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163A -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163A
KR20130065163A KR1020110131898A KR20110131898A KR20130065163A KR 20130065163 A KR20130065163 A KR 20130065163A KR 1020110131898 A KR1020110131898 A KR 1020110131898A KR 20110131898 A KR20110131898 A KR 20110131898A KR 20130065163 A KR20130065163 A KR 2013006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cuum tube
silicon film
heat medium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희
정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그린에너지
정재희
정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그린에너지, 정재희, 정구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그린에너지
Priority to KR102011013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5163A/ko
Publication of KR2013006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매체를 이송하는 진공관의 깨짐으로 인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열매체가 이송되는 진공관과 배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은 진공관연결부가 형성되며, 타단은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배관연결부 끝단에 설치되는 외부실리콘막과, 외부실리콘막을 고정시켜주는 고정구가 포함되어, 진공관과 배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열매체를 이송하는 진공관 중 어느 하나가 깨지거나 손상을 입어도, 열매체의 누수 통로를 차단해줌으로써, 진공관의 손상에 영향 없이 태양열 집열기를 계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중으로 열매체의 누수 통로를 차단해줌으로써, 열매체의 누수를 더욱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Connecting Structure For Solar Heat Collector}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매체를 이송하는 진공관의 깨짐으로 인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태양열 집열기는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수집, 이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로서, 크게 흡열판, 투명덮개, 단열재 등으로 구성된다.
집열기는 공기집열식, 액체집열식 등으로 나뉘며, 액체집열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평판형 집열기가 대표적이다. 평판형 집열기는 윗부분이 유리로 덮여 있고, 그 내부에는 태양열의 집열을 통해 뜨거워진 열매체가 흐르는 투명한 진공관이 설치되어 있다.
집열기에 햇빛이 비치면 태양의 복사 에너지가 열매체에 축열되고, 이 열매체를 순환시켜 난방 또는 온수공급에 사용한다.
일반적인 태양열 집열기는 배관을 통해 들어온 열매체가 다수의 진공관을 지나며, 데워져 다시 배관으로 들어가고, 이 열매체를 난방 또는 온수공급에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다수의 진공관 중 어느 하나만 깨지거나 손상을 입어도 그곳으로 열매체가 계속 새어나와 집열기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0-0106166 A KR 10-2011-0113106 A
본 발명의 목적은 열매체를 이송하는 진공관이 깨지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 열매체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으로 차단막을 형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열매체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매체가 이송되는 진공관(10)과 배관(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일단은 진공관(10)과 연결되는 진공관연결부(110)가 형성되며, 타단은 배관(20)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20)가 형성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배관연결부(120)와 상기 배관(20)의 연결을 개폐시켜주는 외부실리콘막(200); 및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을 상기 몸체(100)에 고정시켜주는 고정구(3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매체가 이송되는 진공관(10)과 배관(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일단은 진공관(10)과 연결되는 진공관연결부(110)가 형성되며, 타단은 배관(20)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20)가 형성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몸체(100)를 개폐시켜주는 내부실리콘막(600);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배관연결부(120)와 상기 배관(20)의 연결을 개폐시켜주는 외부실리콘막(200); 및 상기 내부실리콘막(600)과 외부실리콘막(200)을 상기 몸체(100)에 고정시켜주는 고정구(3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내부실리콘막(600)과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물질거름부(710)가 일체로 형성된 결합몸체(70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고정구(300)는 고정와셔(310)와 고정나사(320)가 더 포함되되, 상기 고정와셔(310)는 상기 외부실리콘막(200)과 상기 고정나사(3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나사(320)는 상기 몸체(10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의 진공관연결부(110)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관(10)과 상기 진공관연결부(110)의 연결부위를 밀폐시켜주는 진공관실리콘(400)이 더 포함되고,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20)과 상기 배관연결부(120)를 밀폐시켜주는 배관실리콘(500)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진공관실리콘(300)의 외주연에는 상기 진공관(10)과 상기 진공관연결부(110)의 연결부위를 더욱 밀폐시켜주는 밀폐돌기(31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 내측 둘레에 경사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둘레에는 상기 경사부(124)에 대응되는 경사막(210)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막(210)은 상기 경사부(124)에 밀착되어 누수 차단력을 더욱 높여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관(10)과 배관(20)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열매체(30)를 이송하는 진공관(10) 중 어느 하나가 깨지거나 손상을 입어도, 열매체(30)의 누수 통로를 차단해줌으로써, 진공관(10)의 손상에 영향 없이 태양열 집열기를 계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중으로 열매체(30)의 누수 통로를 차단해줌으로써, 열매체(30)의 누수를 더욱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작용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작용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는, 열매체가 이송되는 진공관(10)과 배관(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은 진공관연결부(110)가 형성되며, 타단은 배관연결부(120)가 형성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1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에 설치되는 외부실리콘막(200)과,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을 고정시켜주는 고정구(300)가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구(300)는 고정와셔(310)와 고정나사(32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진공관연결부(110)에는 진공관실리콘(400)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에는 배관실리콘(5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진공관실리콘(300)의 외주연에는 밀폐돌기(31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에 경사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둘레에 경사막(210)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일단은 진공관(10)과 연결되는 진공관연결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은 배관(20)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열매체(30)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진공관연결부(110)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지름은 상기 진공관(10)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진공관(10)과 상호 끼움 설치된다.
상기 배관연결부(120)는 원통형상으로, 지름은 상기 배관(20)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20)과 상호 끼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거름망부(13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절개된 공간부(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관(20) 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그 반대 방향에는 상기 거름망부(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 둘레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24)에는 외부실리콘막(200)의 경사막(210)이 밀착된다.
한편 상기 거름망부(130)의 외측은 다수의 거름홀(132)이 원형 패턴 형태로 균등하게 관통된 형상이며, 내측은 중심축(134)이 돌출된 형상으로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공간부(122)를 제외하고,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름홀(132)의 형상은 열매체(30)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은 상기 배관(2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심축(134)의 중심에는 고정홈(13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심축(134)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보다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실리콘막(200)이 상기 중심축(134)에 고정되었을 때, 열매체(30)가 소통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에서 상기 배관연결부(120)를 상기 몸체(1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개폐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지름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내주연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둘레에는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경사부(124)와 밀착되는 경사막(210)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경사막(210)은 상기 경사부(124)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막(210)은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이 상기 경사부(124)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밀폐력을 향상시켜준다.
한편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연질의 실리콘이나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이 적당하다.
상기 고정구(300)는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을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에 고정시켜주는 것으로, 고정와셔(310) 및 고정나사(320)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와셔(310)는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이 상기 거름망부(130)에 고정되었을 때,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상기 고정나사(320)는 일반적인 나사형태로,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에 형성된 고정홈(136)에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일측이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에 밀착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고정와셔(310)로 덮어주고, 상기 고정나사(320)를 상기 고정홈(136)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을 고정한다.
이로써,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에 내측이 고정되며, 외측이 자유롭게 휘어지게 된다.
상기 진공관실리콘(400)은 상기 진공관연결부(11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관연결부(110)와 상기 진공관(10)이 상호연결되었을 때, 밀폐력을 향상시켜준다. 그래서 몸체(100) 내부에 흐르는 열매체(30)의 누수를 방지해준다.
아울러 상기 진공관실리콘(400)의 내주연은 상기 진공관연결부(110)의 외주연과 동일한 직경 또는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모양은 원통형상이며, 외주연에는 링형상의 밀폐돌기(310)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밀폐돌기(310)는 상기 진공관연결부(110)와 상기 진공관(10)의 연결시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진공관실리콘(400)의 재질은 연질의 실리콘이나 합성고무, 합성수지로 조성된다.
상기 배관실리콘(500)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연결부(120)와 상기 배관(20)이 상호연결되었을 때, 밀폐력을 향상시키며, 배관(20)과 몸체(100) 내부에 흐르는 열매체(30)의 누수를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배관실리콘(500)의 내주연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외주연과 동일한 직경 또는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링형상의 고정단턱(510)이 조성된다. 상기 고정단턱(510)에 배관(2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배관실리콘(500)의 재질 또한 연질의 실리콘이나,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작용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진공관(10)의 내부에 위치한 열매체(30)는 순환하면서,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관(10)은 태양 복사 에너지의 원활한 축적을 위하여 투명한 유리 재질로 조성되게 된다.
상기 열매체(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관(10)의 내부에서 순환하고, 몸체(100)의 진공관연결부(110) 즉 상기 몸체(100)의 거름망부(130)에 형성된 다수의 거름홀(132)을 통과한 후, 상기 배관연결부(120)를 지나 배관(20)으로 진행하며, 다시 상기 배관(20)에서 시작하여, 상기 진공관(10)으로 순환한다.
이때 외부실리콘막(200)은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실리콘막(200)과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공간부(122) 사이로 열매체(30)가 이동하게 된다.
그러다가 진공관(10)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될 경우 몸체(100) 내부의 압력과 배관(20) 내부의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진공관(10)이 깨져 상기 진공관(10) 내부에 있는 열매체(30)가 줄어들고, 상기 배관(20)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열매체(30)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열매체(30)가 상대적으로 적어진 몸체(100)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이때 외부실리콘막(200)은 압력차이로 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연결부(120) 측으로 쏠리게 되며,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을 막아주게 된다. 즉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이 상기 배관연결부(120) 측으로 쏠리면서,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경사막(210)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경사부(124)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로써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을 막아주게 되고, 배관(20) 측에 있는 열매체(30)가 진공관(10)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해준다.
한편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진공관(10)이 배관(2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진공관(10)이 파손되면, 파손된 진공관(10)으로 다른 진공관(10)과 배관에 남아있는 열매체(30)가 누수되어 집열기 전체의 가동을 중단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어느 하나의 진공관(10)이 파손되더라도 외부실리콘막(200)으로 누수를 차단해줌으로써, 진공관(10)의 손상에 영향 없이 태양열 집열기를 계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는, 열매체가 이송되는 진공관(10)과 배관(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은 진공관연결부(110)가 형성되며, 타단은 배관연결부(120)가 형성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실리콘막(600)과, 상기 몸체(11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에 설치되는 외부실리콘막(200)과,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을 고정시켜주는 고정구(3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내부실리콘막(600)과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결합몸체(700)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구(300)는 고정와셔(310)와 고정나사(32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진공관연결부(110)에는 진공관실리콘(400)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에는 배관실리콘(50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진공관실리콘(300)의 외주연에는 밀폐돌기(31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에 경사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둘레에 경사막(210)이 형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몸체(100)의 일단은 진공관(10)과 연결되는 진공관연결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은 배관(20)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열매체(30)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진공관연결부(110)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지름은 상기 진공관(10)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진공관(10)과 상호 끼움 설치된다.
상기 배관연결부(120)는 원통형상으로, 지름은 상기 배관(20)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20)과 상호 끼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거름망부(13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원통형으로 절개된 공간부(1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관(20) 측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그 반대 방향에는 상기 거름망부(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 둘레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24)에는 외부실리콘막(200)의 경사막(210)이 밀착된다.
아울러 상기 공간부(122)의 둘레, 즉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내주연에는 결합몸체(700)를 정방향으로 끼움설치 할 수 있는 고정돌기(126)가 균등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거름망부(130)는 다수의 거름홀(132)이 원형 패턴 형태로 균등하게 관통된 형상으로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공간부(122)를 제외하고,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름홀(132)의 형상은 열매체(30)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은 단턱(미도시)이 형성되면서 돌출된 형상이다. 상기 단턱은 내부실리콘막(600)과 상기 거름망부(130)의 간격을 이격시켜 열매체(30)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상기 중심축(134)은 상기 배관(2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심축(134)의 중심에는 고정홈(13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심축(134)은 결합몸체(700) 없이 내부실리콘막(600)과 외부실리콘막(200)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실리콘막(60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거름망부(130)를 상기 몸체(1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개폐시켜주는 것으로, 중심부에는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에 끼워지는 고정공(610)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실리콘막(600)은 상기 고정공(610)을 통해 일측이 상기 거름망부(130)의 중심축(134)에 끼움설치되며, 타측은 결합몸체(700)로 덮어주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실리콘막(600)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직경은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내주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실리콘막(600)은 연질의 실리콘이나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이 적당하다.
이로써, 상기 내부실리콘막(600)의 내측은 고정되며, 외측은 자유롭게 휘어지게 되며, 열매체(30)가 소통하는 공간도 확보된다.
상기 결합몸체(700)는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공간부(122)에 끼움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실리콘막(600)과 외부실리콘막(200)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실리콘막(600)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몸체(700)는 결합거름망부(710)와 결합중심축(7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거름망부(710)의 외측은 다수의 결합거름홀(712)이 원형 패턴 형태로 균등하게 관통된 형상이며, 내측은 양단에 결합중심축(720)이 돌출된 형상이다. 이때 상기 결합거름홀(712)은 상기 몸체(100)의 거름망부(130)에 형성된 거름홀(132)와 대응되며, 형상은 열매체(30)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700)의 외주연에는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126)에 대응되는 다수의 결합몸체고정홈(730)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결합몸체(700)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고정되었을 때, 거름망부(130) 및 결합거름망부(710)에 각각 형성된 거름홀(132)과 결합거름홀(712)의 방향을 올바르게 맞추어 줄 수 있으며, 열매체(30)의 흐름도 원활해진다.
아울러 상기 결합중심축(720)은 결합몸체(700)의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돌출되며, 일단은 상기 내부실리콘막(600)이 끼움설치되며, 타단은 외부실리콘막(200)이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중심축(720)의 중심에는 고정구(300)의 고정나사(320)가 나사결합되는 결합고정홈(722)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중심축(720)의 타단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보다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부실리콘막(200)이 상기 결합중심축(720)에 고정되었을 때, 열매체(30)가 소통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결합몸체(700)는 상기 내부실리콘막(600)과 외부실리콘막(200)을 원활히 고정해주고, 상기 외부실리콘막(200)과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와의 간격만 이격시켜 줄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외측의 결합거름망부(710)가 없고, 내측에 형성된 결합중심축(720)만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에서 상기 배관연결부(120)를 개폐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결합몸체(700)의 결합중심축(720)의 끝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지름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내주연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둘레에는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경사부(124)와 밀착되는 경사막(210)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경사막(210)은 상기 경사부(124)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막(210)은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이 상기 경사부(124)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밀폐력을 향상시켜준다.
한편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연질의 실리콘이나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일측이 상기 결합몸체(700)의 결합중심축(720)의 끝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타측은 고정구(300)의 고정와셔(310)로 덮어주고, 고정나사(320)를 상기 결합몸체(700)의 결합중심축(720)에 형성된 결합고정홈(722)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한다.
이로써,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상기 결합몸체(700)의 결합중심축(720)에 내측이 고정되며, 외측은 자유롭게 휘어지게 된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작용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의 연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진공관(10)의 내부에 위치한 열매체(30)는 순환하면서,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관(10)은 태양 복사 에너지의 원활한 축적을 위하여 투명한 유리 재질로 조성되게 된다.
상기 열매체(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관(10)의 내부에서 순환하고, 몸체(100)의 진공관연결부(110) 즉 상기 몸체(100)의 거름망부(130)에 형성된 다수의 거름홀(132)을 통과한 후, 내부실리콘막(600)을 지나, 결합몸체(700)의 결합거름망부(710)을 통과한 후 외부실리콘막(200)을 지나 배관(20)으로 진행하며, 다시 역방향으로 상기 배관(20)에서 시작하여, 상기 진공관(10)으로 순환한다.
그러다가 진공관(10)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될 경우 몸체(100) 내부의 압력과 배관(20) 내부의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진공관(10)이 깨져 상기 진공관(10) 내부에 있는 열매체(30)가 줄어들고, 상기 배관(20)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열채체(30)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열매체(30)가 상대적으로 적어진 몸체(100)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이때 내부실리콘막(600)은 압력차이로 인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거름망부(130) 측으로 쏠리게 되며, 상기 몸체(100)의 거름망부(130) 끝단을 막아주게 된다.
그와 동시에 외부실리콘막(200)도 압력차이로 인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연결부(120) 측으로 쏠리게 되며,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을 막아주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경사막(210)은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경사부(124)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실리콘막(600)은 몸체(100)의 거름망부(130)를 막아주고,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은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을 동시에 막아줌으로써, 더욱 긴밀하게 열매체(30)가 배관(20)으로부터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로써 상기 배관연결부(120)의 끝단을 막아주게 되고, 배관(20) 측에 있는 열매체(30)가 진공관(10)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해준다.
한편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진공관(10)이 배관(2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진공관(10)이 파손되면, 파손된 진공관(10)으로 다른 진공관(10)과 배관에 남아있는 열매체(30)가 누수되어 집열기 전체의 가동을 중단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어느 하나의 진공관(10)이 파손되더라도 내부실리콘막(600)과 외부실리콘막(200)으로 누수를 차단해줌으로써, 진공관(10)의 손상에 영향 없이 태양열 집열기를 계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진공관 20 : 배관 30 : 열매체
100 : 몸체
110 : 진공관연결부
120 : 배관연결부
122 : 공간부 124 : 경사부 126 : 고정돌기
130 : 거름망부
132 : 거름홀 134 : 중심축 136 : 고정홈
200 : 외부실리콘막 210 : 경사막
300 : 고정구
310 : 와셔 320 : 고정나사
400 : 진공관실리콘 410 : 밀폐돌기
500 : 배관실리콘 510 : 고정단턱
600 : 내부실리콘막 610 : 고정공
700 : 결합몸체
710 : 결합거름망부 712 : 결합거름홀
720 : 결합중심축 722 : 결합고정홈
730 : 결합몸체고정홈

Claims (7)

  1. 열매체가 이송되는 진공관(10)과 배관(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일단은 진공관(10)과 연결되는 진공관연결부(110)가 형성되며, 타단은 배관(20)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20)가 형성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배관연결부(120)와 상기 배관(20)의 연결을 개폐시켜주는 외부실리콘막(200); 및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을 상기 몸체(100)에 고정시켜주는 고정구(3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2. 열매체가 이송되는 진공관(10)과 배관(2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에 있어서,
    일단은 진공관(10)과 연결되는 진공관연결부(110)가 형성되며, 타단은 배관(20)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20)가 형성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몸체(100)를 개폐시켜주는 내부실리콘막(600);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배관연결부(120)와 상기 배관(20)의 연결을 개폐시켜주는 외부실리콘막(200); 및
    상기 내부실리콘막(600)과 외부실리콘막(200)을 상기 몸체(100)에 고정시켜주는 고정구(3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실리콘막(600)과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물질거름부(710)가 일체로 형성된 결합몸체(70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00)는 고정와셔(310)와 고정나사(320)가 더 포함되되,
    상기 고정와셔(310)는 상기 외부실리콘막(200)과 상기 고정나사(3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나사(320)는 상기 몸체(10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진공관연결부(110)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관(10)과 상기 진공관연결부(110)의 연결부위를 밀폐시켜주는 진공관실리콘(400)이 더 포함되고,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20)과 상기 배관연결부(120)를 밀폐시켜주는 배관실리콘(500)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실리콘(300)의 외주연에는 상기 진공관(10)과 상기 진공관연결부(110)의 연결부위를 더욱 밀폐시켜주는 밀폐돌기(31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배관연결부(120) 끝단 내측 둘레에 경사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실리콘막(200)의 둘레에는 상기 경사부(124)에 대응되는 경사막(210)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막(210)은 상기 경사부(124)에 밀착되어 누수 차단력을 더욱 높여줌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KR1020110131898A 2011-12-09 2011-12-09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KR20130065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98A KR20130065163A (ko) 2011-12-09 2011-12-09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98A KR20130065163A (ko) 2011-12-09 2011-12-09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163A true KR20130065163A (ko) 2013-06-19

Family

ID=4886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898A KR20130065163A (ko) 2011-12-09 2011-12-09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51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4056A (zh) * 2013-07-09 2013-10-09 王振华 真空管防漏水安全锁及其制造方法
CN107091533A (zh) * 2017-03-15 2017-08-25 浙江神德新能源有限公司 一种新型集热管组
CN108916525A (zh) * 2017-04-10 2018-11-30 黄婧雪 管破损防漏装置、防漏管及太阳能集热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4056A (zh) * 2013-07-09 2013-10-09 王振华 真空管防漏水安全锁及其制造方法
CN107091533A (zh) * 2017-03-15 2017-08-25 浙江神德新能源有限公司 一种新型集热管组
CN108916525A (zh) * 2017-04-10 2018-11-30 黄婧雪 管破损防漏装置、防漏管及太阳能集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274B2 (en) Solar collector
KR20130065163A (ko) 태양열 집열기의 열매체 이송관 연결구조체
US9494339B2 (en) Solar collector
KR20080019365A (ko) 태양열 진공관 내부 집열장치
KR101028396B1 (ko) 본관의 회전, 꼬임 방지 및 열팽창에 탄성 대응하는 수밀 구조를 가진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
JP2011010624A (ja) ハウス栽培用の暖房システム
JP2013002709A (ja) ソーラーシステム
WO2018122870A1 (en) Curved surface absorber type solar fluid heater
KR100986295B1 (ko) 태양열 집열장치
KR102174111B1 (ko) 태양열 집열장치
KR101207954B1 (ko) 태양열 집열기의 투과체 고정구조
GB2469916A (en) Solar collector retaining clip
JP4832594B1 (ja) 管式熱交換器
KR20120046405A (ko) 대형 집열기 연결장치
CN111811302B (zh) 一种盘管式环路热管
KR102141492B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
CN111811301B (zh) 一种热管土壤处理装置
JP3102423U (ja) 太陽光熱水器
US20140130793A1 (en) Solar Receiver Panel and Support Structure
KR200324306Y1 (ko) 태양열 난방장치의 집열판
KR20210066465A (ko) 가열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ptc형 태양열 시스템
KR20110004691U (ko)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의 분배헤더 연결 유니언
KR20040009322A (ko) 고리형으로 밀봉장치가 형성된 완전 유리식 진공 파이프의태양열 집열기
JP2001221512A (ja) 集熱装置
KR20040098978A (ko) 태양열 난방장치의 집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