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889A - 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 - Google Patents

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889A
KR20130063889A KR1020110130505A KR20110130505A KR20130063889A KR 20130063889 A KR20130063889 A KR 20130063889A KR 1020110130505 A KR1020110130505 A KR 1020110130505A KR 20110130505 A KR20110130505 A KR 20110130505A KR 20130063889 A KR20130063889 A KR 20130063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upled
hall sensor
handpie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83559B1 (en
Inventor
권장홍
Original Assignee
권장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장홍 filed Critical 권장홍
Priority to KR102011013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559B1/en
Publication of KR20130063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8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5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46Dental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15Miscellaneous features
    • A61B2018/202Laser enclosed in a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5Optical elements at the distal end of probe tips
    • A61B2018/2266Optical elements at the distal end of probe tips with a lens, e.g. ball tip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5Optical elements at the distal end of probe tips
    • A61B2018/2272Optical elements at the distal end of probe tips with reflective or refractive surfaces for deflecting the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Abstract

PURPOSE: A check zoom-hand piece is provided to control the output from laser beam of a hand piece through a hall sensor, thereby the sensor and a target are not touched each other, a durability degradation due to abrasion, and a performance degradation are not caused, and reducing output changes due to temperature. CONSTITUTION: A check zoom-hand piece (40) using a hall sensor comprises: an adaptor (41) bonding the hand piece with the end of an articulator arm; a cylindrical cover (42) bond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adaptor, and connected with a non-contacting sensor inside; a cylindrical handle (43) capable of rotating by being formed with a barcode (431), and comprising in a way that one side of periphery is inserted into the cover; a cylindrical spiral guide (44) formed with a spiral groove (441) by being extend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and bonding with the handle in one body; a linear guide (45) formed with a straight groove (451), and comprising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handle and the spiral guide; a lens holder (46) inserted into the linear guide,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guide; a guide housing (47) whose one end is touched on one end of the handle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near and spiral guides; and an extension part (48) whose one end is touched on the other end of the guide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bonded with a tip (49) which contacts an affected part.

Description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

본 발명은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용 레이저 장치에 사용되는 아티큘레이터 암의 마지막 관절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 단계별로 레이저 빔의 사이즈를 쉽게 조절하도록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piece, and more particularly, using a hall sensor mounted on the last joint portion of the articulator arm used in the medical laser device to easily adjust the size of the laser beam for each step required by the user. Relates to a check zoom handpiece.

레이저(laser)는 양자발진기에서 유도 방출된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영역의 전자기파를 증폭한 것을 말하며, 상기 레이저는 직진성, 집광성, 단색성이 우수하고, 에너지밀도가 높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A laser is an amplified electromagnetic wave in the infrared or visible light region induced by the quantum oscillator. The laser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linearity, light condensation, monochromaticity, and high energy density.

이와 같은 레이저의 특성을 이용하여 최근 들어 다양한 형태로 산업 및 의료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의료 분야에서는 목표로 하는 조직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주위 조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CO2 레이저를 도입함으로써, 피부 또는 안면 등의 성형외과 치료, 기관지 또는 고막 등의 이비인후과 치료, 충치 등의 치과 치료 등 레이저를 인체의 환부에 직접 조사하여 치료하는 의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se characteristics of the laser have recently been used in a variety of forms in the industrial and medical field, especially in the medical field by introducing a CO 2 laser that selectively acts only on the target tissue and does not affect the surrounding tissue, Or a medical treatment for directly irradiating the laser to the affected part of the human body such as plastic surgery treatment of the face, otolaryngology treatment such as bronchus or tympanic membrane, dental treatment such as tooth decay and the like is widely used.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시술시 레이저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방출장치와 조립 연결된 아티큘레이터 암을 통하여 전송되어 환부에 조사되는데, 상기 아티큘레이터 암의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general, during the procedure, the laser is transmitted through an articulator arm assembled with an emitting device that emits a laser beam and irradiated to the affected area. The principle of the articulator arm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아티큘레이터 암은 레이저 빔 방출장치에 장착되는 소켓부(1), 암의 길이를 연장하고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관절부(2), 레이저 빔이 도파되는 통로인 한 쌍의 중공관(3) 및 도파된 레이저 빔을 환부에 직접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4)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절부(2)의 내측에 각각 반사경이 부착되어 도파되는 레이저 빔이 90°각도로 반사되며 중공관(3)을 통과하도록 유도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rticulator arm includes a socket portion 1 mounted on a laser beam emitting device, a plurality of joint portions 2 for extending the length of the arm and allowing rotation thereof, and a laser beam is guided. It consists of a pair of hollow tube (3) which is a passageway and a handpiece (4) for directly irradiating the guided laser beam to the affected part, the laser beam is guided by a reflect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joint (2) It is reflected at a 90 ° angle and guides it through the hollow tube (3).

즉, 레이저 빔의 고유특성인 직진, 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공관(3)을 통해 레이저를 도파하게 하되, 상기 레이저의 방향의 전환을 위해 관절부(2)에 반사경을 장착하여 레이저가 반사되어 방향을 전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laser is guided through the hollow tube 3 by using the principle of straightness and reflec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laser beam, and the laser is reflected by mounting a reflector on the joint part 2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aser. The direction is turned.

이와 같은 종래의 아티큘레이터 암 또는 레이저 치료기는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거나 또는 도파되는 레이저 빔의 경로 및 초점이 정확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89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1241호 등이 공개되어 있다.Such a conventional articulator arm or laser treatment device has a problem such that the coupling between each component is not firm or the path and focus of the laser beam to be guided are not correct, and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271896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1241 are disclosed.

또한, 아티큘레이터 암의 끝단에 결합되어 의료용 레이저 빔을 환자의 피부 또는 상처에 직접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4)는, 동일한 레이저 빔 사이즈를 출력하는 원 스팟 핸드피스 및 레이저 빔 사이즈를 필요에 따라 시술자가 조절할 수 있는 줌 핸드피스로 나뉘어진다.In addition, the handpiece 4 coupled to the end of the articulator arm to directly irradiate the medical laser beam onto the patient's skin or wound requires a one spot handpiece and a laser beam size that output the same laser beam size. It is divided into zoom handpieces that can be adjusted by the operator.

상기와 같은 줌 핸드피스는 핸드피스의 제작시 설정된 값에 따라 각각의 단계별로 레이저 빔의 출력값을 조절하게 되는데, 출력값의 조절시 각 단계의 신호를 검출하여 모니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이용하여 핸드피스 렌즈의 위치를 표시하게 되며, 이와 같이 각 단계의 렌즈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핸드피스를 체크 줌 핸드피스라 한다.The zoom handpiece as described above adjusts the output value of the laser beam in each step according to the set value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handpiece. The position of the piece lens is displayed, and thus the handpiece made to display the lens position of each step is called a check zoom handpiece.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체크 줌 핸드피스는 핸드피스 내부에 가변 저항기를 설치하고, 시술자의 조절에 따른 각 단계의 저항값을 읽어 레이저 빔 방출장치로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핸드피스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이 대부분이다.The currently used check zoom handpiece adjusts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handpiece by installing a variable resistor inside the handpiece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laser beam emitting device by reading the resistance value of each step according to the operator's adjustment. Most of the tim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변 저항기를 사용하는 종래의 체크 줌 핸드피스의 경우, 출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핸드피스를 회전시키면 내부에 위치하는 접촉자가 저항체 위를 접촉하면서 저항의 길이를 조절하여 저항을 변경하는 가변 저항기의 특성상,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의 수명을 가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교체를 하여야만 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저항 감도가 떨어져 핸드피스의 출력 조절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heck zoom handpiece using the variable resisto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piece is rotated to adjust the output, the contactor located therein contacts the resistor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resistor to change the resista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resistor, it has a certain period of time or a certain number of times, it has to be replaced continuously, and as time goes by, the resistance sensitivity de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handpiece.

또한, 종래의 체크 줌 핸드피스에 사용되는 가변 저항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하고 감지함으로써 주변기기, 환경 또는 배선의 길이 등에 따라 노이즈 발생률이 상당히 높았으며, 이에 따라 노이즈를 감쇄시키기 위한 별도의 증폭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피 및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variable resistor used in the conventional check zoom handpiece generates and detects an analog signal and has a high noise generation rate according to a peripheral device, an environment, or a length of a wiring. Thus, an additional amplifier for attenuating noise is added. Since it was installed and 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olume and weight are not only large, but also excessively expensive to produce.

나아가 가변 저항기는 구조적으로 기어(gear) 또는 기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속품을 사용하는데, 이에 따라 각각의 기어 사이의 공차에서 발생되는 백래쉬로 인하여 오신호가 발생할 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어 마모로 인한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이 초기 설정값과 변경되어 핸드피스 출력값의 조절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resistor uses a gear or an accessory that functions similarly to a gear,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false signals due to backlash generated in the tolerances between the gears, and also due to gear wea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was changed from the initial set value so that the handpiece output value could not be adjus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체크 줌 핸드피스 내부에 가변 저항기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장을 감지하는 트랜지스터인 홀센서(hall sensor)를 사용하여, 자기장의 세기나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각 단계의 신호를 보다 원활하게 전송하고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체크 줌 핸드피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use a hall sensor, which is a transistor that senses a magnetic field without using a variable resistor inside a check zoom handpiece that regulates the output of the irradiated laser bea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heck zoom handpiece that can transmit signals of each stage more smoothly by measuring the intensity or distribution of the magnetic field and accurately adjust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레이저 빔 방출장치에 장착되는 소켓부, 암의 길이를 연장하고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관절부, 레이저 빔이 도파되는 통로인 한 쌍의 중공관 및 도파된 레이저 빔을 환부에 직접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티큘레이터 암의 끝단에 연결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아티큘레이터 암의 끝단과의 결합을 제공하는 아답터, 상기 아답터의 외측 둘레와 맞닿아 결합되며 일측 내부에는 비접촉 센서가 연결되는 원통형의 커버, 일측 둘레가 상기 커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바코드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핸들, 상기 핸들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핸들과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곡선 형태로 관통되어 있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나선 가이드, 상기 핸들 및 나선 가이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있는 직선홈이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 상기 직선 가이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직선 가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렌즈 홀더, 상기 나선 가이드 및 직선 가이드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일측 끝단이 상기 핸들의 일단과 맞닿아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 일측 끝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의 타측 끝단과 맞닿아 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환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팁이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ocket portion mounted to the laser beam emitting device, a plurality of joints to extend the length of the arm and to enable the rotation, a pair of hollow passages are the passages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is guided A handpiece connected to an end of an articulator arm comprising a handpiece for directing a tube and a guided laser beam to the affected area, the adapter providing an engagement with the end of the articulator arm, the adapter A cylindrical cov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non-contact sensor, one side is made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ver, the barcode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cover of the rotation A cylindrical handle configured to be enabled, exten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And a cylindrical spiral guide having a spiral groove penetrating in a curved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handle and the spiral guide. A straight guide having a straight groove formed therein, and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straight guide, and having a lens holder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ight guide, one end of the spiral guid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aight guide to surround the handle A guide hous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guide housing, one end of the guide housing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housing,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coupled to the tip made to contact the annulus.

또한, 상기 커버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커버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홈의 외측에는 상기 비접촉 센서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는 센서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ver is formed with a cover groove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 side of the cover groov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sensor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non-contact sensor to the cover,

상기 센서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비접촉 센서가 결합되는 PCB기판이 위치하며, 상기 비접촉 센서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트랜지스터인 홀센서인 것이 좋으며,On the inner side of the sensor coupling portion is a PCB substrate to which the non-contact sensor is coupled, the non-contact sensor is preferably a Hall sensor which is a transistor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상기 홀센서는 상기 PCB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의 행을 이루며 4개가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Hall sensors form one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B substrate, and four are combined.

또한, 상기 바코드는 상기 커버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의 둘레를 따라 16개의 행이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바코드의 하나의 행은 영구자석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있는 4개의 감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In addition, the bar codes are positioned so that 16 rows a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andle inserted into the cover, and one row of the bar codes is recessed inward to allow permanent magnets to be coupled. It is good that four sensing grooves are formed.

상기 바코드에 형성된 상기 감지홈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이 결합 또는 탈거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며, 상기 영구자석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바코드의 16개의 행은 각각 서로 다른 종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manent magnets formed in the bar code are combined or removed as necessary to form one row, and the 16 rows of the bar code are preferably made of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 permanent magnets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렌즈 홀더의 일측면에는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볼록 렌즈가 결합되고 상기 볼록 렌즈는 상기 나선홈 및 직선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직선 가이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 홀더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lens holder is coupled to the convex le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and the convex lens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piral groove and the linear groove, the interior of the linear guid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ens holder located in.

나아가, 상기 연장부는 상기 팁이 결합되는 끝단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측 둘레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그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Further,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that is relatively small in diameter toward the end to which the tip is coupled, the grip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user grips by hand It is desirable that

상기 팁은 환자의 환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접촉부 및 사용자가 상기 팁의 내부를 통과하여 환부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팁의 일측면이 절개된 공간인 투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ip includes a semicircular contact portion formed to directly contact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and a viewing part that is a space in which one side of the tip is cut to visually identify a laser beam tha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tip and is irradiated to the affected part. It is preferable to make i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가변 저항기를 사용하는 종래의 핸드피스는 가변 저항기의 접촉 및 마찰 때문에 일정 기간(약 100만 사이클)의 수명을 가지고 있어, 일정 기간마다 가변 저항기를 새롭게 교체해야 하였으므로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홀센서를 통하여 핸드피스의 레이저 빔의 출력 조절을 하게 되므로 센서와 타킷이 접촉되지 않아 마모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온도에 따른 출력 변화도 작다는 장점이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s that the conventional handpiece using the variable resistor has a life span of a certain period (about 1 million cycles) due to the contact and friction of the variable resistor, so that the variable resistor is renewed at regular intervals. While it was inefficient and costly because it had to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put control of the laser beam of the handpiece is controlled through the Hall sensor, the sensor and the target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us durability can be used semi-permanentl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rformance change does not occur and the output change with temperature is small.

또한, 가변 저항기를 이용하는 종래의 핸드피스는 가변 저항기를 통하여 발생되는 아날로그 신호로 조절되었기 때문에, 주변기기나 환경 또는 배선의 길이 등에 따라 노이즈 발생률이 상당히 높았고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증폭장치를 사용하여야만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홀센서의 출력은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 신호이기 때문에 마그네틱 센서처럼 컨버팅 과정이 없이 시스템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으며, 노이즈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handpiece using a variable resistor is controlled by an analog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variable resistor, the noise generation rate is considerably high depending on the peripheral device, the environment, or the length of the wiring, and a separate amplifier is used to remove such nois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put of the hall sensor is a digital signal rather than an analog, it can be used directly in a system without a converting process like a magnetic sensor. The devices may not be u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영구자석의 자기장을 비접촉식으로 간접 검출하게 되므로, 영구자석과 홀센서 간의 직접적인 마찰이 없고, 기어 또는 이와 유사한 부품들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백래쉬 등으로 인한 오작동 및 고장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최근과 같은 전자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홀센서의 크기가 작아져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제작 비용 또한 저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gnetic field of the permanent magnet is indirectly detected by the Hall sensor in a non-contact manner, there is no direct friction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Hall sensor, and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use gears or similar parts, and thus malfunction due to backlash. And the failure r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has the 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Hall sensor can be reduced, the volume and weigh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also be reduced.

도1 은 종래 사용되던 아티큘레이터 암 및 핸드피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2 는 본 발명인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 및 본 발명이 결합된 아티큘레이터 암을 도시한 사시도.
도3 은 본 발명인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 및 본 발명이 결합된 아티큘레이터 암을 도시한 측면도.
도4 는 본 발명인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5 는 본 발명인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6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홀센서를 도시한 개략도.
도7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홀센서 및 PCB기판을 도시한 개략도.
도8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코드를 도시한 개략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n articulator arm and a handpiece conventionally us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eck zoom handpiece using the Hal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rticulator arm coupl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check zoom handpiece using the Hal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rticulator arm incorporating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heck zoom handpiece using the Hal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eck zoom handpiece using the Hal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ll sens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ll sensor and a PCB substr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arco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인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는, 도4 및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 공간을 통하여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환자의 환부에 적절한 출력의 레이저 빔을 도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Check zoom handpiece 40 using the Hal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entirely hollow inside,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hrough the interior spac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o guide the laser beam of the appropriate output to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고정된 레이저 빔이 출력되는 원 스팟 핸드피스가 아닌, 환부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 사이즈를 필요에 따라 시술자가 조절할 수 있는 줌 핸드피스 중에서, 출력값의 조절시 각 단계의 신호를 검출하여 모니터 또는 기타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이용하여 각 단계의 핸드피스 렌즈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체크 줌 핸드피스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one-spot handpiece in which one fixed laser beam is output, but in a zoom handpiece in which the operator can adjust the laser beam size irradiated to the affected part as needed, the signal of each step when adjusting the output value. It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check zoom handpiece configured to detect and display the position of the handpiece lens in each step by using a monitor or other display device.

즉, 핸드피스 내부에 가변 저항기를 설치하고, 시술자의 조절에 따른 각 단계의 저항값을 읽어 핸드피스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종래의 체크 줌 핸드피스는 마찰로 인하여 제품의 수명이 제한적이고, 각종 환경에 따라 노이즈 발생률이 상당히 높았으며, 구조적인 결합에 의하여 고장률이 높고 제작 및 수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check zoom handpiece, in which a variable resistor is installed inside the handpiece and adjusts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handpiece by reading the resistance value of each step according to the operator's adjustment, has a long service life due to friction. It is limited, and the noise generation rate is considerably high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ilure rate is high and the manufacturing and repair costs are excessively increased by structural coupling.

그러나, 본 발명은 접촉 및 마찰로 인한 저항값의 변화를 읽는 가변 저항기 대신, 영구자석(432)과 홀센서(424)를 이용하는 비접촉식 감지 방식으로 미리 형성된 설정값을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쉽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발생되는 노이즈 및 고장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variable resistor to read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due to contact and friction, the laser beam irradiated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pre-formed set value by a non-contact detection method using a permanent magnet 432 and the Hall sensor 424 It can not only easily and accurately adjust the output of the amplifier, but can also use it semi-permanently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noise and failure rate.

본 발명은 레이저 빔 방출장치에 장착되는 소켓부(10), 암의 길이를 연장하고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관절부(20), 레이저 빔이 도파되는 통로인 한 쌍의 중공관(30) 및 도파된 레이저 빔을 환부에 직접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티큘레이터 암의 끝단에 연결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아티큘레이터 암의 끝단과의 결합을 제공하는 아답터(41), 상기 아답터(41)의 외측 둘레와 맞닿아 결합되며 일측 내부에는 비접촉 센서가 연결되는 원통형의 커버(42), 일측 둘레가 상기 커버(4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42)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바코드(431)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핸들(43), 상기 핸들(43)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핸들(43)과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곡선 형태로 관통되어 있는 나선홈(441)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나선 가이드(44), 상기 핸들(43) 및 나선 가이드(44)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있는 직선홈(451)이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45),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렌즈 홀더(46), 상기 나선 가이드(44) 및 직선 가이드(45)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일측 끝단이 상기 핸들(43)의 일단과 맞닿아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47), 일측 끝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47)의 타측 끝단과 맞닿아 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환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팁(49)이 결합되는 연장부(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cket portion (10) mounted to the laser beam emitting device, a plurality of joints 20 to extend the length of the arm to enable the rotation, a pair of hollow tube 30 that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is guided and An handpiece connected to an end of an articulator arm comprising a handpiece for directly irradiating a guided laser beam to an affected area, comprising: an adapter 41 for providing engagement with the end of the articulator arm; The cylindrical cover 42 is coupled to abut the outer periphery of the adapter 41, the inner side of the cover 42 is connected to the non-contact sensor, the one side is made to be inserted into the cover 42, the inside of the cover 42 Bar code 431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handle 43 is formed to be rotatable, exten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43 is formed integrally coupled with the handle 43,It is made of a cylindrical spiral guide 44, the handle 43 and the spiral guide 44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piral guide 44, the spiral groove penetrating in a curved shape along the side circumference, is formed on one side It is inserted into the straight guide 45, the inner space of the straight guide 45, the straight guide 451 is formed in a straight groove penetrating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guide 45 A guide housing 47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43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ens holder 46, the spiral guide 44, and the straight guide 45. The other end of the guide housing 47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portion 48 is coupled to the tip 49 is made to contact the affected part.

즉, 본 발명은 소켓부, 관절부, 중공관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 사용되던 아티큘레이터 암에 그대로 동일하게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핸드피스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공관(30) 또는 관절부(20) 등의 끝단에 쉽게 결합되도록 결합을 제공하는 아답터(41)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piece that can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articulated arm made of a socket portion, a joint portion, a hollow tube and the like as it is, for this purpose, the hollow tube 30 or the joint portion made of a cylindrical An adapter 41 is provided which provides a coupling so as to be easily coupled to the end of 20, etc.

도5 를 참조하면, 상기 아답터(41)의 외주면이 다양한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굴곡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아답터(41)의 형상, 직경 및 굴곡 등은 아티큘레이터 암의 종류, 크기 및 핸드피스의 종류나 무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5,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apter 41 has various diameters, and curved surfaces are formed. The shape, the diameter, and the bending of the adapter 41 may include the type, size, and hand of the articulator arm. Naturally, it can be produced by various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and weight of the piece.

아티큘레이터 암과 결합되지 않은 상기 아탑터의 타측면에는 커버(42)가 결합되는데,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답터(41)와 상기 커버(42)는 모두 원통형으로써 최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외측 둘레가 서로 맞닿으면서 결합되어 있다.The cover 42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ttortor that is not coupled to the articulator arm. As shown in FIG. 4, the adapter 41 and the cover 42 are both cylindrical and have the same maximum diameter. Each outer periphery is coupled to each other while contacting each other.

또한 상기 커버(42)의 일측면에는 가변 저항기가 아닌 비접촉 센서가 위치하여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핸들(43)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바코드(431)의 변화값을 비접촉식으로 감지하여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노이즈 발생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구조적 결합으로 인한 고장률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non-contact sensor, not a variable resistor, is positioned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ver 42. Accordingly, the change value of the barcode 431 formed at the end of the handle 43 is detected in a non-contact manner to output the laser beam.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can be adjusted, and i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noise as well as reduce the occurrence of failure rate due to structural coupling.

상기 비접촉 센서에 의한 보다 상세한 감지과정 및 조절과정은 후술한다.A more detailed sensing process and adjusting process by the non-contact sensor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커버(42)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43)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커버(4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42)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상기 핸들(43)의 둘레를 따라 바코드(431)가 형성되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 portion of the handle 43 is inserted into the cover 42, and the inserted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ver 42, and is inserted into the cover 42 to rotate. The bar code 431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andle 43 to be attached.

이에 따라 상기 바코드(431)와 상기 비접촉 센서는 미세한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핸들(43)을 필요로 하는 위치로 회전시키면 다양하게 설정된 상기 바코드(431)의 값을 상기 비접촉 센서에서 감지하여 레이저 빔의 출력값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사용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barcode 431 and the non-contact sensor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by a minute distance, and the barcode 431 is variously set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43 to a position that requires the handle 43.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utput value of the laser beam by detecting the value of the non-contact sensor can be more convenient and accurate use.

상기 바코드(431)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기 핸들(43)의 타측 방향으로는 나선 가이드(44)가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나선 가이드(44)는 상기 핸들(43)의 내측면과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나선 가이드(44)의 외측면 둘레에는 일정한 경사를 가지며 곡선 형태로 상기 나선 가이드(44)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나선홈(441)이 형성되어 있다.The spiral guide 44 is extended and coupled to the other direction of the handle 43 to which the barcode 431 is not coupled, and the spiral guide 4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le 43. It is preferable that the spiral grooves 441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penetrate the spiral guides 44 in a curved form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guides 44.

따라서 상기 나선홈(441)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경사진 나선홈(441)을 따라 가로 방향(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쉽고 간편한 조작이 가능하다.Therefore, when moving along the spiral groove 441, it is possible to rotate along the inclined spiral groove 4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ls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easy and simple operation is possible.

상기 나선 가이드(44)의 내부에는 보다 작은 직경의 직선 가이드(45)가 위치하는데, 상기 직선 가이드(45)는 도5 에 도시된 비와 같이 상기 핸들(43) 및 나선 가이드(44)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있는 직선홈(451)이 형성되어 있다.A smaller diameter straight guide 45 is located inside the spiral guide 44, and the straight guide 45 has an interior of the handle 43 and the spiral guide 44 as shown in FIG. 5. It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one side is formed with a straight groove 451 penetrating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렌즈 홀더(46)가 삽입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나선홈(441)과 직선홈(451)의 관통된 방향이 일치하는 지점을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43) 및 핸들(43)에 결합된 나선 가이드(44)를 회전시키면, 상기 렌즈 홀더(46)가 상기 직선 가이드(45)에 형성된 직선홈(45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이는 마치 립스틱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립스틱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리와 유사한 것이다.)In addition, a lens holder 46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guide 45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raight guide 45. Accordingly, the spiral grooves 441 and the straight grooves 451 are inserted. When the user rotates the spiral guide 44 coupled to the handle 43 and the handle 43 along a point where the penetrating direction coincides, the lens holder 46 is a straight groove formed in the straight guide 45. (451) can be easi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is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moving the lipstick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rotating the handle of the lipstick.)

즉,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43) 및 나선 가이드(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렌즈 홀더(46)는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최전방으로부터 최후방까지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렌즈 홀더(46)의 일측면에는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볼록 렌즈(461)가 결합되고 상기 볼록 렌즈(461)는 상기 나선홈(441) 및 직선홈(45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핸들(4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 홀더(46)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빔의 사이즈를 변경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43 and the spiral guide 44, the lens holder 46 can move in a straight line from the foremost to the rear of the straight guide 45, One side of the lens holder 46 is coupled with a convex lens 461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and the convex lens 461 is formed to penetrate the spiral groove 441 and the linear groove 451. In addition, the size of the laser beam may be chang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ns holder 46 positioned inside the straight guide 45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43.

상기 나선 가이드(44) 및 직선 가이드(45)의 외측 둘레에는 가이드 하우징(47)이 위치하는데, 상기 가이드 하우징(47)에 의하여 상기 나선 가이드(44) 및 직선 가이드(45)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핸들(43) 및 나선 가이드(44)의 회전 운동과 상기 렌즈 홀더(46)의 직선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준 역할을 하게 된다.A guide housing 47 is position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iral guide 44 and the straight guide 45, and serves to protect the spiral guide 44 and the straight guide 45 by the guide housing 47. At the same time, it serves as a reference for enabl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43 and the spiral guide 44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lens holder 46.

상기 가이드 하우징(47)의 끝단에는 연장부(48)가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48)의 끝단에는 환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팁(49)이 결합된다.An extension portion 48 is coupled to an end of the guide housing 47, and a tip 49 coupled to the annular portion is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48.

상기 연장부(48)는 시술자 또는 사용자가 환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위하여 직접 손으로 파지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손에 무리가 가지 않고 편안한 상태에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팁(49)이 결합되는 끝단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The extension part 48 is a part where the operator or the user grips the hand directly to irradiate the laser beam to the affected part, so that the tip 49 is coupled to the patient so that the hand can be treated in a comfortable state without difficulty.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that is relatively small diameter toward the gripping easier to grip.

나아가, 상기 연장부(48)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연장부(48)의 내측을 향하여 파여진 다수개의 링 형태의 그립(48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연장부(48)의 그립(481)을 파지할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오랜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환자의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ring-shaped grips 481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part 48 so as to be dug toward the inside of the extension part 48 so that the user grips the extension part 48 by hand. Grip 481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lipping and treating patients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상기 연장부(48)의 끝단에는 환자의 환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접촉부(491)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팁(49)의 내부를 통과하여 환부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팁(49)의 일측면이 절개된 공간인 투시부(4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emicircular contact portion 49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48 to directly contact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and the user visually checks th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affected part by passing through the tip 49.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tip 49 includes a seeing portion 492 which is a space cut out.

즉,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접촉부(491)의 끝단은 환부에 접촉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것이 좋으며, 상기 팁(49)의 일측면에는 상기 투시부(492)가 형성되어,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 두께, 시술되는 환부 등을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게 된다.
That is, the end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491 having a semi-circular shape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order to contact the affected portion, and one side surface of the tip 49 may be provided with the transparent portion 492 to irradiate the laser beam.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while the user directly checks the output, thickness, and affected are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에 있어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핸들(43)을 회전시킴에 따라 바코드(431) 및 센서의 감지 및 조절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check zoom handpiece 40 using the Hal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andle 43 is rotated to adjust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to be irradiated, the detection and adjustment functions of the barcode 431 and the sensor are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2)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직선 형태의 커버홈(42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홈(421)의 외측에는 상기 비접촉 센서를 상기 커버(42)에 고정시키는 센서 결합부(422)가 결합되고, 상기 센서 결합부(422)의 내측면에는 상기 비접촉 센서가 결합되는 PCB기판(423)이 위치하며, 상기 비접촉 센서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트랜지스터인 홀센서(424)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a cover groove 421 having a straight shape penetrat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42, and the non-contact sensor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over groove 421. 42 is coupled to the sensor coupling portion 422 is fixed,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upling portion 422 is a PCB substrate 423 to which the non-contact sensor is coupled, the non-contact sensor is a transistor for sensing a magnetic field It is preferably an in-hall sensor 424.

즉, 상기 커버(42)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43)의 일부에 바코드(431)가 형성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바코드(431)에 미리 할당된 다양한 설정값을 상기 비접촉 센서를 통하여 감지한 후 이에 따른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bar code 431 is formed and coupled to a part of the handle 43 inserted into the cover 42. The various preset values assigned to the bar code 431 are detected through the non-contact sensor. After that, the digital signal is transmitted to adjust the output of the irradiated laser beam.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42)의 일측면을 절개하고 절개된 커버홈(421)에 비접촉 센서가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결합부(422)가 상기 커버(42)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비접촉 센서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또한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PCB기판(423) 상에 위와 같은 비접촉 센서를 고정 결합시키는 것이 좋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coupling part 422 is coupled to the cover 42 such that the non-contact sensor is positioned in the cut cover groove 421 cut off one side of the cover 42, and the non-contact sensor It is good to fix the above non-contact sensor on the PCB substrate 423 in order to fix the fixed position and also transmit the sensed electrical signal.

이와 같이 바코드(431)와 센서가 접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상물의 움직임이나 방향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광센서, 열감지센서, 자기센서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센서 소자의 크기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431) 역할을 하는 영구자석(432)의 자기장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방식으로 감지하는 홀센서(hall sensor)를 사용하여 부피 및 제작 비용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uch, various means such as an optical sensor, a thermal sensor, and a magnetic sensor may be used as a means for detecting a movement or direction of an object in a state in which the barcode 431 and the sensor do not contact each other. Considering, as shown in Figure 6, using a hall sensor to detect the magnetic field of the permanent magnet 432, which acts as a bar code 431 indirectly detected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desirable to reduce volume and manufacturing costs.

도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홀센서(424)는 전원을 공급하는 VDD라인(①), 전압의 기준점인 GND라인(②) 및 감지된 신호를 방출하는 OUT라인(③)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홀센서(424)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접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Hall sensor 424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DD line (①) for supplying power, a GND line (②) as a reference point of voltage, and an OUT line (③) for emitting a sensed signal,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hereby detecting the change in the adjacent magnetic field in a state of not contacting the hall sensor 424 and serves to transmit a signal accordingly.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B기판(4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의 행을 이루며 상기 홀센서(424) 4개(도7 상의 A, B, C, D)가 결합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four Hall sensors 424 (A, B, C, D in FIG. 7) form one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CB substrate 423. Are being combined.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4개의 홀센서(424) 배치는 감지하기 위한 상기 바코드(431)의 검출 장소가 4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바코드(431)의 종류에 따라 상기 홀센서(424)를 더 많이 사용하거나 또는 더 적게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four Hall sensors 424 is because the detection places of the barcode 431 for detecting are located at four locations, and the Hall sensors 424 may be used mor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arcode 431. It can be used or less.

상기 바코드(431)의 16개의 행(도8 상의 1 내지 16)은 상기 핸들(43)의 회전에 따라 각각 어느 하나의 행이 상기 PCB기판(423) 상의 홀센서(424)와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상기 홀센서(424)는 상기 바코드(431)의 행 중에서 어느 위치에 영구자석(432)이 설치되어 자기장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Sixteen rows (1 to 16 on FIG. 8) of the barcode 431 are positioned such that each row corresponds to the hall sensor 424 on the PCB substrate 423 as the handle 43 rotates. The hall sensor 424 detects whether a permanent magnet 432 is installed at a position in the row of the barcode 431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and outputs it.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43)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43)과 일체로 연결된 상기 바코드(431)의 서로 다른 행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필요로 하는 상기 바코드(431)의 하나의 행이 상기 홀센서(424)에 위치하여 감지되면 이러한 신호에 따른 레이저 빔의 출력값을 조절하여 환부에 도파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4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fferent rows of the barcode 431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handle 43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and one of the barcodes 431 is required. When a row of is detected by being positioned in the hall sensor 424, the output value of the laser beam according to the signal may be adjusted to guide the affected part.

위와 같은 레이저 빔 출력값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핸들(43)의 바코드(431)와 바코드(431)를 감지하는 상기 홀센서(424)가 접촉 또는 마찰 없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자기장 값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이즈의 발생 비율 및 고장(오작동) 비율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laser beam output valu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 code 431 of the handle 43 and the hall sensor 424 for detecting the bar code 4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onstant distance without contact or friction.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value, so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the noise generation rate and the failure (malfunction) r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8 을 참조하면, 상기 바코드(431)는 상기 커버(42)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43)의 둘레를 따라 16개의 행이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바코드(431)의 하나의 행은 영구자석(432)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있는 4개의 감지홈(4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Referring to FIG. 8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code 431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16 rows are equally spac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andle 43 inserted into the cover 42. In this case, one row of the bar code 431 is preferably formed with four sensing grooves 433 recessed inward to allow the permanent magnet 432 to be coupled thereto.

상기 바코드(431)에 형성된 상기 감지홈(433)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432)이 결합 또는 탈거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며, 상기 영구자석(432)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바코드(431)의 16개의 행은 각각 서로 다른 종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nsing groove 433 formed in the bar code 431, the permanent magnet 432 is combined or removed as necessary to form a row, the bar code 431 depending on whether the permanent magnet 432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16 rows of are made of different kinds.

즉, 상기 바코드(431)의 16개의 행이 각각 서로 다른 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홈(433) 중 일부의 위치에 상기 영구자석(432)을 결합시킴으로써, 총 16단계의 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 빔의 출력값을 조절하게 된다.That is, by combining the permanent magnet 432 at a position of a part of the sensing groove 433 so that 16 rows of the bar code 431 may display different values, a total of 16 steps of signals are generated. Accordingly, the output value of the laser beam is adjusted.

따라서, 하나의 감지홈(433)에 영구자석(432)이 결합 또는 탈거되는지 여부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신호의 수가 결정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4곳의 감지홈(433) 및 각각의 감지홈(433)에 홀센서(424)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홀센서(424)가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각각 2가지 종류가 4개의 감지홈(433)에 배치될 수 있어, 결국 24=16 과 같이 총 16 종류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발생 가능한 각각의 신호 종류를 도8 에 모두 도시하였다.Therefore, the number of signals that can be generat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permanent magnet 432 is coupled or detached to one sensing groove 433. In the present invention, four sensing grooves 433 and each sensing groove are determined. 433 on because made to the Hall sensor 424 is located, the hall sensor 424 a can be placed in two types of the four sensing groove 433, respectively, depending on whether the position, the end 24 A total of 16 kinds of signals can be generated as shown in FIG. 16, and each of these kinds of possible signals i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센서(424)가 위치할 수 있는 감지홈(433) 4개를 상기 바코드(431) 상의 하나의 행에 나란히 형성하고, 이러한 행을 상기 핸들(43)의 외측 둘레를 따라 총 16개를 배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더욱 미세한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는 결합되는 홀센서(424), 감지홈(433) 및 영구자석(432)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예를 들어, 홀센서(424) 및 감지홈(433)의 갯수를 5개로 증가시키게 되면, 발생 가능한 신호의 종류는 25=32 와 같이 총 32종류가 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sensing grooves 433 in which the hall sensor 424 can be located are formed in a row on the bar code 431, and the rows are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handle 43. Although a total of 16 is illustrated along the example, when finer adjustment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handpiece, the number of the combined hall sensor 424, the sensing groove 433, and the permanent magnet 432 is increased. It is obvious that this can be achieved.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he hall sensors 424 and the sensing grooves 433 is increased to five, the number of possible signals may be 32 kinds, such as 2 5 = 32. Can b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코드(431)의 감지홈(433)에 상기 영구자석(432)이 결합 또는 탈거되는지 여부만을 상기 홀센서(424)에서 감지하도록 이루어져, 하나의 홀센서(424)에서 0(영구자석이 감지홈에 결합되어 있지 않는 경우) 또는 1(영구자석이 감지홈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의 디지털 신호만을 감지하여 2진수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영구자석(432)의 세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홀센서(424) 또한 자기장의 변화값을 세부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다 적은 영구자석(432)을 사용하여 다양한 신호값을 감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ll sensor 424 is configured to detect only whether the permanent magnet 432 is coupled or detached to the sensing groove 433 of the barcode 431. In 424), only a digital signal of 0 (when the permanent magnet is not coupled to the sensing groove) or 1 (when the permanent magnet is coupled to the sensing groove) can be detected to generate a binary signal. When the intensity of the permanent magnets 432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variously changed, and thus the hall sensor 424 also uses the one capable of detecting the change value of the magnetic field in detail, fewer permanent magnets 432 are used. It can also detect various signal values.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바코드(431)를 상기 핸들(43)의 일측면에 부착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홀센서(424)를 위치시켜 서로 다른 16개 종류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영구자석(432)의 배치로 인한 각각의 서로 다른 신호에 상기 렌즈 홀더(46) 및 볼록 렌즈(461)의 초기 설정값을 선정해 놓은 후, 사용자가 상기 핸들(43)을 조작하여 필요로 하는 해당 설정값을 지시하도록 변경함으로써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값을 쉽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t barcode 431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andle 43, and the hall sensor 424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to detect 16 different types of signals. The permanent magnet 432 After the initial setting values of the lens holder 46 and the convex lens 461 are selected for each of the different signals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 Desc / Clms Page number 5 > By changing the indication, the output value of the irradiated laser beam can be adjusted easily and accurate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소켓부 20 : 관절부
30 : 중공관 40 :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
41 : 아답터 42 : 커버
421 : 커버홈 422 : 센서 결합부
423 : PCB기판 424 : 홀센서
425 : 고정구 43 : 핸들
431 : 바코드 432 : 영구자석
433 : 감지홈 44 : 나선 가이드
441 : 나선홈 45 : 직선 가이드
451 : 직선홈 46 : 렌즈 홀더
461 : 볼록 렌즈 47 : 가이드 하우징
48 : 연장부 481 : 그립
49 : 팁 491 : 접촉부
492 : 투시부
10: socket portion 20: joint portion
30: hollow tube 40: check zoom handpiece using the Hall sensor
41: adapter 42: cover
421: cover groove 422: sensor coupling portion
423: PCB 424: Hall sensor
425 fastener 43 handle
431 Barcode 432 Permanent Magnet
433: detection groove 44: spiral guide
441: spiral groove 45: straight guide
451: straight groove 46: lens holder
461 convex lens 47 guide housing
48: extension 481: grip
49: tip 491: contact
492: see-through section

Claims (9)

레이저 빔 방출장치에 장착되는 소켓부(10), 암의 길이를 연장하고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개의 관절부(20), 레이저 빔이 도파되는 통로인 한 쌍의 중공관(30) 및 도파된 레이저 빔을 환부에 직접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티큘레이터 암의 끝단에 연결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아티큘레이터 암의 끝단과의 결합을 제공하는 아답터(41);
상기 아답터(41)의 외측 둘레와 맞닿아 결합되며 일측 내부에는 비접촉 센서가 연결되는 원통형의 커버(42);
일측 둘레가 상기 커버(4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42)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 바코드(431)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핸들(43);
상기 핸들(43)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핸들(43)과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를 따라 곡선 형태로 관통되어 있는 나선홈(441)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나선 가이드(44);
상기 핸들(43) 및 나선 가이드(44)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있는 직선홈(451)이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45);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렌즈 홀더(46);
상기 나선 가이드(44) 및 직선 가이드(45)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일측 끝단이 상기 핸들(43)의 일단과 맞닿아 결합되는 가이드 하우징(47);
일측 끝단이 상기 가이드 하우징(47)의 타측 끝단과 맞닿아 결합되며, 타측 끝단에는 환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팁(49)이 결합되는 연장부(4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Socket portion 10 mounted to the laser beam emitting device, a plurality of joints 20 to extend the length of the arm to enable the rotation, a pair of hollow tube 30, a passage for the laser beam is guided and the guided laser A handpiece connected to an end of an articulator arm comprising a handpiece for directing the beam to the affected area,
An adapter 41 for providing engagement with the tip of the articulator arm;
A cylindrical cover 42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adapter 41 and having a non-contact sensor connected therein;
One side circumference is made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ver 42, the cylindrical handle 43 is formed to be rotatab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cover 42 is rotatable;
A cylindrical spiral guide 44 exten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43 and integrally coupled with the handle 43 and having a spiral groove 441 penetrating in a curved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s formed. ;
A straight guide 45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handle 43 and the spiral guide 44, and having a straight groove 451 penetrating in a straight line along a length direction;
A lens holder 46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straight guide 45 and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guide 45;
A guide housing 47 having one end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dle 43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iral guide 44 and the straight guide 45;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housing 47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the other end is an extension portion 48 is coupled to the tip (49) made to contact the affected part; Check zoom handpiece using a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2)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커버홈(42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홈(421)의 외측에는 상기 비접촉 센서를 상기 커버(42)에 고정시키는 센서 결합부(4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The method of claim 1,
A cover groove 421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42, and a sensor coupling part 422 fixing the non-contact sensor to the cover 42 on an outer side of the cover groove 421. Check zoom handpiece using a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4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결합부(422)의 내측면에는 상기 비접촉 센서가 결합되는 PCB기판(423)이 위치하며, 상기 비접촉 센서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트랜지스터인 홀센서(4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The method of claim 2,
The inner surface of the sensor coupling unit 422 is a PCB substrate 423 to which the non-contact sensor is coupled, the non-contact sensor is a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l sensor 424 which is a transistor for detecting a magnetic field Check zoom handpiece 4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424)는 상기 PCB기판(4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의 행을 이루며 4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The method of claim 3,
The Hall sensor 424 is a check zoom handpiece (40) using a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four are formed in a row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CB substrate 4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431)는 상기 커버(42)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43)의 둘레를 따라 16개의 행이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바코드(431)의 하나의 행은 영구자석(432)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있는 4개의 감지홈(4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The method of claim 1,
The bar codes 4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16 rows a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andle 43 inserted into the cover 42, and one row of the bar codes 431 is permanent. The check zoom handpiece 40 using the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four sensing grooves 433 are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to allow the magnet 432 to be coupl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431)에 형성된 상기 감지홈(433)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432)이 결합 또는 탈거되어 하나의 행을 이루며, 상기 영구자석(432)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바코드(431)의 16개의 행은 각각 서로 다른 종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ensing groove 433 formed in the bar code 431, the permanent magnet 432 is combined or removed as necessary to form a row, the bar code 431 depending on whether the permanent magnet 432 is coupled 16 rows of the check zoom handpiece using a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each made of a different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46)의 일측면에는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볼록 렌즈(461)가 결합되고 상기 볼록 렌즈(461)는 상기 나선홈(441) 및 직선홈(45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핸들(4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직선 가이드(45)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 홀더(46)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lens holder 46 is coupled with a convex lens 461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and the convex lens 461 is formed to penetrate the spiral groove 441 and the linear groove 451. And the position of the lens holder 46 positioned inside the linear guide 45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4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48)는 상기 팁(49)이 결합되는 끝단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8)의 외측 둘레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그립(48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nsion 48 is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that is relatively small in diameter toward the end to which the tip 49 is coupled, and the user can grip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48 by hand. In this case, the grip (481) to prevent slipping check zoom handpiece using a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49)은 환자의 환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된 반원 형태의 접촉부(491) 및 사용자가 상기 팁(49)의 내부를 통과하여 환부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팁(49)의 일측면이 절개된 공간인 투시부(4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센서를 이용한 체크 줌 핸드피스(40).
The method of claim 1,
The tip 49 is a semi-circular contact portion 491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and the tip 49 to visually check th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affected part through the inside of the tip 49. Check zoom handpiece 40 using a hal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rspective portion (492) is a space in which one side of the cut out.
KR1020110130505A 2011-12-07 2011-12-07 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 KR101283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05A KR101283559B1 (en) 2011-12-07 2011-12-07 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505A KR101283559B1 (en) 2011-12-07 2011-12-07 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889A true KR20130063889A (en) 2013-06-17
KR101283559B1 KR101283559B1 (en) 2013-07-15

Family

ID=4886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505A KR101283559B1 (en) 2011-12-07 2011-12-07 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5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9566A (en) * 2013-07-12 2013-10-16 吉林省科英激光技术有限责任公司 Laser therapy hand tool with adjustable spot size
KR20210109984A (en)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진성테크놀로지 Handpiece connection structure of medical laser treatm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352B1 (en) * 2013-12-12 2016-02-29 (주)한국랩 Laser projecting handpie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8845B1 (en) 1999-10-08 2004-07-06 Lumenis Inc. Automatic fi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laser skin treatment over large areas
KR200271241Y1 (en) 2001-12-31 2002-04-09 이종환 Device for adjusting a reflection angle of medical articulated arm
KR200271896Y1 (en) 2002-01-16 2002-04-12 황혁주 An Articulate Arm For Medical Laser Equipment
KR100864803B1 (en) 2008-07-09 2008-10-23 주식회사 루트로닉 Laser beam emitting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emission of laser beam according to moving of handpiece for medical lsaer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9566A (en) * 2013-07-12 2013-10-16 吉林省科英激光技术有限责任公司 Laser therapy hand tool with adjustable spot size
CN103349566B (en) * 2013-07-12 2015-05-20 吉林省科英激光技术有限责任公司 Laser therapy hand tool with adjustable spot size
KR20210109984A (en)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진성테크놀로지 Handpiece connection structure of medical laser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559B1 (en)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1201B2 (en) Dental equipment for examining visual characteristics of teeth
KR101283559B1 (en) Check zoom handpiece using hall sensor
KR101742711B1 (en) Apparatus for irradiating laser
JP5964150B2 (en) Optical pressure measurement
JP2007175230A (en) Endoscope device
US20100152538A1 (en) Device for preventing endoscope damage by errant laser fire in a surgical laser
EP2412311A3 (en) Feeding tube position confirmation device
US104708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ment of a laser beam
KR101437540B1 (en) Multi-function laser irradiating apparatus
JP5355489B2 (en) Optical potentiometer
US20050207470A1 (en) Focusing thermometer
KR101880282B1 (en) Laser projecting handpiece
WO2016161297A1 (en) Thermometer including color changing illumination portion
KR101598352B1 (en) Laser projecting handpiece
JP6134896B2 (en) Laser handpiece
KR20150107685A (en) Medical laser apparatus
CN113576702A (en) Implant detector
KR101832851B1 (en) Laser projecting handpiece
KR20170073301A (en) Laser projecting handpiece
KR101800542B1 (en) Oxygen saturation measurement device
CN116548893A (en) Medical endoscope apparatus and medical endoscope imaging system
ES2461859B1 (en) INTRODUCTIVE DEVICE FOR INTRODUCTION OF A TUBULAR ELEMENT IN THE BODY OF A MAMMAL
KR20170073305A (en) Laser projecting handpiece
JP5596870B2 (en) Measuring probe
JPH06142062A (en) Clinical thermo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