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995A -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995A
KR20130062995A KR20137007157A KR20137007157A KR20130062995A KR 20130062995 A KR20130062995 A KR 20130062995A KR 20137007157 A KR20137007157 A KR 20137007157A KR 20137007157 A KR20137007157 A KR 20137007157A KR 20130062995 A KR20130062995 A KR 20130062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iction direction
scanning
prediction
scanning order
curr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172B1 (ko
Inventor
하이타오 양
쟝통 저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62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Abstract

코딩 및 디코딩 기술에서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스캐닝 방법은, 현재 블록의 양자화 변환 계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양자화 변환 계수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솔루션에 따르면, 코딩 및 디코딩에서 사용되는 스캐닝 순서의 수가 감소하며,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Description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SCANNING METHOD AND DEVICE, REVERSE SCANNING METHOD AND DEVICE}
본 출원은 2010년 9월 30일에 중국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CANNING METHOD AND DEVICE, REVERSE SCANNING METHOD AND DEVICE"인 중국특허출원 No. 201010505932.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코딩 및 디코딩 기술에서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또는 이미지에 대해 인트라 예측 코딩이 수행될 때, 상이한 예측 방향(예측 모드)에 따라, 현재의 코딩 이미지로부터 분할되는 블록에 대해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의 공간적 중복성(spatial redundancy)을 제거함으로써 예측 잔차 신호(prediction residual signal)를 획득한다. 그런 다음 예측 잔차 신호는 신호 에너지를 더 집중하도록 변환된다. 양자화 변환 계수(quantized transformed coefficient)는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 전에 스캐닝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2차원 이미지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는 1차원 신호로 변환되어 엔트로피 코딩 장치의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한다. 스캐닝에 의해, 2차원 신호가 1차원 신호로 변환된 후, 내림 규칙성 변화(descending regular change)가 나타나도록 신호 진폭의 변화가 가능하게 되어, 엔트로피 코딩 장치의 프로세스에 적응된다.
현재의 비디오 또는 이미지 코딩 방법은 예측 방향에 기반한 코딩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코딩 기술은 예측 방향을 안내 신호로서 사용하며, 상이한 예측 방향이 선택되면, 그에 따라 변환 기반(transform base) 및 스캐닝 순서가 변해야 한다. 바꿔 말하면, 스캐닝 순서의 수가 예측 방향의 수와 동일하다.
방법이 비디오 또는 이미지를 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더라도, 스캐닝 순서는 예측 방향마다 지정되어야 하며, 이에 의해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증가한다. 특히, 적응적 갱신 스캐닝 기술이 사용되면, 각 스캐닝 순서가 실시간으로 갱신되어야 하므로,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더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코딩 및 디코딩 기술에서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코딩 및 디코딩에서 사용되는 스캐닝 순서의 수가 감소하며,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캐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스캐닝 방법은,
현재 블록의 양자화 변환 계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양자화 변환 계수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리버스 스캐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리버스 스캐닝 방법은,
엔트로피 디코딩(entropy decoding)을 통해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 및 예측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1차원 신호에 대해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캐닝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스캐닝 장치는,
현재 블록의 양자화 변환 계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유닛;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검색 유닛; 및
상기 검색 유닛에 의해 검색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양자화 변환 계수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캐닝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리버스 스캐닝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리버스 스캐닝 장치는,
엔트로피 디코딩을 통해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 및 예측 방향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검색 유닛; 및
상기 검색 유닛에 의해 검색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되는 1차원 신호에 대해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버스 스캐닝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솔루션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로부터 찾아낼 수 있고,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 또는 종래기술을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이하에 간략히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설명에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측 방향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측 시퀀스 1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측 시퀀스 2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측 시퀀스 3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하는 스캐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하는 리버스 스캐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하는 코딩 방법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하는 디코딩 방법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하는 스캐닝 장치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하는 리버스 스캐닝 장치에 대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전부가 아닌 일부임은 자명하다.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264 표준에서의 4*4 크기 블록을 예로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크기의 블록의 프로세스 절차도 4*4 크기 블록의 프로세스 절차와 유사하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측 방향을 도시하며, H.264 표준에서의 4*4 크기 블록의 예측 방향을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4 크기 블록은 8개의 예측 방향과, 다이렉트 컴포넌트(direct component: DC) 예측 방향을 가진다. 도 1에서, 예측 방향 0, 예측 방향 1, 예측 방향 2, 예측 방향 3, 예측 방향 4, 예측 방향 5, 예측 방향 6, 예측 방향 7, 및 예측 방향 8이 표시되어 있다. DC 예측 방향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기하학적 상관 관계(geometric correlation relationship) 및 근접 관계(proximity relationship)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예측 방향 0, 예측 방향 1, 예측 방향 2, 예측 방향 3, 예측 방향 4, 예측 방향 5, 예측 방향 6, 예측 방향 7, 및 예측 방향 8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방향 0과 예측 방향 1은 전치 상관(transposition correlation)에 있고, 예측 방향 6과 예측 방향 8은 예측 방향 1을 따르는 대칭 상관에 있고, 예측 방향 5와 예측 방향 7은 예측 방향 01을 따르는 대칭 상관에 있고, 예측 방향 3과 예측 방향 4는 예측 방향 0을 따르는 대칭 상관에 있다.
기하학적 상관이 결정된 후, 근접 관계가 기하학적 상관에 기초하여 추가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방향 0과 예측 방향 1 간의 기하학적 전치 상관을 참조하면, 예측 방향 6과 예측 방향 8은 예측 방향 1과의 근접 관계를 형성하고, 예측 방향 5와 예측 방향 7은 예측 방향 0과의 근접 관계를 형성한다.
대응하는 예측 방향이 기하학적 상관 하에서 형성되면, 예측 신호 방향의 대응하는 특성으로 인해, 변환된 계수 신호의 스캐닝 순서도 유사한 대응 상관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2개의 예측 방향이 전치 상관에 있을 때,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는 전치 상관을 제공하며, 2개의 예측 방향이 대칭 상관에 있을 때,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는 동일한 스캐닝 순서를 제공한다.
대응하는 예측 방향이 근접 관계 하에서 형성되면, 예측 신호 방향의 근사 특성(approximation characteristic)으로 인해, 변환된 계수 신호의 스캐닝 순서도 유사한 근사 특성을 제공하며, 근접 관계 하에서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2개의 계수 신호는 동일한 스캐닝 순서를 채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측 방향들은 전술한 기하학적 상관 및 근접 관계에 따라 미리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일한 그룹 내의 예측 방향들은 동일한 스캐닝 순서를 사용할 수 있고, 즉 복수의 예측 방향이 하나의 스캐닝 순서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기하학적 상관 및 근접 관계에 따라, 표 1, 표 2, 표 3에 도시된 예측 방향 및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가 도 1에 도시된 8개의 예측 방향에 대해 형성된다.
예측 방향 스캐닝 순서
예측 방향 0 및 1 스캐닝 순서 1(전치 관계를 통해 공유)
예측 방향 3 및 4 스캐닝 순서 2
예측 방향 5, 6, 7, 및 8 스캐닝 순서 3(대칭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5와 예측 방향 7이 공유하고, 대칭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6과 예측 방향 8이 공유하고, 마찬가지로 전치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5와 예측 방향 7이 공유하고, 예측 방향 6과 예측 방향 8이 공유한다)
예측 방향 스캐닝 순서
예측 방향 0, 1, 5, 6, 7, 및 8 스캐닝 순서 1(전치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0과 예측 방향 1이 공유하고, 근접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6과 예측 방향 8이 예측 방향 1과 공유하고, 근접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5와 예측 방향 7이 예측 방향 1과 공유한다)
예측 방향 3, 4 스캐닝 순서 2
예측 방향 스캐닝 순서
예측 방향 0, 1, 7, 및 8 스캐닝 순서 1(전치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1과 예측 방향 0이 공유하고, 근접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8과 예측 방향 0이 공유하고, 근접 관계를 통해 예측 방향 7과 예측 방향 1이 공유한다)
예측 방향 3, 4, 5, 및 6 스캐닝 순서 2
표 1, 표 3, 및 표 3에서 스캐닝 순서 1, 스캐닝 순서 2, 및 스캐닝 순서 3은 트레이닝 샘플(training sample)에 의한 트레이닝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상이한 트레이닝 샘플에 의해 획득되는 스캐닝 순서가 상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캐닝 순서 1을 나타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순서 1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a00→a01→a02→a10→a11→a20→a03→a12→a21→a22→a13→a30→a31→a23→a32→a33
axy는 2차원 배열 위치 a의 (x,y) 위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캐닝 순서 2를 나타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순서 2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a00→a01→a10→a02→a11→a20→a12→a21→a03→a22→a13→a30→a31→a23→a32→a3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캐닝 순서 3을 나타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순서 3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a00→a01→a02→a11→a02→a20→a21→a12→a22→a30→a03→a13→a31→a32→a23→a3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캐닝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캐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코딩 장치 내의 스캐닝 장치의 프로세스 흐름에 대해 실시예에서 설명할 수 있으며, 실시예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501: 현재 블록의 양자화 변환 계수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코딩 장치 내의 변환 장치에 의해 출력된 양자화 변환 계수가 수신되는데, 구체적으로 이 양자화 변환 계수는 2차원 데이터이다.
502: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을 획득한다.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은 코딩 장치 내의 예측 장치에 의해 스캐닝 장치로 직접 송신될 수 있으며; 예측 장치에 의해 변환 장치로 송신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변환 장치에 의해 스캐닝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503: 예측 방향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mapping relationship table)에서 검색하며, 여기서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한다.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은 기하학적 상관(geometric correlation) 및/또는 근접 관계(proximity relationship)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 중 2개의 예측 방향의 기하학적 상관은 전치 상관(transposition correlation)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 내의 2개의 예측 방향의 기하학적 상관은 기준 예측 방향을 따르는 대칭 상관이다. 기준 예측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예측 방향은 수평 방향인 예측 방향 1일 수 있고, 수직 방향인 예측 방향 0일 수 있다.
504: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양자화 변환 계수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캐닝 프로세스를 통해 1차원 데이터가 획득된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할 수 있고,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리버스 스캐닝 방법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리버스 스캐닝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디코딩 장치 내의 리버스 스캐닝 장치의 프로세스 흐름에 대해 실시예에서 설명할 것이며, 실시예는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601: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 및 예측 방향을 획득하고, 여기서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 및 예측 방향은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을 통해 획득된다.
602: 예측 방향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며, 여기서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한다.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은 기하학적 상관 및/또는 근접 관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개의 예측 방향 중 2개의 예측 방향의 기하학적 상관은 전치 상관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 내의 2개의 예측 방향의 기하학적 상관은 기준 예측 방향을 따르는 대칭 상관이다. 기준 예측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예측 방향은 수평 방향인 예측 방향 1일 수 있고, 수직 방향인 예측 방향 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개의 예측 방향의 기하학적 상관이 전치 상관일 때, 2개의 예측 방향은 2개의 스캐닝 순서에 대응할 수 있다.
603: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검색된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에 대해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통해 2차원 데이터가 획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예측 방향의 기하학적 상관은 전치 상관일 수 있으며, 2개의 예측 방향은 단지 하나의 스캐닝 순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예측 방향 중 제1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는 예측 방향 및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 저장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이 제1 예측 방향일 때,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에 대해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획득된 2차원 데이터는 역변환 프로세스를 위해 직접 출력될 수 있고,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이 2개의 예측 방향 중 제2 예측 방향일 때,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리버스 스캐닝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04: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통해 획득된 2차원 데이터의 수평 좌표와 수직 좌표를 교환한다.
즉, 획득된 2차원 데이터의 좌표 (x,y)를 (y,x)로 변경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할 수 있고,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예측 방향의 기하학적 상관이 전치 상관일 때, 2개의 예측 방향은 단지 하나의 스캐닝 순서에 대응할 수 있고, 스캐닝 시에 출력되는 좌표 (x,y)를 (y,x)로 변경함으로써 정확한 리버스 스캐닝 출력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스캐닝 순서의 수가 더 감소할 수 있고, 디코딩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더 감소한다.
이하에서는, 4*4 크기 이미지 블록을 예로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리버스 스캐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에서는, 현재 44 블록의 엔트로피 디코딩 및 엔트로피 디코딩을 통해 획득되는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 후, 입력 데이터가 16개의 변환 계수이고, 출력 데이터는 2차원 어레이 a이며, 여기서 각각의 값은 현재 4*4 블록의 각각의 주파수의 진폭에 대응한다.
표 1에 나타나 있는 예측 방향 및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를 예로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측 방향 및 특정한 스캐닝 순서 간의 매핑 관계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Idx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0,1 a00 a01 a02 a10 a11 a20 a03 a12 a21 a22 a13 a30 a31 a23 a32 a33
3,4 a00 a01 a10 a02 a11 a20 a12 a21 a03 a22 a13 a30 a31 a23 a32 a33
5,6,7,8 a00 a01 a02 a11 a02 a20 a21 a12 a22 a30 a03 a13 a31 a32 a23 a33
표 4에서, Idx는 예측 방향의 색인 값이며, axy는 2차원 배열 위치 a의 (x,y) 위치를 나타낸다.
리버스 스캐닝 동안, 현재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는 표 4에 도시된 예측 방향 및 스캐닝 순서의 표에 따라 검색될 수 있고, 리버스 스캐닝은 검색된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입력 변환 계수에 대해 수행되고, 이에 따라 1차원 변환 계수의 진폭은 2차원 어레이 내의 특정한 위치에 대응한다.
예측 방향 0 및 1에 있어서, 예측 방향 0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가 표 4에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표 4에서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리버스 스캐닝을 수행할 때, 예측 방향이 0이면, 스캐닝 출력 결과는 직접 획득될 수 있고, 예측 방향이 1이면, 각각의 대응하는 스캐닝된 위치와 2차원 배열 간의 상관은 전치 상관이고, 획득된 좌표 (x,y)를 (y,x)로 변환해야 스캐닝 출력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간단한 교환 모듈을 부가함으로써, 스캐닝 표를 저장하거나 스캐닝 표를 갱신하는 유닛이 절감되며, 따라서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더 감소한다.
예측 방향 3,4,5,6,7, 및 8에 있어서는, 표 4에서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리버스 스캐닝을 통해 (x,y)의 값을 획득하여, 출력 결과 a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할 수 있고,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또한, 표 1에 나타나 있는 예측 방향 및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를 예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예측 방향 및 특정한 스캐닝 순서 간의 매핑 관계가 표 5에 나타나 있다.
Idx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0 a00 a01 a02 a10 a11 a20 a03 a12 a21 a22 a13 a30 a31 a23 a32 a33
1 a00 a10 a20 a01 a11 a02 a30 a21 a12 a22 a31 a03 a13 a32 a23 a33
3,4 a00 a01 a10 a02 a11 a20 a12 a21 a03 a22 a13 a30 a31 a23 a32 a33
5,6,7,8 a00 a01 a02 a11 a02 a20 a21 a12 a22 a30 a03 a13 a31 a32 a23 a33
표 5에서, Idx는 예측 방향의 색인 값이며, axy는 2차원 배열 위치 a의 (x,y) 위치를 나타낸다.
리버스 스캐닝 동안, 현재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는 표 5에 도시된 예측 방향 및 스캐닝 순서의 표에 따라 검색될 수 있다. 리버스 스캐닝은 검색된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입력 변환 계수에 대해 수행되고, 이에 따라 1차원 변환 계수의 진폭은 2차원 어레이 내의 특정한 위치에 대응한다.
예측 방향 0 및 1에 있어서, 예측 방향 0 및 예측 방향 1의 스캐닝 순서가 표 5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표 5에서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리버스 스캐닝을 수행할 때, 예측 방향이 0이면, 스캐닝 출력 결과는 직접 획득될 수 있고, 예측 방향이 1이면, 마찬가지로 스캐닝 출력 결과가 직접 획득될 수 있다. 표 4에서 설명된 예측 방향 및 특정한 스캐닝 순서 간의 매핑 관계와는 달리, 예측 방향이 1일 때, 획득된 좌표 (x,y)를 (y,x)로 변환하지 않고서도 스캐닝 출력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예측 방향 3,4,5,6,7, 및 8에 있어서는, 표 5에서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리버스 스캐닝을 통해 (x,y)의 값을 획득하여, 출력 결과 a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할 수 있고,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딩 방법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도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예측 장치는 현재 블록의 특성에 따라, 예측 방향 1, 예측 방향 2, ..., 및 예측 방향 N을 선택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한다.
다음, 변환 장치는 예측 프로세스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대해 변환 양자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환 양자화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변환 기반(transform bases) 및 예측 방향이 일대일 매핑 관계이면, 예측 프로세스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는 변환 양자화 프로세스를 위한 대응하는 변환 기반에 직접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 양자화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변환 기반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 이 경우, 복수의 예측 방향은 동일한 변환 기반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변환 장치는 변환 방향 및 변환 기반 간의 매핑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변환 방향 및 변환 기반 간의 매핑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변환 기반을 직접 검색하여 변환 양자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변환 기반은 변환 기반 1, 변환 기반 2, ..., 및 변환 기반 M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 기반의 수는 1이다.
또 다음, 스캐닝 장치는 변환 양자화 프로세스가 수행된 데이터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변환 기반 및 스캐닝 순서가 일대일 매핑 관계이고, 즉, 변환 기반의 수 및 스캐닝 순서의 수는 동일하다. 이 경우,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에 따라, 변환 양자화 프로세스가 수행된 데이터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가 직접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측 방향의 수가 변환 기반의 수보다 크고, 변환 기반의 수는 스캐닝 순서의 수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캐닝 장치는 변환 양자화 프로세스를 수행한 데이터를 획득한 후, 예측 방향 및 스캐닝 순서 간의 매핑 관계로부터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스캐닝 순서는 스캐닝 순서 1, 스캐닝 순서 2, ... 및 스캐닝 순서 S 중에서 선택된다. 이때, 예측 방향의 수는 변환 기반의 수보다 크고, 예측 방향의 수는 스캐닝 순서의 수보다 작으며, 여기서 N > M, N > S이다.
결국, 엔트로피 코딩 장치는 스캐닝 프로세스가 수행된 데이터에 대해 엔트로피 코딩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할 수 있고,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코딩 방법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도이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엔트로피 디코딩 장치는 디코딩을 통해 1차원 데이터 및 예측 방향을 획득한다.
다음, 리버스 스캐닝 장치는 예측 방향에 따라, 예측 방향 및 스캐닝 순서 간의 매핑 관계로부터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스캐닝 순서는 스캐닝 순서 1, 스캐닝 순서 2, ..., 및 스캐닝 순서 S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음, 리버스 변환 장치는 리버스 스캐닝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대해 리버스 변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버스 스캐닝 장치는 예측 방향에 따라 리버스 변환 기반 1, 리버스 변환 기반 2, ..., 및 리버스 변환 기반 M 중에서 변환 기반을 선택하여 리버스 변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예측 보상 유닛은 예측 보상 방향 1, 예측 보상 방향 2, ..., 및 예측 보상 방향 N 중에서 예측 보상 방향을 선택하여 예측 보상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여기서 N > M, N > S이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할 수 있고,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와 같이,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방법을 일련의 동작 조합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설명된 동작 시퀀스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라, 일부의 단계는 다른 시퀀스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 실시예이며, 포함된 동작 및 장치는 본 발명에 필수불가결한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캐닝 장치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캐닝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의 스캐닝 장치는 수신 유닛(901), 획득 유닛(902), 검색 유닛(903), 및 스캐닝 유닛(904)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901)은 현재 블록의 양자화 변환 계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획득 유닛(902)은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색 유닛(903)은 획득 유닛(902)에 의해 획득된 예측 방향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한다.
스캐닝 유닛(904)은 검색 유닛(903)에 의해 검색되고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수신 유닛(901)에 의해 수신되는 양자화 변환 계수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할 수 있고,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리버스 스캐닝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의 리버스 스캐닝 장치는 획득 유닛(1001), 검색 유닛(1002), 및 리버스 스캐닝 유닛(1003)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1001)은 엔트로피 디코딩을 통해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 및 예측 방향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색 유닛(1002)은 획득 유닛(1001)에 의해 획득된 예측 방향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치 상관을 가지는 2개의 예측 방향 중 제1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는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 저장되어 있고, 획득 유닛(1001)에 의해 획득된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은 전치 상관을 가지는 2개의 예측 방향 중 제1 예측 방향이며,
리버스 스캐닝 장치는,
상기 리버스 스캐닝 유닛(1003)에 의해 획득된 2차원 데이터의 수평 좌표와 수직 좌표를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교환 유닛(1004)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때,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할 수 있고, 예측 방향과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며, 즉 스캐닝 순서의 수는 예측 방향의 수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성능을 유지하면서 스캐닝 순서가 감소하고, 코덱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감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예측 방향의 기하학적 상관이 전치 상관일 때, 2개의 예측 방향은 단지 하나의 스캐닝 순서에 대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캐닝 순서의 수가 더 감소하고, 디코딩 시스템의 시스템 복잡도가 더 감소한다.
시스템 내의 전술한 장치와 각각의 장치 간의 정보 상호작용 및 실행 프로세스와 같은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특정한 내용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반복설명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 하에 관련 하드웨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저장 매체는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등이 될 수 있다.
특정한 경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원리 및 실행 방법을 설명하였다.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 및 핵심 개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한편,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특정한 실행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범위에 대해 변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명세서의 내용은 본 발명의 제한으로서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3)

  1. 스캐닝 방법에 있어서,
    현재 블록의 양자화 변환 계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mapping relationship table)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계수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은 기하학적 상관 관계(geometric correlation relationship) 및/또는 근접 관계(proximity relationship)를 가지는, 스캐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 중 2개의 예측 방향 간의 상기 기하학적 상관 관계는 전치 상관(transposition correlation)이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 중 2개의 예측 방향 간의 상기 기하학적 상관 관계는 기준 예측 방향을 따르는 대칭 상관인, 스캐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예측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인, 스캐닝 방법.
  5. 리버스 스캐닝 방법에 있어서,
    엔트로피 디코딩(entropy decoding)을 통해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 및 예측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1차원 신호에 대해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리버스 스캐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은 기하학적 상관 관계 및/또는 근접 관계를 가지는, 스캐닝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 중 2개의 예측 방향 간의 상기 기하학적 상관 관계는 전치 상관인, 리버스 스캐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상관을 가지는 상기 2개의 예측 방향 중 제1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는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현재 블록의 상기 예측 방향은 상기 전치 상관을 가지는 상기 2개의 예측 방향 중 제2 예측 방향이며,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1차원 신호에 대해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통해 획득된 2차원 데이터의 수평 좌표와 수직 좌표를 교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버스 스캐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 중 2개의 예측 방향 간의 상기 기하학적 상관 관계는 기준 예측 방향을 따르는 대칭 상관인, 리버스 스캐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예측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인, 리버스 스캐닝 방법.
  11. 스캐닝 장치에 있어서,
    현재 블록의 양자화 변환 계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유닛;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검색 유닛; 및
    상기 검색 유닛에 의해 검색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계수에 대해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캐닝 유닛
    을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12. 리버스 스캐닝 장치에 있어서,
    엔트로피 디코딩을 통해 현재 블록의 1차원 신호 및 예측 방향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획득 유닛;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 검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스캐닝 순서는 적어도 2개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검색 유닛; 및
    상기 검색 유닛에 의해 검색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되는 1차원 신호에 대해 리버스 스캐닝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버스 스캐닝 유닛
    을 포함하는 리버스 스캐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전치 상관을 가지는 2개의 예측 방향 중 제1 예측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스캐닝 순서는 상기 예측 방향과 상기 스캐닝 순서의 매핑 관계 표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획득 유닛에 의해 획득된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방향은 상기 전치 상관을 가지는 상기 2개의 예측 방향 중 제1 예측 방향이며,
    상기 리버스 스캐닝 장치는,
    상기 리버스 스캐닝 유닛에 의해 획득된 2차원 데이터의 수평 좌표와 수직 좌표를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교환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리버스 스캐닝 장치.
KR1020137007157A 2010-09-30 2011-05-24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 KR101443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5059323A CN102447895B (zh) 2010-09-30 2010-09-30 扫描方法及装置、反扫描方法及装置
CN201010505932.3 2010-09-30
PCT/CN2011/074558 WO2011137814A1 (zh) 2010-09-30 2011-05-24 扫描方法及装置、反扫描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995A true KR20130062995A (ko) 2013-06-13
KR101443172B1 KR101443172B1 (ko) 2014-09-23

Family

ID=4490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157A KR101443172B1 (ko) 2010-09-30 2011-05-24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37531B2 (ko)
EP (1) EP2608544B1 (ko)
JP (2) JP5580483B2 (ko)
KR (1) KR101443172B1 (ko)
CN (1) CN102447895B (ko)
AU (1) AU2011250398B2 (ko)
BR (1) BR112013007096B1 (ko)
CA (1) CA2811254C (ko)
RU (1) RU2544788C2 (ko)
WO (1) WO20111378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2477B2 (en) 2013-10-28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encoding with sign data hi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1535A (en) 2012-04-26 2013-10-30 Sony Corp Chrominance Processing in High Efficiency Video Codecs
CN110999293B (zh) 2017-07-31 2022-11-04 韩国电子通信研究院 图像编码/解码方法和装置以及存储比特流的记录介质
US11102490B2 (en) 2018-12-31 2021-08-24 Tencent America LLC Coefficient scanning methods on adaptive angle mod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6570B2 (ja) * 1990-05-02 1998-02-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
EP1887804A3 (en) 1996-09-20 2009-10-07 AT&T Corp. Video coder providing implicit coefficient predication and scan adaption for image coding and intra coding of video
US5959872A (en) 1996-10-28 1999-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scanning of video coefficients
JP2001117909A (ja) * 1999-10-21 2001-04-27 Oki Electric Ind Co Ltd マトリクス形式データの転置回路
US6711211B1 (en) * 2000-05-08 2004-03-23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information, a motion compensated video encoder and a corresponding decoder
KR100468844B1 (ko) * 2002-01-07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변환계수들의 최적주사방법
KR101108661B1 (ko) * 2002-03-15 2012-01-25 노키아 코포레이션 비디오 시퀀스에서의 움직임 부호화 방법
US6795584B2 (en) * 2002-10-03 2004-09-21 Nokia Corporation Context-based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for adaptive block transforms
CN1225126C (zh) * 2002-10-09 2005-10-26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用于视频编码的新型空间预测方法及其装置
US7688894B2 (en) * 2003-09-07 2010-03-30 Microsoft Corporation Scan patterns for interlaced video content
US20050213835A1 (en) * 2004-03-18 2005-09-29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And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er transform matrix selection method in video coding and related integer transform method
KR20050114751A (ko) 2004-06-01 2005-12-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측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US8311119B2 (en) 2004-12-31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coefficient scan order
CN1665301A (zh) * 2005-03-07 2005-09-07 清华大学 一种视频编解码中的自适应的扫描方法
JP2007043651A (ja) * 2005-07-05 2007-02-15 Ntt Docomo Inc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動画像復号装置、動画像復号方法及び動画像復号プログラム
US7933337B2 (en) 2005-08-12 2011-04-26 Microsoft Corporation Predic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for image compression
EP2733951A1 (en) * 2005-10-21 2014-05-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coding moving picture using adaptive scanning
WO2008020672A1 (en) * 2006-08-17 2008-02-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using adaptive dct coefficient scanning based on pixel similarity and method therefor
WO2008120434A1 (ja) * 2007-03-28 2008-10-09 Panasonic Corporation 復号化回路、復号化方法、符号化回路及び符号化方法
US8428133B2 (en) * 2007-06-15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coding of video block prediction mode
US8571104B2 (en) 2007-06-15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coefficient scanning in video coding
JP2009027541A (ja) * 2007-07-20 2009-02-05 Ntt Docomo Inc 画像符号化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復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9045636A2 (en) * 2007-09-28 2009-04-0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media coding and decoding with additional information capability
KR20090129926A (ko) 2008-06-13 2009-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EP2182732A1 (en) 2008-10-28 2010-05-05 Panasonic Corporation Switching between scans in image coding
WO2011080806A1 (ja) 2009-12-28 2011-07-07 富士通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2477B2 (en) 2013-10-28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encoding with sign data hi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44788C2 (ru) 2015-03-20
AU2011250398B2 (en) 2015-05-21
BR112013007096A2 (pt) 2018-12-11
JP6018130B2 (ja) 2016-11-02
CA2811254A1 (en) 2011-11-10
KR101443172B1 (ko) 2014-09-23
EP2608544B1 (en) 2017-03-01
WO2011137814A1 (zh) 2011-11-10
CN102447895B (zh) 2013-10-02
EP2608544A4 (en) 2013-08-28
EP2608544A1 (en) 2013-06-26
AU2011250398A1 (en) 2013-04-11
US20130215964A1 (en) 2013-08-22
JP2013542654A (ja) 2013-11-21
CN102447895A (zh) 2012-05-09
BR112013007096B1 (pt) 2021-02-23
CA2811254C (en) 2017-01-10
RU2013120076A (ru) 2014-11-10
JP5580483B2 (ja) 2014-08-27
US9137531B2 (en) 2015-09-15
JP2014209789A (ja)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809B2 (en)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apparatuses with multiple image block division manners
CN108293113B (zh) 图像编码系统中的基于建模的图像解码方法和设备
US11265549B2 (en) Method for image coding us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 and apparatus thereof
EP3677027B1 (en) Mixing of probabilities for entropy coding in video compression
CN110169073A (zh) 用于视频编解码的解码器侧运动向量恢复
WO2011099080A1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
JP2013502624A (ja) メディアデータ符号化用8点変換
US113686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signing low-complexity calculation DST7
KR20130128463A (ko) 변환 계수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1443172B1 (ko) 스캐닝 방법 및 장치, 리버스 스캐닝 방법 및 장치
US116221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 prediction in video coding system
CN108200439B (zh) 提高数字信号变换性能的方法及数字信号变换方法和装置
US10951894B2 (en) Transform block-level scan order selection for video coding
US9667958B2 (en) Image 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06954070B (zh) 一种滑动像素块整数dct核心矩阵变换运动补偿器及方法
KR102610110B1 (ko) 비디오 처리 시스템에서 인터 예측 방법 및 장치
Li et al. Flexible Coding Order for Learned Image Compression
Ramkumar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low complexity lossless compression scheme for medical image sequ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