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972A - Double-skin curtain wall - Google Patents
Double-skin curtain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0972A KR20130060972A KR1020110127311A KR20110127311A KR20130060972A KR 20130060972 A KR20130060972 A KR 20130060972A KR 1020110127311 A KR1020110127311 A KR 1020110127311A KR 20110127311 A KR20110127311 A KR 20110127311A KR 20130060972 A KR20130060972 A KR 201300609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tain wall
- opening
- link
- closing
- dou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외피 커튼 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부에서 내, 외부 커튼 월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외기를 유입시켜 상부 배기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개폐가 용이한 흡기 장치를 갖는 이중 외피 커튼 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skin curtain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rtain wall having a double curtain wall having a curtain wall having an air intake device It is about a double skin curtain wall.
일반적으로 커튼 월은 비내력벽으로, 비·바람·소음 등을 차단하는 기능 이외에 외장용(外裝用)으로서 큰 기능을 하며, 고층 또는 초고층건축물에 많이 사용된다. 재질은 금속판, 유리, 블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등이 있으며 온도 변화나 건물의 진동 등을 감안하여 설계 시공되나, 대다수는 건물 자중(自重)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된다.Generally, curtain walls are non-load-bearing walls, and have a large function as an exterior (exterior)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blocking rain, wind, and noise, and are widely used in high-rise buildings or high-rise buildings. The material is made of metal plate, glass, block, precast concrete, etc. It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emperature change and vibration of buildings. However, most of them are made of aluminum alloy considering its own weight.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공법은 프레임에 유리를 끼워 고정하고, 이를 슬래브, 기둥, 보 등에 고정 시공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프레임과 콘크리트 기둥 등은 보이지 않고 유리만 전면에 보이도록 하는 공법이다.The method using the aluminum frame is fixed by inserting the glass into the frame, and fixed to the slab, column, beam, etc. The construction is a method that only the glass is visible in front of the aluminum frame and concrete pillars.
종래 이러한 커튼 월은 단일 외피만으로 구성되어 단열성, 방음성, 기밀성 특히 에너지의 관리에 문제가 있어 최근에는 이중 외피로 시공된다.Conventionally, such curtain walls are composed of only a single outer shell, and thus have problems in thermal insulation, sound insulation, airtightness, especially energy management, and thus are recently constructed as a double outer shell.
이중 외피는 단일 외피에 다른 하나의 외피를 추가하는 구성한 것으로 형태적으로는 외기와 접하는 외피와 실내에 접하는 내피 그리고 이들 내, 외피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에너지 관리에는 어느 정도 충족할 수 있으나 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The dual envelope is composed of a single envelope with one outer envelope. The envelope is composed of an envelop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an endothelium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room, and a space forming an air layer between the inside and the envelo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ventilate.
다시 말해, 이중 외피가 설치된 건축 구조물은 실내 환기를 위해 내, 외피 각각에 Tilt & Turn형 창호를 설치하여 개방하거나 혹은 건물 천장에 환풍기와 연결된 덕트를 설치하여 강제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덕트를 이용한 강제 대류 방식은 자연적으로 사람에게 필요한 공기 순환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창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이중 외피가 단일 외피에 다른 외피를 덧댄 형식으로 내, 외피 간격이 넓어 외측에 설치된 창호를 개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외측 창호를 개방할 수는 있으나 별도의 도구를 제작하고, 이를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In other words, in a building structure with a double skin, a tilt & turn type window is installed on each of the inner and outer shells for indoor ventilation, or a duct connected to the ventilator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to forcibly circulate the air . However, in the forced convection mode using a duc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ir circulation amount naturally required for a person. In the case of using a window, conventionally, a double envelope has a single outer envelope with a different outer envelo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pen the installed window. Of course, it is possible to open the outer window using a separate tool,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separate tool must be created and connected.
또한, 종래의 이중 외피 커튼 월은 개폐되는 창호가 하부에만 구성되어 있어 내, 외피 사이의 공간에서 가열된 공기층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시공이 어렵고, 제작 비용이 과다하게 소용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ouble-skin curtain wall has a problem that a window to be opened and closed is constituted only at the lower part, and the heated air layer can not be effectively discharged in a spa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nclosure, and the construction is difficult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excessively used .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 외부 커튼 월이 설치되는 하부 수평 바에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 장치를 구비하고, 외부 커튼 월의 상부에 배기 장치를 구비하여 저면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부 배기 장치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이중 외피 커튼 월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intake device in which outside air flows into a lower horizontal bar to which inner and outer curtain walls are installed, So that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exhausting device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exhaust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기공이 저부에 형성되고, 이 흡기공을 개방 혹은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조건에 관계없이 개폐가 이용한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ake apparatus using intake and exhaust openings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t the bottom and opening or closing the intake air open or closed regardless of body condi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이 없고 조립성이 뛰어나며, 제작이 용이한 이중 외피 커튼 월의 흡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ake apparatus for a double skin curtain wall which is free from malfunction, has excellent assemblability, and is easy to manufacture.
또한 본 발명은 내, 외부 커튼 월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슬립화를 이루도록 하되, 단열성, 기밀성, 수밀성의 향상은 물론 시공 및 제작이 용이한 이중 외피 커튼 월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skin curtain wall for minimizing the distance between inner and outer curtain walls to achieve slipping, and to improve the heat insulation, airtightness and watertightness as well as to facilitate construction and fabrica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을 구성하는 커튼 월로써, 상부 및 중간 그리고 하부로 구성된 수평 바; 상기 수평 바의 양측단부에 세워지는 수직 바; 상기 수평 및 수직 바의 안쪽에 설치되며, 계절의 변화 및 환기 정도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호로 구성된 내부 커튼 월; 상기 내부 커튼 월과 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바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유리로 구성된 외부 커튼 월; 상기 공간의 직 하부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수평 바에 흡기공을 천공하고, 이 흡기공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되, 이 개폐 도어의 회동을 안내하는 개폐부가 갖추어진 흡기 장치; 흡기 장치를 통해 저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외부 커튼 월에 배기공이 형성된 케이싱을 설치하고, 이 케이싱에 링크부와 연결되어 회동하며 배기공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개폐판이 갖추어진 배기 장치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tain wall constituting an exterior of a building, comprising: a horizontal bar composed of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Vertical bars erected at opposite ends of the horizontal bar; An inner curtain wall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ars, the inner curtain wall comprising windows for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and degree of ventilation; An outer curtain wall installed with the inner curtain wall and the space, the outer curtain wall being made of glass installed outsid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ars; An intake device having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opening / closing the intake hole,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A casing provided with an exhaust hole formed in the outer curtain wall so as to discharge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a bottom portion through an intake device, an exhaust device connected to the casing and rotated to open or close the exhaust hol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첫째, 겨울철에는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며, 여름철에는 내, 외부 커튼 월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improves the heat insulation effect in winter and effectively discharges heated air between inside and outside curtain walls in summer.
둘째, 본 발명은 외기가 저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 흐름이 원활하고, 장치의 개폐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outside air flows in from the bottom portion and is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the airflow is smooth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pparatus is easy.
셋째,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부가 저부에 구비되어 누구나 쉽게 개방 및 폐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n intake portion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is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so that anyone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넷째, 본 발명은 외중 외피로 구성되나, 일체화된 수평 바와 수직 바를 이용하여 슬립화를 꾀할 수 있는 발명이다.Fourth,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n outer sheath, slip can be achieved using a vertical bar and an integrated horizontal bar.
다섯째 본 발명은 조립성이 뛰어나고 제작이 편리하며, 고장이 없는 이중 외피 커튼 월이다.
Fifth,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 skin curtain wall which is excellent in assemblability, easy to manufacture, and has no troub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커튼 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흡기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기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기 장치 개폐부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기 장치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
도 6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기 장치의 일측면도. 1 is a sectional view of a curtain wal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ak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intake device opening / closing pa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ake apparatus opening / closing pa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ide views of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첨부된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커튼 월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흡기 장치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기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기 장치 개폐부의 사시도 및 일측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기 장치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a, 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기 장치의 일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urtain wal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intake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A and 5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n intake apparatus opening / closing pa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n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intake apparatus opening / 1 shows a side view of the device,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배기 장치는 이중 외피를 갖는 커튼 월에 적용되는 것을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 예이고, 다른 커튼 월 예컨대, 단일 외피의 커튼 월, 혹은 다른 재질의 커튼 월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개폐창 및 창호를 개방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exhau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 be applied to a curtain wall having a double skin, but this is one example and may be used for another curtain wall, such as a single skin curtain wall, or a curtain wall of another material. It can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opening and closing windows and windows independently.
도면에서 본 발명의 커튼 월(100)은 상부, 중간, 하부로 구성된 수평 바(110)와 이 수평 바(110)의 양측 끝 부분에 세워지는 수직 바(120) 및 이들 수평 바와 수직 바(110),(120)에 설치되는 내부 및 외부 커튼 월(130),(140)로 구성되며, 여기에 외기를 유입시키는 흡기 장치(150)와, 유입된 공기를 상부측으로 배출토록 설치된 배기 장치(160)로 구성된다.In the drawing, the
상기 내부 커튼 월(130)은 도면과 같이 창호로 구성된다. The
여기서 창호는 여러 형태일 수 있으나,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는 상단 혹은 하단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Tilt & Turn형 창호가 설치되고, 중앙 부위에는 측단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창호가 설치된다.Here, the windows may be in various forms, but as shown in the drawings, upper and lower tilt & turn windows are installed around the top or bottom, and a casement window is installed at the center to open and close the sides. .
상기 외부 커튼 월(140)은 수평 및 수직 바(110),(120)의 외향 즉 전면에 끼워지는 유리(142)로 구성되며, 상단부에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배기 장치(200)가 설치된다.The
한편, 상기 내부 커튼 월(130)와 외부 커튼 월(140)은 수평 바와 수직 바(110), (120)의 내, 외측 단부에 설치되도록 하되, 이들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어 공기층이 가열 혹은 이를 이용한 실내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 공간(S)과 직접 연결된 흡기 장치(150)가 하부 수평 바(110)에 설치된다.The
다시 말해, 상기 흡기 장치(150)는 하부 수평 바(110)의 중앙에 위치하며, 공간(S) 쪽으로 개폐되어 외기가 커튼 월(100)의 저부로부터 유입되어 후술하는 상부 배기 장치(200)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In other words, the
상기 배기 장치(200)는 외부 커튼 월(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싱(210)과, 이 케이싱(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개폐판(220)과, 상기 개폐판(220)을 밀어 회전시키는 축봉(230)과, 절첩식으로 상기 축봉(230)을 밀거나 당기는 링크부(240)와 이 링크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봉(250)과, 형태 유지부(260)로 구성된다.The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흡기 장치(150)는 개폐 도어(151)와 이 개폐 도어(151)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52)와, 도어의 전방측에 구비된 밀폐부(153)로 구성되고, 하부 수평 바(110)에는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흡기공(112)이 형성되며, 이 흡기공(112)에는 망체 즉 걸름망(114)이 갖추어진 구성이다.In this structure, the
여기서 상기 걸름망(114)은 외기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수납식으로 구성되어 건물의 물 청소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awing wire 114 is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may be a retractable type, and may be cleaned when the building is cleaned with water.
또한 상기 하부 수평 바(110)의 배기공(112) 전방에는 상기 밀폐부(153)가 걸려 밀착되는 걸림턱(116)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 도어(151)의 개폐를 안내하는 개폐부(160)는 첨부된 도4a,b 및 도5와 같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상기 개폐부(160)는 기본적으로 개폐 도어의 양측에 설치되나 경우에 따라서 일측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opening and closing
하부 수평 바(110)에 고정되는 몸체(162)와, 이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일단은 링크(165)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162)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164)이 구비된 구성이다.A
상기 코일 스프링(164)은 몸체(162)를 관통하는 중심축(163)에 끼워져 지지되고, 이 중심축(163)에 상기 링크(165)의 하단이 연결된다.The
다시 말해, 상기 링크(165)의 하단은 몸체(162)와 스프링(164)을 관통하는 중심축(163)에 끼워지고, 중앙에 형성된 걸이홈(165a)에 상기 스프링(164)의 일단이 걸어지는 구성이다.In other words,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링크(165)의 상단은 연결 링크(167)가 힌지핀(166)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 링크(167)는 상기 개폐 도어(151)에 고정되는 고정판(16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이다.The upper end of the
한편, 외부 커튼 월(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기장치(200)는 작동봉(250)을 끌어당기거나 밀어올리면 이와 연결된 회전 링크(244)가 중앙의 중심축(24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연동 링크(241)를 밀어내는 즉, 연결핀(243)을 중심으로 연동 링크와 회전 링크가 펼쳐지며 개폐판(220)에 설치된 축봉(230)을 밀어, 계폐판이 상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물론 폐쇄 시에는 작동봉(250)을 밀어올려 상기와는 반대로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Of course, in closing, the
본 발명의 흡기 장치(150)는 봄 혹은 가을 혹은 실내 환기 시 상기 배기 장치와 함께 개방되는데, 먼저 사용자는 내부 커튼 월(130)을 구성하는 하부측 창호(133)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폐 도어(151)에 구비된 손잡이(152)를 잡고 당기면, 개폐 도어(151)는 힌지(154)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열리도록 하되, 이때 개폐부(160)의 연결링크(167)가 개폐 도어(151)와 함께 당겨져 링크(165)가 세워지며 개문이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본 발명은 외기가 수평 바에 천공된 흡기공(112)을 통해 공간(S)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부 배기 장치(200)를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S through the intake holes 112 formed in the horizontal bar, and the
물론 스프링(164)은 링크(165)를 탄력 지지하고, 폐쇄 시에는 이 스프링이 개폐 도어를 당겨 쉽게 닫히도록 하는 구성이다.
Of course, the
100: 커튼 월 110, 120 : 수평 및 수직 바
130, 140 : 내, 외부 커튼 월 150 : 흡기장치
151 : 개폐 도어 152 : 손잡이
160 : 개폐부 100:
130, 140: inner and outer curtain walls 150: intake device
151: opening / closing door 152: handle
160:
Claims (9)
상부 및 중간 그리고 하부로 구성된 수평 바;
상기 수평 바의 양측단부에 세워지는 수직 바;
상기 수평 및 수직 바의 안쪽에 설치되며, 계절의 변화 및 환기 정도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호로 구성된 내부 커튼 월;
상기 내부 커튼 월과 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바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유리로 구성된 외부 커튼 월;
상기 공간의 직 하부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하부 수평 바에 흡기공을 천공하고, 이 흡기공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되, 이 개폐 도어의 회동을 안내하는 개폐부가 갖추어진 흡기 장치;
흡기 장치를 통해 저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외부 커튼 월에 배기공이 형성된 케이싱을 설치하고, 이 케이싱에 링크부와 연결되어 회동하며 배기공을 개방 혹은 폐쇄하는 개폐판이 갖추어진 배기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커튼 월. As a curtain wall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Horizontal bars consisting of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Vertical bars erected at opposite ends of the horizontal bar;
An inner curtain wall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ars, the inner curtain wall comprising windows for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and degree of ventilation;
An outer curtain wall installed with the inner curtain wall and the space, the outer curtain wall being made of glass installed outsid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ars;
An intake device having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opening / closing the intake hole,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An exhaust device is provided with a casing having an exhaust hole formed in the outer curtain wall so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bottom through the intake device is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and the casing is connected to the link part to rotate and open or close the exhaust hole. Double curtain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9. The double skin curtain wall of claim 8, wherein a connecting rod extending to the lower window of the inner curtain wall is coupled to the rotating link so that the working rod is pulled or pushed up to rotate the rotating link so as to be fold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7311A KR101399167B1 (en) | 2011-11-30 | 2011-11-30 | Double-skin Curtain Wall |
JP2012263419A JP2013113088A (en) | 2011-11-30 | 2012-11-30 | Double skin curtain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7311A KR101399167B1 (en) | 2011-11-30 | 2011-11-30 | Double-skin Curtain W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0972A true KR20130060972A (en) | 2013-06-10 |
KR101399167B1 KR101399167B1 (en) | 2014-06-02 |
Family
ID=4870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7311A KR101399167B1 (en) | 2011-11-30 | 2011-11-30 | Double-skin Curtain Wal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13113088A (en) |
KR (1) | KR10139916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36505A (en) * | 2020-01-19 | 2020-06-05 | 温州锐翔装饰工程有限公司 | Shutter system of building curtain wall |
CN113757868A (en) * | 2021-09-16 | 2021-12-07 | 深圳中粤装饰集团有限公司 | Double-deck ventilation curtain of extrinsic cycle convection curr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77390B (en) * | 2016-12-29 | 2019-03-26 | 安徽科蓝特铝业有限公司 | A kind of half hidden frame type of respiration curtain wall |
CN108086549B (en) * | 2017-12-29 | 2020-06-05 | 浙江英瑞幕墙装饰有限公司 | Curtain wall matched with aluminum alloy revolving door |
CN110656720B (en) * | 2019-10-31 | 2024-07-09 | 广州行盛玻璃幕墙工程有限公司 | Double-layer linkage opening and closing curtain wall capable of adjusting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glass |
CN113513112B (en) * | 2021-04-08 | 2022-07-29 | 深圳市嘉信建设集团有限公司 | Combined building curtain wall and us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5086B1 (en) * | 2004-10-25 | 2006-12-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The functional double-skin facades for natural ventilation |
KR100871924B1 (en) * | 2007-05-30 | 2008-12-05 |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 Natural ventilation apparatus for windows and doors |
KR101302744B1 (en) * | 2008-12-05 | 2013-08-30 |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 curtain wall Windows |
KR101058417B1 (en) * | 2009-07-13 | 2011-08-24 | 박화련 | Ventilated window frame |
-
2011
- 2011-11-30 KR KR1020110127311A patent/KR10139916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1-30 JP JP2012263419A patent/JP2013113088A/en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36505A (en) * | 2020-01-19 | 2020-06-05 | 温州锐翔装饰工程有限公司 | Shutter system of building curtain wall |
CN113757868A (en) * | 2021-09-16 | 2021-12-07 | 深圳中粤装饰集团有限公司 | Double-deck ventilation curtain of extrinsic cycle convection current |
CN113757868B (en) * | 2021-09-16 | 2022-12-16 | 深圳中粤装饰集团有限公司 | Double-deck ventilation curtain of extrinsic cycle convection curr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9167B1 (en) | 2014-06-02 |
JP2013113088A (en) | 2013-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9167B1 (en) | Double-skin Curtain Wall | |
KR101302744B1 (en) | curtain wall Windows | |
JP3746216B2 (en) | Curtain wall unit with ventilation mechanism and building ventilation structure | |
KR20080015230A (en) | No fan - double window system with melting blind | |
KR101377372B1 (en) | Double skin curtain wall having azon insulating layer | |
KR101387185B1 (en) | Double skin curtain wall having integrated window frame | |
KR101382033B1 (en) | An exhaust device of Double-skin Curtain Wall | |
JP4594817B2 (en) | Curtain wall window ventilation structure | |
KR101352208B1 (en) | Double-skin Curtain Wall | |
KR101433429B1 (en) | Double skin curtain wall having exhaust duct | |
EA010557B1 (en) | Frame, in particular for window, door or facade elements | |
KR101122584B1 (en) | Windows and doors system have the faculty of ventilation | |
KR101384883B1 (en) | Auto Exhaust device of Double-skin Curtain Wall | |
JP7453089B2 (en) | fittings | |
JP7453088B2 (en) | fittings | |
KR100916848B1 (en) | Natural ventilating device | |
JP7451353B2 (en) | fittings | |
JP4503509B2 (en) | Joinery | |
KR200404269Y1 (en) | Energy saving and multi-function window | |
JP3480418B2 (en) | Insulated sash with ventilator | |
JP7296223B2 (en) | window | |
JPH06347073A (en) | Ventilating fan incorporated into curtain box | |
JP2001020632A (en) | Ventilating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 |
JPH0328693Y2 (en) | ||
JP2005105527A (en) | Ventilation device for house and opening frame provided with vent for ventil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