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754A -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754A
KR20130063754A KR1020110130287A KR20110130287A KR20130063754A KR 20130063754 A KR20130063754 A KR 20130063754A KR 1020110130287 A KR1020110130287 A KR 1020110130287A KR 20110130287 A KR20110130287 A KR 20110130287A KR 20130063754 A KR20130063754 A KR 20130063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tab
secondary battery
groove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123B1 (ko
Inventor
남긍현
장민호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1013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1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 조립체;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양극탭 및 음극탭;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고, 상단으로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이 돌출되도록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 각각의 전후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양극탭 및 음극탭을 파단하는 탭홀더; 를 포함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가 이상반응을 일으켜 팽창하는 경우 발생되는 응력을 이용하여 탭을 파단시키켜 과충전, 폭발 또는 발화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운용을 도모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Lithium ion battery with tap holder}
본 발명은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탭을 자동으로 파단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전지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안전성이 우수한 리튬 코발트 폴리머 전지와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리튬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리튬이온전지에 주로 사용되는 원통형 및 각형을 들 수 있다. 최근들어, 각광받는 리튬폴리머전지는 유연성을 지닌 소재로 제조되어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안전성도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동력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이 사용된다. 그러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에 단위전지로서 많이 사용되는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동일 계열의 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탄소질의 음극과 리튬금속 산화물의 양극, 폴리올레핀계 분리막, 및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리튬이온 전지는 전지의 작동 전위가 높기 때문에 고에너지가 순간적으로 흐를 수 있고, 양극 물질들은 과충전 또는 단락에 의하여 화학적인 활성이 크게 증대되기 때문에 전해질과 급격히 반응하여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어 전지가 폭발하는 경우에 주변 장치가 파손되거나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지의 이상 반응 발생시 이차 전지와 외부간의 전류 흐름을 차단시켜 전지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리튬 이차 전지가 이상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전극탭을 자동으로 파단하고,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반응을 중지시켜서 가스 발생을 억제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탭에 파단홈을 생성하고, 탭홀더를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 조립체;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양극탭 및 음극탭;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고, 상단으로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이 돌출되도록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 각각의 전후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양극탭 및 음극탭을 파단하는 탭홀더;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은 외부 압력에 의해 파열이 시작되는 하나 이상의 파단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파단홈은 노칭형 파단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극탭 일측에 형성된 파단홈으로부터 타측의 파단홈 방향으로 직선의 홈을 형성하는 파단유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탭홀더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전극탭의 전후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전극탭의 전후면에 밀착하고 전극탭과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프레임부; 상기 서브프레임부의 양끝단에서 전극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극탭의 좌우측 모서리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절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을 상기 전극탭으로 전달하여 전극탭을 파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말단은 암수형태의 체결홈을 가지며, 상기 탭홀더는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암수형태의 체결부가 서로 결합되어 전극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비절연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의 적층구조를 가진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수납하고, 조립체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상기 파단홈이 형성된 양극탭과 음극탭을 연결하여 케이스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전지 케이스의 상단부 및 일측면부를 밀봉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나머지 측면부를 밀봉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 각각의 전후면에 탭홀더를 배치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하나 이상의 전극탭에 파단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단홈은 노칭홈 또는 일정한 균열홈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하나 이상의 전극탭에 파단홈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하나 이상의 전극탭에 일측의 파단홈으로부터 타측의 파단홈 방향으로 파단유도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지가 이상반응을 일으켜 팽창하는 경우 발생되는 응력을 이용하여 탭을 파단시키켜 과충전, 폭발 또는 발화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운용을 도모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세부 구성의 도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이상반응시 팽창 예상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가 설치된 전극탭의 파단 예상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생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 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세부 구성의 도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케이스(100), 전극조립체(200), 양극탭(300)(이하, ‘전극탭’이라고도 한다.), 음극탭(400)(이하, ‘전극탭’이라고도 한다.), 파단홈(500), 탭홀더(600), 파단유도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지케이스는(100) 전극조립체(200)를 수납하고, 전극탭(300, 400)을 수용하여 이차 전지를 구성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200)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양극판은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전극판, 음극판은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전극판을 의미한다.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위치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도록 하며, 쇼트를 방지하게 된다.
양극판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지고, 음극판은 동(Cu) 재질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상기의 재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의 수준에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포함한다.
양극탭(300)은 양극판으로부터 접합 연장되어 전지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음극탭(400)은 음극판으로부터 접합 연장되어 전지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파단홈(500)은 전지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탭(300, 40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탭홀더(600)는 양극탭 및 음극탭 각각의 전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파단유도부(1000)는 파단홈과 파단홈 사이에 직선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단홈(500), 탭홀더(600) 및 파단유도부(10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파단예상도를 통하여 후술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단홈을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이상반응시 팽창 예상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가 설치된 전극탭의 파단 예상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탭홀더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3을 참고하면, 리튬 이차 전지는 과충전 또는 단락에 의하여 화학적인 활성이 크게 증대되며, 전해질이 급격히 반응하기 시작하면 다량의 가스를 발생된다.
그 결과 도3에서처럼 전지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어 케이스의 중간부분이 점점 부풀어 오르게 되고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응력이 발생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전지를 별도로 구비하는 케이스 내부에 나란히 배열하여 모듈로 구성하여 원하는 전력의 출력을 갖추어 사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리튬 이차 전지모듈 중 하나의 전지가 이상반응을 일으켜 폭발하는 경우 주변 장치 및 전지가 파손되거나 화재로 발생하게 되고 심하게는 인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탭홀더(600)는 양극탭 및 음극탭 각각의 전후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탭홀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양극탭 및 음극탭을 제거할 수 있다.
도5를 참고하면, 탭홀더(600)는 프레임부와 프레임에 부착되는 서브프레임부(6300) 및 서브프레임부에서 연장되는 절단부(6100, 6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7을 참고하면, 각각의 리튬 이차 전지는 모듈을 구성하기 위하여 전지 거치대(700)에 나란히 고정되고, 전극탭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모듈 케이스(700)를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탭홀더(600)가 전극탭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전극탭의 전후면에 위치하고 전지 케이스 또는 모듈 케이스(800)에 고정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부(6300)는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전극탭의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전극탭과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절단부(6100, 6200)는 서브프레임부(6300)의 양끝단에서 전극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극탭의 좌우측 모서리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절단부(6100)의 말단은 암수형태의 체결부를 가질 수 있다.
탭홀더(600)는 전극탭의 전후면에 위치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쌍으로 구비되고, 일측의 탭홀더에서 한편은 암 결합부, 다른 한편은 수 결합부의 형태를 가지고, 마찬가지로 다른 일측의 탭홀더에서 한편은 암 결합부, 다른 한편은 수 결합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쌍으로 구비된 탭홀더가 전극탭의 전후면에 위치하고, 암 결합부 및 수 결합부가 각각 체결됨으로써 탭홀더(600)는 전극탭에 고정될 수 있다.
탭홀더(600)가 전극탭에 고정부착되고, 외부에서 응력이 발생하여 탭홀더(600)에 압력을 전달하면 탭홀더(600)는 전극탭에 외부의 압력을 전극탭으로 전달하여 전극탭을 파단하게 된다.
서브프레임부(6300), 절단부(6100, 6200)의 재질은 프레임부와 동일하게 제작이 가능하며, 공업용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브프레임부(6300), 절단부(6100, 62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전극탭과 전기적인 쇼트가 일어나지 않도록 비절연 물질로 코팅할 수 있다.
파단홈(500)은 양극탭(300) 또는 음극탭(400) 중 하나 또는 양쪽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고, 양극탭(300) 또는 음극탭(400)의 전후면에 탭홀더(600)가 위치할 수 있다.
다수의 리튬 이차 전지가 배열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4의 경우처럼 가스로 인한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극탭에 부착된 탭홀더(600)가 전극탭으로 압력을 전달하고, 전극탭에 형성된 파단홈(500)으로부터 전극탭의 파단이 시작되어 전극탭이 쉽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파단홈(500)을 다수의 모서리가 존재하는 노칭형 파단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파단홈(500)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전극탭(300, 400)의 양측 모서리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단홈(500)은 반드시 전극탭의 모서리 양쪽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외부의 응력에 의하여 파단이 가능하다.
파단유도부(1000)는 파단홈과 파단홈 사이에 직선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탭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홈이 형성된 부분이 그렇지 않은 부분보다 먼저 절단이 이뤄지게 된다.
따라서 일측의 파단홈에서부터 파단이 시작되면, 홈으로 형성된 파단유도부(1000)가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보다 먼저 절단이 시작되며 파단유도부(1000)를 따라서 절단이 이루어져 타측의 파단홈(500)이 형성된 곳에서 파단이 종료되어 전극탭의 제거가 일어나게 된다.
리튬 이차 전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탭이 제거됨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고 과충전, 폭발 또는 발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6을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탭의 사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6을 참고하면, 탭홀더(610)를 음극탭으로부터 양극탭까지 하나의 프레임부로 연장하여 음극탭 및 양극탭의 전후면에 위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5에서 상세히 설명한 탭홀더(600)는 전극탭의 각 극성별로 별도의 프레임부로 구성하나, 도6에 설명하는 전극탭(610)은 하나의 프레임부를 사용하고, 음극탭 및 양극탭의 위치에 절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생산방법의 흐름도이다.
S100 단계는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하나 이상의 전극탭에 파단홈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파단홈의 형태를 노칭홈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S200 단계는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하나 이상의 전극탭에 일측의 파단홈으로부터 타측의 파단홈 방향으로 파단유도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파단유도부는 일정한 깊이의 홈으로 직선형태로 전극탭에 형성시킬 수 있다.
S300 단계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의 적층구조를 가진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이다.
S400 단계는 조립체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각각 양극탭과 음극탭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S500 단계는 양극탭 및 음극탭을 케이스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이다.
S600 단계는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전지 케이스의 상단부 및 일측면부를 밀봉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나머지 측면부를 밀봉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편, 당업자의 수준에서 S100 단계의 파단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S200 단계의 파단유도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S600 단계에서 양극탭과 음극탭을 전극 조립체와 케이스에 수납하고 이차 전지 조립과정을 진행한 이후에 전급탭에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범위 내에 속한다.
S700 단계는 파단홈이 형성된 전극탭에 탭홀더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양극탭 및 음극탭 각각의 전후면에 탭홀더를 배치하고 전지 케이스에 탭홀더를 고정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지케이스
200 : 전극조립체
300 : 양극탭
400 : 음극탭
500 : 파단홈
600, 610 : 탭홀더
6100, 6200 : 절단부
6300 : 서브프레임부
700 : 전지거치대
800 : 모듈케이스
1000 : 파단유도부

Claims (10)

  1.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 조립체;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양극탭 및 음극탭(이하 전극탭이라고도 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고, 상단으로 상기 전극탭이 돌출되도록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전극탭 각각의 전후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전극탭을 파단하는 탭홀더; 를 포함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은 외부 압력에 의해 파열이 시작되는 하나 이상의 파단홈을 형성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홈은 노칭형 파단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전극탭 일측에 형성된 파단홈으로부터 타측의 파단홈 방향으로 직선의 홈을 형성하는 파단유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홀더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전극탭의 전후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전극탭의 전후면에 밀착하고 전극탭과 프레임부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프레임부;
    상기 서브프레임부의 양끝단에서 전극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극탭의 좌우측 모서리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절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프레임부에 가해지는 외부의 압력을 상기 전극탭으로 전달하여 전극탭을 파단하는 자동 전류차단 이차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말단은 암수형태의 체결홈을 가지며,
    상기 탭홀더는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암수형태의 체결홈이 결합되어 전극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류차단 이차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비절연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8.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의 적층구조를 가진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수납하고, 조립체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상기 파단홈이 형성된 양극탭과 음극탭을 연결하여 케이스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전지 케이스의 상단부 및 일측면부를 밀봉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나머지 측면부를 밀봉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양극탭 및 음극탭 각각의 전후면에 탭홀더를 배치하고 상기 전지 케이스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하나 이상의 전극탭에 파단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단홈은 노칭홈 형태의 홈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하나 이상의 전극탭에 파단홈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양극탭 또는 음극탭 중 하나 이상의 전극탭에 일측의 파단홈으로부터 타측의 파단홈 방향으로 파단유도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10130287A 2011-12-07 2011-12-07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KR101327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287A KR101327123B1 (ko) 2011-12-07 2011-12-07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287A KR101327123B1 (ko) 2011-12-07 2011-12-07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754A true KR20130063754A (ko) 2013-06-17
KR101327123B1 KR101327123B1 (ko) 2013-11-07

Family

ID=4886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287A KR101327123B1 (ko) 2011-12-07 2011-12-07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2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025A (ko) * 2013-07-04 2015-01-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50043603A (ko) * 2013-10-11 2015-04-23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필터 모듈
KR20150050742A (ko) * 2013-10-31 2015-05-11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필터
US9431647B2 (en) 2013-12-30 2016-08-30 Hyundai Motor Company Secondary battery having a safety device
US9472801B2 (en) 2013-12-30 2016-10-18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KR20190023537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20200313145A1 (en) * 2019-03-29 2020-10-01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Electrode assembly
CN114976388A (zh) * 2020-05-19 2022-08-3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单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162B1 (ko) 2015-01-20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충전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 전지
KR102364159B1 (ko) 2017-08-01 2022-02-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탭 절단 장치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0787B2 (ja) * 1994-03-03 1998-03-04 日本電池株式会社 蓄電池用安全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密閉型蓄電池
JPH10294097A (ja) * 1997-02-24 1998-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型電池
JP3618219B2 (ja) * 1998-03-17 2005-02-09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非水系電池および電極端子
JP2011210390A (ja) 2010-03-29 2011-10-20 Honda Motor Co Ltd 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025A (ko) * 2013-07-04 2015-01-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50043603A (ko) * 2013-10-11 2015-04-23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필터 모듈
KR20150050742A (ko) * 2013-10-31 2015-05-11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필터
US9431647B2 (en) 2013-12-30 2016-08-30 Hyundai Motor Company Secondary battery having a safety device
US9472801B2 (en) 2013-12-30 2016-10-18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KR20190023537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20200313145A1 (en) * 2019-03-29 2020-10-01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Electrode assembly
US11646473B2 (en) * 2019-03-29 2023-05-09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Electrode assembly
CN114976388A (zh) * 2020-05-19 2022-08-3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单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123B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123B1 (ko) 탭홀더를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JP2022543185A (ja) 電池、その関連装置、製造方法及び製造機器
JP7429719B2 (ja) 電池、電力消費機器、電池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5866463B2 (ja) 安全性が向上した電池セ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CA3156564A1 (en) Case of battery, battery, power consumption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battery
KR20090131573A (ko) 배터리 과충전시 전원차단장치
KR20220016502A (ko) 배터리, 전기사용장치,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20014884A (ko) 배터리, 전기사용장치, 배터리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15066800B (zh) 电池盒、电池单体、电池、制备电池盒的方法和装置
EP4092818B1 (en) Battery box body, battery, 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box body
KR101335122B1 (ko) 파단홈을 가지는 자동 전류차단 리튬 이차 전지
CN218632347U (zh) 绝缘膜、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US10320036B2 (en)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822612B1 (ko) 전원차단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EP4325644A1 (en) End cap assembly,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 apparatus
KR101787634B1 (ko) 스웰링 대응구조를 구비하는 엔드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JP2013003136A (ja) バッテリー過充電防止装置
EP4235922A1 (en) Battery box, battery, electrical device,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battery
EP4254591A1 (en) Battery,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battery
CN103858250B (zh) 电池
EP4096007A1 (en) Battery, electric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battery
KR101313971B1 (ko) 천공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JP2023547756A (ja) 電池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システム、電池及び電力使用装置
JP2023530213A (ja) 電池、電力消費装置、電池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JP2023534700A (ja) 電池、電力消費装置、電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