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093A - 영상 보드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보드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093A
KR20130064093A KR1020130060165A KR20130060165A KR20130064093A KR 20130064093 A KR20130064093 A KR 20130064093A KR 1020130060165 A KR1020130060165 A KR 1020130060165A KR 20130060165 A KR20130060165 A KR 20130060165A KR 20130064093 A KR20130064093 A KR 2013006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did
image
video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672B1 (ko
Inventor
나근식
권제영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3006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6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의 전원이 온되면,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대응되도록 변경된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추출하는 단계, 변경된 EDID에 따라 비디오 입력을 편집 및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편집 및 스케일링된 비디오 데이터를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보드 운영 방법{METHOD FOR DRIVING DISPLAY BOARD}
본 발명은 영상 보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보드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따라 변경시켜 패널을 통해 적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보드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멀티미디어 장치들은 패널이 지원하는 해상도, 수평 주파수, 수직 주파수 등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패널이 나타낼 수 있는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영상 보드의 펌웨어(Firmware)와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해당 패널의 해상도에 맞게 각각 업데이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동일한 영상 보드에 다른 패널을 구동하고자 할 때마다, 사용자 등이 해당 패널에 맞는 새로운 펌웨어를 업데이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새로운 펌웨어와 EDID를 모두 업데이트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방식은 패널을 물리적으로 커팅할 경우에는, 패널의 물리적인 해상도와 패널 내 타이밍 컨트롤러가 지원하는 해상도가 서로 상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2-0069483 호(2012.06.28)의 '영상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보드의 EDID를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따라 변경시키고, 변경된 EDID에 따라 비디오 입력을 편집 및 스케일링하여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적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보드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의 입력 스펙 변경시 펌웨어 업데이트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영상 보드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방법은 패널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대응되도록 변경된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EDID에 따라 비디오 입력을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스케일링된 상기 비디오 입력을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경된 EDID 정보는 EDID의 패널 지원 정보 및 파라메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경된 EDID는 기 규정된 상기 EDID의 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기 EDID의 전체 영역 중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 영역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디오 입력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EDID의 디테일 블록이 위치한 주소에 정의된 데이터를 읽어 들여 상기 각 주소에 해당하는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맞도록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디오 입력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는 패널 영역에 따라 스케일링을 하지 않을 것인지 또는 정의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로 스케일링할 것인지 판별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경된 EDID에 에러가 발생하면, 펌웨어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 보드의 EDID를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따라 변경시키고, 변경된 EDID에 따라 비디오 입력을 스케일링하여 패널이 변경되더라도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적합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은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따라 EDID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EDID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펌웨어를 별도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고, 그 결과 펌웨어 업데이트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테일 블록에서 설정 가능한 파라메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테일 블록에서 파라메타를 기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680x1050의 원본 이미지 중에서 1680x340의 영역만 1680x340 패널에 1:1 비율로 디스플레이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680x1050의 원본 이미지를 스케일링 다운하여 1680x340 패널에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테일 블록에서 설정 가능한 파라메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테일 블록에서 파라메타를 기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680x1050의 원본 이미지 중에서 1680x340의 영역만 1680x340 패널에 1:1 비율로 디스플레이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680x1050의 원본 이미지를 스케일링 다운하여 1680x340 패널에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장치는 스케일러(10), 타이밍 컨트롤러(20), 제1 메모리(30), 제2 메모리(4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스케일러(10)는 비디오 입력을 패널(미도시)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스케일러(10)는 제어부(60)로부터 변경된 EDID에 따른 패널 지원 정보 및 파라메타값을 해당 레지스터에 저장하여 비디오 입력을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적합한 영상으로 스케일링한다.
제2 메모리(40)는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펌웨어를 저장한다. 제2 메모리(40)로는 플래쉬 롬(Flash ROM)이 채용될 수 있다.
제1 메모리(30)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EDID를 저장한다. 제1 메모리(30)로는 이이피롬(EEPROM)이 채용될 수 있다. 제1 메모리(30)에 저장된 EDID는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것이다.
통상, EDID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 의해 정의되었으며,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128bytes 또는 256bytes로 정의되며, 그 중 128bytes로 정의된 EDID는 제조년월, 시리얼 번호, 패널이 지원하는 해상도와 관련된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로 구성된다. EDID는 기 정의된 이스테블리싱 타이밍(establishing Timing) 또는 스탠다드 타이밍(Standard Timing)을 제외한 디테일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EDID가 128bytes인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56bytes의 EDID를 이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EDID는 디테일 블록을 통해 패널에 대한 패널 지원 정보 및 다양한 파마메타값 등이 정의될 수 있다.
디테일 블록(Detail Block)을 통해 정의될 수 있는 패널 지원 정보 및 파라메타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 와 도 3 을 참고하면, 일 예로 디테일 타이밍 블록(Detail Timing Block)으로는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서 요구하는 타이밍 정보에 따라 패널의 수평 또는 수직 액티브(Horizontal and vertical active), 수평 토탈(Horizontal Total), 수직 토탈(vertical Total), 도트 클록(Dot Clock) 등이 정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테일 블록의 아스키 스트링(ASCII String) 또는 쇼트 모니터 네임(Short Monitor Name) 등에서 지원하는 17Bytes를 이용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디폴트값, 휘도(Contrast)값, 밝기(Brightness)값 등이 정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디폴트값과 같은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PWM, 휘도(Contrast)값, 밝기(Brightness)값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지원 파라메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디테일 블록은 디테일 블록(Detail Block)은 17bytes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2개의 디테일 블록을 사용한다면 34bytes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서 요구하는 지원 파라메타 및 휘도(Contrast)값, 밝기(Brightness)값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 디폴트값등과 같은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디테일 타이밍 블록에서 정의되는 파라메타들의 일 예를 나타내었는 바, 수평 액티브가 1680으로 정의되고, 수직 액티브가 340으로 정의되었다.
제어부(60)는 패널의 전원이 온되면, 제1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변경된 EDID 정보를 읽어들이고, EDID의 에러를 체크한다.
즉, 제어부(60)는 제1 메모리(30)에 저장된 체크섬값과 제1 메모리(30)로부터 읽은 EDID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체크섬값을 비교하고, 저장된 체크섬값과 계산된 체크섬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저장된 체크섬값과 계산된 체크섬값이 일치하면, 제어부(60)는 제1 메모리(30)에서 읽어들인 EDID의 패널 지원 정보 및 파라메타에 따라 스케일러(1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60)는 규정된 2개의 디테일 블록이 위치한 주소의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각각의 주소에 주소에 해당하는 값들을 이용하여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맞도록 스케일러(10)의 출력을 제어하는 한편, 휘도와 밝기와 같은 화질과 관련된 기능 또한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장치는 전체 패널이나 패널의 해상도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EDID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펌웨어만으로 영상 디스플레이를 지원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60)는 저장된 체크섬값과 계산된 체크섬값이 상이하면, 즉 EDID에 있는 데이터가 정상적이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2 메모리(40)에 저장된 펌웨어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로, 도 4 에 도시된 원본 이미지는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패널의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를 변경하지 않고 액정 일부분을 잘라내어 일부 영역만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EDID에 패널 타이밍 정보 이외에, 스케일러(10)의 입력에 대한 처리 방법을 구분할 수 있는 EDID에 별도의 특정 주소값을 참조하게 함으로써 비디오 입력과 출력에 대한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1680x340 패널이고, 원본 이미지가 1680x1050일 경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EDID에서 수평 액티브가 1680으로 정의되고 수직 액티브가 340으로 정의되면, 1680x340 패널은 전체 원본 이미지 중 1680x340에 해당하는 영역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1680x1050의 해상도를 가지는 패널에 있어서 상단 1680x340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하단 부분을 잘라내고 타이밍 컨트롤러는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1680x1050의 입력을 스케일러(10)에서 스케일링이 없이 그대로 내보내면 비디오 입력의 상단 부분만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화질적인 면에서는 입력 비디오와 실제 패널의 픽셀이 1:1 매칭이 되므로, 스케일링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의 손실이 없어 가장 최적의 화질이 구현된다.
반면 상기한 경우, 스케일러의 스케일다운 기능을 통하여 1680x1050의 비디오 입력을 1680x340의 영역에 모두 보이게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 화면이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패널 액정의 일부 영역만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 타이밍 컨트롤러가 처리하는 해상도와 실제로 사용되는 출력 해상도가 상이함에 따라서 다양한 처리 방법이 존재하게 되고 이를 위하여 EDID에 별도의 주소값에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다양하게 처리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1680x340 패널이고, 원본 이미지가 1680x1050일 경우, EDID에서 수평 액티브가 1680으로 정의되고 수직 액티브가 1050으로 정의되면, 1680x340 패널은 원본 이미지를 스케일링 다운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제어부(60)는 패널의 전원이 온되면(S10), 부팅 완료 후 변경된 EDID 데이터를 읽어들이고(S20), 체크섬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S20)하여 EDID의 에러를 체크한다.
체크섬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에서, 제어부(60)는 제1 메모리(30)의 지정된 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EDID에 대한 체크섬값을 읽어들이고, 체크섬값을 계산한 후, 제1 메모리(30)에 저장된 체크섬값과 계산한 체크섬값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 체크섬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60)는 제2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펌웨어 정보 예를 들어, 패널의 파라메타값, 휘도값, 밝기값을 스케일러(10)의 해당 레지스터에 세팅한다. 이에 따라, 스케일러(10)는 펌웨어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을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한다(S80).
반면에, 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 체크섬값이 일치하면, 제어부(60)는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어 제1 메모리(30)에 저장된 EDID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어부(60)는 변경된 EDID에 따라, 비디오 입력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비디오 입력의 크기에 해당하는 비디오 부분을 캡쳐한다(S40). 여기서, 비디오 입력의 크기는 패널을 통해 출력될 화면 사이즈이다.
결정된 비디오 입력의 크기에 해당하는 비디오 부분을 캡쳐한 후, 제어부(60)는 비디오 입력의 크기에 해당하는 비디오 부분에 대응되는 값, 즉 해상도를 스케일러(10)의 해당 레지스터에 세팅한다(S50).
또한, 제어부(60)는 변경된 EDID에 따라, 해당 비디오 부분의 휘도값, 밝기값 및 PWM 디폴트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스케일러(10)의 해당 레지스터에 세팅한다(S60).
이에 따라, 스케일러(10)는 제어부(60)에 의해 해당 레지스터에 세팅된 값에 따라 영상을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한다(S70).
즉, 스케일러(10)는 Cutting LCD에있어서 EDID의 별도의 주소값에 정의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스케일링을 하지 않을 것인지 또는 정의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로 스케일링할 것인지 판별하고 처리한다.
즉, EDID는 모니터의 정보를 PC와 같은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국제적으로 규정된 데이터 포맷이나 일반적으로 그 데이터의 전체 영역을 다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부 데이터 영역은 비디오 출력 장치의 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EDID 데이터의 일부 영역을 영상 보드가 자체 참조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제어부(60)가 제1 메모리(30)에 있는 데이터 중 규정된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패널의 입력 스펙에 따른 스케일러(10)의 출력 데이터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영상 보드의 기본적인 기능들의 세팅값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EDID를 VESA에서 규정된 목적 이외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드 운영 방법은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따라 EDID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변경된 EDID에 따라 스케일링하여 해당 패널로 출력함으로써, 단일 펌웨어를 통해서도 패널에 적합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패널에 따라 EDID를 변경시킴으로써, 펌웨어를 별도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고, 펌웨어 업데이트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스케일러 30: 제1 메모리
40: 제2 메모리 60: 제어부

Claims (6)

  1. 패널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대응되도록 변경된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EDID에 따라 비디오 입력을 편집 및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편집 및 스케일링된 상기 비디오 입력을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보드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EDID 정보는 EDID의 패널 지원 정보 및 파라메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드 운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EDID는 기 규정된 상기 EDID의 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기 EDID의 전체 영역 중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 영역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드 운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입력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EDID의 디테일 블록이 위치한 주소에 정의된 데이터를 읽어 들여 상기 각 주소에 해당하는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맞도록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드 운영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입력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EDID의 디테일 블록이 위치한 주소에 정의된 데이터를 읽어 들여 상기 각 주소에 해당하는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의 입력 타이밍 스펙에 맞도록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드 운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EDID에 에러가 발생하면, 펌웨어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보드 운영 방법.
KR1020130060165A 2013-05-28 2013-05-28 영상 보드 운영 방법 KR10143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65A KR101438672B1 (ko) 2013-05-28 2013-05-28 영상 보드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165A KR101438672B1 (ko) 2013-05-28 2013-05-28 영상 보드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093A true KR20130064093A (ko) 2013-06-17
KR101438672B1 KR101438672B1 (ko) 2014-09-12

Family

ID=4886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165A KR101438672B1 (ko) 2013-05-28 2013-05-28 영상 보드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9275A (zh) * 2019-11-14 2020-04-10 深圳爱特天翔科技有限公司 视频信号无黑屏切换处理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617B2 (en) 2015-04-23 2020-04-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108A (ko)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9275A (zh) * 2019-11-14 2020-04-10 深圳爱特天翔科技有限公司 视频信号无黑屏切换处理方法和装置
CN110999275B (zh) * 2019-11-14 2023-02-28 深圳爱特天翔科技有限公司 视频信号无黑屏切换处理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672B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6248A1 (en)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US961972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EP1783726A2 (en) Computer and monitor, display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the same
KR10070224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TE464611T1 (de) Medizi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richten einer medizinischen vorrichtung
JP6381227B2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EP2824936B1 (en)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jector control program
EP2827590B1 (en)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jector control program
KR101438672B1 (ko) 영상 보드 운영 방법
JP2015165617A (ja) 映像表示装置
JP2008112133A (ja) 電子機器
JP201215679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TWI423244B (zh)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與顯示方法
JP2005057543A (ja) パネル表示テレビジョン調整システムおよびパネル表示テレビジョン調整方法およびパネル表示テレビジョン。
EP2037688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087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보정 장치
JP2004233830A (ja) 表示装置
KR19990055689A (ko) 자동으로 모니터를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80158208A1 (en) Debugging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bugging same
US8212929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6868068B2 (ja) 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KR20020037098A (ko) 활성화된 부분 화면 영역의 밝기 조정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8194371A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刺繍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607674B1 (ko) 모니터의 표시모드설정방법 및 표시모드설정시스템
KR101682822B1 (ko) 차량용 헤드 유닛의 배경화면 저장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