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152A -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152A
KR20130059152A KR1020110125314A KR20110125314A KR20130059152A KR 20130059152 A KR20130059152 A KR 20130059152A KR 1020110125314 A KR1020110125314 A KR 1020110125314A KR 20110125314 A KR20110125314 A KR 20110125314A KR 20130059152 A KR20130059152 A KR 20130059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mp
brake lamp
switch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152A/ko
Publication of KR20130059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제동 램프 점검 장치는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제동 램프와 상기 제동 램프 점등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서브 라인과, 상기 서브 라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 리모컨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키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가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 램프 점검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키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동 램프의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Apparatus for checking brake lamps and brake lamps system hav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미에 설치된 제동 램프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 램프는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며, 운행 중인 차량을 정지시킬 때 뒤따르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정지 신호를 알려주어 사고를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제동 램프가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므로,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동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점검하기 힘들다. 상기 제동 램프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운전자 이외에 또 다른 사람이 필요하므로, 상기 제동 램프의 작동 여부 확인이 번거롭다.
그러나,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를 고장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뒤따르는 차량이 선행 차량의 정지를 용이하게 확인하지 못하므로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 램프가 작동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제동 램프 점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동 램프 점검 장치를 포함하는 제동 램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 램프 점검 장치는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제동 램프와 상기 제동 램프 점등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서브 라인과, 상기 서브 라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 리모컨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키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가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만 상기 제동 램프를 점등하는 릴레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서브 라인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동 램프를 연결하며 제동 페달과 연동되는 제동 램프 스위치가 구비되는 메인 라인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 램프 시스템은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제동 램프와,
상기 제동 램프 점등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동 램프를 연결하는 메인 라인과, 상기 메인 라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시동 스위치와, 상기 메인 라인 상에 구비되며, 차량의 제동 페달과 연동되는 제동 램프 스위치와, 상기 메인 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동 램프를 연결하는 서브 라인과, 상기 서브 라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 리모컨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키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가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가 키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동 램프를 점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혼자서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의 작동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 램프 점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 램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 램프 점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동 램프 점검 장치(100)는 서브 라인(110), 스위치(120), 키 리모컨(130) 및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라인(110)은 제동 램프(10)와 배터리(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동 램프(10)는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제동 램프(10)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제동 램프(10)와 상기 배터리(20)는 메인 라인(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 라인(30)에는 시동 스위치(40) 및 제동 램프 스위치(50)가 구비된다. 상기 시동 스위치(40)는 차량의 시동 여부에 따라 온오프된다. 상기 제동 램프 스위치(50)는 상기 차량의 제동 페달과 연동되어 온오프된다. 즉, 상기 차량이 시동되면 상기 시동 스위치(40)는 온 상태가 되고, 이때 운전자가 상기 제동 페달을 밟으면 상기 제동 램프 스위치(50)가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제동 램프(10)가 점등된다.
상기 서브 라인(110)은 상기 메인 라인(30)과 별도로 상기 제동 램프(10)와 상기 배터리(20)를 연결하거나, 상기 메인 라인(30)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 서브 라인(110) 상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라인(110)을 연결 또는 차단한다. 상기 스위치(120)가 상기 서브 라인(110)은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동 램프(10)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12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동 램프(10)가 일정 시간 동안만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120)가 상기 서브 라인(110)을 일정 시간 동안만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120)는 일정 시간 동안만 상기 제동 램프(10)를 점등시키는 릴레이일 수 있다.
상기 키 리모컨(130)은 상기 차량과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10)를 점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 리모컨(130)은 상기 신호를 발생을 위한 버튼을 가지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키 리모컨(130)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리모컨(130)은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신호 등을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키 리모컨(130)에서 발생되는 제동 램프(10)의 점등을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제동 램프(10)의 점등을 위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10)가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120)를 제어한다.
상기 제동 램프 점검 장치(100)는 상기 키 리모컨(130)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10)를 점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상기 키 리모컨(130)의 버튼을 눌러 상기 제동 램프(10)의 점등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컨트롤러(140)가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12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동 램프(10)를 점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는 상기 제동 램프(10)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10)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상기 제동 램프(1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 램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동 램프 시스템(200)은 제동 램프(210), 배터리(220), 메인 라인(230), 시동 스위치(240), 제동 램프 스위치(250), 서브 라인(260), 스위치(270), 키 리모컨(280) 및 컨트롤러(290)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 램프(210)는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제동시 점등된다.
상기 배터리(220)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램프(210)의 점등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220)는 상기 제동 램프(210)의 점등만을 위해 사용되거나, 상기 차량이 전기차인 경우 상기 차량의 동력원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라인(230)은 상기 제동 램프(210)와 상기 배터리(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메인 라인(230)을 통해 상기 배터리(220)의 전원이 상기 제동 램프(210)로 전달된다.
상기 시동 스위치(240)는 상기 메인 라인(230) 상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에 따라 온오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이 시동 상태이면 상기 시동 스위치(240)는 온 상태가 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이면 상기 시동 스위치(240)는 오프 상태가 된다.
상기 제동 램프 스위치(250)는 상기 메인 라인(230) 상에 구비되며, 차량의 제동 페달과 연동되어 온오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제동 페달을 밟으면 상기 제동 램프 스위치(250)가 온 상태가 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제동 페달을 밟지 않으면 상기 제동 램프 스위치(25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이 시동되면 상기 시동 스위치(240)는 온 상태가 되고, 이때 운전자가 상기 제동 페달을 밟으면 상기 제동 램프 스위치(250)가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제동 램프(210)가 점등된다.
상기 서브 라인(260)은 상기 제동 램프(210)와 상기 배터리(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서브 라인(260)은 상기 메인 라인(230)의 시동 스위치(240) 및 상기 제동 램프 스위치(250)의 온오프와 무관하게 추가적으로 상기 제동 램프(210)와 상기 배터리(220)를 연결한다.
상기 서브 라인(260)은 상기 메인 라인(230)과 연결되지 않고 별도로 상기 제동 램프(210)와 상기 배터리(220)를 연결하거나, 상기 메인 라인(23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동 램프(210)와 상기 배터리(2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70)는 상기 서브 라인(260) 상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라인(260)을 연결 또는 차단한다. 상기 스위치(270)가 상기 서브 라인(260)은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동 램프(210)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27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동 램프(210)가 일정 시간 동안만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270)가 상기 서브 라인(260)을 일정 시간 동안만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치(270)는 일정 시간 동안만 상기 제동 램프(210)를 점등시키는 릴레이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27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210)가 일정 시간 동안 점등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운전자가 상기 제동 램프(210)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키 리모컨(280)은 상기 차량과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210)를 점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키 리모컨(280)은 상기 신호를 발생을 위한 버튼을 가지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키 리모컨(280)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리모컨(280)은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신호 등을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키 리모컨(280)은 상기 도어 개폐를 위한 신호 및 상기 차량 시동 온오프를 위한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버튼들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90)는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키 리모컨(280)에서 발생되는 제동 램프(210)의 점등을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90)는 상기 제동 램프(210)의 점등을 위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210)가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270)를 제어한다.
상기 제동 램프 시스템(200)은 차량 시동 상태에서 운전자가 제동 페달을 밟음으로써 상기 제동 램프(210)를 점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을 뒤따르는 차량이 선행 차량의 정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 램프 시스템(200)은 상기 키 리모컨(280)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210)를 점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상기 키 리모컨(280)의 버튼을 눌러 상기 제동 램프(210)의 점등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컨트롤러(290)가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27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동 램프(210)를 점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는 상기 제동 램프(210)의 점등 여부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210)의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 상기 제동 램프(21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제동 램프 시스템은 키 리모컨을 이용하여 차량의 제동 램프의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동 램프의 작동 이상을 즉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동 램프의 작동 이상으로 인해 상기 차량을 뒤따르는 차량이 선행 차량의 정지를 확인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동 램프 점검 장치 110 : 서브 라인
120 : 스위치 130 : 키 리모컨
140 : 컨트롤러 10 : 제동 램프
20 : 배터리 30 : 메인 라인
40 : 시동 스위치 50 : 제동 램프 스위치

Claims (4)

  1.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제동 램프와 상기 제동 램프 점등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서브 라인;
    상기 서브 라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스위치;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 리모컨;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키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가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램프 점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만 상기 제동 램프를 점등하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램프 점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라인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동 램프를 연결하며 제동 페달과 연동되는 제동 램프 스위치가 구비되는 메인 라인과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램프 점검 장치.
  4.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제동 램프;
    상기 제동 램프 점등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동 램프를 연결하는 메인 라인;
    상기 메인 라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시동 스위치;
    상기 메인 라인 상에 구비되며, 차량의 제동 페달과 연동되는 제동 램프 스위치;
    상기 메인 라인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동 램프를 연결하는 서브 라인;
    상기 서브 라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스위치;
    상기 차량의 제동 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 리모컨;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상기 키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동 램프가 점등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램프 시스템.
KR1020110125314A 2011-11-28 2011-11-28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 KR20130059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14A KR20130059152A (ko) 2011-11-28 2011-11-28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14A KR20130059152A (ko) 2011-11-28 2011-11-28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52A true KR20130059152A (ko) 2013-06-05

Family

ID=4885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314A KR20130059152A (ko) 2011-11-28 2011-11-28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1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7344B2 (ja) 車両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暗電流遮断装置及び方法
US20110248845A1 (en) Architecture for Controlling Signal Lights of Vehicles
KR20130059152A (ko) 제동 램프 점검 장치 및 이를 갖는 제동 램프 시스템
US20110284330A1 (en) Elevator emergency phone - light combination
US8855897B2 (en) Vehicle start control apparatus
WO2011120727A3 (de) Wechselrichte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echselrichter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KR100954215B1 (ko) 비상 안전 기능을 갖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JP2014155402A (ja) 電気自動車のモータ制御システム
CN203793207U (zh) 用于车载灯的控制装置以及工程车辆
KR101098393B1 (ko)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20090043214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2015166213A (ja) ライト制御システム
KR101315649B1 (ko) 차량의 정지램프 작동 보상회로
KR100821716B1 (ko) 비상안전기능을 가지는 차량 전력공급 제어장치
KR2010011678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고장 진단방법
US20210139055A1 (en) System for illuminating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JP4315064B2 (ja) 非常用照明装置
KR101214852B1 (ko) 정지램프 제어장치
KR100822638B1 (ko) 차량의 비상 전원공급 장치
KR100417849B1 (ko) 차량의 전원 고장 진단장치
KR101879866B1 (ko)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KR101834219B1 (ko) 퓨즈 스위치의 작동상태 식별 장치
AU2014100625A4 (en) Timed accessory power system for a battery
KR20150096925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3082335A (ja) ランプシステム及びラン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