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316B1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 Google Patents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316B1
KR101029316B1 KR1020080134381A KR20080134381A KR101029316B1 KR 101029316 B1 KR101029316 B1 KR 101029316B1 KR 1020080134381 A KR1020080134381 A KR 1020080134381A KR 20080134381 A KR20080134381 A KR 20080134381A KR 101029316 B1 KR101029316 B1 KR 10102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variable
output
shaft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6365A (en
Inventor
신용철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신현우
신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우, 신용철 filed Critical 신현우
Priority to KR102008013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316B1/en
Publication of KR2010007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16C3/10Crankshafts assembled of several parts, e.g. by welding by cri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 내접된 케이스(211)의 일측부에 회동 장착된 입력축(110)과 케이스의 타측부에 회동 장착된 아이들축(S2)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는, 케이스의 일측부 밖으로 돌출된 입력축의 일측 부분에는 피동 스프로킷(D)이 고정 외접되며, 케이스 내에는 기립된 프레임 중앙에 가변입력링크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가변입력링크(130)의 일측에는 입력축의 선단이 회동 삽입되며, 가변입력링크를 사이에 두고 가변입력링크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배치되어 입력축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프레임에 복수개의 출력링크가 회동 장착되며, 가변입력링크의 타측에는 회전반경이 외부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 캠(P)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S)가 내장되며, 가변 캠의 선단에는 가변 입력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회전하는 디스크판(140)이 회동 결합되며, 출력링크 각각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를 개재하여 종동기어가 외접되며, 디스크판에 상기 위상차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구멍 각각에는 동일한 길이의 커플러링크의 일단이 링크결합되고, 출력링크 각각에는 커플러링크의 타단이 링크결합되며, 입력축의 기단에는 종동기어 모두와 맞물림하는 출력기어(G3)가 회동 외접되고, 그리고 출력기어에는 입력축의 기단쪽으로 돌출되고 입력축의 회전중심과 동심인 환형 출력축(G4)이 일체로 형성되며, 환형 출력축은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 내접되어 있다.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 input shaft 110 pivotal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211 fixedly inscribed to the hub of the drive wheel and an idle shaft (S2) pivotal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A driven sprocket (D) is fixedly circumscribed on one side of the input shaft protruding out of one side of the case, and a variable input link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standing frame in the case, and on one side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leading end of is rotated and inserted,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input link with the variable input link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output links are pivotally mounted on the frame with a constant phase differe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On the side there is a built-in reaction device (S) for urging the variable cam (P), the rotation radius of which is variable by an external load,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At the end, the disk plate 140 rotating idl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variable input link is pivotally coupled, and each of the output links is externally driven with a one-way clutch bearing, and the disk plate has a hole having the same phase difference as the phase difference. One end of the coupler link of the same length is link-coupled, the other end of the coupler link is link-coupled to each of the output links, and the output gear G3 which engages all the driven gears is rotated and circumscribed at the base of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gear The annular output shaft (G4) protruding toward the base end of the input shaft and concentric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shaft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annular output shaft is fixedly inscribed on one side of the case.

커플러링크, 가변 입력링크, 출력링크, 입력축, 종동축 Coupler link, variable input link, output link, input shaft, driven shaft

Description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본 발명은 출력축에 작용하는 부하의 증감에 따라 출력되는 순간토크가 자동으로 증감되는 허브타입의 컴팩트한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type compac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in which the instantaneous torque output is increased or decreas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load acting on the output shaft.

일반적으로, 감속기는 서로 다른 크기의 기어를 서로 조합함으로써 일정한 감속비로 동력을 출력하는 정속감속기와, 원뿔 형태의 감속장치를 적용하여 감속비를 가변시킬 수 있는 무단 변속기로 구분된다.In general, the reducer is divided into a constant speed reducer that outputs power at a constant reduction ratio by combining gears of different sizes with each other, and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can change the reduction ratio by applying a conical reduction gear.

모터나 엔진 등의 동력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은 고회전력으로 출력되지만 힘(토크)이 적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업기계에 있어서는 감속장치를 이용하여 토크를 증가시켜 작동하게 된다.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a power generator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is output with high rotational power, but the force (torque) is small. Therefore, in most industrial machines, the torque is increased by using a reduction gear.

여기서,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대신 토크를 증가시킨다.Here, the reducer increases torque instead of slowing down the number of revolutions transmitted from the power generator.

그러나, 상기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토크를 증가시켜 출력하게 되나, 출력축에 가해지는 부하가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클 경우 부하가 동력발생원인 모터나 엔진에 역으로 작용함으로써 모터나 엔진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peed reducer reduces the rotation speed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or and increases the torque and outputs the torque. However,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output shaft is greater than the output torque of the output shaft, the load is reversed to the motor or engine that is the power source. By acting, there is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a motor or engine.

그리고,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큰 부하가 모터나 엔진에 역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목표하는 출력을 출력축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load larger than the output torque of the output shaft acts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motor or the engine, thereby preventing a target output from being supplied to the output shaf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07-0064349호에 개시되어 있다.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for solving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007-0064349 filed by the inventor.

상기 특허출원에 의해 개시된 무단변속장치에는 외력(모터 또는 엔진 등)에 의해 일방향회전운동하게 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외부에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 사이에 레버 크랭크기구가 개재되어 있다.I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isclosed by the patent application, a lever crank mechanism is interposed between an input shaft tha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and an output shaft that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input shaft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outside. .

이 레버 크랭크기구는 입력축의 일방향 회전운동을 출력축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선회운동하게 하는 공지의 기구이며, 이러한 공지의 기구를 이용하여 장치는 예를 들면, 와이퍼 구동장치가 해당 될 수 있다.The lever crank mechanism is a known mechanism for causing the one-way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put shaft to make the output shaft reciprocate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By using such a known mechanism, the device may be, for example, a wiper drive device.

하지만, 상기 레버 크랭크 기구를 이용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동력전달체계가 일측으로 편위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나 소음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the lever crank mechanism adopts a system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biased to one sid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vibration or noise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08-0092992호에 개시되어 있다.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solves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92992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상기 무단변속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 상기 입력축(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1)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한 쌍의 종동축(2, 2'); 상기 입력축(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한 쌍의 가변 핀(P1, P2)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반력장치(3a, 4a)를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과 함께 각각 수용하고 있는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하여, 일단이 외접되어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출력링크(7, 8; 7', 8'); 및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 7', 8')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커플러링크(9, 10; 9' 10')를 포함하고 있다.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es an input shaft (1) rotatably mounted on a frame (not shown)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S. 1 and 2; A pair of driven shafts 2 and 2 arranged parallel to the input shaft 1 with the input shaft 1 interposed therebetween to receive power from the input shaft 1 while being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pair of variable pins (P1, P2) is coupled to the input shaft (1) so as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of the input shaft (1), the rotation radius is variable by an external load A pair of variable input links 3 and 4 respectively accommodating a pair of reaction force devices 3a and 4a respectively pressed together with the pair of variable pins P1 and P2; One-way clutch bearings 5 and 6 which receive two-way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each of the pair of driven shafts 2 and 2 'in one direction and rotate each of the pair of driven shafts 2 and 2' in one direction; Two pairs of output links 7, 8; 7 ', 8' having one end circumscribed and coupled via 5 ', 6'); And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variable pins P1 and P2,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two pairs of output links 7, 8; 7 ', 8'. Two pairs of coupler links 9, 10; 9 '10' are included.

여기에서, 상기 입력축(1)과 상기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1)의 양단에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각각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고,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의 외주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입력기어(G1)를 마련하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를 일체화한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1)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1차피동기어(G2)를 마련한 상태에서 이들(G1, G2)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다.Here, the driving coupling between the input shaft (1) and the pair of variable input links (3, 4), as shown in Figure 1, a pair of variable input links on both ends of the input shaft (1) (3, 4) A manner in which each end is fixedly circumscribed may be taken, or as shown in FIGS. 3 and 4, an input gear G1 fixedly circumscrib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1 is provided. And engaging the G1 and G2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a primary driven gear G2 fixedly circumscribe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housing 11 in which the pair of variable input links 3 and 4 are integrated. The way may be taken.

또한,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들 중 출력링크(7, 7')는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출력링크(8, 8')도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8)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8')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variable pins P1 and P2 are dispos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output links 7 and 7 'of the two pairs of output links are the one output link 7. ) May b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have a leading phase difference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an the other output link 7 ', and the other output links 8 and 8' are also output in the one output. The link 8 can b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 leading phase difference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an the other output link 8 '.

또한,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 7', 8')와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의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링크(7, 8, 7' 8')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는 방식이 취해질 수 있고,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을 관형으로 만들고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의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링크(7, 8; 7' 8')의 일단이 각각 고정적으로 내접되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upling between the two pairs of output links (7, 8; 7 ', 8') and the pair of driven shafts (2, 2 '), as shown in Figures 1 and 2, One end of the output link 7, 8, 7 ′ 8 ′ with one-way clutch bearings 5, 6; 5 ′, 6 ′ interposed at each end of each of the pair of driven shafts 2, 2 ′. This fixed circumscribed manner can be taken, or as shown in FIGS. 3 and 4, each of the pair of driven shafts 2, 2 ′ is tubular and the pair of driven shafts 2, 2 ′. ) One end of the output link 7, 8; 7 ′ 8 ′ may be fixedly inscribed with the one-way clutch bearings 5, 6; 5 ′ 6 ′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에는 한 쌍의 출력기어(G3, G3')가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출력기어(G3, G3') 사이에는 이들과 맞물리게 최종출력기어(G4)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output gears G3 and G3 'are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pair of driven shafts 2 and 2',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pair of output gears G3 and G3 '. And final output gear (G4) is arranged to mate with.

상기 최종출력기어(G4)에는 동력을 전달해야할 외부기기의 도시되지 않은 종동축과 커플링될 최종출력축(15)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다.The final output gear G4 is fixedly inscribed with a final output shaft 15 to be coupled with a driven shaft (not shown) of an external device to which power is to be trans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상기 가변 입력링크를 중심으로 해서, 커플러링크, 출력링크 및 종동축이 좌우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 발생되지 않아, 소음이 종래보다 발생되지 않으며, 아울러, 2개의 종 동축 사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한 쌍의 출력기어가 최종출력기어를 개재하여 서로 맞물려 있어서, 상기 최종출력기어를 상기 한 쌍의 출력기어들이 서로 협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출력기어로 하여금 큰 힘을 가지고서 회전하게 하여, 큰 힘으로 외부의 기기를 구동시킬 수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er link, the output link, and the driven shaft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riable input link, so that no vibration occurs during operation, so that noise is generated. In addition, a pair of output gears fixedly circumscribed between two coaxial shaft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via a final output gear, such that the pair of output gears rotate in one direction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utput gear can be rotated with great force, and the external device can be driven with great force.

하지만, 이러한 무단변속장치는 서로 위상차를 두고서 링크 운동하는 제1링크부(3, 9, 9', 7, 7')와 제2링크부(4, 10, 10', 8, 8')간에 입력축(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서, 무단변속장치가 비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가 서로 위상차를 가지고서 선회운동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운동함으로써, 상기 입력축(1)에 배가된 비틀림 부하를 주게 되어, 입력축(1)이 내구성에 취약하게 만들고, 심지어는 정확한 시점에서 시계방향운동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1링크부 또는 제2링크부가 선회운동을 전환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nk portions 3, 9, 9 ′, 7, 7 ′ and the second link portions 4, 10, 10 ′, 8, 8 ′, which link with each other with a phase differe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epless transmission is enlarged by being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1, and the first link portion and the second link portion have a phase difference with each other, which is a pivoting movement, that is, a pivoting movement in opposite directions. This imparts a torsional load doubled to the input shaft 1, making the input shaft 1 vulnerable to durability, and even at a precise time, the counter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clockwise rotation of the clockwise mo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st link portion or the second link portion does not switch the swing motion.

더욱이, 상기와 같이 전체적인 크기가 비대해지는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를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구동륜의 허브에 장전하는 경우, 두드러지게 돌출되게 되어,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외관을 해친다고 하는 문제를 상기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가지고 있다.Furthermore, when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which the overall size is enlarged as described above, is loaded into the hub of the driving wheel such as a bicycle,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wheel chair, or an electric car, it protrudes prominently, and thus, a bike, an electric bike, an electric wheel chair, an electric car.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s the problem of spoiling the appearance of the back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그 과제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its problems in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케이스의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입력축과 상기 케이스의 타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아이들축을 포함하고 있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부 밖으로 돌출된 상기 입력축의 일측 부분에는 피동 스프로킷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에는 기립된 프레임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중앙에 가변입력링크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입력링크의 일측에는 상기 입력축의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입력링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입력링크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에 복수개의 출력링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입력링크의 타측에는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 캠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 캠의 선단에는 상기 가변 캠과 함께 상기 가변 입력링크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 각각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를 개재하여 복수개의 종동기어가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판에 상기 위상차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 각각에는 동일한 길이의 복수개의 커플러링크의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축의 기단에는 상기 복수개의 종동기어 모두와 맞물림하여 회전되는 하나의 출력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나의 출력기어에는 상기 입력축의 기단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회전축선을 가지는 환형 출력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 출력축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ing an input shaft rotatably mounted to one side of a case fixedly inscribed to a hub of a driving wheel and an idler shaft rotatably moun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se. A driven sprocket is fixedly circumscribed on one side of the input shaft protruding out of one side of the case, and a standing frame is built in the case, and a variable input link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A front end of the input shaft is rotatably inserted at one side of the variable input link, and is disposed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input link with the variable input link interposed therebetween to have a constant phase differe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Multiple output links are rotatable It is, and has a built-in reaction force device to the other side of the turning radius of said variable pressure input link in a radial outward direction by elastically variable available variable cam by an external load, has the leading end of the variable cam A disk plate rotating in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variable input link is rotatably coupled with a variable cam. A plurality of driven gears are extern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via a one-way clutch bearing. One end of a plurality of coupler links of the same length is rotatably link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to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as the phase difference at One output gear rotated in engagement with all of the plurality of driven gears at the base end of the input shaft is rotatably circumscribed, and the one output gear protrudes toward the base end of the input shaft and is connected to the input shaft. Center of rotation and concentricity of An annular output shaft having an all-axis line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annular output shaft is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is fixedly inscribed on one side of the case.

본 발명은 서로 위상차를 두고서 링크 운동하는 4개의 링그부들이 동일한 2차원레벨에서 그리고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무단변속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상기 입력축에 배가된 비틀림 부하를 주지 않게 되어, 입력축이 내구성에 강화시켜서, 정확한 시점에서 시계방향운동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상기 링크부들이 선회운동을 전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ur link parts linking with phase difference from each other are arranged at the same two-dimensional level and symmetrically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making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mpact and not giving the torsional load doubled to the input shaft. Enhancing this durability, the link portions can turn the pivoting movement in a clockwise motion counter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 clockwise direction.

더욱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컴팩트한 무단변속장치에 의하면,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구동륜의 허브에 장전되어도, 두드러지게 돌출되지 않게 되어,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Moreover, according to the compac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loaded into the hub of the driving wheels such as bicycles, electric bicycles, electric wheel chairs, electric cars, it does not protrude prominently. Does not hurt the appearance of the back.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which ar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륜의 허브에 적용될 수 있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의 실시예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케이스와 제1 및 제2지지편이 제거된 상태에서 입력축 측에서 본 것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케이스와 제 2지지편이 제거된 상태에서 디스크판 측에서 본 것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can be applied to a hub of a driving wheel not show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b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eces as viewed from the input shaft side. 7 is shown a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disc plate side with the case and the second support piece removed.

본 실시예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케이스(211)의 일측부에 베어링(B1)을 개재하여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입력축(110)과 상기 케이스(211)의 타측부에 베어링(B2)을 개재하여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아이들축(S2)을 포함하고 있다.The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shaft 110 which is rotatably mounted through one side of a case 211 fixedly inscribed to a hub of a driving wheel (not shown) via a bearing B1. The other side of the case 211 includes an idle shaft (S2) is rotatably mounted through the bearing (B2).

상기 케이스(211)의 일측부 밖으로 돌출된 상기 입력축(110)의 일측 부분에는 피동 스프로킷(D)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 스프로킷(D)은 도시되지 않은 페달축에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 스프로킷에 감겨진 체인(도시되지 않음)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10)과 함께 회전하게 되어 있다.One side of the input shaft 11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se 211 has a driven sprocket (D) is fixedly circumscribed, the driven sprocket (D) is not shown mounted on a pedal shaft (not shown) In a state of being wound on a chain (not shown) wound on a drive sprocket, the shaf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input shaft 110.

상기 케이스(211) 내에는 기립된 프레임(F)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F) 중앙에 형성된 구멍(O)에 베어링(B3)을 개재한 상태에서 가변입력링크(130)가 상기 프레임(F)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In the case 211, a standing frame F is embedded, and the variable input link 130 is connected to the frame (B) through a bearing B3 in a hole O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F. It is rotatably inserted with respect to F).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의 일측에는 일방향클러치(C)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10)의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front end of the input shaft 110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state through the one-way clutch (C).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배치되어 90도의 위상 차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F)에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6 and 7, the frame F is disposed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input link 130 with the variable input link 1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174)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base.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의 타측에는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 캠(P)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S)를 내장하고 있다.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has a built-in reaction force (S) for pressing the variable cam (P), the rotation radius is variable by an external load elastically in the radial outward direction.

상기 가변 캠(P)의 선단에는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하게 되는 상기 가변 캠(P)과 함께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판(1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cam (P) is revolved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ogether with the variable cam (P) is a disk plate 140 that rotates about the rotation center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is rotatably coupled.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 각각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 153, 154)를 개재하여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가 외접되어 있어서,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다.Each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is externally provided with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via one-way clutch bearings 151, 152; 153, and 154. It receives two-way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each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in one direction to rotate each of the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in one direction.

상기 디스크판(140)에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4개의 구멍(181, 182, 183, 184) 각각에는 동일한 길이의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고,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 각각에는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다.One end of four coupler links 191, 192, 193, and 194 having the same length is rotatably linked to each of the four holes 181, 182, 183, and 184 formed with the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in the disk plate 140. The other end of the four coupler links (191, 192, 193, 194) is rotatably linked to each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174).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 153, 154)들은 상기 4개의 종동기 어(121, 122; 123, 124)에 각각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걸음되어,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one-way clutch bearings 151, 152; 153, 154 are all stepped on the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124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espectively. (121, 122; 123, 124)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또한,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에는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 모두와 맞물림하여 회전되는 하나의 출력기어(G3)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나의 출력기어(G3)에는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축(110)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회전축선을 가지는 환형 출력축(G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base end of the input shaft 110, one output gear G3 rotated in engagement with all of the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is rotatably circumscribed, and the one output The gear G3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annular output shaft G4 protruding toward the proximal end of the input shaft 110 and having a rotation center and a concentric rotation axis of the input shaft 110.

또한, 상기 환형 출력축(G4)은 상기 케이스(211)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annular output shaft G4 is fixedly inscribed on one side of the case 211.

상기 프레임(F)은 상기 아이들축(S2)에 일단이 지지되는 제1지지편(220)의 타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환형의 출력축(G4)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케이스(211)의 보스(212)에 기단이 베어링(B4)을 개재하여 기립되어 있는 제2지지편(230)의 선단에 타측이 고정되어 있다.One side of the frame F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iece 220,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idle shaft S2, of the case 211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annular output shaft G4.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ront-end | tip of the 2nd support piece 230 in which the base end is standing up via the bearing B4 in the boss 212.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기는 다음같이 동력전달 및 변속된다.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owered and shifted as follows.

도시되지 않은 체인으로부터 스프로킷(D)을 통하여 동력을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축(110)은 가변 입력링크(130)을 회전시켜서,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에 편심되어 수용되게 배치된 가변 캠(P)을 회전시키고, 이 가변 캠(P) 회전력은 상기 가변 캠(P)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크판(140)을 상기 가변 입력링 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시킨다. The input shaft 110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hain (not shown) through the sprocket D rotates the variable input link 130, and thus the variable cam is arranged to be eccentrically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input link 130 ( P), and the variable cam P rotational force rotates the disk plate 140 rotatably coupled to the variable cam P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공전식으로 회전되는 상기 디스크판(140)은, The disk plate 140 is rotated by revolution,

상기 디스크판(140)의 0도 ~ 9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디스크판(140)에 링크결합된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를 통해서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 각각에 링크결합된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예를 들면, 하나의 출력링크(171)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또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172)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3)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고; Four coupler links 191, 192, 193, and 194 coupled to the disc plate 140 by the orbital motion of the disc plate 140 at 0 degrees to 90 degrees. For example, one output link 171 of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linked to each of the four coupler links 191, 192, 193, and 194 is actually driven. In the case of pivo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the other output link, the other output link 174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link 171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and the one output link ( The other output link 172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171 in the forward turning direction, and the other output link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more tha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link 171 Pivoting 173 in the reverse direction;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91도 ~ 18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2)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1)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4)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며; Subsequently, the disk plate 140 has a 91-180 degree orbital motion, which has a +90 degre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one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The output link 172 is pivo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driving the actual material, and the output link 171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in a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2 with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Entering and pivoting the output link 173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nk 172 in a forward direction, and the other output link 174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2. Pivo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181도 ~ 27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2)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1)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며; 그리고 Subsequently, the disk plate 140 has a retardation motion of 181 degrees to 270 degrees, which has a +90 degre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one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The output link 173 is pivo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driving the actual material, and the output link 172 is pivoted forward and backward in a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3 with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Entering orbiting the output link 174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nk 173 in a forward direction, and the other output link 17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3. Pivo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271도 ~ 36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4)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1)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다. Subsequently, the disk plate 140 has a +90 degre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one of the output links 173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by 271 degrees to 360 degrees of revolving motion. The output link 174 is pivo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driving the actual material, and the output link 173 is pivot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4 with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Entering orbiting the output link 174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nk 173 in a forward direction, and the other output link 17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3.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와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 사이에는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의 정방향 선회운동에만 그 운동을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에 각각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이 개재되어 있어서, 결국,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들과 동시에 맞물려 있는 출력기어(G3)는 상기 입력축(110)이 구동되면 항상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Between the output link (171, 172, 173, 174) and the driven gear (121, 122, 123, 124) only the forward turning movement of the output link (171, 172, 173, 174) the driven gear One-way clutch bearings 151 and 152 which transmit to 121, 122, 123 and 124, respectively, are interposed, resulting in an output gear that meshes with the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simultaneously. G3) always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input shaft 110 is driven.

결국, 상기 출력기어(G3)는 상기 환형 출력축(G4)에 정방향운동을 전달하게 되어서 상기 환형 출력축(G)에 고정된 케이스(21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자전거의 구동륜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As a result, the output gear G3 transmits the forward motion to the annular output shaft G4 to rotate the case 211 fixed to the annular output shaft G in the forward direction to rotate the driving wheel of the bicycle in the forward direction.

여기에서, 구동륜 및 케이스(211)를 경유하여 환형 출력축(G4)에서 전달되는 큰 부하가 종동기어, 출력링크, 커플러링크 디스크판 및 가변 캠(P)를 통해서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 캠(P)이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가까워질 경우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작아져,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서 종동기어(121, 122, 123, 124)는 저속모드가 되고, 반대로 상기 환형 출력축(G4)에서 전달되는 작은 부하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 캠(P)이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멀어질 경우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커져 상기 출력링크들의 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커지게 되어서 상기 종동기어들은 고속모드가 된다.Here, a large load transmitted from the annular output shaft G4 via the driving wheel and the case 211 is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S through the driven gear, the output link, the coupler link disk plate, and the variable cam P, When the variable cam P approaches the center axis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revolving radius of the variable cam P becomes small, so that the reciprocating turning of the output links 171, 172, 173, 174 is performed. As the angle of the movement becomes smaller, the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become a low speed mode, and on the contrary, a small load transmitted from the annular output shaft G4 is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riable cam P moves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revolving radius of the variable cam P increases to increase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s. The driven gears are then in the high speed mode.

그리고 상기 환형 출력축에서 전달되는 부하가 반력장치(S)을 압축시켜 상기 가변 캠(P)이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위치될 경우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제로인 상태에서 자전만 하게 되어, 상기 출력링크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제로로 되어서 종동기어들의 속도는 "0"이 되며, 이때, 변속비의 기준이 되는 최저속도가 "0"이 되기 때문에, 이론상 변속비가 0 ~∞으로 되어서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기는 무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And when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annular output shaft compresses the reaction device (S) so that the variable cam (P) is located on the center axis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revolving radius of the variable cam (P) is In the state of zero, only rotating,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 is zero, the speed of the driven gear is "0", at this time, since the minimum speed as the reference of the gear ratio is "0", in theory, Since the transmission ratio is 0 to ∞,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tinuously changed.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축(110)은 중공형의 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입력축(110)이 중공형이면 상기 입력축(110)의 중공부를 통해 상기 가변 캠(P)의 방사바깥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한치를 제어할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스톱부를 삽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input shaft 110 is a hollow shaft. If the input shaft 110 is a hollow type, it is preferable in that it can insert a stop portion (not shown) that can control the upper limit of the variable cam (P)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input shaft (110). Of course.

상기 실시예에서 입력축(11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4개의 출력링크가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입력축(11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서로에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2개 출력링크, 서로에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3개의 출력링크, 서로에 72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5개의 출력링크, 서로에 6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6개의 출력링크 등, 적어도 10개 이내의 출력링크들이 상기 입력축(110)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일정각도를 가지고서 디스크판에 링크결합될 수 있는 구현방법은 당해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치환될 수 있는 구현방법이다.Although the four output links are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input shaft 110 in this embodiment as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disk plate with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in this embodiment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input shaft 110. Two output links coupled to the disk plate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to each other, three output links coupled to the disk plate with a phase difference of 120 degrees to each other, and linked to the disk plate with a phase difference of 72 degrees to each other. At least 10 output links, such as five output links coupled to each other and six output links coupled to a disk plate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60 degrees with each other,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110. Implementation method that can be linked to the disk plate with the implementation method that can be obviously substitut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b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1 and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무단변속장치를 허브타입으로 개량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및 측면도.3 and 4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improvement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FIG. 1 to a hub typ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5 conceptually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개념에 근거하여 허브타입으로 개조된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is adapted to a hub type based on the concept of FIG. 5. FIG.

Claims (5)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케이스(211)의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입력축(110)과 상기 케이스(211)의 타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아이들축(S2)을 포함하고 있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로서, And an input shaft 110 rotatably mounted to one side of the case 211 fixedly inscribed to the hub of the driving wheel, and an idle shaft S2 rotatably moun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se 211.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상기 케이스(211)의 일측부 밖으로 돌출된 상기 입력축(110)의 일측 부분에는 피동 스프로킷(D)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A driven sprocket D is fixedly circumscribed on one side of the input shaft 110 protruding out of one side of the case 211, 상기 케이스(211) 내에는 기립된 프레임(F)이 내장되어 있으며, In the case 211 is a standing frame (F) is built, 상기 프레임(F) 중앙에 가변입력링크(13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The variable input link 130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F),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의 일측에는 상기 입력축(110)의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On one side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is the front end of the input shaft 110 is rotatably inserted,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입력축(11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F)에 복수개의 출력링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A plurality of output links are arranged in the frame F with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110 by being disposed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input link 130 with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rebetween. Rotatably mounted,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의 타측에는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 캠(P)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S)가 내장되어 있으며,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has a built-in reaction device (S) for urging the variable cam (P), the rotation radius is variable by an external load elastically in the radial outward direction, 상기 가변 캠(P)의 선단에는 상기 가변 캠(P)과 함께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판(14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At the tip of the variable cam (P) is The disk plate 1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with a variable cam (P),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 각각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를 개재하여 복수개의 종동기어가 외접되어 있으며,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has a plurality of driven gears circumscribed through one-way clutch bearings, 상기 디스크판(140)에 상기 위상차와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 각각에는 동일한 길이의 복수개의 커플러링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 각각에는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으며,One end of a plurality of coupler links of the same length is rotatably link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disk plate 140 having the same phase difference as the phase differenc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The other end of the is rotatably linked,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에는 상기 복수개의 종동기어 모두와 맞물림하여 회전되는 하나의 출력기어(G3)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나의 출력기어(G3)에는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축(110)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회전축선을 가지는 환형 출력축(G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One output gear G3 rotatably engaged with all of the plurality of driven gears is rotatably circumscribed at the base end of the input shaft 110, and one output gear G3 is rotatably circumscribed. An annular output shaft G4 protruding toward the proximal end and having a rotation center and a concentric rotation axis of the input shaft 110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환형 출력축(G4)은 상기 케이스(211)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The annular output shaft (G4) is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inscribed on one side of the case (211).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의 일측에는 일방향클러치(C)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10)의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input shaft 110 is rotatably inserted in one state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via the one-way clutch (C).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들은 상기 복수개의 종동기어에 각각 모두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걸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And the one-way clutch bearings are all stepped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en gea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F)은 상기 아이들축(S2)에 일단이 지지되는 제1지지편(220)의 타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환형의 출력축(G4)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케이스(211)의 보스(212)에 기단이 베어링(B4)을 개재하여 기립되어 있는 제2지지편(230)의 선단에 타측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One side of the frame F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iece 220,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idle shaft S2, of the case 211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annular output shaft G4. Hub-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tip of the second support piece 230, the base end is standing up via the bearing (B4) to the boss (21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반력장치는 탄성 스프링, 상기 반력장치에 전달되는 부하에 따라 실린더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회로에 접속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The reaction force device is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neumatic cylinder or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hydraulic spring or pneumatic circuit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cylinder in accordance with the load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KR1020080134381A 2008-12-26 2008-12-26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101029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81A KR101029316B1 (en) 2008-12-26 2008-12-26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81A KR101029316B1 (en) 2008-12-26 2008-12-26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365A KR20100076365A (en) 2010-07-06
KR101029316B1 true KR101029316B1 (en) 2011-04-13

Family

ID=4263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381A KR101029316B1 (en) 2008-12-26 2008-12-26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3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54B1 (en) 2012-01-09 2014-01-22 신현우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614B1 (en) * 2011-12-02 2013-08-14 주식회사 코모토스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389280B1 (en) * 2012-02-24 2014-04-25 신현우 apparatus for setting variable range of variable p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678A (en) * 2002-10-21 2002-11-30 최기남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4263857A (en) 2003-02-10 2004-09-24 Ntn Corp Traction drive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7057040A (en) 2005-08-25 2007-03-08 Ntn Corp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KR100858910B1 (en) 2007-06-28 2008-09-17 신용철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678A (en) * 2002-10-21 2002-11-30 최기남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4263857A (en) 2003-02-10 2004-09-24 Ntn Corp Traction drive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7057040A (en) 2005-08-25 2007-03-08 Ntn Corp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KR100858910B1 (en) 2007-06-28 2008-09-17 신용철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54B1 (en) 2012-01-09 2014-01-22 신현우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365A (en)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7552C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01198515B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EP1620307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bicycle
KR101006779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02931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101354154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25459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101327332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101027833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984187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32733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2034744B1 (en) bicycle driving apparatus
KR20110117757A (en) Hub type continuous various transmission and drive wheel having the same
JP2001349401A (en) Control mechanism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984188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101213547B1 (en) Continuously Varible Transmission
KR101213546B1 (en) Continuously Varible Transmission
US8376888B2 (en) Transmission
KR101296614B1 (en)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840186B2 (en) Front wheel transmission for riding work equipment
KR101231199B1 (en) Double interlocking speed change bicycle at middle
JP2994925B2 (en) Transmission structure for passenger work equipment
JPH0514716U (en) Variable mechanism of reciprocating amplitude
WO2008091106A1 (en) Bi-directional pedaling exercise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