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037A -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037A
KR20130066037A KR1020110132697A KR20110132697A KR20130066037A KR 20130066037 A KR20130066037 A KR 20130066037A KR 1020110132697 A KR1020110132697 A KR 1020110132697A KR 20110132697 A KR20110132697 A KR 20110132697A KR 20130066037 A KR20130066037 A KR 20130066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in body
sliding unit
actuat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혁
Original Assignee
(주)트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윈테크 filed Critical (주)트윈테크
Priority to KR102011013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6037A/ko
Publication of KR2013006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1Actuators providing feel or simulating a shift gate, i.e. with active force generation for providing counter forces for feed 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력조절이 용이하고 응답성이 높은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추에이터{Actuator for simulator}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력조절이 용이하고 응답성이 높은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시뮬레이터(motion simulator; 운동재현기)라 함은 지상, 해상 또는 공간에서 운용되는 운동체의 조종훈련이나 이들에 장착되는 장비의 성능평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운동체의 3차원 운동을 기구적으로 모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운동시뮬레이터의 종류는 모사대상 운동체에 따라 차량의 주행상태를 재현하는 차량시뮬레이터(land vchicle simulator), 해상에서 운행되는 함(ship)의 운동을 재현하는 함운동시뮬레이터(ship motion simulator), 항공기의 비행상태를 재현하는 항공기시뮬레이터(flight simulator) 등으로 구분되며, 기구적 특성에 따라 하나의 액추에이터(actuator)가 1자유동운동을 전담하는 직렬(cascade)방식과 액추에이터들이 병렬연결되어 운동자유도를 상호분담하는 상조(synergistic)방식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시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조종에 의해 실제와 같은 운동이 구현되는 플랫폼과, 상기 플랫폼 및 지면에 고정되고 상기 플랫폼을 이동시켜 운동을 구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압력조절이 용이하고 응답성이 높은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구동 대상체(130)를 지지하여 현실감을 발생시키는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200)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0)는 지면측에 고정되는 본체(210); 상기 본체(210)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 대상체(130) 측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2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 유닛(220);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각각 고정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부(230);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압력 제어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24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241); 상기 모터(241)에 구동되어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42); 상기 압축기(242)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저장하고 상기 본체(210)에 압축된 유체를 공급하는 리저브탱크(250); 상기 본체(210) 내부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45); 상기 리저브탱크(250) 및 상기 본체(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246)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사이 공간을 유체충진공간(211)과 유체비충진공간(212)으로 구획시키는 압력전달부재(2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저브탱크(250)에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유체충진공간(211)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은 내부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제 1 유체홀(26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저브탱크(250)는 상기 압축기(242)에서 공급된 유체가 충진되는 탱크바디(252); 상기 탱크바디(25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바디(252)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유체가 채워진 상기 탱크바디(252) 내부의 용적을 증감시키는 용적가변유닛(260)을 포함하고, 상기 용적가변유닛(260)은 상기 탱크바디(252)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는 구획부재(262); 상기 탱크바디(252)에 설치된 구획모터(264); 상기 구획모터(264) 및 상기 구획부재(262)에 각각 연결되고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구획모터(264)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볼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저브탱크(350)는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된 유체가 채워지는 탱크바디(352); 상기 탱크바디(352)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용적가변공간(351)을 형성시키는 격벽(354); 상기 용적가변공간(351)에 배치되어 상기 격벽(354)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용적가변공간(351)의 용적을 증감시키는 용적가변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구동 대상체(130)를 지지하여 현실감을 발생시키는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200)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0)는 지면측에 고정되는 본체(210); 상기 본체(210)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 대상체(130) 측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2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 유닛(220);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각각 고정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부(230);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압력 제어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24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241); 상기 모터(241)에 구동되어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42); 상기 압축기(242)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저장하고 상기 본체(210)에 압축된 유체를 공급하는 리저브탱크(250); 상기 본체(210) 내부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45); 상기 리저브탱크(250) 및 상기 본체(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246)를 포함하며,
상기 리저브탱크(250)는 상기 압축기(242)에서 공급된 유체가 충진되는 탱크바디(252); 상기 탱크바디(25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바디(252)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유체가 채워진 상기 탱크바디(252) 내부의 용적을 증감시키는 용적가변유닛(26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사이 공간을 유체충진공간(211)과 유체비충진공간(212)으로 구획시키는 압력전달부재(222)를 포함하고, 상기 리저브탱크(250)에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유체충진공간(211)에 충진되며,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은 내부로 유체가 유동되어 공급되게 하는 제 1 유체홀(261)이 형성된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는 리저브탱크(250)를 통해 압축된 유체를 저장함으로서 상기 압축기(242)가 상기 본체(210)의 압력 변화에 따라 빈번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리저브탱크(250)에 배치된 용적가변유닛(260)을 통해 상기 압축기(242)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상기 본체(210)에 공급되는 압력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는 본체(210) 및 슬라이딩 유닛(220) 사이에 배치된 압력전달부재(222)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가해지 유체의 압력전달 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저브탱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100)는 지지장치(110), 액추에이터(200) 및 제어장치(120)를 포함한다.
지지장치(110)는 구동 대상체(130)를 지지한다. 지지장치(110)는 플랫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대상체(130)는, 예를 들어 자주포/전차/장갑차 조종 모의 훈련기 및 전차 포술 모의훈련기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뮬레이터(100)의 각 종류에 대응하는 구동 대상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100)는 오락기기와 같이 시뮬레이터와 같은 원리로 동작되는 기기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200)는 지지장치(110)와 연결되고, 시뮬레이터(100)에 현실감을 주도록 지지장치(110)를 구동시킨다. 제어장치(120)는 액추에이터(2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장치(12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종에 따라 액추에이터(200)를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 시뮬레이터(100)에 적용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200)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200)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상기 액추에이터(200)는 지면측에 고정되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 대상체(130) 측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2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 유닛(220)과,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각각 고정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부(230)와,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0)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되며, 하측이 지면 측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은 상측이 상기 구동 대상체(130) 측에 고정되고 하측에 상기 구동부(230)가 연결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은 본체(2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내장되고, 일단이 상기 구동 대상체(13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 대상체(130)가 액추에이터(20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상대운동을 하도록 액추에이터 본체(210)는 실린더에 대응하고, 슬라이딩 유닛(220)은 피스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은 슬라이딩을 통하여 상기 본체(210)로부터 돌출량이 작은 상태(도 2 참조)에서 돌출량이 많은 상태(도 3 참조)로 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은 상기 본체(210)에서 공급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 1 유체홀(2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은 상기 지지장치(110)와 볼조인트(221)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는 지면측과 볼조인트(211)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23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210)에 내장되고 슬라이딩 유닛(220)과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본체(210)에 고정된 구동모터(231)와, 상기 구동모터(231)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감속기(234)와, 상기 감속기(234)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32)과, 상기 회전축(232)과 상호간섭되어 상기 회전축(232)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운동변환기(23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32)과 상기 운동변환기(233)는 볼스크류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동모터(231)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고, 회전축(232)의 일단은 구동모터(231)와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232)은 슬라이딩유닛(2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32)의 타단은 슬라이딩 유닛(2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하측에는 운동 변환기(233)가 설치되고, 상기 운동 변환기(233)는 상기 회전축(232)의 회전 운동을 슬라이딩 유닛(22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2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운동 변환기(233)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축(232)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볼스크류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232)이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232)의 나사산 및 볼스크류의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회전축(232)의 회전 운동이 상기 운동 변환기(233)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상기 운동 변환기(233)가 고정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이 직선으로 이동된다.
상기 구동모터(231) 및 회전축(232)은 감속기(234)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234)는 일정 비율로 감속되어 회전축(232)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회전축(232)은 사용자의 설계에 따른 회전속도, 회전력 등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에 의하여 액추에이터 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딩 유닛(220)은 보호부재(251)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부재(251)는 고무부트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이 외주면에는 유체의 압력을 전달받는 압력전달부재(222)가 배치되고, 상기 압력전달부재(222)는 상기 본체(2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전달부재(222)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210)의 내측면을 유체충진공간(211)과 유체비충진공간(212)으로 구회시킴으로서 상기 압력제어부(240)에서 공급되는 압력을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32)의 상측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235)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235)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내부는 상기 가이드(235)에 의해 구획되고 유체가 이동되도록 제 2 유체홀(262)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 제어부(240)는 슬라이딩 유닛(220)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210)의 내부 압력을 제어한다. 압력 제어부(240)는 슬라이딩 유닛(220)의 상측단을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유체를 공급한다. 상기 유체는 공기, 가스, 기름, 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제어부(24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241)와, 상기 모터(241)에 구동되어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42)와, 상기 압축기(242)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저장하는 리저브탱크(250)와, 상기 리저브탱크(250)와 상기 본체(210)를 연결시키는 연결호스(244)와, 상기 본체(210) 내부의 유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45)와, 상기 리저브탱크(250) 및 상기 본체(2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246)와, 상기 압력제어부(240)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24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제어부(240)는 상기 본체(210) 내부로 유체를 공급함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을 유압으로 지지하게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상기 제어유닛(247)은 상기 압력센서(245)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2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값을 통해 상기 모터(241)를 제어하여 상기 리저브탱크(250)에 압력을 조절한다. 즉, 상기 본체(210)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모터(241) 및 압축기(242)를 가동시켜 상기 리저브 탱크(250)의 압력을 설정값 이상으로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247)은 상기 밸브(246)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본체(210) 내부로 유동되는 유체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저브탱크(250)는 상기 압축기(242)에서 공급된 유체가 충진되는 탱크바디(252)와, 상기 탱크바디(252)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바디(252)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유체가 채워진 상기 탱크바디(252) 내부의 용적을 증감시키는 용적가변유닛(260)을 포함한다.
상기 용적가변유닛(260)은 상기 탱크바디(252)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는 구획부재(262)와, 상기 구획부재(262)를 이동시켜 상기 탱크바디(252)에 채워진 유체의 압력을 조절시키는 구획부재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구획부재 구동장치는 리니어모터,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탱크바디(252)에 설치된 구획모터(264)와, 상기 구획모터(264) 및 상기 구획부재(262)에 각각 연결되고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구획모터(264)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볼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구획모터(264)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수나사(266)와, 상기 구획부재(262)에 고정되어 상기 수나사(266)와 결합되는 암나사(26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볼스크류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획모터(264)는 상기 제어유닛(247)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게하게 설명한다.
먼저, 구동 대상체(130)를 상승시켜야 할 경우, 제어장치(120)는 액추에이터(200)의 구동모터(23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모터(231)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232)에 결합된 운동변환기(233)가 상기 회전축(232)을 따라 직선 이동되며, 상기 운동 변환기(233)가 고정된 슬라이딩 유닛(220)도 직선 이동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200)는 상기 구동 대상체(130)의 하중이 전달되고, 구조적으로 상기 회전축(232)에 하중이 집중된다.
그래서 상기 압력제어부(240)는 상기 액추에이터(200)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서 상기 회전축(232)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상기 압력제어부(240)는 압력센서(245)를 통해 상기 본체(2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압축기(242)를 가동시켜 유체를 압축시키고, 상기 압축된 유체는 상기 리저브탱크(250)에 저장된다.
상기 제어유닛(247)은 상기 본체(210) 내부의 압력이 낮은 경우 상기 리저브 탱크(250)에 연결된 밸브(246)를 개방하여 상기 본체(210) 내부로 유체를 공급한다.
상기 본체(210) 내부에 공급된 유체는 상기 압력전달부재(222)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내부 상측면(223)에 공급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전달부재(222)는 상기 본체(210) 및 슬라이딩 유닛(220) 사이의 공간을 유체충진공간(211)과 유체비충진공간(212)로 구획시키고, 상기 리저브 탱크(250)에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유체충진공간(211)에 공급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서 상기 구동 대상체(130)의 하중을 지지한다.
더불어 상기 리저브 탱크(250)에서 공급된 유체는 상기 제 1, 2 유체홀(261)(262)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 내측에 공급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서 상기 구동 대상체(130)의 하중을 지지한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247)은 압력센서(245)를 본체(210) 내부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을 지지하는 압력이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함으로서 상기 회전축(232)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용적가변유닛(260)은 상기 리저브 탱크(250)에서 유체가 채워진 내부 용적을 조절함으로서 상기 본체(210)에 제공되는 압력을 미세조절한다.
즉, 상기 압축기(242)는 상기 설정값에 대하여 소정 범위 이내로 압력이 유지되게 유체를 압축시키고, 상기 용적가변유닛(2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본체(210) 내부의 압력을 상기 설정값으로 구현시킨다.
상기 용적가변유닛(260)은 상기 구획모터(264)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획부재(262)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유체가 채워진 내부공간의 용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본체(210) 내부에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 대상체(130)를 하강시키는 경우는 상술한 슬라이딩 유닛(220) 상승과정의 반대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상기 구동모터(223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운동 변환기(233)가 회전축(232)을 따라 하강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도 함께 하강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본체(210) 내부의 유체 압력이 증가되는데 상기 제어유닛(247)이 상기 밸브(246)를 개폐시키면서 상기 본체(210)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으로 유지되게 한다.
이하 나머지 과정은 상술한 슬라이딩 유닛(220) 상승과정의 반대과정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저브탱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저브탱크(350)는 유체가 채워지는 탱크바디(352)와, 상기 탱크바디(352)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용적가변공간(351)을 형성시키는 격벽(354)과, 상기 용적가변공간(351)에 배치되는 용적가변유닛(260)을 포함한다.
상기 용적가변유닛(260)은 상기 탱크바디(352) 내부 공간을 구획시키는 구획부재(262)와, 상기 구획부재(262)를 이동시켜 상기 탱크바디(352)에 채워진 유체의 압력을 조절시키는 구획부재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구획부재 구동장치는 리니어모터,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탱크바디(352)에 설치된 구획모터(264)와, 상기 구획모터(264) 및 상기 구획부재(262)에 각각 연결되고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구획모터(264)에서 발생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볼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구획모터(264)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수나사(266)와, 상기 구획부재(262)에 고정되어 상기 수나사(266)와 결합되는 암나사(26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볼스크류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부재(262)는 용적가변공간(351)을 따라 승하강 되면서 유체를 압축시킴으로서 상기 탱크바디(352) 내부의 압력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100 : 시뮬레이터 110 : 지지장치
120 : 제어장치 130 : 구도 대상체
200 : 액추에이터 210 : 본체
220 : 슬라이딩 유닛 230 : 구동부
240 : 압력제어부 250 : 리저브탱크
260 : 용적가변유닛

Claims (2)

  1. 구동 대상체(130)를 지지하여 현실감을 발생시키는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200)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00)는
    지면측에 고정되는 본체(210); 상기 본체(210)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 대상체(130) 측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2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딩 유닛(220);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각각 고정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부(230);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압력 제어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부(24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241);
    상기 모터(241)에 구동되어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42)를 포함하는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220)은 내부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제 1 유체홀(261)이 형성된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
KR1020110132697A 2011-12-12 2011-12-12 액추에이터 KR20130066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97A KR20130066037A (ko) 2011-12-12 2011-12-12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97A KR20130066037A (ko) 2011-12-12 2011-12-12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037A true KR20130066037A (ko) 2013-06-20

Family

ID=4886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697A KR20130066037A (ko) 2011-12-12 2011-12-12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6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6165B2 (en) 2013-08-08 2019-01-22 Kabushiki Kaisha Saginomiya Seisakusho Vibration device and vibration system for simulator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6165B2 (en) 2013-08-08 2019-01-22 Kabushiki Kaisha Saginomiya Seisakusho Vibration device and vibration system for simulator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8316C (en) Actuator
EP2322808A3 (en) Electro-hydrostatic actuator with damping mechanism, drive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such an actuator
WO2016042996A1 (ja) 鉄道用制振装置
CN107429856B (zh) 用于过程阀的流体动力致动器
EP2122186A1 (en) Fluid control system having selective recruitable actuators
US10464207B2 (en) Electric fluidic rotary joint actuator with pump
KR101675660B1 (ko) 액추에이터
KR101718640B1 (ko) 액추에이터 유닛
KR101314957B1 (ko) 시뮬레이터를 위한 액추에이터
US20170037921A1 (en) Cylinder device
US201501921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aulic systems
WO2008071392A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ergierückgewinnung
CN101925502B (zh) 具有伸缩式倾斜用缸的车辆驾驶室倾斜装置
US9677624B2 (en) High efficiency hydraulic transfer case
KR20130066037A (ko) 액추에이터
JP2015071343A (ja) 水陸両用車用懸架装置
CN110345128A (zh) 垃圾转运车举升液压油缸缓冲结构
US9651066B2 (en) Telescopic actuator
KR20130066036A (ko) 시뮬레이터용 구동 시스템
KR100914903B1 (ko)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시뮬레이터
CN106103874B (zh) 活塞‑缸单元和门铰链
US10358210B2 (en) Aircraft actuator
WO2016072030A1 (ja) 水陸両用車用懸架装置
KR101670593B1 (ko) 차량용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 및 이에 적용된 펌프의 응답성 향상방법
KR101365750B1 (ko) 동력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