으로써,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 배터리를 자동 충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인바,
한편, 회전체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크게 접촉식인 슬립링 방식과, 비접촉식인 인덕션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링 방식은, 회전체(1)가 회전할 때, 전원 공급부(5)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브러쉬(2)를 통하여 전도체 링(3)에 접촉함으로써 전력이 전달된다.
회전체(1)에는 전력 수신부(4)와 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체(1) 회전시 전력 수신부(4) 및 센서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전도체 링(3)은 센서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수신부(4)와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전원 공급부(5)에서 공급된 전력은 브러쉬(2), 전도체 링(3)을 거쳐 전력 수신부(4)에 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회전체가 상하로 불규칙하게 요동치는 움직이게 되면, 브러쉬(2)와 전도체 링(3)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는바, 실질적으로 회전체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방식은 외부 고정 코일(7)이 외부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내부 회전 코일(8)은 회전체에 절연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바, 회전체(9)가 회전하면 내부 회전 코일(8)이 함께 회전되는 구조이다.
인덕션 방식은, 회전체(9)가 회전할 때, 전원 공급부(6)에서 전력이 외부 고정 코일(7)로 공급되는바, 외부 고정 코일(7)로부터 내부 회전 코일(8)로 전력이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전원 공급부(6)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외부 고정 코일(7), 내부 회전 코일(8)을 거쳐 전력 수신부에 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회부 고정 코일(7)과 내부 회전 코일(8) 간의 간격이 수 cm 이내여서 내부 회전 코일(8)이 고정되는 회전체(9)가 상하로 불규칙하게 수십 cm 이상 요동치며 움직일 경우, 내부 회전 코일(8)이 외부 고정 코일(7)에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실질적으로 회전체에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체의 요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회전체의 간섭을 받지 않는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본 발명자가 연구, 개발하고 있는 것은 회전체에 3개의 수전코일을 설치하여, 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 감응 공명을 이용한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무선 전력 전송에서 사용되는 송전코일(S)에서 송신된 고주파 전력 신호는 수전코일(R)에서 수신하게 되는바, 클램핑 회로는 제1콘덴서(C1)와 다이오드(D)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류부는 제1인덕터(L)와 제2콘덴서(C2)로 구성되어 있다.
송전코일(S)에서 고주파 전력 신호를 송신하면, 수전코일(R)에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게 되고, 수전코일(R)로 수신된 고주파 전력은 제1콘덴서(C1)와 다이오드(D)를 거치면서 클램핑되며, 정류부에서 제1인덕터(L)와 제2콘덴서(C2)를 거치면서, DC 전압으로 정류된다.
이러한 종래의 고주파 정류기는 1개의 수전코일(R)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정류기인데, 이는 회전체에 복수 개의 수전코일(R)을 설치하여,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송수신 하는 경우에는 사용될 수 없는바, 종래 고주파 정류기는 DC 정류부에 제1인덕터(L)만 사용됨으로써, 정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8621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전코일에서 수신한 고주파 전력을 효율적으로 합치는 것은 물론, 정류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약화된 전력을 보상할 수 있는,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회전체; 상기 회전체 근방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고주파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송신하는 송전코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송전코일로부터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복수 개의 수전코일; 상기 수전코일에서 수신한 고주파 전력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와, 고주파 전력을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전코일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한 DC 전압을 합쳐 출력하는 DC 전압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는 강철 재질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송전코일의 지름은 상기 회전체 지름이 1/2 이하이고, 상기 수전코일의 지름은 상기 회전체 지름의 1/4 이하이며,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회전체의 원주 방향으로 120°간격을 두고 3개가 설치되고, 상기 송전코일은 60°간격을 두고 2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에서 정류된 복수 개의 DC 전압은 모두 직렬로 연결되어 합쳐지고, 합쳐진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전압 안정화 회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 안정화 회로 후단에는 전력 저장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제1콘덴서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부는, 제1인덕터와, 제2인덕터 및 제2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복수 개의 수전코일로 수신된 각각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하나의 전력으로 합칠 수 있으며, 수신된 무선 전력이 끊기거나 약화될 때, 이를 보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회전체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슬립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회전체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덕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무선 전력 전송시 회전체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주파 정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고주파 정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전력 수신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회전체(10), 송전코일(40), 수전코일(20), 전력 수신부(30) 및 DC 전압 출력부를 포함한다.
회전체(10)는 강철 재질로 형성되고, 이러한 회전체(10) 근방에는 송전코일(40)이 설치되는바, 송전코일(40)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고주파 전원을 공급받아 후술할 수전코일(2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수전코일(20)은 회전체(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바, 송전코일(40)로부터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받는다.
회전체(10)에 수전코일(20)이 단수 개 설치되면, 강철 재질의 회전체(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체(10)의 간섭을 받게 되어 송전코일(40)로부터의 전력 수신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회전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수전코일(20)을 복수 개가 설치되어야 한다. 수전코일(20)이 복수 개가 설치되면, 회전체(10)의 회전 각도와는 무관하게 항상 송전코일(40)로부터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기 감응 공명(ECR, Electromagnetic Coupled Resonance) 방식이란, 주파수 크기가 같은 두 물체 사이에서 한 쪽에 전기를 공급하면 동일한 자기장이 형성되면서 다른 쪽으로 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마치 한쪽의 소리굽쇠를 때리면 근처에 있는 다른 소리굽쇠도 함께 울리는 현상과 매우 유사하다.
이렇듯,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에 의해서, 수전코일(20)에 고주파 전력이 형성되면, 전력 수신부(30)에서 이러한 고주파 전력을 수신하게 된다.
전력 수신부(30)는, 클램핑부(32)와 정류부(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부(32)는 고주파 전력을 클램핑시키는 기능을 하는바, 수전코일(20)에 유도된 전압 자체를 클램핑하여 그 출력값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클램핑부(32)의 구성은 클램핑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가능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콘덴서(32a)와 다이오드(32b)를 가지고 클램핑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전코일(20)과 연결된 각각의 전력 수신부(30)에서는 클램핑부(32)를 거친 고주파 전력을 DC 전압으로 정류하는바, 이러한 과정은 정류부(34)에서 진행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수전코일(20)에 각각 연결된 전력 수신부(30) 중 정류부(34)의 구성은, 제1인덕터(34a)와, 제2인덕터(34b) 및 제2콘덴서(34c)를 포함하는바, 종래의 것에 비하여 제2인덕터(34b)가 추가됨으로써 정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복수 개의 수전코일(20)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30) 중 상부에 위치하는 전력 수신부(3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요부를 설명한다.
클램핑부(32)는 제1콘덴서(32a)와 다이오드(32b)로 구성되고, 정류부(34)는 제1인덕터(34a)와 제2인덕터(34b) 그리고, 제2콘덴서(34c)로 구성된다. 송전코일(40)에서 고주파 신호를 송신하면 수전코일(20)에서 무선 전력을 수신한다. 수전코일(20)에서 수신한 고주파 전력은 제1콘덴서(32a)와 다이오드(32b)를 거치면서 클램핑되고, 정류부(34)의 제1인덕터(34a), 제2인덕터(34b) 및 제2콘덴서(34c)를 거치면서 DC 전압으로 정류된다.
이러한 과정은, 중앙 및 하부에 위치하는 전력 수신부(30)에서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렇듯, 복수 개의 수전코일(20)에서 수신한 고주파 전력은 전력 수신부(30)에서 각각 클램핑, 정류되는바, 정류된 DC 전압은 직렬로 연결되어 합쳐지고, DC 전압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은, 합쳐진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전압 안정화 회로(3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압 안정화 회로(36) 후단에는 전력 저장부(38)(슈퍼 커패시터 등)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전력 저장부(38)는 DC 출력 전압이 낮아지면 자동으로 그러한 전압을 보상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수신단에서 전력이 일시적으로 끊기거나, 수신된 전력이 미약해서 일정한 DC 출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접압을 보상하여 안정된 DC 출력 전압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대(50)에 송전코일(40)을 2개 고정하고, 회전체(10)에는 수전코일(20)을 3개 설치한다.
전원 공급부(S)에서 고주파 전력이 송전코일(40)로 공급되고, 송전코일(40)은 이 고주파 전력을 수전코일(20)로 전송하는바, 3개의 수전코일(20)로 전송된 전력은 전력 수신부(30)로 전달되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고, 최종적으로 직류전원은 회전체(10)에 붙어 있는 센서로 공급된다.
본 발명자는 지름이 87cm 인 회전체(10)의 외주면에 지름이 20cm 인 수전코일(20) 3개를 둘레 방향으로 120°간격으로 3개 설치하였고, 지름이 40cm인 송전코일(40)을 60°간격으로 2개 설치하였다.
일반적으로, 송전코일(40)과 수전코일(20)은 정확하게 마주보았을 때, 최대 전력이 송수신되며, 수전코일(20)이 회전하여 송전코일(40)과 멀어질 경우 전력 전달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단수 개의 송전코일(40)과 수전코일(20)이 설치된 경우, 송전코일(40)과 수전코일(20)이 30°이상 어긋나게 되면 전력 전달이 매우 미약해져서 전력이 마치 끊어진 것과 동일한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전력 손실을 보정하기 위하여, 2개의 송전코일(40)을 60°간격으로 및 3개의 수전코일(20)을 120°간격으로 배치한 것인 바, 이러한 간격 및 개수는 경제성과 전력 송수신 효율을 동시에 최대한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결정된 것이며, 송전코일(40)의 지름은 상기 회전체(10) 지름이 1/2 이하이고, 상기 수전코일(20)의 지름은 상기 회전체(10) 지름의 1/4 이하로 형성될 때, 상기한 송전코일(40) 및 수전코일(20)의 개수 및 간격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회전체(10)가 회전하더라도 항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전코일(40)과 수전코일(20)이 회전체(10)의 간섭을 받지 않고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렇듯, 복수 개의 수전코일(20)에서 수신된 고주파 전력은 상술한 전력 수신부(30)에서 클램핑, 정류되고, 전압 안정화 회로(36)를 통하여, DC 전압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전력 저장부(38)에서는 수신된 전력이 미약하거나 일시적으로 끊기는 것을 보상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력이 무선 송수신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회전체 20 : 수전코일
30 : 전력 수신부 32 : 클램핑부
34 : 정류부 36 : 전압 안정화 회로
38 : 전력 저장부 40 : 송전코일
50 : 지지대

Claims (5)

  1. 회전체;
    상기 회전체 근방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고주파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송신하는 복수 개의 송전코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송전코일로부터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복수 개의 수전코일;
    상기 수전코일에서 수신한 고주파 전력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와, 고주파 전력을 DC 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수전코일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에서 수신한 DC 전압을 합쳐 출력하는 DC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강철 재질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송전코일의 지름은 상기 회전체 지름이 1/2 이하이고, 상기 수전코일의 지름은 상기 회전체 지름의 1/4 이하이며,
    상기 수전코일은 상기 회전체의 원주 방향으로 120°간격을 두고 3개가 설치되고, 상기 송전코일은 60°간격을 두고 2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수신부에서 정류된 복수 개의 DC 전압은 모두 직렬로 연결되어 합쳐지고,
    합쳐진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전압 안정화 회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압 안정화 회로 후단에는 전력 저장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난,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제1콘덴서와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부는, 제1인덕터와, 제2인덕터 및 제2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110134417A 2011-12-14 2011-12-14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299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17A KR101299858B1 (ko) 2011-12-14 2011-12-14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17A KR101299858B1 (ko) 2011-12-14 2011-12-14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393A true KR20130067393A (ko) 2013-06-24
KR101299858B1 KR101299858B1 (ko) 2013-08-23

Family

ID=4886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417A KR101299858B1 (ko) 2011-12-14 2011-12-14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8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498A (ko) * 2014-05-21 2015-12-02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체 표면에 부착된 센서를 위한 무선 전력 공급 장치
WO2016000694A1 (de) * 2014-06-30 2016-0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nsoranordnung sowie wälzlager mit einer solchen
KR20170032521A (ko) * 2015-09-14 2017-03-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6658B2 (en) * 2014-03-06 2017-10-31 The Boeing Company Wirelessly powered electric motor
US11569138B2 (en) * 2015-06-16 2023-01-31 Kl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rameters of a semiconductor factory autom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030Y1 (ko) * 1994-12-23 1998-08-17 김만제 자속을 이용한 회전설비의 무선전원 공급장치
KR20070082814A (ko) * 2006-02-18 2007-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링크의 유도전류를 이용한 전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498A (ko) * 2014-05-21 2015-12-02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체 표면에 부착된 센서를 위한 무선 전력 공급 장치
WO2016000694A1 (de) * 2014-06-30 2016-0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nsoranordnung sowie wälzlager mit einer solchen
US10302138B2 (en) 2014-06-30 2019-05-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nsor arrangement and rolling bearing having such a sensor arrangement
KR20170032521A (ko) * 2015-09-14 2017-03-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858B1 (ko)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521B1 (ko)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9472974B2 (en)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and wireless power feeding method
JP5755066B2 (ja) 無線給電システム、及び無線給電方法
JP5755067B2 (ja) 無線給電システム、及び無線給電方法
KR101299858B1 (ko) 회전체를 이용한 전자기 감응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8890472B2 (en) Self-charging electric vehicles and aircraft, and wireless energy distribution system
JP5957112B2 (ja) 無線給電システム
US20110254378A1 (en) Non contact power transfer device and vehicle equipped therewith
US20130154384A1 (en) Contactless power receiving device, vehicle,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US20160355094A1 (en) Power receiving system
GB2418306A (en) Inductive battery charging using three mutually orthogonal inductors
JP2011147213A (ja) 電力伝送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給電装置
JP2012055109A (ja) 非接触電力転送装置の異常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受電装置および車両
US20220368164A1 (en) Fm scavenging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and other devices
KR20110068621A (ko) 전자기감응공명에 의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를 자동으로 충전시키는 무선전력충전장치 및 그 방법
KR101217655B1 (ko) 차량용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WO2011098884A2 (en) Electric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vehicle provided with same
GB2431301A (en) Inductive battery charging using three mutually orthogonal inductors
KR20140048502A (ko) 무선충전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방법
KR20130134726A (ko) 자기장 확산 방지가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N207579627U (zh) 电动车无线充电枪
CN108964722A (zh) 无线传输方法
CN104362761A (zh) 无线充供电的电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