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100A -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100A
KR20130059100A KR1020110125230A KR20110125230A KR20130059100A KR 20130059100 A KR20130059100 A KR 20130059100A KR 1020110125230 A KR1020110125230 A KR 1020110125230A KR 20110125230 A KR20110125230 A KR 20110125230A KR 20130059100 A KR20130059100 A KR 2013005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sure
service
user terminal
inform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인모
황형원
Original Assignee
구인모
황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인모, 황형원 filed Critical 구인모
Priority to KR102011012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100A/ko
Publication of KR2013005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145Board games concerning treasure-hunting, fishing, h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LBS)와 증강 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광고를 가능케 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광고주로부터 보물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을 공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탐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보물 정보와 상기 사용자 탐색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보물찾기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MOBILE TREASURE HUNT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보물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의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능을 이용하여 보물찾기 서비스 및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급속히 보급되면서 모바일 광고 시장이 새로운 광고 플랫폼으로 등장했다. 특히,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모바일 광고 시장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모바일 광고 방식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광고 또는 인터넷 검색 광고와 동일하게 광고주가 일방적으로 광고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피동적으로 이를 받아 보는 방식에 국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어, 충분한 유인책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모바일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먼저 적극적으로 광고에 접근하도록 하는 유인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와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광고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LBS)와 증강 현실(AR)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광고를 가능케 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광고주로부터 보물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을 공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탐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보물 정보와 상기 사용자 탐색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보물찾기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보물찾기 서비스 이용을 위해 위치기반서비스(LBS)와 증강현실(AR) 기술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물 정보는 보물의 위치, 상기 보물의 영상 및 상기 보물의 위치의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탐색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물 정보와 상기 사용자 탐색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보물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보물찾기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비교 결과 상기 보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상기 보물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비교 결과 상기 보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근접 거리 이내에 있고, 상기 영상 정보 비교 결과 상기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 영상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영상 내에 상기 보물의 영상이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을 공지하는 단계는, 특정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공지하는 방법,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공지하는 방법 및 포털 사이트의 배너 등을 통해 온라인 광고 형태로 공지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보물찾기 서비스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공지되고 전파된 경우, 보물을 찾은 사용자와 서비스 전파 경로 상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차등적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기반 서비스와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보물찾기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모바일 광고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보물찾기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재미를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보물찾기 서비스의 공지 및 전파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고 그 전파 경로 상에 있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서비스 자체의 광고에 소비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도 1의 보물 정보와 사용자 탐색 정보 비교 단계(S107) 및 보물찾기 결과 제공 단계(S109)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a 내지 도 3c는 광고주의 보물 등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보물찾기 서비스의 시작을 공지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도 5b, 도 6, 도 7a 및 도 7b는 보물찾기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광고주로부터 보물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S101),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을 공지하는 단계(S103),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탐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5), 보물 정보와 사용자 탐색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107) 및 사용자 단말로 보물찾기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109)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장치와 카메라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아 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야 하며, 사용자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보물찾기 서비스 이용을 위해 위치기반 서비스(LBS)와 증강 현실(AR) 기술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렇게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물찾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보물 정보 등록 단계(S101)에서, 광고주는 보물의 위치, 보물의 영상 및 보물의 위치의 영상을 포함하는 보물 정보를 등록한다. 여기에서 보물의 위치는 GPS에 의한 위도 값과 경도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보물의 위치의 영상은 등록된 보물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단말의 카메라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영상이 된다.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 공지 단계(S103)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공지되거나, 서비스 회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특정 사이트를 통해 공지되거나,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공지되거나, 포털 사이트의 배너 등을 통해 온라인 광고 형태로 공지되거나, 오프라인 광고판, 전단지, 신문 등을 통해 공지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탐색 정보 수신 단계(S105)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탐색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카메라 영상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는 보물의 위치와 마찬가지로 GPS에 의한 위도 값과 경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보물 정보와 사용자 탐색 정보 비교 단계(S107)는, 등록된 보물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등록된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카메라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보물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먼저 비교하고, 비교 결과 보물과 사용자 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카메라 영상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 공지 단계(S103), 사용자 탐색 정보 수신 단계(S105) 및 보물찾기 결과 제공 단계(S109)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가 제공된다. 제공되는 광고는 광고주가 보물 등록시 함께 등록한 광고이거나, 광고주가 아닌 다른 제휴업체가 등록한 광고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보물 정보와 사용자 탐색 정보 비교 단계(S107) 및 보물찾기 결과 제공 단계(S109)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보물 정보와 사용자 탐색 정보 비교 단계(S107)에서는 보물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비교하여(S201), 보물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일정 거리(예를 들어, 1km) 이내에 있는지(S203), 또 근접 거리(예를 들어, 50m)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205).
사용자 단말이 보물로부터 일정 거리(1km) 이내에 있으나 근접 거리(50m) 이내에는 있지 않은 경우, 보물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함께 표시된 레이더(Radar) 형태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S215).
사용자 단말이 보물로부터 근접 거리(50m) 이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S207),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등록된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비교한다(S209). 비교 결과 두 영상이 일치하면 사용자가 보물을 찾은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화면 내에 보물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S213). 이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증강 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과 보물의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영상 정보까지 함께 비교하고 두 정보 모두가 일치했을 경우에만 보물을 찾은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서비스의 정확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재미 또한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가 실제로 구현되었을 경우 광고주 또는 사용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예시 화면들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광고주에게 제공할 보물 등록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통해 광고주는 숨겨놓을 보물에 대한 소개와, 보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에 의한 위도, 경도 값을 등록할 수 있다.
도 3b는 광고주가 등록하는 보물의 위치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보물이 숨겨진 위치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영상과 동일하다.
도 3c는 광고주가 등록하는 보물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사용자가 보물을 찾았을 때 카메라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보물 자체의 영상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보물찾기 서비스의 시작을 공지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공지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어플리케이션의 자체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들에게 확실한 노출 효과가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서비스 사용자들이 충분히 확보되기 이전 단계에서 유용한 방법이며, 광고주들의 광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자체의 광고를 할 경우에도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도 4b는 SNS의 일례로 트위터를 통해 공지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서비스 제공자 또는 광고주의 SNS 계정을 이용하거나, 연예인 등 유명인의 계정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보물찾기를 통한 마케팅 효과 뿐만 아니라 SNS 계정으로 잠재 고객들을 끌어들이는 효과를 가지며, 보물찾기 메시지에 따른 행동으로 이어질 경우 사용자의 관여도가 확실히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후자의 경우 서비스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매우 높은 파급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광고주의 기업 또는 상품 이미지에 대한 무관심과 반감이 줄어들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마케팅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트위터의 리트윗(retweet)과 같은 SNS의 전파 기능을 통해 보물찾기 서비스가 순식간에 전국 각지의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될 수 있어, 서비스 이용의 공간적인 제약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서비스를 알리기 위한 별도의 광고 비용도 줄일 수가 있다.
도 4c는 지하철 광고판을 통해 서비스가 공지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4d는 신문의 지면 광고를 통해 공지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을 이용하여 보물찾기 서비스를 공지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최적화된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a는 사용자가 보물을 찾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사용자 단말이 보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지 않을 때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도(map) 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화면은 지도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제공하는 업체와 연계하여 제공하거나, 포털 업체에서 제공하는 맵 컨텐츠(Open API Map)를 이용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휴 업체의 로고(파리바게뜨, 버거킹)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주변 업체를 표시해 줌으로써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보물 찾기 경과를 알려줌과 동시에 광고주의 "LIKE Air" 로고를 지속적으로 노출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하단의 스파게티 사진과 같이 광고주의 상품에 대해 간접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광고주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고 친근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6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레이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보물의 위치에 일정 거리(1km) 이내로 접근했을 경우 사용자 단말에 도 6과 같은 레이더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이더 화면을 통해 보물과의 거리 및 방향을 알 수 있고, 보물찾기에 더욱 재미를 느껴 적극적으로 보물을 찾아가게 될 수 있다. 이 때, 화면 중앙의 "LIKE Air" 로고와 같이 서비스 업체 또는 광고주의 광고를 레이더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해당 광고를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각인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사용자가 보물을 찾았을 때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단말의 위치 및 카메라 영상이 광고주가 등록한 보물의 위치 및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동일할 경우, 사용자의 카메라 화면 상에 도 7a와 같은 보물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보물의 영상을 선택(touch)하면 도 7b와 같은 보물찾기의 성공을 알려주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보물을 찾은 사용자에게는 특정 상품이나 재화 등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물찾기 서비스가 SNS를 통해 공지되고 전파된 경우에는 보물을 찾은 사용자와 서비스 전파 경로 상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차등적으로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많은 사람들의 적극적인 서비스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광고주로부터 보물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을 공지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탐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보물 정보와 상기 사용자 탐색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보물찾기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물찾기 서비스 이용을 위해 위치기반서비스(LBS)와 증강현실(AR) 기술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물 정보는 보물의 위치, 상기 보물의 영상 및 상기 보물의 위치의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탐색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포함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물 정보와 상기 사용자 탐색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보물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물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먼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보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상기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 영상을 비교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보물찾기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비교 결과 상기 보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경우 상기 보물의 위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보물찾기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비교 결과 상기 보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근접 거리 이내에 있고, 상기 영상 정보 비교 결과 상기 보물의 위치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 영상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영상 내에 상기 보물의 영상이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을 공지하는 단계는
    특정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공지하는 방법,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공지하는 방법 및 포털 사이트의 배너 등을 통해 온라인 광고 형태로 공지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는
    상기 보물찾기 서비스 시작을 공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탐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보물찾기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동시에 제공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보물을 찾은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물찾기 서비스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공지되고 전파된 경우, 보물을 찾은 사용자와 서비스 전파 경로 상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차등적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10125230A 2011-11-28 2011-11-28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KR20130059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230A KR20130059100A (ko) 2011-11-28 2011-11-28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230A KR20130059100A (ko) 2011-11-28 2011-11-28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00A true KR20130059100A (ko) 2013-06-05

Family

ID=4885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230A KR20130059100A (ko) 2011-11-28 2011-11-28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1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40A1 (ko) * 2018-08-30 2020-03-05 엔티콘 주식회사 특정 오프라인 장소 홍보를 위한 미션달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2020039A (ja) * 2020-07-19 2022-01-31 プレティア・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6040A1 (ko) * 2018-08-30 2020-03-05 엔티콘 주식회사 특정 오프라인 장소 홍보를 위한 미션달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2022020039A (ja) * 2020-07-19 2022-01-31 プレティア・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1116B2 (en) Determining exposures to content presented by physical objects
EP25152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targeted advertisements
US20140032327A1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digital signage and related mobile content
US20120054001A1 (en) Geo-fenced Virtual Scratchcard
US201300910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Targeted Advertisements
KR20110133339A (ko)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56387A1 (en) Generating Advertising Metrics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201600987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graphically-based promotions
US20150015609A1 (en) Method of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US200900632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marketing using networked devices
US20130054351A1 (en) User-curated business recommendations
KR20200041525A (ko) 이동차량의 광고판의 위치정보와 연동되는 주행거리 기반 광고비를 산정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20143695A1 (en) Content collaboration among heterogeneous distributed mediums
US20140019227A1 (e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US20140279003A1 (en) Enhancement of user affinity experience based on messaging related to a geographic area
KR20130059100A (ko) 모바일 보물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기록매체
KR101217893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포워딩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92339B1 (ko) 사용자 참여형 업체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7144788B2 (ja) データ分析装置、データ分析システム、データ分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10854A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광고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광고 서버
AU2011101398B4 (en) Electronic Promotional System
KR100845739B1 (ko) 컨텐츠 제공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16772A (ko)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 위치값과 사용자 유형별 분석에 따른 광고 노출 대상 선별과 그 결과에 의한 맞춤형 광고 노출을 통한 보상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3554A (ko)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Rifat et al. A location based advertisement scheme using openstreet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