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025A -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025A
KR20130065025A KR1020110131706A KR20110131706A KR20130065025A KR 20130065025 A KR20130065025 A KR 20130065025A KR 1020110131706 A KR1020110131706 A KR 1020110131706A KR 20110131706 A KR20110131706 A KR 20110131706A KR 20130065025 A KR20130065025 A KR 20130065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ecu
charging
char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한
김명환
송주태
조철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5025A/ko
Publication of KR2013006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02M21/0212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comprising at least 3 C-Atoms, e.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propane or but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PG 연료를 저장하는 봄베 부근에 설치된 과충전 방지용 밸브와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의 일단에 설치된 퀵커플링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봄베에 대해 충전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 및 상기 호스의 타단에 설치된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에 장착되어 충전 여부 신호를 ECU에 전달하는 센서;를 포함하고,상기 ECU가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펌프의 작동을 제어됨으로써, 종래의 LPI 시스템과 언더바디 타입의 봄베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유럽지역 혹서기를 포함한 어떤 상황에서도 LPG 연료를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PI system for improving charge ability and control method of LPI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활한 LPG 연료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봄베 내 압력보다 충전소 측 압력을 더 높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충전압력을 제공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LPG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충전소에서 연료를 충전한다. 일반적으로 충전소의 지하에는 LPG 연료 저장소(1)가 매립되어 있고, 연료는 충전 펌프(2)를 통해 펌핑되어 각 충전장치로 전달된다. 각 충전장치는 차량의 연료 주입구에 연료를 제공하기 위한 충전건(3)을 구비하고, 연료를 저장하는 봄베(10)가 차량 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때, 충전건(3)을 통한 연료 주입 및 충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충전소 측 압력이 차량에 장착된 봄베(10)의 압력보다 높아야 한다. 충전소 측 압력은 LPG 연료 저장소(1)의 압력과 충전 펌프(2)의 성능 (약 8bar)을 합한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현재 사용 중인 LPI 시스템을 적용한 차량의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충전소 측 압력이 차량 내 봄베(10)의 압력보다 낮거나 동일해져 LPG 연료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유럽지역 혹서기 특히, 대기온이 40℃인 이탈리아 현지 평가 결과 고프로판(95%)을 사용하는 차량의 봄베(10) 내 온도는 51℃이면서 압력은 16.5bar인 반면에, 저프로판(50%)의 충전소 측 지하 저장소(1)의 온도는 약 35℃이면서 충전건(3)의 압력은 16.3bar여서 연료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참고로 유럽에서는 0~30%의 프로판을 사용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5~95%의 다양한 프로판 비율을 사용하여 판매 중이기에,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차량의 봄베(10) 내 압력 상승 문제는 봄베(10) 내 온도 상승이 유발하고, 이러한 온도 상승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가지 원인으로부터 기인된다.
첫 번째로, LPI 엔진의 연료 리턴 시스템에 의해서 봄베(10) 내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LPI 시스템에서 연료 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LPI 시스템에서 LPG 연료는 노즐을 구비한 충전건(3)으로부터 LPG 필터 및 OCP(Over Current Protection) 밸브를 거쳐서 봄베(10) 내부로 주입된다. 봄베(10) 내 액상 연료는 연료 피드 라인을 따라 엔진으로 공급되고, 엔진에 의해 가열된 연료는 연료 리턴 라인을 따라 봄베(10)로 다시 유입된다. 봄베(10) 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봄베(10) 내압도 상승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LPI 시스템 대신에 LPGi 시스템으로 변경하는 방안의 경우, 리턴 연료가 없어져 충전성은 개선되나 LPI 시스템을 적용시킨 차량에 비해 출력 10%, 연비 4.9% 정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는 LPI 시스템 에서 연료 리턴 라인 상에 쿨러를 설치하여 리턴 연료의 온도를 낮춰주는 방안의 경우, 원가가 상승하고 초기(idle) 조건에서는 주행풍이 없어 리턴 연료의 온도 저감 효과가 전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온도 상승을 일으키는 두 번째 원인은, 봄베(10)가 차량의 언더바디에 장착되는 데에 있는데,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LPI 시스템에서 봄베 온도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 가능한 일 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봄베(10)가 가솔린 탱크(4)와 함께 차량의 언더바디에 장착된 경우 대기온 및 배기열에 의해 봄베(10) 내 온도가 상승하고, 이는 봄베(10) 내압을 상승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통형 봄베가 러기지룸에 장착된 경우 또는 도 3과 같이 도넛형 봄베(10')가 기존 스패어 타이어(5) 위치에 장착된 경우 사용 불가능한 공간(6)이 발생하고, 러기지룸 공간이 축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래의 LPI 시스템에서 차량의 봄베 내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도 추가적인 충전압력을 제공하여 유럽지역 혹서기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라도 LPI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원활하게 LPG 연료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은, LPG 연료를 저장하는 봄베 부근에 설치된 과충전 방지용 밸브와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의 일단에 설치된 퀵커플링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봄베에 대해 충전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 및 상기 호스의 타단에 설치된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에 장착되어 충전 여부 신호를 ECU에 전달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ECU는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가압펌프는 상기 퀵커플링 측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ECU의 제어에 따라 자속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아마츄어와, 상기 아마츄어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여 가압된 충전 연료를 상기 과충전 방지용 밸브 측으로 배출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펌프가 제공하는 충전압력은 3~5 bar인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센서는 충전 연료와 접촉하는 피복에 쌓인 전도체와, ECU에 전달되는 충전 여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센서는 상기 주입구 필터의 측면에 가공된 홀을 통해 끼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충전 시작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가압펌프가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충전 멈춤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가압펌프가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에 장착된 센서에서 ECU로 충전 여부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단계; 및 LPG 연료를 저장하는 봄베 부근에 설치된 과충전 방지용 밸브와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의 일단에 설치된 퀵커플링 사이에 장착된 가압펌프의 작동을 상기 ECU에서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충전 여부 신호가 충전 시작 신호인 경우 상기 ECU에서 가압펌프로 작동 시작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충전 여부 신호가 충전 멈춤 신호인 경우 상기 ECU에서 가압펌프로 작동 멈춤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하면, 종래의 LPI 시스템과 언더바디 타입의 봄베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유럽지역 혹서기를 포함한 어떤 상황에서도 LPG 연료를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LPI 시스템과 언더바디 타입의 봄베를 그대로 도입함으로써, LPGi 시스템에 비해 고출력, 고연비의 차량을 제공할 수 있고, 연료 리턴 라인 상에 쿨러 제거로 비용 절감 및 리어 러기지룸의 높은 공간 활용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가압펌프는 연료 충전 시에만 작동하도록 ECU에서 제어할 수 있어, 불필요한 가압펌프의 동작을 최소화시켜 차량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LPG 연료를 충전하는 충전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LPI 시스템에서 연료 순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LPI 시스템에서 봄베 온도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 가능한 일 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도 4에서 가압펌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4에서 가압펌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4에서 주입구 필터 및 센서 간 장착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에서 주입구 필터 및 센서 간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은, LPG 연료를 저장하는 봄베(10) 부근에 설치된 과충전 방지용 밸브(20)와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30)의 일단에 설치된 퀵커플링(40) 사이에 장착되어 봄베(10)에 대해 충전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50); 및 호스(30)의 타단에 설치된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60)에 장착되어 충전 여부 신호를 ECU(70)에 전달하는 센서(80);를 포함하고, ECU(70)는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가압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LPI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봄베(10)는 언더바디에 장착된 원통형 챔버로서, LPG 연료를 저장한다. 과충전 방지용 밸브(20)는 적당량의 연료가 채워지도록 봄베(10) 부근에 설치되고, OCP(Over Current Protection)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건으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는 주입구 필터(60)를 통해 여과된 후, 호스(30)를 따라 흐르고 과충전 방지용 밸브(20)를 거쳐 봄베(10)로 들어가게 된다. 호스(30)의 일단, 타단 또는 일정 위치에는 접속용 이음쇠인 퀵커플링(40)이 배치되어 호스(30)의 접속 또는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LPI 시스템에서 본 발명은 특히 가압펌프(50)와 ECU(70) 그리고 센서(80)를 통해 봄베(10) 내압보다 충전소 측 압력이 더 높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어떠한 상황에서라도 LPG 연료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가압펌프(5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술한 과충전 방지용 밸브(20)와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30)의 일단에 설치된 퀵커플링(40) 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가압펌프(50)는 후술할 ECU(70)의 제어에 따라 봄베(10)에 대해 추가적인 충전압력을 제공하여, 연료 주입시에는 봄베(10) 내압보다 충전소 측 압력이 항상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가압펌프(50)가 제공하는 충전압력은 3~5 bar 수준이 바람직하나, 튜닝을 통해 가압 성능을 높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가압펌프(50)에 대해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는 도 4에서 가압펌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4에서 가압펌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체크 밸브(52)는 퀵커플링(40) 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연료의 역류 또는 가압펌프(5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체크 밸브(52)로 인해 가압펌프(50) 내에 남은 LPG 연료를 이용하여 모터에 대한 윤활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마츄어(armature, 54)는 후술할 ECU(70)의 제어에 따라 자속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기기의 회전자 역할을 하는 아마츄어(54)는 도 5b에 도시된 가압펌프(50)에 배치된 전원커넥터(58)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하기 시작하여 자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임펠러(impeller, 56)는 상술한 아마츄어(54)의 회전에 의해 회동할 수 있고, 임펠러(56)의 작용에 의해 가압된 충전 연료는 과충전 방지용 밸브(2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임펠러(56)는 액을 섞는 날개를 구비한 형태로서, 노형, 프로펠러형, 스크류형, 터빈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펌프(50)는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에서 충전 연료가 유입되어 들어오도록 퀵커플링(40)과 토크 작업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서 가압된 충전 연료가 봄베(10) 쪽으로 빠져나가도록 과충전 방지용 밸브(20)와 토크 작업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ECU(70)는 후술할 센서(80)로부터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상술한 가압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90)에 의해 가압펌프(50) 및 센서(8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ECU(70)는 후술할 센서(80)로부터 충전 시작 신호가 전달되면 가압펌프(50)가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센서(80)로부터 충전 멈춤 신호가 전달되면 가압펌프(50)가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LPG 연료 충전이 이루어지는 시간 동안에만 가압펌프(50)가 작동하도록 ECU(70)가 가압펌프(50)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량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센서(80)는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30)의 타단에 설치된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60)에 장착되어 충전 여부 신호를 와이어(90)를 통해 ECU(70)로 전달한다. 바람직한 센서(80)에 대해서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도 4에서 주입구 필터 및 센서 간 장착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에서 주입구 필터 및 센서 간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센서(80)는 상술한 주입구 필터(60)의 측면에 가공된 홀(62)을 통해 끼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센서(80)는 충전 연료와 접촉하는 피복에 쌓인 전도체(82)와, ECU(70)에 전달되는 충전 여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센서(80) 특히, 전도체(82)가 주입구 필터(60)의 홀(62)에 장착되어, 전도체(82)의 끝 부분이 충전되는 LPG 연료와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도체(82)와 연료 간의 접촉 여부는 신호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충전 여부 신호와 종속 관계를 이룰 수 있다.
이처럼 ECU(70)는 센서(80)로부터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가압펌프(5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는 LPG 연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가압펌프(50)가 동작하여 추가적인 충전압력을 봄베(10)에 대해 가해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에 장착된 센서에서 ECU로 충전 여부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단계; 및 LPG 연료를 저장하는 봄베 부근에 설치된 과충전 방지용 밸브와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의 일단에 설치된 퀵커플링 사이에 장착된 가압펌프의 작동을 ECU에서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인 도 7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충전소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적용 중인 차량이 LPG 연료를 주입하면, LPG 연료는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를 통과한다. 이때, 주입구 필터에 장착된 센서와 충전 연료가 접촉하거나 충전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면, 센서는 ECU로 충전 여부 신호 중에서도 충전 시작 신호를 전달한다. 계속해서 충전 시작 신호를 전달받은 ECU도 연료 충전을 인식하고 가압펌프에 작동 시작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작동 시작 신호를 수신한 가압펌프는 전원이 인가되어 충전소 측 압력과는 별도의 충전압력(약 3~5 bar)을 생성하기 시작하고, 연료 주입 동안에 봄베 내압보다 더 높은 압력을 갖도록 동작하여 LPG 연료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센서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혹은 지속적으로 충전 연료를 센싱하다가 충전 연료의 접촉이 종료되거나 충전이 멈췄다는 것을 인식하면, 센서는 ECU로 충전 여부 신호 중에서도 충전 멈춤 신호를 전달한다. 이 경우 충전 멈춤 신호를 전달받은 ECU도 추가적인 충전압력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가압펌프에 작동 멈춤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작동 멈춤 신호를 수신한 가압펌프는 전원이 더 이상 인가되지 않아 동작을 멈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적용하면 ECU에서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가압펌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LPG 연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동작하는 가압펌프를 통해 추가적인 충전압력을 봄베에 대해 가해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봄베 20 : 과충전 방지용 밸브
30 : 호스 40 : 퀵커플링
50 : 가압펌프 60 : 주입구 필터
70 : ECU 80 : 센서

Claims (8)

  1. LPI 시스템에 있어서,
    LPG 연료를 저장하는 봄베 부근에 설치된 과충전 방지용 밸브와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의 일단에 설치된 퀵커플링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봄베에 대해 충전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 및
    상기 호스의 타단에 설치된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에 장착되어 충전 여부 신호를 ECU에 전달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ECU는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는 상기 퀵커플링 측에서 유입되는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ECU의 제어에 따라 자속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아마츄어와, 상기 아마츄어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여 가압된 충전 연료를 상기 과충전 방지용 밸브 측으로 배출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가 제공하는 충전압력은 3~5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충전 연료와 접촉하는 피복에 쌓인 전도체와, ECU에 전달되는 충전 여부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주입구 필터의 측면에 가공된 홀을 통해 끼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센서로부터 충전 시작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가압펌프가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충전 멈춤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가압펌프가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7.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충전 연료 여과용 주입구 필터에 장착된 센서에서 ECU로 충전 여부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단계; 및
    LPG 연료를 저장하는 봄베 부근에 설치된 과충전 방지용 밸브와 연료 충전시 사용되는 호스의 일단에 설치된 퀵커플링 사이에 장착된 가압펌프의 작동을 상기 ECU에서 전달된 충전 여부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충전 여부 신호가 충전 시작 신호인 경우 상기 ECU에서 가압펌프로 작동 시작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충전 여부 신호가 충전 멈춤 신호인 경우 상기 ECU에서 가압펌프로 작동 멈춤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10131706A 2011-12-09 2011-12-09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5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06A KR20130065025A (ko) 2011-12-09 2011-12-09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06A KR20130065025A (ko) 2011-12-09 2011-12-09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025A true KR20130065025A (ko) 2013-06-19

Family

ID=4886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706A KR20130065025A (ko) 2011-12-09 2011-12-09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50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4613B2 (en) 2016-07-27 2019-01-22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filling LPG vehicle with LPG using auxiliary bombe
KR101987457B1 (ko) * 2018-02-20 2019-06-12 (주)모토닉 Lpi 차량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US10344917B2 (en) 2016-08-31 2019-07-09 Hyundai Motor Company LPG filling system of bi-fuel vehicle
US10808886B2 (en) 2018-07-17 2020-10-20 Hyundai Motor Company Fuel-filling system of LPG vehicle
CN116560278A (zh) * 2023-05-19 2023-08-08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用于空间科学实验的低功耗高压充气控制系统及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4613B2 (en) 2016-07-27 2019-01-22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filling LPG vehicle with LPG using auxiliary bombe
US10670188B2 (en) 2016-07-27 2020-06-02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filling LPG vehicle with LPG using auxiliary bombe
US10794537B2 (en) 2016-07-27 2020-10-06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for filling LPG vehicle with LPG using auxiliary bombe
US10344917B2 (en) 2016-08-31 2019-07-09 Hyundai Motor Company LPG filling system of bi-fuel vehicle
KR101987457B1 (ko) * 2018-02-20 2019-06-12 (주)모토닉 Lpi 차량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US10808886B2 (en) 2018-07-17 2020-10-20 Hyundai Motor Company Fuel-filling system of LPG vehicle
CN116560278A (zh) * 2023-05-19 2023-08-08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用于空间科学实验的低功耗高压充气控制系统及方法
CN116560278B (zh) * 2023-05-19 2023-11-21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用于空间科学实验的低功耗高压充气控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5025A (ko) 충전성이 개선된 lpi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318344B1 (en) Dead-headed fuel delivery system using a single fuel pump
WO20071013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gen-assisted cold starting of an engine
EP1008745A4 (en) FUEL FEEDING DEVICE FOR VEHICLES
JP2011185357A (ja) 高圧ガス供給システムと燃料電池システム
CN104053893B (zh) 用于使得燃油输送系统工作的装置和方法及燃油输送系统
EP3356172B1 (en) A gas tank arrangement for a dual fuel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30019843A1 (en) Fuel tank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JP2011117443A (ja) 燃料供給装置
CN105986916B (zh) 车辆的控制装置
CN110552825A (zh) 带有蓄能器的无回流燃料系统
EP3405718B1 (en) A gas tank arrangement
WO2004079173A3 (en) Engine fuel system with vapor generation for engine cold starting
EP3529478B1 (en) A gas tank arrangement
US20110247337A1 (en) Hybrid drive system
CN108798953B (zh) 用于车辆的燃料系统、包括其的车辆和供给燃料的方法
JP4655234B2 (ja) 燃料供給装置
KR100983614B1 (ko) Lpli 시스템의 과류방지밸브 초기작동방지를 위한제어방법
CN216665797U (zh) 一种内燃机自吸恒压供油装置
JP201617633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42846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CN201068202Y (zh) 机车、飞机在行驶中补充燃料的装置
KR101037279B1 (ko) 소형가정기기에 대한 연료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KR102602413B1 (ko) Lpg 연료 차량의 충전 장치
CN207673434U (zh) 炊事车柴油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