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813A -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813A
KR20130061813A KR1020110128069A KR20110128069A KR20130061813A KR 20130061813 A KR20130061813 A KR 20130061813A KR 1020110128069 A KR1020110128069 A KR 1020110128069A KR 20110128069 A KR20110128069 A KR 20110128069A KR 20130061813 A KR20130061813 A KR 20130061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enter
input link
gea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96614B1 (en
Inventor
신용철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토스
Priority to KR102011012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614B1/en
Publication of KR2013006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8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6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otor-driven two-wheeled vehicle with a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is provided to have a compact size even through a motor is embedded. CONSTITUTION: A motor-driven two-wheeled vehicle comprises a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100). Th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comprises an input link(60), and a lever crank tool for coupling multiple coupler links(90) and multiple output links(70). A case(50) is inscribed in a hub of a driving wheel. A fixed central shaft(21) with a same central line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ing wheel is rotationally inscribed in the case. The input link rotationally inscribed in the fixed central shaft is rotated by a motor(30) rotationally inscribed in the case.

Description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전동이륜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는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tor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motorcycle provided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통상의 이륜차는 차체의 전·후에 차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중앙 하부에 내연기관이 설치되어, 그 내연기관의 동력으로 주행되고 있다. In a conventional two-wheeled vehicle, the wheels are rotatably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body,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install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vehicle body, and is driven by the pow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이와 같은 이륜차는 내연기관이 휘발유를 연료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유해가스와 배기 소음이 발생된다.In such a motorcycle, since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es gasoline as fuel, harmful gas and exhaust noise are generated by combustion of the fuel.

최근에는 대기 공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이륜차도 일부 전기식으로의 전환이 되고 있으며, 상기 전기식 이륜자동차는 통상적으로 상기 내연기관식 이륜자동차의 내연기관 설치위치에 배터리를 구비하고, 후륜의 축에 구동 모터를 설치하고 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모터에 속도 제어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속도 제어수단을 액셀러레이터 그립의 회전량(개폐량)에 의하여 제어하고 있다.Recently, as the air pollution has become a social problem, two-wheeled vehicles have been converted to some types of electric vehicles. The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typically have a battery at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type two-wheeled vehicle, In addition to providing a drive motor, a speed control means is provided in the drive motor to control the speed control means by the rotation amount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accelerator grip.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은 고회전력으로 출력되지만 힘(토크)이 적다. 따라서, 대부분의 이륜차는 감속장치를 이용하여 토크를 증가시켜 작동하게 된다.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motor is output with high rotational power, but the force (torque) is low. Therefore, most two-wheeled vehicles operate by increasing torque using a reduction gear.

여기서,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대신 토크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토크를 증가시켜 출력하게 되나, 출력축에 가해지는 부하가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클 경우 부하가 동력발생원인 모터에 역으로 작용함으로써 모터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Here, the reducer increases torque instead of slowing down the number of revolutions transmitted from the power generator. However, the reducer reduces the rotation speed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and increases the torque and outputs the same. However,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output shaft is greater than the output torque of the output shaft, the load acts inversely on the motor generating the power. There is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motor.

그리고,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큰 부하가 모터에 역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목표하는 출력을 출력축으로 공급하지 못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전동이륜차는 큰 용량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어서, 전동이륜차의 제조단가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를 가진다. In addition, since a load larger than the output torque of the output shaft acts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motor, a target output cannot be supplied to the output shaf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ventional electric motorcycle has a large capacity battery,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 motorcycle. It has a problem of increasing.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출력축과 구동륜 사이에 무단변속장치가 필요된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required between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and the driving wheel.

상기 무단변속장치들중 일예로서 레버크랭크기구를 이용한 무단변속장치가 있다.One example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is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a lever crank mechanism.

이 무단변속장치는 모터에 의해 일방향회전운동하게 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외부에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 사이에 레버 크랭크기구가 개재되어 있다.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es a lever crank mechanism between an input shaft whic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motor and an output shaft which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input shaft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outside.

이 레버 크랭크기구는 입력축의 일방향 회전운동을 출력축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선회운동하게 하는 공지의 기구이며, 이러한 공지의 기구를 이용하여 장치는 예를 들면, 와이퍼 구동장치가 해당 될 수 있다.The lever crank mechanism is a known mechanism for causing the one-way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put shaft to make the output shaft reciprocate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By using such a known mechanism, the device may be, for example, a wiper drive device.

하지만, 상기 레버 크랭크 기구를 이용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전체적인 크기가 비대해져서 이륜차의 구동륜의 허브에 장전하는 경우, 두드러지게 돌출되게 되어, 이륜차의 외관을 해친다고 하는 문제를 가진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the lever crank mechanism has a problem that when the entire size is enlarged and loaded into the hub of the driving wheel of the motorcycle, it protrudes prominently, thereby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of the motorcycl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입력링크, 복수개의 커플러링크 및 상기 커플러링크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출력링크를 서로 링크결합하고 있는 레버 크랭크기구를 이용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한 전동이륜차에서, 상기 입력링크가 상기 무단변속장치에 내장된 전동기에 의해 자전운동되게 하고, 상기 입력링크와 복수개의 커플러링크를 링크결합시키는 가변핀이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중심에서 편심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공전 및 자전운동되지 않게 하면서 부하에 따라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운동 반경방향에서 탄성적으로 가변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와 복수개의 출력링크를 링크결합시키는 링크핀과 그리고 일방향클러치베어링를 개재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의 출력축에 외접된 복수개의 클러치기어가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공전중심을 갖고서 공전되게 하고, 출력기어가 상기 복수개의 클러치기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having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a lever crank mechanism for linking an input link, a plurality of coupler links, and an output link equal to the number of coupler links. Is rotated by an electric motor embedded i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variable pin for link coupling the input link and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is not rotated or rotated in an eccentrically arranged state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link. While being elastically vari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of the input link according to the load, and the link pin for link coupling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and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and the output shaft of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through the one-way clutch bearing A plurality of clutch gears circumscribed to the same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link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having the idle center of revolution and engaging the output gears with the plurality of clutch gea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전동기가 내장된 상태에서 소형으로 유니트화된 무단변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전동기가 내장되어 있으면서도 외형적으로 비대해지지 않고 외관이 단순한 허브타입의 무단변속기를 구비한 전동이륜차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a compact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motor is built by the problem sol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It can provide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having a.

도 1은 본 실시예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가변핀과 고정축 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도 3은 도 1의 가변핀에 대한 확대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embodiment;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variable pin and the fixed shaft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pin of Figure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which ar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10)의 전·후에 전륜(11a) 및 후륜(11b)을 설치하고 차체(10)의 중앙하부에 배터리(13)를 설치하며, 상기 후륜(11b)의 허브에 본 실시예의 구동 모터를 내장한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100)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14)에, 핸들(12)에 설치한 액셀러레이터 그립(15)에 의하여 제어되는 주지된 속도 제어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서, 액셀러레이터 그립(15)을 조작(회전)하여 구동 모터의 속도를 제어토록 한 전기식 이륜자동차를 전제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front wheels 11a and the rear wheels 11b are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body 10, and the battery 13 is installed at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0. 11b) is provided with a hub type CVT 100 having a drive mo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embedded therein and controlled by an accelerator grip 15 provided in the handle 12 in the drive motor 14. It is assumed that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is provided with a known speed control means (not shown), which operates (rotates) the accelerator grip 15 to control the speed of the drive motor.

도 2에는 상기 후륜(11b)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될 수 있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가 부호 100으로 지시되어 있다.In Fig. 2,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can be fixedly inscribed to the hub of the rear wheel 11b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0.

상기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는, 고정 중심축(21); 상기 고정 중심축(21)이 관통되어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전동기(30); 및 베어링(41)을 개재하여 상기 전동기(30)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후륜(11b)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기(30)를 내장하고 있는 케이스(50)를 포함하고 있다.The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es a fixed central axis (21); An electric motor (30) through which the fixed central axis (21) penetrates and is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axis (21); And a case 50 that is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electric motor 30 via a bearing 41 and is fixedly inscribed to a hub of the rear wheel 11b and that houses the electric motor 30.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축선방향에서 일측으로 뻗어서 상기 케이스(50)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50)의 회전중심축선방향에서 타측으로 뻗어서 상기 케이스(50) 내에 위치되어 있다.One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extends to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case 50, protrudes out of the case 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is the case 50. It is located in the case 50 extending to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is.

상기 전동기(30)는, 상기 전동기(30)의 하우징(31)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고정자(32), 상기 고정자(3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배치되어 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회전자(33); 상기 회전자(33)에 커플링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입력기어(34) 및 상기 입력기어(34)에 치합하여 상기 케이스(50) 내에서 상기 입력기어(34)의 자전중심과 편위된 자전중심을 갖고서 자전하게 되는 감속기어(35)를 포함하고 있다.The electric motor 30 is disposed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stator 32 and the stator 32 fixedly inscribed in the housing 31 of the electric motor 30, and rotates on the fixed central axis 21. A rotor 33 possibly circumscribed; The input gear coupled to the rotor 33 and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shaft 21 and the input gear 34 to be engaged with the input gear 34 in the case 50. 34, the reduction gear 35 which rotates with the rotation center and the biased rotation center is included.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타단에는 베어링(42)을 개재한 상태에서 드럼형 입력링크(60)가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형 입력링크(60)은 상기 고정 중심축(21)과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 형성된 보스(51)에 베어링(44)을 개재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다. 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ral shaft 21, the drum-type input link 60 is rotatably circumscribed with respect to the fixed central shaft 21 in a state of interposing a bearing 42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drum-type input link 60 is rotatably circumscribed in a state in which a bearing 44 is interposed between a boss 51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50 facing the fixed central axis 21. .

상기 드럼형 입력링크(60)는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제1토큰형상부(61)과 제2토큰형상부(62) 및 상기 제1 및 제2토큰형상부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63)를 포함하고 있다. The drum-type input link 60 may include a first token shape portion 61 and a second token shape portion 6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central shaft 21, and the first and second token shapes. I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63 for coupling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감속기어(35)와 마주하는 상기 가변입력링크(60)의 제1토큰형상부(61)의 외면 테두리부에는 내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링형상의 랙기어(64)가 장착되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가지고서 상기 입력링크(60)와 함께 자전운동한다.A ring-shaped rack gear 64 having gear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mounted on an outer rim of the first token-shaped portion 61 of the variable input link 60 facing the reduction gear 35 so that the input link ( It has a rotational center equal to the rotational center of 60 to rotate with the input link (60).

상기 랙기어(64)와 상기 감속기어(35) 사이에는 피니언기어(36)가 개재되어 있다.A pinion gear 36 is interposed between the rack gear 64 and the reduction gear 35.

상기 피니언기어(36)는 상기 감속기어(35)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갖고서 그리고 상기 랙기어(64)의 자전중심과 편위된 중심을 갖고서 상기 감속기어(35)에 결합되어 상기 감속기어(35)와 함께 자전운동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랙기어(64)의 기어부와 치합하여 상기 랙기어(64)에 동력을 전달한다. The pinion gear 36 is coupled to the reduction gear 35 to have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duction gear 35 and has a center that is biased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rack gear 64. Rotating with 35, and is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of the rack gear 64 to transfer power to the rack gear (64).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타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운동반경방향으로 길다란 가이드레일홈(6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홈(65)에는 상기 가이드레일홈(65)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변핀(P1)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에서 편심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핀(P1)은 외부 부하에 의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운동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변가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변핀(P1)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홈(65)에 내장된 스프링 등과 같은 반력장치(S)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다.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as shown in Figure 3, a long guide rail groove 65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of the input link 60, the guide rail groove 65 In the guide rail groove 65, a variable pin (P1) movable along the eccentrically mounted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put link 60, the variable pin (P1) is the input link 60 by an external load In order to be able to be elastically vari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a reaction force such as a spring, etc. built in the guide rail groove 65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pin (P1) is elastically pressed radially outward It is supported by the device S.

또한, 상기 입력링크(60)에는, 상기 토큰형상부(61)의 내면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상기 가변핀(P1)에 일단이 링크결합되어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4개의 커플러링크(90) 그리고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90)의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링크결합되어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4개의 출력링크(70; 도 2에 2개만 도시됨)를 내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put link 60, one end is coupled to the one variable pin (P1) in a state arrang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ken-shaped portion 61 is radial i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se 50 Four coupler links 90 spaced outwardly and arranged at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and one end is coupled to each other end of each of the four coupler links 90 so as to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se 50. Four output links 70 (only two of which are shown in FIG. 2) ar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by 90 degrees out of phase.

상기 4개의 출력링크(70)의 각각의 타단은 상기 입력링크(60)의 상기 제2토큰형상부(62)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4개의 출력축(80; 도 2에 2개만 도시됨)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Each other end of the four output links 70 is rotatab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oken shape portion 62 of the input link 60 an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se 50. It is fixedly circumscribed on each of the four output shafts 80 (only two are shown in FIG. 2) arranged spaced apart at 90 degrees.

상기 4개의 출력축(80) 각각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3)를 개재하여 4개의 클러치기어(81)가 외접되어 있어서, 상기 4개의 출력링크(70)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4개의 클러치기어(81)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다.Each of the four output shafts 80 is externally provided with four clutch gears 81 via one-way clutch bearings 43 to receive bidirectional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each of the four output links 70 only in one direction. Each of the four clutch gears 8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3)들은 상기 4개의 클러치기어(81)에 각각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걸음되어, 상기 클러치기어(8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one-way clutch bearings 43 are all stepped on the four clutch gears 81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so as to rotate the clutch gear 81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

또한, 상기 고정 중심축(21)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 형성된 보스(51)에는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갖게 출력기어(82)가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4개의 클러치기어(81) 모두와 치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ss 5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50 facing the fixed central axis 21 has an output gear 82 fixedly mounted to have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at of the case 50. In this state, the four clutch gears 81 are engaged with all of the four clutch gears 81.

이러한 구성을 가진 무단변속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력전달 및 변속된다.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this configuration is powered and shifted as follows.

케이스(50)에 내장된 전동기(30)가 작동되면, 상기 전동기의 동력이 입력기어(34), 감속기어(35), 피니언기어(36)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6)는 상기 입력링크(6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입력링크(60)가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자전운동하게 된다.When the motor 30 embedded in the case 50 is operated, power of the motor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input gear 34, the reduction gear 35, and the pinion gear 36, and the pinion gear 36 is Power is transmitted to the input link 60 so that the input link 60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상기 입력링크(60)가 자전운동함에 따라, 상기 입력링크(60)에 내장된 커플러링크(90), 출력링크(70), 출력축(80) 및 클러치기어(81)가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공전운동하게 된다.As the input link 60 rotates, a coupler link 90, an output link 70, an output shaft 80, and a clutch gear 81 embedded in the input link 60 are fixed to the central shaft 21. Orbit around the central axis.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90)가 상기 커플러링크(90)의 공전중심에 편심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된 관계로, 상기 커플러링크(90)의 0도 ~ 90도 공전운동, 91도 ~ 180도 공전운동, 181도 ~ 270도 공전운동, 및 271도 ~ 36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90)는,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90) 각각에 링크결합된 4개의 출력링크(70)들중 하나의 출력링크(70)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0)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0)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0)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또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0)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0)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70)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킨다.Since the four coupler links 90 are coupled to the variable pin P1 eccentric to the revolving center of the coupler link 90, the 0 to 90 degree idle motion of the coupler link 90, 91 The four coupler links 90 are linked to each of the four coupler links 90 by a degree of rotation of 180 degrees, a movement of 181 degrees to 270 degrees, and a rotation of 271 degrees to 360 degrees. In the case where one output link 70 is rotated at an angle for driving the actual one of the two output links 70, the other one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link 70 The output link 70 is pivoted forward and backward, and another output link 70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link 70 is forward pivoted, and the one One output ring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more tha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70 of the Thereby pivoting (70)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출력링크(70)의 타단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출력축(80)과 상기 클러치기어(81) 사이에는 상기 출력링크(70)의 정방향 선회운동에만 그 운동을 상기 클러치기어(81)에 각각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3)이 개재되어 있어서, 결국, 상기 4개의 클러치기어(81)들과 동시에 맞물려 있는 출력기어(82)는 상기 전동기(30)가 구동되면 항상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케이스(50)가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어서, 상기 케이스(50)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후륜(11b)이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Between the output shaft 80 and the clutch gear 81 fixedly inscribed at the other end of the output link 70 transmits onl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output link 70 to the clutch gear 81, respectively. Since the one-way clutch bearing 43 is interposed, eventually, the output gear 82 meshed with the four clutch gears 81 always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electric motor 30 is driven. As the case 5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ear wheel 11b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case 5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여기에서, 상기 후륜(11b)을 통하여 상기 출력기어(82)에 전달되는 큰 부하가 클러치기어, 출력링크, 커플러링크 및 핀을 통해서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핀(P1)이 입력링크(60)의 중심축선에 가까워질 경우에, 상기 출력링크(70)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서 상기 클러치기어(81)는 저속모드가 되고, 반대로 상기 출력기어(82)에서 전달되는 작은 부하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핀(P1)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멀어질 경우에, 상기 출력링크들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커지게 되어서 상기 클러치기어들은 고속모드가 된다.Here, a large load transmitted to the output gear 82 through the rear wheel 11b is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S through a clutch gear, an output link, a coupler link and a pin, so that the variable pin P1 is When approaching the center axis of the input link 60,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 70 becomes small so that the clutch gear 81 is in a low speed mode, on the contrary, in the output gear 82 When a small load is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riable pin P1 moves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input link 60, the reciprocat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s The angle of s becomes large so that the clutch gears become a high speed mode.

그리고 상기 출력기어에서 전달되는 부하가 반력장치(S)을 압축시켜 상기 가변핀(P)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중심축선에 위치될 경우에, 커플러링크가 선회운동없이 공전만 하게 되어, 상기 출력링크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제로로 되어서 클러치기어들의 속도는 "0"이 되며, 이때, 변속비의 기준이 되는 최저속도가 "0"이 되기 때문에, 이론상 변속비가 0 ~∞으로 되어서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기는 무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And when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output gear compresses the reaction device (S) so that the variable pin (P) is located on the center axis of the input link 60, the coupler link is only idle, without turning motion, Since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 becomes zero, the speed of the clutch gears becomes "0", and at this time, since the minimum speed as the reference of the speed ratio becomes "0", the shift ratio is theoretically 0 to ∞.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embodiment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4개의 커플러링크가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서로에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2개 커플러링크, 서로에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3개의 커플러링크, 서로에 72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5개의 커플러링크, 서로에 6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6개의 커플러링크 등, 적어도 10개 이내의 커플러링크들이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일정각도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될 수 있는 구현방법은 당해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치환될 수 있는 구현방법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four coupler links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center axis 21 are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variable pin P1 with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the fixing in the embodiment Two coupler links coupled to the variable pins P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21, and a link coupling to the variable pins P1 with a phase difference of 120 degrees with each other. Three coupler links that are connected to the variable pin P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72 degrees to each other, and five coupler links that are linked to the variable pin P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60 degrees to each other. At least 10 coupler links, such as coupler links, are coupled to the variable pin P1 at a predetermined angle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Implemented way is an implementation which may be substituted as apparent to the art agent.

21; 고정중심축, 43;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60; 입력링크, 70; 출력링크, 90; 커플러링크, P1; 가변핀, S; 반력수단21; Fixed center axis, 43; One-way clutch bearing, 60; Input link, 70; Output link, 90; Coupler link, P1; Variable pin, S; Reaction

Claims (7)

차체(10)의 전·후에 전륜(11a) 및 후륜(11b)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차체(10)의 중앙 하부에 배터리(13)가 마련되고, 상기 후륜(11b)의 허브에 구동 모터를 내장한 무단변속장치(100)가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핸들(12)에 설치한 액셀러레이터 그립(15)에 의하여 제어되는 속도 제어수단이 접속된 전동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100)는 하나의 입력링크(60), 복수개의 커플러링크(90) 및 상기 커플러링크(90)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출력링크(70)를 서로 링크결합하고 있는 레버 크랭크기구를 이용하는 무단변속장치이며,
상기 무단변속장치(100)에는,
케이스(50)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구동륜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는 고정 중심축(21)이 상기 케이스(50)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50)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전동기(30)에 의해,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상기 입력링크(60)가 자전운동되고,
상기 입력링크(60)와 복수개의 커플러링크(90)를 링크결합시키는 하나의 가변핀(P1)이,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반경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65)에, 반력수단(S)에 의해 상기 반경방향 바깥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을 받으면서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에서 편심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90)와 복수개의 출력링크(70)를 링크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링크핀(P2)과 그리고 일방향클러치베어링(43)를 개재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70)의 복수개의 출력축(80)에 외접된 복수개의 클러치기어(81)가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공전중심을 갖고서 공전되게 상기 입력링크(6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축(80)에 일방향클러치베어링(43)을 개재하여 외접된 복수개의 클러치기어(81)들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갖고 자전운동하는 출력기어(82)에 치합되어 있고,
상기 출력기어(82)가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갖고서 상기 케이스(5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The front wheel 11a and the rear wheel 11b are rotatably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body 10, the battery 13 is provided in the center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10, and the drive motor is provided in the hub of the rear wheel 11b. In an electric motorcycle, in which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100) having a built-in gear is fixedly inscribed and a speed control means controlled by an accelerator grip (15) provided on the handle (12)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aratus 100 includes a lever crank mechanism for linking an input link 60, a plurality of coupler links 90, and an output link 70 equal to the number of the coupler links 90. It is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I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100,
The case 50 is fixedly inscribed in the hub of the drive wheel,
A fixed center axis 21 having the same center axis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wheel is rotatably inscribed in the case 50,
The input link 60 which is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axis 21 and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axis 21 by an electric motor 30 that is internally rotatable to the case 50. Being rotated,
One variable pin P1 for linking the input link 60 and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90 extends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to be formed on the fixed central axis 21.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65) eccentrically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put link (60) while being elastically pressed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by the reaction means (S),
A plurality of output shafts of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70 via a plurality of link pins P2 for link coupling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90 and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70 and one-way clutch bearings 43. A plurality of clutch gears 81 circumscribed by 80 are mounted on the input link 60 to revolve with the same rotational center as that of the input link 60.
The output gear 82 which rotates with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link 60 has a plurality of clutch gears 81 circumscribed via the one-way clutch bearing 43 on the plurality of output shafts 80. Are engaged in,
And the output gear (82) is fixed to the case (50) with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at of the case (5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핀(P2)들은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궤적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서 이격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축(80)들도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궤적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서 이격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link pins P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ame phas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nput link 60, and the plurality of output shafts 80 also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nput link 60. Electric motorcycle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wi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축선방향에서 일측으로 뻗어서 상기 케이스(50)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50)의 회전중심축선방향에서 타측으로 뻗어서 상기 케이스(50) 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타단에는 베어링(42)을 개재한 상태에서 드럼형상을 갖는 입력링크(60)가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입력링크(60)가 상기 고정 중심축(21)과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 형성된 보스(51)에 베어링(44)을 개재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extends to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case 50, protrudes out of the case 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is the case 50. Extend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is of the case 50,
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ral shaft 21, an input link 60 having a drum shape in a state of interposing a bearing 42 is rotatably circumscribed with respect to the fixed central shaft 21,
The input link 60 is rotatably circumscribed in a state in which a bearing 44 is interposed between a boss 51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50 facing the fixed central axis 21. Electric two-wheeled vehicle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30)는, 상기 전동기(30)의 하우징(31)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고정자(32), 상기 고정자(3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배치되어 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회전자(33); 상기 회전자(33)에 커플링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입력기어(34) 및 상기 입력기어(34)에 치합하여 상기 케이스(50) 내에서 상기 입력기어(34)의 자전중심과 편위된 자전중심을 갖고서 자전하게 되는 감속기어(3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 motor 30 is disposed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stator 32 and the stator 32 fixedly inscribed in the housing 31 of the electric motor 30, and rotates on the fixed central axis 21. A rotor 33 possibly circumscribed; The input gear coupled to the rotor 33 and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shaft 21 and the input gear 34 to be engaged with the input gear 34 in the case 50. 34. A two-wheeled electric motorcycle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ge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duction gear 35 which rotates with the rotation center and the biased rotation cent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링크(60)는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제1토큰형상부(61)과 제2토큰형상부(62) 및 상기 제1 및 제1토큰형상부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6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감속기어(35)와 마주하는 상기 가변입력링크(60)의 제1토큰형상부(61)의 외면 테두리부에는 내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링형상의 랙기어(64)가 장착되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가지고서 상기 입력링크(60)와 함께 자전운동하며,
상기 랙기어(64)는 상기 감속기어(35)에 구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put link 6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the first token shape portion 61 and the second token shape portion 62 and the first and first token shape portion I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63 for coupling in a state.
A ring-shaped rack gear 64 having gear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mounted on an outer rim of the first token-shaped portion 61 of the variable input link 60 facing the reduction gear 35 so that the input link ( Rotating with the input link 60 having the same center of rotation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60),
The rack gear 64 is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g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coupled to the reduction gear (3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링크(60)에는, 상기 토큰형상부(61)의 내면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상기 가변핀(P1)에 일단이 링크결합되어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90)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90)의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링크결합되어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4개의 출력링크(7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70)의 각각의 타단은 상기 입력링크(60)의 상기 제2토큰형상부(62)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동일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출력축(80)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input link 60, one end is coupled to one of the variable pins (P1) in a state arrang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ken-shaped portion 61 is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se 50 One end is coupled to each oth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90 and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9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so as to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se 50. Four output links 7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same direction with the same phase difference,
Each oth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70 is rotatab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oken shape portion 62 of the input link 60, and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se 50.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ly circumscrib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shafts 80 arranged to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spaced apar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중심축(21)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 형성된 보스(51)에는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갖게 출력기어(82)가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변속장치가 구비된 전동이륜차.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ss 5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50 facing the fixed central axis 21 is fixed to the output gear 82 having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case 50. Electric motorcycle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10128069A 2011-12-02 2011-12-02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2966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69A KR101296614B1 (en) 2011-12-02 2011-12-02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69A KR101296614B1 (en) 2011-12-02 2011-12-02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813A true KR20130061813A (en) 2013-06-12
KR101296614B1 KR101296614B1 (en) 2013-08-14

Family

ID=4885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069A KR101296614B1 (en) 2011-12-02 2011-12-02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614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439A (en) * 1996-09-11 1998-04-07 Keihin Seiki Mfg Co Ltd Assembly of power unit and driving wheel
JP4319048B2 (en) * 2004-01-09 2009-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Electric vehicle
KR101029316B1 (en) * 2008-12-26 2011-04-13 신현우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20110117757A (en) * 2010-04-22 2011-10-28 메탈릭스시스템(주) Hub type continuous various transmission and drive wheel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614B1 (en)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4317B1 (en) Input synthesis gear system
KR101867537B1 (en) Two-speed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JP4203527B1 (en) Hybrid vehicle drive device
CN103068608B (en) The engine starting gear of vehicle
EP2407689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planetary gear
US20110034283A1 (en) Speed change mechanism
JP5372842B2 (en) Vehicle engine starting device
CN105473365A (en) Drive train for a hybrid vehicle
JP4858104B2 (en) Speed change mechanism
KR101354154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296614B1 (en)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9045128B2 (en) Drive system
US9488258B2 (en)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25459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20200037008A (en)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KR10102931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JP664650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1255706A (en) Drive device for hybrid vehicle
KR101327332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JP4229764B2 (en) Wind turbine blade pitch angle control device
CN112253700A (en) Two-stage speed change device
KR10132733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213168280U (en) Composite transmission type differential steering driving mechanism and walking device
KR20170012829A (en) Transmission for electric vehicle
KR100984188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