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866A -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866A
KR20130061866A KR1020110128145A KR20110128145A KR20130061866A KR 20130061866 A KR20130061866 A KR 20130061866A KR 1020110128145 A KR1020110128145 A KR 1020110128145A KR 20110128145 A KR20110128145 A KR 20110128145A KR 20130061866 A KR20130061866 A KR 2013006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ssembly
leg
guide
hole
reinforc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579B1 (ko
Inventor
김명성
김규인
황성현
배명현
이정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는 선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장착되며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레그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보강판; 및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를 상호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Guide Assembly For Leg of Vessel and Install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 설치선 등에 구비되는 레그용 가이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짧은 몇 m의 소형선은 주(舟)·정(艇)·단정(端艇) 등으로 부르고, 그보다 큰 것은 배·선박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국에서는 현재 법규상 총톤수 5t 이상의 것을 선박으로 취급하고 있지만, 세계적으로는 영국선급협회(Lloyd’s Register of shipping)가 배의 통계자료로 채택하고 있는 총톤수 100t 이상의 강선(鋼船)을 선박으로 취급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은 일반적으로 화물, 여객을 운반하는 기능을 위주로 하지만 다양한 목적을 갖는 전용 선박이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할 수 있는 전용선박인 풍력발전기 설치선(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이 있다.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지상에 준비된 재료를 싣고 해상으로 이동한 후, 재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배가 조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정박되어야 한다. 즉,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박이 수면 위로 들어 올려져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레그(leg)이다. 레그는 선체로부터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대형선의 경우에는, 통상 선체를 다수개의 블록구조물로 나누어서 개별 제작한 후에 완성된 블록구조물들을 도크(Dock)에서 조립해서 선박을 완성하는 건조 방식을 취하고 있다. 풍력발전기 설치선 또한 도크에서의 건조 과정 중에 레그를 장착하게 된다.
그런데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장착되는 레그는 매우 큰 하중을 갖는 중량물이므로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 선체를 마모시키거나 파손시킬 우려가 있어 선박의 건조 단계에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선박의 건조시 레그의 이동을 안내하며 레그로부터 선체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선박에 설치하고 있으나 중량물인 가이드를 이동, 운반, 용접하여 설치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운반, 보관이 용이하고 선박의 건조 단계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인 시공을 기대할 수 있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장착되며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레그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의 보강판; 및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를 상호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하부가이드에 각각 용접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는 연강(Mild Steel) 재질을 가지며, 상기 보강판은 상기 하부가이드보다 경도가 큰 HARDOX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부가이드들이 상기 관통홀에 용접되는 면, 상기 레그를 향해 노출되는 면, 상기 하부가이드들의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 또는 상기 보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그는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부 및 상기 보강판의 상부 영역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러그와, 상기 보강판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는 하부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러그는 상기 보강판의 수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하부가이드에 각각 보강판을 용접하는 단계; 상기 보강판이 용접된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들을 서로 이격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들을 브라켓으로 고정하여 가이드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조립체를 관통홀에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조립체를 관통홀에 용접하는 단계 이전의 단계들 중 어느 한 단계에서는 크레인의 후크와 연결할 수 있는 하부가이드 또는 보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러그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조립체를 관통홀에 용접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러그와 상기 브라켓을 제거하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화된 가이드조립체를 선체에 이동, 설치, 철거 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선박의 건조를 가능하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대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의 가이드조립체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4의 "B" 영역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는 선박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선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용 가이드조립체가 적용된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 설치선(10)은 풍력발전기(미도시)를 해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선체(100)를 해수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승시켜 파도로부터 선체(100)가 흔들리지 않고 정박해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풍력발전기 설치선(10)은 관통홀(200)이 장착된 선체(100)와, 관통홀(200)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레그(3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인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20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00)은 선체(100)의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선체(100)의 균형을 맞추도록 본 실시예처럼 선체(100)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3개씩 모두 6개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관통홀(2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도 변형실시 가능하다.
레그(300)는 관통홀(2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6개의 관통홀(200)에는 6개의 레그(30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레그(300)는 선박의 이동시 선체(100)의 상부로부터 상승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의 설치작업시 선체(100)의 하부로 하강하여 선체(100)를 해수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그(3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랙-피니언과 같은 레그이송수단이 선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레그이송수단은 랙-피니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인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300)는 그 단면이 3개의 꼭지점을 갖는 삼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레그(300)가 삽입되는 관통홀(200)은 레그(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300)의 각 꼭지점이 관통홀(200)의 각 변에 대응되도록 관통홀(200)의 단면은 6각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레그(300)는 관통홀(200)에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레그(300)와 관통홀(200)의 형상 및 배치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능할 것이다.
한편, 레그(300)가 삽입되는 관통홀(200)의 내주면에는 레그(300)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면서 레그(300)의 이동시 충격으로부터 선체(100)의 마모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조립체(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조립체(400)는 레그(300)의 단면 꼭지점 영역에 인접 배치되도록 상기 관통홀(200)의 내주면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조립체(400)는 각 관통홀(200) 마다 관통홀(200)을 형성하는 선체(100)의 벽면에 3개가 부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200), 레그(300)가 6개이므로 가이드조립체(400)는 18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가이드조립체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4의 "B" 영역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조립체(400)는 보다 상세하게는 레그(30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강판(600)과, 보강판(600)을 지지하며 관통홀(200)에 부착되는 하부가이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300)의 각 꼭지점 영역이 개재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한 쌍(510, 53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는 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들은 관통홀(200)이 형성된 선체(100)의 내주면에 용접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용접으로 선체(100)에 장착되는 하부가이드(500)의 면적(도 5의 상부영역)이 레그(300, 도 3 참조)를 향해 노출되는 부위의 면적(도 5의 하부영역)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즉, 각 하부가이드(500)의 단면 형상은 윗변이 아랫변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하부가이드(50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가능할 것이다.
보강판(600)은 전술한 각 하부가이드(500)에 각각 부착되도록 한 쌍(610, 6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판(600)은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보강판(600)은 레그(300)의 이동시 하부가이드(500)와 직접적으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레그(300)로 인한 선체(10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보강판(600)은 레그(300)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판(600)은 서로 이격된 공간을 가지며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들의 대향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보강판(600)은 각각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에 용접으로 미리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하부가이드(500)는 연강(Mild Steel)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보강판(600)은 하부가이드(500)보다 경도가 큰 HARDOX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판(600)은 HARDOX 500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관통홀(200)에 삽입된 레그(300)가 이동할 때 흔들림에 의해 보강판(600)에 접촉할 경우, 보강판(600)은 충격을 먼저 흡수해서 하부가이드(500) 및 선체(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고경도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판(600)은 레그(300)와의 마찰로부터 하부가이드(500) 및 선체(100)를 마모와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조립체(400)는 지상에서 제작된 후 관통홀(200)로 옮겨져 장착될 수 있다. 지상에서 제작될 때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와 보강판(600)들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들을 서로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800)은 각각 보강판(600)이 장착된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800)은 플레이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8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800)은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들의 마주보는 면인 이격된 공간 내부에 설치되거나(810번 참조), 하부가이드(500)들이 관통홀(200)에 용접면(820번 참조) 또는 레그(300)를 향해 노출되는 면(830번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브라켓(800)은 필요에 따라 하부가이드(500)들의 어느 영역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가이드조립체(400)가 관통홀(200)에 시공된 후에는 레그(3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브라켓(800)은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들의 이격거리를 유지함과 아울러 하부가이드(500), 보강판(600)들을 조립된 형태로 한번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일체로 조립된 형태를 갖는 가이드조립체(400)는 개별적으로 하부가이드(500), 보강판(600)들을 관통홀(200)에 용접 설치하는 불편함을 해소, 즉 선체(100)에 이동, 설치, 철거 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판(600)은 상기 가이드조립체(400)가 관통홀(200)에 장착된 후 상기 레그(30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와 보강판(600)이 하나의 구조체를 이루므로 강도가 높아져 하부가이드(500)와 보강판(600)이 각각 낱개로 관통홀(200)에 이송될 때에 비해서 변형이 적게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조립체(400)는 상기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 또는 상기 한 쌍의 보강판(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러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러그(700)는 가이드조립체(400)를 시공할 경우 크레인의 후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러그(700)에는 후크가 걸릴 수 있는 소정 크기의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러그(7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제1상부러그(710, 730)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600)의 상부 영역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제2상부러그와(740, 742)와, 보강판(600)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는 한 쌍의 하부러그(750, 7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러그(710,730,740,742,750,752)들은 필요에 따라 가이드조립체(400)의 시공후에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가이드(500)에 장착되는 제1상부러그(710, 730)는 가이드조립체(40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보강판(600)에 각각 설치되는 제2상부러그(740, 742) 및 하부러그(750, 752)는 시공시 가이드조립체(4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조지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러그(750, 752)는 보강판(600)의 수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조립체(400)를 관통홀(200)에 시공 시 제2상부러그(740, 742)와 하부러그(750, 752)에는 각각 크레인의 후크가 걸려진 상태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각 후크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는데, 하부러그(750, 752)가 제2상부러그(740, 742)보다 돌출된 위치에 있게 되므로 하부러그(750, 752)에 후크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상부러그(740, 742)와 하부러그(750, 752)에는 연결되어진 각각의 와이어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가이드조립체(400)의 시공시 보강판(600)의 용접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화된 가이드조립체(400)를 사용하지 않고 각 하부가이드(500), 보강판(600)들을 일일이 운반하여 관통홀(200)에 개별적으로 용접 시공할 경우에는 작업이 그만큼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 부재들이 변형될 수 있는 우려와 정확한 위치에 시공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므로 많은 작업 소요시간 및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조립체(400)를 설치하는 동안 선박의 건조에 사용되는 도크(Dock)에서 다른 선박을 제조할 수 있는 시간의 손실로 이어져 선박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 및 한 쌍의 보강판이 일체로 제작된 가이드조립체를 이용함으로써 선체에 이동, 설치, 철거 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제조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조립체(400)를 관통홀(200)에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에 각각 보강판(600)을 용접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각각의 보강판(600)은 각각의 하부가이드(500)의 일면에 용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강판(600)이 용접된 하부가이드(500)들을 서로 이격배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들의 이격거리는 레그(300)의 인접위치를 고려하여 그 길이가 조정될 수 있으며, 각 하부가이드(500)에 장착된 보강판(60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한 쌍의 하부가이드(500)들을 브라켓(800)으로 고정하여 가이드조립체(400)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800)은 하부가이드(500)들의 이격된 공간에 장착되거나 하부가이드(500)의 일면 또는 양측면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모듈을 이루도록 일체로 조립된 가이드조립체(400)를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선체(100)에 형성된 관통홀(200) 내부로 이송시켜 용접함으로써 가이드조립체(400)의 장착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200)에 설치하기 위해 가이드조립체(400)에는 전술한 단계들 중 어느 한 단계에서 크레인의 후크와 연결할 수 있는 러그(700)를 더 장착할 수 있다.
가이드조립체(400)를 관통홀(200)에 용접하는 단계 이후에는 러그(700)와 브라켓(800)을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하부가이드 및 한 쌍의 보강판이 일체로 제작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용 가이드조립체는 선박의 건조시 이동, 설치, 철거 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선박의 건조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풍력발전기 설치선 100 : 선체
200 : 관통홀 300 : 레그
400 : 가이드조립체 500 : 하부가이드
600 : 보강판 700 : 러그
800 : 브라켓

Claims (10)

  1. 선체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장착되며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하부가이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레그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에 각각 장착되는 보강판; 및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를 상호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하부가이드에 각각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는 연강(Mild Steel) 재질을 가지며, 상기 보강판은 상기 하부가이드보다 경도가 큰 HARDOX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하부가이드들이 상기 관통홀에 용접되는 면, 상기 레그를 향해 노출되는 면, 상기 하부가이드들의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 또는 상기 보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부 및 상기 보강판의 상부 영역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러그와, 상기 보강판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는 하부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러그는 상기 보강판의 수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8. 복수개의 하부가이드에 각각 보강판을 용접하는 단계;
    상기 보강판이 용접된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들을 서로 이격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하부가이드들을 브라켓으로 결합하여 가이드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조립체를 관통홀에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의 설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조립체를 관통홀에 용접하는 단계 이전의 단계들 중 어느 한 단계에서는 크레인의 후크와 연결할 수 있는 하부가이드 또는 보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러그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의 설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조립체를 관통홀에 용접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러그와 상기 브라켓을 제거하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20110128145A 2011-12-02 2011-12-02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32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145A KR101324579B1 (ko) 2011-12-02 2011-12-02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145A KR101324579B1 (ko) 2011-12-02 2011-12-02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866A true KR20130061866A (ko) 2013-06-12
KR101324579B1 KR101324579B1 (ko) 2013-11-01

Family

ID=4885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145A KR101324579B1 (ko) 2011-12-02 2011-12-02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64B1 (ko) * 2014-05-19 2015-04-10 흥우건설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기의 설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플로팅도크
KR101699327B1 (ko) * 2015-08-31 2017-0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 리그 잭킹 구조물의 수직도 유지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3604B2 (ja) 1999-05-14 2003-11-05 鹿島建設株式会社 ドルフィンの施工方法
JP2001049650A (ja) 1999-08-05 2001-02-20 Kawasaki Steel Corp 鋼製海洋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864B1 (ko) * 2014-05-19 2015-04-10 흥우건설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기의 설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플로팅도크
KR101699327B1 (ko) * 2015-08-31 2017-0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잭업 리그 잭킹 구조물의 수직도 유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579B1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0653A (ja) 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に使用する予備製作された金属壁部品および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の構築方法
KR20090109698A (ko)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1069782B1 (ko) 공동수조에 모형선을 설치하는 방법 및 모형선과 페어링 플레이트의 결합체
KR101324579B1 (ko)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CN104803293A (zh) 桥式起重机的吊梁
JP2018140723A (ja) デッキクレーンの設置構造及び船舶
JP6401937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WO2022029116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wind turbine tower
KR20120051486A (ko) 유조선의 액화 가스연료 탱크용 플랫폼
KR20130036578A (ko) 트러스 구조가 적용된 선박의 외부 계류 터렛 시스템용 캔틸레버
KR20140055306A (ko) 해양 구조물 탑사이드의 보조 모듈 설치구조와 그 방법
KR20140052165A (ko) 선박의 안벽 계류방법
KR20130073117A (ko) 해상 타워구조물 설치방법
US20230098821A1 (en) Tower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comprising a cra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tower
KR20140033928A (ko) 컨테이너 운반선 및 그것의 선체 구조
KR101812847B1 (ko) 트럭 스케일
CN209816667U (zh) 一种用于防撞钢套箱整体吊装的吊耳结构
KR101348621B1 (ko)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
JP4700980B2 (ja) ギャングウエイタワーのリプレース方法
JP2009196758A (ja) デッキクレーンの試運転用架台
KR101608010B1 (ko)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KR101313243B1 (ko) 그레이팅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20120077938A (ko) 선박용 해치커버 조립부재 리프팅 지그
KR20150145776A (ko) 해상 풍력발전기 조립 및 설치용 선박
KR101580802B1 (ko) 패널 인양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