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249A -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249A
KR20130061249A KR1020110127453A KR20110127453A KR20130061249A KR 20130061249 A KR20130061249 A KR 20130061249A KR 1020110127453 A KR1020110127453 A KR 1020110127453A KR 20110127453 A KR20110127453 A KR 20110127453A KR 20130061249 A KR20130061249 A KR 2013006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llision sensor
threshold value
yaw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249A/ko
Publication of KR2013006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047Architecture
    • B60R2021/01054Bus
    • B60R2021/01068Bus between different sensors and airbag contro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굴곡된 도로를 주행하던 중의 사고 또는 차량의 회전에 의한 국부적 측면 충돌 등의 경우에, 차량의 회전 정도에 따라 측면에어백의 전개 판단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탑승자의 완충작용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SIDE AIRBAG SYSTEM CONTROL METHO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한 에어백의 전개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측면에어백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의 측방에는 사이드에어백(500)과 커튼에어백(502) 등 차량의 측면에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에어백장치들(이하, 측면에어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측면에어백의 작동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측면충돌센서(504)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고, 차량의 전방에는 전방충돌센서(506)가 구비되어 있으며, 컨트롤러(508)는 상기 측면충돌센서(504) 및 전방충돌센서(506)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측면에어백의 전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측면에어백 시스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충돌센서(504)에 의해 인식되는 측면 충돌의 가속도값 또는 압력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지를 판단하여 측정된 가속도값 또는 압력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만 상기 측면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차량의 전방 충돌의 경우와는 달리, 측면 충돌은 실제로는 승객의 보호를 위해 에어백의 전개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굴곡된 도로를 주행하던 중의 사고 또는 차량의 회전에 의한 국부적 측면 충돌 등의 경우에, 상기 측면충돌센서(504)에 의해 인식되는 가속도값 또는 압력값이 작아질 수 있어서,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넘지 못함에 의해 측면에어백이 전개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어서, 탑승자를 적절히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이 굴곡된 도로를 주행하던 중의 사고 또는 차량의 회전에 의한 국부적 측면 충돌 등의 경우에, 차량의 회전 정도에 따라 측면에어백의 전개 판단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탑승자의 완충작용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은
측면충돌센서와 요센서의 측정값을 입력 받는 입력단계와;
상기 요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의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요센서판단단계와;
상기 요센서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요센서 측정값이 상기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면에어백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을 비교할 소정의 충돌센서임계값을 변경하는 임계값변경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장치는
차체의 요우각을 측정하는 요센서와;
차체의 측면 충돌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측면충돌센서와;
차체의 측면 방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측면에어백과;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신호와 요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측면에어백의 전개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요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의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면에어백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을 비교할 소정의 충돌센서임계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굴곡된 도로를 주행하던 중의 사고 또는 차량의 회전에 의한 국부적 측면 충돌 등의 경우에, 차량의 회전 정도에 따라 측면에어백의 전개 판단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한 탑승자의 완충작용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측면에어백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을 설명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을 설명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에어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의 실시예는 측면충돌센서와 요센서의 측정값을 입력 받는 입력단계(S10)와; 상기 요센서의 측정값이 소정의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요센서판단단계(S30)와; 상기 요센서판단단계(S30) 수행결과, 상기 요센서 측정값이 상기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면에어백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을 비교할 소정의 충돌센서임계값을 변경하는 임계값변경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차량이 굴곡된 도로를 주행하던 중의 사고 또는 차량의 회전에 의한 국부적 측면 충돌 등의 경우를 상기 요센서의 측정값으로 인지하여, 소정의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에서는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일률적인 충돌센서임계값으로 정작 작동해야 할 측면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아서 탑승자의 완충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임계값변경단계(S40)에서는 상기 요센서 측정값이 상기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크기가 클수록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더 작아지도록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그래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요센서 측정값이 커서 차량이 굴곡이 매우 심한 도로를 주행중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차체의 회전이 큰 상태에서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이 비교적 작아서, 종전 같으면 측면에어백을 전개하지 않았을 상황에서도,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을 비교할 기준인 상기 충돌센서임계값 자체를 낮추어, 궁극적으로 측면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적절한 완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임계값변경단계(S40) 이후에는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충돌센서판단단계(S50)를 수행하고, 상기 충돌센서판단단계(S50) 수행결과,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측면에어백을 전개하는 에어백전개단계(S60)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충돌센서입력값과 비교하여 측면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미리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입력단계(S10)와 상기 요센서판단단계(S30) 사이에는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선행충돌센서판단단계(S20)를 더 수행하고, 상기 선행충돌센서판단단계(S20) 수행결과,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이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측면에어백을 전개하는 에어백전개단계(S60)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컨트롤러의 신속한 판단으로 보다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요센서판단단계(S30) 및 임계값변경단계(S40)를 수행한 후에 상기 충돌센서판단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측면충돌센서 측정값이 원래 커서 측면에어백의 전개가 이루어질 상황이었으면, 결국 측면에어백의 전개가 이루어지게 되지만, 그 판단 자체의 시점이 작은 시간적 차이이겠지만 존재하므로, 상기 요센서판단단계(S30) 및 임계값변경단계(S40)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보다 우선적으로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상적으로 측면충돌센서의 측정값만으로도 측면에어백의 전개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다른 단계와 무관하게 즉각적으로 측면에어백의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적절한 완충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차량의 측면에어백 시스템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요우각을 측정하는 요센서(1)와; 차체의 측면 충돌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측면충돌센서(3)와; 차체의 측면 방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측면에어백(5)과;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신호와 요센서(1)의 신호를 받아 상기 측면에어백(5)의 전개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요센서(1)의 측정값이 소정의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면에어백(5)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측정값을 비교할 소정의 충돌센서임계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요센서
3; 측면충돌센서
5; 측면에어백
7; 컨트롤러
S10; 입력단계
S20; 선행충돌센서판단단계
S30; 요센서판단단계
S40; 임계값변경단계
S50; 충돌센서판단단계
S60; 에어백전개단계

Claims (5)

  1. 측면충돌센서(3)와 요센서(1)의 측정값을 입력 받는 입력단계(S10)와;
    상기 요센서(1)의 측정값이 소정의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요센서판단단계(S30)와;
    상기 요센서판단단계(S30) 수행결과, 상기 요센서(1) 측정값이 상기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면에어백(5)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측정값을 비교할 소정의 충돌센서임계값을 변경하는 임계값변경단계(S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변경단계(S40)에서는 상기 요센서(1) 측정값이 상기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크기가 클수록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더 작아지도록 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변경단계(S40) 이후에는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측정값이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충돌센서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충돌센서판단단계 수행결과,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측정값이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측면에어백(5)을 전개하는 에어백전개단계(S60)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S10)와 상기 요센서판단단계(S30) 사이에는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측정값이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선행충돌센서판단단계(S20)를 더 수행하고;
    상기 선행충돌센서판단단계(S20) 수행결과,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측정값이 상기 충돌센서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측면에어백(5)을 전개하는 에어백전개단계(S60)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5. 차체의 요우각을 측정하는 요센서(1)와;
    차체의 측면 충돌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측면충돌센서(3)와;
    차체의 측면 방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측면에어백(5)과;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신호와 요센서(1)의 신호를 받아 상기 측면에어백(5)의 전개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요센서(1)의 측정값이 소정의 요센서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면에어백(5)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측면충돌센서(3)의 측정값을 비교할 소정의 충돌센서임계값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7);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에어백 시스템.
KR1020110127453A 2011-12-01 2011-12-01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KR20130061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453A KR20130061249A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453A KR20130061249A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249A true KR20130061249A (ko) 2013-06-11

Family

ID=4885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453A KR20130061249A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2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0148A (zh) * 2013-11-26 2015-06-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展开车辆的侧面安全气囊的系统和方法
KR20210006125A (ko) * 2019-07-08 2021-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0148A (zh) * 2013-11-26 2015-06-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展开车辆的侧面安全气囊的系统和方法
KR101526715B1 (ko) * 2013-11-26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측면 에어백 전개 시스템 및 방법
US9254805B2 (en) 2013-11-26 2016-02-09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side airbag of vehicle
KR20210006125A (ko) * 2019-07-08 2021-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78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eat belt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a seat belt, of a vehicle with a predictive collision detection unit
KR101338062B1 (ko) 차량의 프리크래쉬 작동장치 및 작동방법
KR101526715B1 (ko) 자동차용 측면 에어백 전개 시스템 및 방법
JP2012001091A (ja) 制動制御装置
JP2013220743A (ja) 車両制御装置
US20150343977A1 (en) Airbag system
US201601371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vehicle passenger
KR102272076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따른 에어백 전개 방법
JP2009220784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エアバッグ制御方法
JP6042308B2 (ja) 車両衝突判定装置
KR20130061249A (ko) 차량의 측면에어백 제어방법
US8924089B2 (en) Automobi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utomobile
US202000554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collision and delimiting it with respect to normal vehicle operation
KR102557187B1 (ko) 차량용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68598B1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15548B1 (ko) 차량 전복상황시 커튼 에어백의 점화 제어 시스템
KR101937215B1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충돌 판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43886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점화방법
KR20130113014A (ko) 차량의 에어백 전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8137606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の衝突検出構造
JP2003095058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6003875B2 (ja) ロールオーバー判定装置
KR102227219B1 (ko) 에어백 전개를 위한 스몰 오버랩 충돌 판단 방법
KR101627502B1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JP6019694B2 (ja) 車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