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976A - 삼륜 자전거 - Google Patents

삼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976A
KR20130058976A KR1020110125019A KR20110125019A KR20130058976A KR 20130058976 A KR20130058976 A KR 20130058976A KR 1020110125019 A KR1020110125019 A KR 1020110125019A KR 20110125019 A KR20110125019 A KR 20110125019A KR 20130058976 A KR20130058976 A KR 20130058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teering shaft
saddle
joint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술
Original Assignee
(주)디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케이 filed Critical (주)디엠케이
Priority to KR102011012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8976A/ko
Publication of KR2013005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3/00Arrangements for warming rid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장과 손잡이에 열선을 설치하여 추운 겨울에도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장에 미끄럼방지부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안장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 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전륜과 한 개의 후륜과 중심프레임과 다운프레임과 보조의자 및 손잡이를 포함하는 삼륜 자전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방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하로 연결되는 핸들조향축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셋튜브; 상기 헤드셋 튜브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횡축부재; 상기 횡축부재의 양측 끝단에서 하부로 연결되는 전륜조향축;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핸들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동일하게 움직이게 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핸들조향축의 하단에 고정되어 핸들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메인관절부재; 상기 전륜조향축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관절부재; 상기 메인관절부재의 작동력을 상기 보조관절부재에 그대로 전달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를 상기 메인관절부재와 상기 보조관절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의자의 상면에 설치 고정되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 개의 태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 상기 중심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집광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집광판의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 상기 다운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된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스위치; 상기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온/오프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스위치의 온(on) 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안장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장을 히팅하는 제1열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손잡이를 히팅하는 제2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삼륜 자전거{TRICYCLE}
본 발명은 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장과 손잡이에 열선을 설치하여 추운 겨울에도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장에 미끄럼방지부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안장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 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용자의 운동력을 이용하여 전륜이나 후륜을 구동시킴으로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이동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 효과와 함께 레크레이션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한편, 환경친화적인 특성에 의해 수요가 점차 확산 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이륜 자전거는 전륜과 후륜이 하나씩 구비된 인라인식 구조로 되어 있어 자전거를 처음 배울 때에는 무게중심을 제대로 적용하기 힘들어 무수히 넘어지는 시행착오를 거치는 단점을 지닌다.
최근에는 초보자가 자전거를 타다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륜을 하나로 하고, 후륜을 두 개로 하는 삼륜 자전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삼륜 자전거는 세 개의 바퀴가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후방에 짐을 싣거나 노약자들이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삼륜 자전거의 안장과 손잡이에는 열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추운 겨울에 삼륜 자전거를 운전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삼륜 자전거의 안장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장으로부터 운전자가 종종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장과 손잡이에 열선을 설치하여 추운 겨울에도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장에 미끄럼방지부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안장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 삼륜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는,
두 개의 전륜과 한 개의 후륜과 중심프레임과 다운프레임과 보조의자 및 손잡이를 포함하는 삼륜 자전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방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하로 연결되는 핸들조향축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셋튜브;
상기 헤드셋 튜브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횡축부재;
상기 횡축부재의 양측 끝단에서 하부로 연결되는 전륜조향축;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핸들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동일하게 움직이게 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핸들조향축의 하단에 고정되어 핸들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메인관절부재;
상기 전륜조향축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관절부재;
상기 메인관절부재의 작동력을 상기 보조관절부재에 그대로 전달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를 상기 메인관절부재와 상기 보조관절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의자의 상면에 설치 고정되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 개의 태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
상기 중심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집광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집광판의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
상기 다운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된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스위치;
상기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온/오프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스위치의 온(on) 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안장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장을 히팅하는 제1열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손잡이를 히팅하는 제2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는 안장과 손잡이에 열선을 설치함으로써, 추운 겨울에도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장에 미끄럼방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안장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하여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2의 링크 조립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기울어진 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도 2의 링크 조립체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기울어진 상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륜 자전거(10)는,
한 개의 후륜(14), 전방프레임(20), 헤드셋튜브(30), 핸들조향축(32), 횡축부재(40), 전륜조향축(50), 지지부재(80), 링크조립체(60), 보조의자(100) 및 콘트롤박스(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륜(14)은 두 개의 후방프레임(28)에 의해 지지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프레임(28)과 전방프레임(20) 사이에는 상하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상부에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27)을 갖는 중심프레임(26)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셋튜브(30)는 하나 이상의 전방프레임(20)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하로 연결되는 핸들조향축(3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조향축(32)의 상측에는 전방으로 연결되는 스템(34)이 구비되고, 이 스펨(34)의 끝단에는 양측으로 벌려지는 손잡이(3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헤드셋튜브(30)는 상하로 관통된 구멍을 갖는 파이프이다.
그리고, 전방프레임(20)은 헤드셋튜브(30)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탑프레임(22) 및 탑프레임(22)의 하측에 위치하고, 헤드셋튜브(30)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다운프레임(24)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셋튜브(30)과 핸들조향축(32) 사이에는 핸들조향축(32)이 헤드셋튜브(30) 내에서 회동 되도록 베어링이 구비된다.
횡축부재(40)는 헤드셋튜브(3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횡축부재(40)의 좌우 끝단 사이의 거리는 300~8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최대 허용범위는 100~1000mm일 수 있으며, 100mm이하는 자전거가 넘어지기 쉽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
또한, 1000mm이상인 경우는 운동성이 저하되어 좌우 흔들림이 심해지므로 운전자가 방향을 유지하는 데 힘이 많이 들어 사용의 의미가 없다. 그리고, 횡축부재(40)의 좌우 끝단 사이의 거리가 400~600mm인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그리고, 횡축부재(40)의 양측 끝단에는 전륜조향축(50)을 지지하는 홀더부(42)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부(42)는 상측이 막히고, 하측으로 개방된 구멍에 전륜조향축(50)이 끼워져 결합 된다.
한편, 홀더부(42) 내에는 전륜조향축(50)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이 구비된다. 물론, 홀더부(42)와 전륜조향축(50)은 일체로 형성되고, 전륜조향축(50)과 보조관절부재(64)의 중심 구멍 사이에 회동을 위한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80)는 전륜(12)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80)는 가스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서스펜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부재(80)는 서스펜션을 적용하지 않고, 자체 완충력이 없는 일반적인 지지봉을 적용할 수 있다.
핸들조향축(32), 전륜조향축(50) 및 지지부재(80)는 전면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80)에 가스피스톤을 적용하는 경우, 두 개중 한 개의 전륜(12)에 대하여 가하여지는 하중은 20~50kg까지 버틸 수 있으며, 완충시 이동거리가 ±70mm정도까지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80)에서 전륜축(82)에 가까워질수록 전방으로 약간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삼륜 자전거(10)가 일측 방향으로 하중이 가하여지거나 회전하는 경우, 일측 방향에 원심력이 가하여져 그 위치에 고정된 지지부재(80)가 수축되어 삼륜 자전거(10)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
면서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링크조립체(60)는 핸들조향축(32)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재(80)가 동일하게 움직이게 한다.
링크 조립체(60)의 구성은 핸들조향축(32)의 하단에 고정되어 핸들조향축(3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메인관절부재(62), 전륜조향축(5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관절부재(64), 메인관절부재(62)의 보조관절부재(64)에 그대로 전달하는 링크부재(66) 및 링크부재(66)를 메인관절부재(62)와 보조관절부재(64)에 결합하는 결합부(6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관절부재(64)는 전륜조향축(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두 개의 지지부재(80)가 연결된다.
그리고, 지지부재(80)가 전륜(12)의 중심을 관통하는 전륜축(82)의 양측을 지지한다.
다른 한편, 상기 보조의자(100)의 상면에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 개의 태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10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프레임(26)의 외주면에는 상기 집광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집광판(104)의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10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운프레임(24)의 외주면에는 콘트롤박스(1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박스(102)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부(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106)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스위치(10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102)의 내부에는 상기 온/오프스위치(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스위치(108)의 온(on) 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장(27)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장을 히팅하는 제1열선(11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6)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손잡이를 히팅하는 제2열선(113)이 설치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안장(27)의 상면에는 운전자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미끄럼방지부(114)가 설치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14)는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삼륜 자전거(10)의 조립과정을 살펴 보면, 탑프레임(22)과 다운프레
임(24)에 지지된 헤드셋튜브(30)의 구멍을 통하여 베어링과 핸들조향축(32)을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그리고, 헤드셋튜브(30)의 양측으로 벌려진 횡축부재(40)의 양단 하부에 형성된 홀더부(42)에 두 개의 전륜조향축(50)을 각각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42) 내에는 전륜조향축(50)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륜조향축(50)의 하단에 보조관절부재(64)를 각각 조립하고, 핸들조향축(32)의 끝단에는 메인관절부재(62)를 결합한다.
메인관절부재(62)는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전륜조향축(50)의 끝단 외주를 양측에서 감싸는 상태로 결합하고,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조여줌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2개의 링크부재(66)의 끼움구(74)를 메인관절부재(62)의 메인핀(70)과 보조관절부재(64)의 보조핀(72)으로 끼운 후, 이탈방지부재(76)인 스냅링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링크 조립체(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핸들(36)을 통해 핸들조향축(32)을 회전시키면, 끝단에 일체로 고정된 메인관절부재(62)의 회동에 의해 메인핀(70)에 결합된 끼움구(74)를 거쳐 링크부재(66)에 작동력이 가해지면서, 보조관절부재(64)가 동일한 각도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관절부재(64)의 양측에 고정된 지지부재(80)를 회전시키고, 전륜축(82)에 고정된 두 개의 전륜(12)을 회전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 보조의자(100)의 상면에는 집광판(104)을 설치하고, 중심프레임(26)의 외주면에는 충전부(106)를 설치한 후, 상기 집광판(104)과 충전부(106)를 전기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다운프레임(24)의 외주면에는 콘트롤박스(102)를 설치하되, 상기 콘트롤박스(102)의 내부에는 온/오프스위치(108)와 제어부(110)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10)에 온/오프스위치(108)를 전기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스위치(108)에 충전부(106)를 전기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안장(27)의 내부에 제1열선(112)을 설치한 후, 상기 제1열선(112)을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6)의 내부에 제2연선(113)을 설치한 후, 상기 제2연선(113)을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삼륜 자전거 14 : 후륜
20 : 전방프레임 30 : 헤드셋튜브
32 : 핸들조향축 40 : 횡축부재
50 : 전륜조향축 80 : 지지부재
60 : 링크조립체 100 : 보조의자
102 : 콘트롤박스 104 : 집광판
106 : 충전부 108 : 온/오프스위치
110 : 제어부 112 : 제1열선
113 : 제2연설 114 : 미끄럼방지부

Claims (3)

  1. 두 개의 전륜과 한 개의 후륜과 중심프레임과 다운프레임과 보조의자 및 손잡이를 포함하는 삼륜 자전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방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하로 연결되는 핸들조향축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셋튜브;
    상기 헤드셋 튜브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횡축부재;
    상기 횡축부재의 양측 끝단에서 하부로 연결되는 전륜조향축;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핸들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동일하게 움직이게 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핸들조향축의 하단에 고정되어 핸들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메인관절부재;
    상기 전륜조향축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관절부재;
    상기 메인관절부재의 작동력을 상기 보조관절부재에 그대로 전달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를 상기 메인관절부재와 상기 보조관절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의자의 상면에 설치 고정되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 개의 태양전지가 연결 배치된 집광판;
    상기 중심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집광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집광판의 태양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충전부;
    상기 다운프레임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된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온/오프스위치;
    상기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온/오프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오프스위치의 온(on) 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안장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장을 히팅하는 제1열선;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손잡이를 히팅하는 제2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상면에는,
    운전자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미끄럼방지부(1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자전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114)는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자전거.















KR1020110125019A 2011-11-28 2011-11-28 삼륜 자전거 KR20130058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019A KR20130058976A (ko) 2011-11-28 2011-11-28 삼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019A KR20130058976A (ko) 2011-11-28 2011-11-28 삼륜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976A true KR20130058976A (ko) 2013-06-05

Family

ID=4885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019A KR20130058976A (ko) 2011-11-28 2011-11-28 삼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89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324A1 (ko) * 2014-06-24 2015-12-30 김종철 분리식 세발자전거의 체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324A1 (ko) * 2014-06-24 2015-12-30 김종철 분리식 세발자전거의 체결방법
JP2017524599A (ja) * 2014-06-24 2017-08-31 キム チョンチョルKIM, Chong Chul 分離式三輪自転車の締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5576B1 (en) Vehicle with lockable tilt system
CN106358442B (zh) 折叠小型摩托车
WO2012090244A1 (ja) 電動二輪車
CN205010404U (zh) 折叠式站坐两用电动滑板车
CA2809067A1 (en) Mounting adapter for an electric cycle
US99443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a collapsible electric scooter
JPH10203459A (ja) 小型車両
WO2009059099A2 (en) Lockable tilt system for a three-wheeled vehicle
US9731785B1 (en) Tiltable electric tricycle
JP2008132933A (ja) 三輪車
US9254888B2 (en) Straddle-type electric vehicle
US20170036735A1 (en) Bicycle
CN217730667U (zh) 电动摩托车
KR20130058976A (ko) 삼륜 자전거
CN203427963U (zh) 电动车
CN102642477A (zh) 电动车辆
CN106005191B (zh) 一种折叠电动滑板车
KR101358351B1 (ko) 전기 자전거
KR100994394B1 (ko) 삼륜 자전거
CN103221299B (zh) 两轮电动车
JP2011025766A (ja) 折りたたみ式電動補助自転車
CN209126893U (zh) 一种便携式电动滑板车
CN204766219U (zh) 用于手动轮椅的电动轮装置
JP5886079B2 (ja) 低床自転車
CN207617908U (zh) 一种两轮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