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588A - 팬 모터 - Google Patents

팬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588A
KR20130059588A KR1020110125634A KR20110125634A KR20130059588A KR 20130059588 A KR20130059588 A KR 20130059588A KR 1020110125634 A KR1020110125634 A KR 1020110125634A KR 20110125634 A KR20110125634 A KR 20110125634A KR 20130059588 A KR20130059588 A KR 2013005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base member
rotor case
flange
vert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아체슬라브 스미르노프
김덕식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588A/ko
Publication of KR2013005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 모터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측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팬 모터{fan motor}
본 발명은 팬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노트북 등과 같은 소형 포터블 컴퓨터들은 점차,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두께가 얇고, 가벼워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들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위해서는 컴퓨터 내부에 사용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주변 전자장치의 소형화 및 고속화, 대용량화가 불가피하다.
이처럼, 소형화되어진 CPU 등과 같은 전자부품들의 용량은 상대적으로 대용량화되어짐에 따라서 발열량은 극도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체로서의 전자부품들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냉각수단이 갖추어져야한다.
하지만, 전자제품들이 점점 더 박형화됨에 따라서 내부의 공간은 더욱 고밀도화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공간적 제약으로 냉각유체(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해 전자 칩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방출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상기 CPU는 여타의 부품이 갖는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당히 높기 때문에 CPU의 고온화에 따른 문제는 심각하다. 즉, 상기 CPU의 고온화는 결과적으로 클럭(clock) 속도의 저하 및 오작동 그리고 고장 발생율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원인이 된다.
현재, 이러한 CPU 등과 같은 발열체를 효과적으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노력으로 종래에는 팬 모터, 방열핀, 히트파이프 등을 이용한 냉각장치를 프로세서에 붙여 프로세서나 고발열 컴포넌트 등을 냉각시키는데 이용하고 있다.
한편, 팬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팬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바람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팬 모터에 구비되는 부품 구성에 의해 상기 바람의 유동이 방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의 유동이 효율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어야만 모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팬 모터에 구비되는 부품 구성에 의해 상기 바람의 유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모터의 구성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팬 모터가 회전하여 발생시키는 바람이 방해받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불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팬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는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측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주면에 구동 마그넷이 구비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외측면에는 팬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 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상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거나 굴곡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 하단은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상단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회전부재가 고정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펌핑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펌핑홈은, 상기 로터 케이스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의 하단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펌핑홈은, 상기 로터 케이스에서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단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주벽부의 하단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펌핑홈은 스파이럴 또는 나사선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수직부의 하단 면은 내측 상부에서 외측 하부로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장착돌기에 끼움되도록 끼움홀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상단면은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 하단면에 대응하도록 내측 상부에서 외측 하부로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회전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펌핑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펌핑홈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상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외측면은,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거나 굴곡진 형상에 연속되도록 테이퍼지거나 굴곡진 확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팬 모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배치와 형상 변화를 통해 팬 모터가 회전하여 발생시키는 바람이 방해받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불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팬 모터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 케이스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1000)는 스핀들 모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팬 모터(1000)는 상기 스핀들 모터(200)가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스핀들 모터(200)의 로터(300)에 장착되는 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축 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외경 방향 외측 또는 내측 방향은 상기 샤프트(510)를 기준으로 로터(300)의 외측단 방향 또는 상기 로터(300)의 외측단을 기준으로 상기 샤프트(510)의 중심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원주 방향은 상기 샤프트(510)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510)가 회전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이하 상술할 스핀들 모터(200)가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부재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통상 박스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스핀들 모터(200)의 회전에 의해 일단에서 타단으로 냉각 바람이 불어나갈 수 있어야 하므로 스핀들 모터(200)의 축방향 상측과 하측에 외부로 관통된 연통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통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서는 베이스 어셈블리의 외경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어셈블리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특히, 회전부재를 제외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 모터(200)는, 구동 마그넷(306)이 결합되는 로터(300)와, 로터(300)와 결합되는 샤프트(510)와, 샤프트(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02)과, 베어링(502)을 지지하는 홀더(holder, 504)와, 구동 마그넷(306)과 인접하도록 홀더(504)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테이터(400) 및 로터(300)와 대향하여 스테이터(400)의 상부에 로터 케이스(302)에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흡인 마그넷(700)을 포함함으로써, 로터(300) 전반에 스테이터(400) 방향으로 인력을 제공함으로써, 로터(300)의 안정적인 회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속회전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나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넷(700)은 환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로터 케이스(302)에 스테이터(400)의 내측 상부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700)은 상기 로터 케이스(302)에서 상기 스테이터(400)의 내측단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주벽부(307)의 내주면에 압입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본딩 결합될 수 있다.
로터(300)는 로터 케이스(302)와 구동 마그넷(3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 케이스(302)는 상기 샤프트(510)와 결합되는 버링(burring)부(304)와, 상기 버링부(304)에서 대략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02a) 및 상기 수평부(302a)의 외측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수직부(3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링부(304)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하향 또는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버링부(304)의 내주면은 샤프트(51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로터 케이스(302)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 케이스(302)의 외측단은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302b)가 구비되며 그 내주면에 구동 마그넷(306)이 결합된다. 구동 마그넷(306)은 스테이터(400)와 전자기적인 작용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로써 로터(300)는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터(300)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의 외주면에는 팬(310)이 구비되어 상기 로터(300)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302b) 외주면에 팬(310)이 장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302b) 하단은 상기 팬(3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이하 설명할 베이스 부재(600)의 플랜지(605) 상단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302b)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거나(taped) 굴곡진(curved)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302b) 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600)의 플랜지(605) 상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600)의 플랜지(605) 상단 면은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302b) 하단 면에 대응하도록 내측 상부에서 외측 하부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 부재(600)의 플랜지(605) 외측면은,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거나 굴곡진 형상에 연속되도록 테이퍼지거나 굴곡진 확장부(609)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로터 케이스(302)의 외측면을 타고 내려오는 순환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베이스 부재(600)에도 외측으로 확장되는 부분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확장부(609)의 상단은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하단보다 내측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가 고정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펌핑홈이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부재인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302b) 하단 면에 폄핑홈(30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인 로터 케이스(302)의 주벽부(307) 하단 면에 펌핑홈(305)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가 회전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에도 펌핑홈이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고정부재에 구비되는 펌핑홈(607)은 상기 베이스 부재(600)의 플랜지(605) 상단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홈(303)(305)(607)은 스파이럴 또는 나사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핑홈(303)(305)(607)은 모터의 내부 즉, 상기 로터 케이스(302)와 이하 설명할 베이스 부재(6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팬(310)에 의해 발생되는 소정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이 모터의 부품 등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샤프트(510)의 일측은 로터 케이스(302)의 버링부(304)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며, 그 타측은 베어링(5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502)은 소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소결체 내에 윤활유를 함침하고 있는 함유 베어링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베어링이 활용될 수 있다.
베어링(502)은 샤프트(510)와 일정한 간극을 가질 수 있고, 샤프트(510)가 회전하면, 상기 간극에는 윤활유체를 충전하여, 샤프트(510)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홀더(504)는 베어링(502)을 지지한다. 홀더(504)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 내에 베어링(502)이 삽입됨으로써, 베어링(502)이 지지될 수 있다. 홀더(504)의 외주면은 스테이터(40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홀더(504)의 관통홀 내에는 축받이(508)가 결합되어, 샤프트(510)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축받이(508)와 샤프트(510)의 저면 사이에는 와셔(스토퍼, 506)가 개재되어 샤프트(5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축받이(508)와 샤프트(510)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504)의 관통홀 내에는 상기 와셔(506) 및 축받이(508)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커버부재(5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5)는 상기 홀더(504)와 샤프트(510) 사이의 간극에 충진되는 윤활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홀더(504)의 관통홀 하측에서 실링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관통홀 내에는 상기 베어링(50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샤프트(510)와의 사이에 윤활유체의 실링부를 형성하는 캡부재(5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503)는 상기 홀더(504)의 관통홀 내부에 끼움되고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510)와 소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510)와의 사이에 모세관(캐필러리) 현상에 의해 기액계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샤프트(5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캡부재(503)의 내주면은 축방향 상측으로 갈수록 상대부재와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홀더(504)는 베이스 부재(600)에 결합된다. 홀더(504)는 그 내측으로는 샤프트(510)를 지지하고, 그 외측으로는 스테이터(400)를 지지하며, 결국 베이스 부재(600)에 샤프트(510)와 스테이터(4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스테이터(400)의 내주면은 상기 홀더(504)의 외주면에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터(400)의 하면은 상기 홀더(504)에 구비되는 단차부(504a)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600)의 상단에 걸림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504)는 상기 베이스 부재(600)와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600)에 구비되는 끼움부(601)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터(400)는 스테이터 코어(410)와 코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410)는 환형의 바디(412)와, 바디(412)의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티스(414)를 포함하며, 티스(414)에는 코일(420)이 권선될 수 있다. 티스(414)의 말단은 구동 마그넷(306)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600)에서 상향 돌출되는 장착돌기(60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돌기(603)의 내주면에 끼움부(601)가 구비되어 상기 홀더(504)가 끼움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600) 상에는 인쇄회로기판(800)이 결합되어, 스테이터 코어(410)에 권선된 코일(420)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800)은 대략 중앙 부분에 끼움홈(803)을 구비하여 상기 장착돌기(603)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쇄회로기판(800)의 상기 끼움홈(803)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800)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는 연통홀(80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801)은 상기 인쇄회로기판(800)이 상기 장착돌기(603)에 끼움 고정 되더라도 상부와 하부의 공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연통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600)의 외측단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600)에서 상향 돌출되는 플랜지(605)가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800)은 상기 플랜지(605)의 내측, 즉, 베이스 부재(600)가 형성하는 공간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모터의 축계는 상기 샤프트(510)가 베이스 부재(6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베어링(502), 홀더(5041), 샤프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는 베이스 부재(600), 베어링(502), 홀더(5041), 와셔(506), 캡부재(503), 커버부재(505), 축받이(508) 및 스테이터(400)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부재로서 샤프트(510) 및 로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베어링 어셈블리(500)는 베어링(502), 캡부재(503), 홀더(504), 커버부재(505), 와셔(506), 축받이(508) 및 샤프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핀들 모터(200)가 회전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바람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바람의 유동은 가령,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상부에서 하부로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서 'A'로 표기된 화살표 방향이 스핀들 모터(20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의 유동에 해당할 수 있다. A 바람의 경우는 하우징(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불어올 수 있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베이스 부재(600)에 플랜지(605)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플랜지(605)가 구비되더라도 인쇄회로기판(800)이 베이스 부재(600)의 외측단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팬(310)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302b) 하단은 상기 팬(3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베이스 부재(600)의 플랜지(605) 상단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고, 플랜지(605)에 걸림될 수 있어 팬 모터(1000)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 부재(600)의 외측단에 플랜지(605)를 구비하여 인쇄회로기판(800)이 상기 플랜지(605)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와 고정부재가 마주보는 부분의 회전부재에 펌핑홈을 형성하여 스핀들 모터(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 유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부(302b)의 하단 면과 주벽부(307)의 하단 면에 펌핑홈(303)(305)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로터 케이스(302)의 수직부(302b)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하여 의도적으로 베이스 부재(600)에 공기의 유동이 걸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800)에는 끼움홈(803)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는 연통홀(801)을 구비하여 하부의 공기가 상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0: 하우징
200: 스핀들 모터
300: 로터
302: 로터 케이스
306: 구동 마그넷
500: 베어링 어셈블리
510: 샤프트
502: 베어링
504: 홀더
506: 와셔
600: 베이스 부재
601: 끼움부
700: 흡인 마그넷
1000: 팬 모터

Claims (15)

  1.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상기 홀더가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외측단에 상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플랜지의 내측에 구비되는 팬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고정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주면에 구동 마그넷이 구비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외측면에는 팬이 구비되는 팬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 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상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팬 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거나 굴곡진 형상인 팬 모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 하단은 상기 팬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상단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팬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고정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펌핑홈이 구비되는 팬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홈은,
    상기 로터 케이스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의 하단 면에 형성되는 팬 모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홈은,
    상기 로터 케이스에서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단을 향해 하향 연장되는 주벽부의 하단 면에 형성되는 팬 모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홈은 스파이럴 또는 나사선 형상인 팬 모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하단 면은 내측 상부에서 외측 하부로 테이퍼진 형상인 팬 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장착돌기에 끼움되도록 끼움홀이 구비되고,
    상기 끼움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팬 모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상단면은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 하단면에 대응하도록 내측 상부에서 외측 하부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되는 팬 모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회전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펌핑홈이 구비되는 팬 모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홈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상단면에 형성되는 팬 모터.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플랜지 외측면은, 상기 로터 케이스의 수직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거나 굴곡진 형상에 연속되도록 테이퍼지거나 굴곡진 확장부가 구비되는 팬 모터.
KR1020110125634A 2011-11-29 2011-11-29 팬 모터 KR20130059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34A KR20130059588A (ko) 2011-11-29 2011-11-29 팬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34A KR20130059588A (ko) 2011-11-29 2011-11-29 팬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588A true KR20130059588A (ko) 2013-06-07

Family

ID=4885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34A KR20130059588A (ko) 2011-11-29 2011-11-29 팬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5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084A (ko)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에스 씨디 팬 모터
KR20200052854A (ko) * 2018-11-07 2020-05-15 한온 시스템즈 바트 홈부르크 게엠베하 Bldc 모터의 전자 기기의 공기 냉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084A (ko)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에스 씨디 팬 모터
KR20200052854A (ko) * 2018-11-07 2020-05-15 한온 시스템즈 바트 홈부르크 게엠베하 Bldc 모터의 전자 기기의 공기 냉각
CN111162636A (zh) * 2018-11-07 2020-05-15 翰昂系统巴德霍姆堡有限责任公司 无刷直流电机的电子器件的空气冷却
US11279201B2 (en) 2018-11-07 2022-03-22 Hanon Systems Bad Homburg GmbH Air cooling of the electronics of a BLDC motor
CN111162636B (zh) * 2018-11-07 2022-08-12 翰昂汽车零部件德国有限公司 无刷直流电机的电子器件的空气冷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5682B2 (en) Blower fan
JP3767192B2 (ja) 電動機及びそれを用いたヒートシンク装置
US9822787B2 (en) Dynamic pressure bearing apparatus and fan
US10072672B2 (en) Fan
US9388827B2 (en) Blower fan
EP2549629A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9140268B2 (en) Bearing apparatus and blower fan
US9341189B2 (en) Fan
US10161405B2 (en) Cooling apparatus
JP7022265B2 (ja) 真空ポンプ
JP2014137088A (ja) 軸受装置、モータおよび送風ファン
JP2012193854A (ja) 動圧軸受とこの動圧軸受を備えた放熱ファン
CN104295529A (zh) 送风风扇
JP2014145304A (ja) 送風ファン
JP2013100891A (ja) 軸受装置およびファン
US20130119801A1 (en) Bearing assembly and fan motor including the same
US6124657A (en) Motor having a hydrodynamic bearing and cooling device using the motor
JP5209261B2 (ja) 軸受構造とこの軸受を備えたファンモータ
KR20130059588A (ko) 팬 모터
TWI546453B (zh) 散熱風扇
KR101328203B1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팬 모터
KR101350586B1 (ko)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30051615A (ko)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팬 모터
JP2021044984A (ja) モ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62023B1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