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958A - 원형 공구 블랭크와 그 제조 방법 및 기구 - Google Patents

원형 공구 블랭크와 그 제조 방법 및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958A
KR20130057958A KR1020120133960A KR20120133960A KR20130057958A KR 20130057958 A KR20130057958 A KR 20130057958A KR 1020120133960 A KR1020120133960 A KR 1020120133960A KR 20120133960 A KR20120133960 A KR 20120133960A KR 20130057958 A KR20130057958 A KR 20130057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blank
die
end member
fl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536B1 (ko
Inventor
이삭 카카이
헨리크 에릭손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3005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5/00Profiling tools for metal extruding
    • B21C25/10Making tool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21C23/147Making drill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4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bars or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by extru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 B23P15/32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twist-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2005/001Cutting tools, earth boring or grinding tool other than tabl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2005/004Article comprising helical form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5/1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of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subgroups
    • B22F2005/103Cavity made by removal of inse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10T408/4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including Tool with duct
    • Y10T408/455Conducting channel extending to end o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illing Too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공구용 블랭크의 제조 방법과 기구 및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결국 원형 공구의 제조 방법 및 얻어진 원형 공구 (24) 에 관한 것이다. 기구는 압출용 다이 (6), 슬리브 (10) 및 일 단부에서 슬리브 (10) 를 폐쇄하는 엔드 부재 (14) 를 구비한 슬리브 장치를 포함한다. 다이 (6) 를 통한 압출은 칩 플루트 (4) 및 선택적으로 내부 냉각수 채널 (3) 을 포함하는 압출 재료 (22) 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데, 이것은 슬리브 장치에 의해 수용된다. 슬리브 장치에 의해 수용된 압출 재료는 슬리브 장치의 내부 형상에 따라 섕크부 (1) 로 재가공 및 셰이핑된다. 슬리브 (6) 안으로 돌출한 엔드 부재 (14) 의 돌기 (15) 는 블랭크에 보어 (5) 를 형성한다. 섕크부가 마무리 가공될 때, 블랭크를 완성하기 위해서 플루트부 (2) 를 형성하도록 압출이 지속됨에 따라 엔드 부재 (14) 는 풀리고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프로세스에서 재료 폐기물은 최소화되고 내부 냉각수 채널 (3) 이 플루트부 (2) 에서 칩 플루트와 동시에 형성되므로 내부 냉각수 채널 (3) 을 변형시킬 위험이 없다. 더욱이, 원형 공구 (24) 에서 보어 (5) 는 불필요한 재료를 제거하고 내부 냉각수 채널 (3) 의 개선된 설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형 공구 블랭크와 그 제조 방법 및 기구{ROUND TOOL BLANK AND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형 공구용 블랭크의 제조 방법과 기구 및 원형 공구용 블랭크, 결국 원형 공구의 제조 방법 및 원형 공구에 관한 것이다.
원형 공구는 절삭 공구 분야에 사용되는 용어이고 이것은 드릴, 엔드 밀 (end mills), 스레드 드릴 등과 같은 칩 형성 기계가공용 절삭 공구를 말한다. 절삭 인서트와 달리, 원형 공구는 전형적으로 기다랗고 섕크부 및 하나 이상의 절삭 날을 포함하는 부분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 보통, 절삭 날을 포함하는 부분은 기계가공 중 칩의 효율적인 제거를 위한 칩 플루트 (chip flutes) 를 포함하여서 이 부분은 본원에서 플루트부 (fluted portion) 라고 말한다. 원형 공구는 통상적으로 초경 합금 또는 고속도 강으로 만들어지지만, 그것은 또한 세라믹 또는 서멧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원형 공구의 제조는 보통 분말 재료를 최종 제품 형상과 실제적으로 비슷한 형상을 가지는 블랭크로 프레싱하고, 최종 제품 형상을 얻기 위해서 소결 및 연삭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말 야금에 의해 수행된다. 종래의 제조 기법에서 이것은 블랭크가 기본적인 기하학적 구조, 칩 플루트 및 절삭 날을 형성하도록 상당한 연삭을 요구하는 본질적으로 원통형 몸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삭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 이것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원형 공구에서 내부 냉각수 채널이 형성된다. 이것은 원통형 코어 부재 둘레에 왁스 등으로 만들어진 와이어를 트위스트하고, 블랭크를 형성하도록 몰드를 채우고 프레싱하고, 최종 제품 형상을 얻도록 소결 및 연삭하는 것을 포함하는 몰드에서 등압 프레싱 (isostatic pressing) 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 제조 기법은 또한 소결 이전 프레싱된 몸체의 적어도 약간의 기계가공을 요구한다.
사출 성형 또는 압출과 같은 보다 최신의 제조 기법은 최종 제품 형상에 더 가까운 형상을 블랭크에 제공한다.
US 7,101,167 은, 분말 혼합물을 최종 제품 형상에 매우 가까운 형상을 가지는 원형 공구 블랭크로 압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형 공구 제조 방법을 기술한다. 이 방법은 연속 프로세스로 샤프트부, 칩 플루트 및 선택적으로 내부 냉각수 채널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분말 혼합물이 압출된 분말 혼합물의 원통형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다이를 통하여 압출된 후 진행하는 압출된 분말 혼합물의 원통형 외부면이 다이 하류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플루트 형성 구조를 부여받아서, 칩 플루트는 블랭크의 플루트부를 규정하도록 원통형 외부면의 제 1 종단면을 따라 형성된다. 원하는 길이의 플루트부가 얻어질 때 플루트 형성 구조는 칩 플루트 형성을 종료하도록 원통형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고 원형 공구 블랭크의 샤프트부를 규정하는 원통형 외부면을 가지는 제 2 단면이 완성될 때까지 다이를 통한 압출이 계속된다. 내부 냉각수 채널은 다이에 또한 형성될 수도 있고 진행하는 분말 혼합물을 회전시킴으로써 내부 냉각수 채널은 칩 플루트를 따를 것이다. 하지만, 플루트 형성은 내부 냉각수 채널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냉각수 채널의 이러한 변형은 형성된 원형 공구 블랭크의 불량 (rejection) 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US 7,296,497 은 처음에 칩 플루트를 형성하고 그 후에 섕크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접근법을 기술한다. 이것은 다이를 통하여 분말 혼합물을 압출하여 칩 플루트가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냉각수 채널은 다이에 배치된 필라멘트에 의해 칩 플루트로서 동시에 형성된다. 그 후, 진행하는 압출된 분말 혼합물은 다이에 연결된 원통형 슬리브로 유입되고 결국 슬리브의 자유 단부로부터 사출 (project) 된다. 압출된 분말 혼합물의 사출 부분은 슬리브의 자유 단부를 폐쇄하는 뚜껑에 의해 절단된다. 압출이 진행됨에 따라, 진행하는 압출된 분말 혼합물이 슬리브를 채우고 예비성형된 칩 플루트가 채워지고 예비성형된 냉각수 채널은 슬리브 내부의 압출된 분말 혼합물의 변형으로 인해 변형된다. 슬리브 내 압력이 임의의 레벨에 도달했을 때, 뚜껑은 개방되고 슬리브의 벽에 대한 마찰로 인해 변형된 부분은 비회전 방식으로 슬리브로부터 밖으로 밀린다. 슬리브 내부에서 연속 비회전 진행으로 인해, 필라멘트는 마침내 슬리브 내에서 직선을 이루게 되고 슬리브로부터 밖으로 사출되는 변형된 부분은 절단된다. 그 후, 원하는 길이의 섕크부가 얻어질 때까지 압출이 지속된다.
최종 제품 형상에 매우 가까운 형상을 제공하지만, 위의 방법에 따른 플루트 형성은 분말 재료의 상당한 손실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원형 공구를 제조할 때 폐기 재료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에 따른 원형 공구용 블랭크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공구용 블랭크는 섕크부, 플루트부 및 섕크부의 종방향 축선과 동축으로 섕크부 안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포함한다. 블랭크는 내부 냉각수 채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블랭크는 성형될 원형 공구의 형상과 비슷한 형상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원에서 블랭크에 대해 기하학적으로 고려하여 또한 블랭크로부터 성형된 원형 공구에 적용되고, 그 반대로 적용된다. 블랭크로부터 원형 공구로 변환은 적어도 블랭크의 소결 및 선택적으로 건조, 기계가공, 연삭, 폴리싱, 코팅 등과 같은 다른 후처리를 포함한다. 원형 공구는 칩 형성 기계가공에 의한 금속 절삭을 위한 것이고 따라서 초경 합금, 고속도 강, 서멧 또는 세라믹과 같은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블랭크는 다른 재료 조성을 가질 수도 있고, 예컨대 이것은 바인더와 같은 부가 구성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구조 및 상 (phase) 이 소결로 변화될 수도 있다.
보어는 섕크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 블랭크의 종방향 중심 축선으로 섕크부 길이의 1/2 을 초과한 길이를 따라, 더욱더 바람직하게 섕크부 길이의 75 % 를 초과한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보어는 플루트부의 칩 플루트와 중첩되고, 즉 보어는 부분적으로 플루트부 안으로 연장된다.
보어는 적어도 다음에 기술되는 프로세스를 사용해 원형 공구의 제조시 재료를 절감한다. 게다가, 블랭크의 후프로세싱이 개선될 수도 있다. 보통, 섕크부는 건조 및 소결과 같은 열 처리 중 블랭크의 다른 부분에 다른 성질을 제공하는 플루트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두껍다. 이 차이는 블랭크의 휨, 다공성 및 다른 문제점들을 야기할 수도 있다. 적어도 섕크부 안으로 연장된 보어 때문에 섕크부와 플루트부에서 블랭크의 두께는 본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데, 이것은 열 처리 중 원형 공구의 모든 부분에 동일한 조건을 제공한다. 공구에서 보어는 또한 공구를 경량화시키는데, 이것은 제조, 수송 및 조작 (handling) 에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블랭크는 적어도 플루트부에서 블랭크의 종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 냉각수 채널을 포함한다. 내부 냉각수 채널은 냉각수 채널에 공통 입구를 제공하는 보어에 연결된다. 이 실시형태의 일 변형예에서 내부 냉각수 채널의 전체 단면적은 보어의 단면적보다 작다.
내부 냉각수 채널, 또한 그것의 배치 및 설계가 이와 같이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내부 냉각수 채널은 나선형 칩 플루트를 따르고, 그리하여 내부 냉각수 채널은 트위스트 방식으로 종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체 원형 공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얇은 내부 냉각수 채널을 가질 때, 특히 긴 원형 공구에 대해 내부 냉각수 채널에서 유동 저항이 높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플루트부에서 내부 냉각수 채널에 연결된 섕크부에 넓은 보어를 가짐으로써, 유동 저항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덕분에 원형 공구를 통한 냉각수 유동을 위한 유동 성질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섕크부와 플루트부를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제조 기구는, 다이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내부 플루트 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압출용 다이, 슬리브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 내부 섕크 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슬리브 및, 슬리브의 제 2 단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를 가지고 엔드 부재가 슬리브로부터 분리되는 풀림 (released) 위치를 가지는 엔드 부재를 포함한다. 슬리브가 엔드 부재에 의해 폐쇄될 때 엔드 부재는 슬리브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돌기를 포함한다.
다이는 공급 재료를 다이의 입구로 공급하는 공급 수단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단부가 다이의 출구를 마주보고 다이로부터 압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해 다이의 압출 방향으로 정렬된 채 슬리브가 다이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폐쇄 위치에서 풀릴 때 엔드 부재는 슬리브로부터 이격되게 압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다이, 슬리브 및 엔드 부재는 공급 수단과 함께 조립되도록 배치된다. 작동시, 엔드 부재는 제 2 단부에서 슬리브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함께 슬리브 장치를 형성한다.
기구의 작동은 다이를 통하여 슬리브 장치 안으로 공급 재료의 압출을 포함하여서, 다이가 플루트부를 셰이핑 (shape) 하도록 배치되고 슬리브 장치는 섕크부를 셰이핑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연속 압출 프로세스를 사용해 제조가 수행된다. 원칙적으로 다이를 통한 압출은 압출 방향으로 진행하는 그 원주면에 칩 플루트를 가지고, 선택적으로 내부에 내부 냉각수 채널을 가지고 압출 재료를 생성한다. 하지만, 처음에 압출 재료는 슬리브 장치에서 섕크부의 형상으로 재가공되고 섕크부가 마무리 가공 (finish) 될 때 압출 재료는 플루트부를 형성하도록 다이에서 압출 프로세스에 의해 규정된 바와 동일한 형상으로 있도록 허용된다. 끝으로, 원하는 길이의 플루트부가 얻어졌을 때 압출 재료는 블랭크를 만들도록 절단된다.
이 프로세스에서, 공급 재료는 다이를 통하여 압출되고 압출 재료는 슬리브 장치에 의해 형성된 공동 (cavity) 에 의해 수용되어서 공동을 채우고 압출 재료로부터 섕크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섕크부의 외주부와 내부 보어는 연속 압출 중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압출 재료가 슬리브로 유입되고 슬리브를 채우기 시작할 때, 결국 압력은 엔드 부재에 대해 증가되기 시작할 것이다. 따라서, 섕크부가 형성될 때까지 기구는 폐쇄 위치에 엔드 부재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폐쇄 위치에서 엔드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은 부가적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또한 슬리브의 일부일 수도 있다. 공동이 채워질 때, 엔드 부재는 슬리브로부터 풀리고 다이를 통한 연속 압출 중 형성된 섕크부는 플루트부를 형성하면서 엔드 부재와 함께 슬리브로부터 이격되게 압출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기구는 다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필라멘트는 압출 재료에 하나의 내부 냉각수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다. 이 기법은 알려져 있고 필라멘트를 부착하는 다른 방식들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필라멘트는 압출 중 돌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즉 슬리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출 재료로 채워지고 필라멘트가 트위스트 방식으로 압출 재료에서 연장될 때 필라멘트가 여전히 돌기와 중첩되도록 필라멘트는 다이로부터 상류의 부착점과 돌기의 선단 사이의 거리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진다. 더욱이, 돌기는 압출하는 동안 필라멘트를 수용하고 필라멘트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을 각각의 필라멘트를 위해 돌기의 단부 부분에서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구조물은 오목한 구조물이고, 예로서 돌기는 모따기되거나 단부 부분에 슬릿 또는 리세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구조물은 압출 중 필라멘트를 안내하고 필라멘트를 서로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기구는 다이에서 압출 재료를 절단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압출 재료를 절단하는 상기 수단은 절삭 블레이드를 포함하거나 다이와 슬리브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압출 재료를 절단하는 상기 수단은, 다이와 슬리브가 압출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다른 하나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대 운동은 압출 재료를 산산이 절단 (cut apart) 하기보다는 전단 (shear) 할 것이다. 실제로 다이는 바람직하게 고정되고 슬리브 또는 적어도 그것의 일부는 다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대 운동은 압출 재료를 절단하는 편리한 방식일 뿐만 아니라, 이것은 새로운 블랭크를 만들기 위해서 압출 재료로 채워지도록 새로운 슬리브를 제자리에 배치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기구는 나란히 배치된 슬리브 또는 슬리브 장치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다이는 슬리브 안으로 압출하기 위해 그것의 각 출구를 제자리에 가지고 배치된다. 하나의 슬리브가 채워지고 블랭크가 풀릴 때, 새로운 슬리브가 다이로부터 압출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기구는 몸체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홈을 가지는 몸체 및 각각의 종방향 홈에 대해 하나 이상의 가동 슬리브 부분을 포함한다. 종방향 홈의 단부 부분이 다이와 마주보고 압출 방향과 평행을 이룬 채 몸체가 작동시 배치되고, 가동 슬리브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종방향 홈의 단부 부분과 가동 슬리브 부분이 함께 슬리브를 형성하도록 가동 슬리브 부분이 종방향 홈에 배치된다. 가동 슬리브 부분은 예로서 이것을 떨어지게 폴딩함으로써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개방 위치까지 이동될 수도 있다. 복수의 종방향 홈은 압출 재료의 절단 및 하나의 홈에서 다른 홈으로 전환을 효율적 방식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부재를 따라 또는 원통형 몸체의 회전 축선 주위에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슬리브는 슬리브를 채우는 동안 엔드 부재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이것이 가지는 한 가지 장점은 이것이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더욱 콤팩트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엔드 부재를 유지하는 위의 실시형태의 가동 슬리브 부분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엔드 부재와 섕크부의 풀림을 동기화할 것이다. 풀림은 예를 들어 슬리브 내부의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원형 공구용 블랭크 제조 방법은:
a) 분말 혼합물을 포함한 공급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b) 다이를 통하여 공급 재료를 공급하여서, 압출에 의하여 다이의 내부 플루트 형성 표면에 의해 규정된 칩 플루트를 가지는 압출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c) 슬리브 안으로 돌출한, 섕크부에 보어를 형성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엔드 부재에 의해 제 2 단부가 폐쇄된 슬리브의 제 1 단부 내로 압출 재료가 압출 방향으로 진행하여 슬리브를 채울 수 있도록 하여서, 슬리브의 내부 섕크 형성 표면 및 엔드 부재에 의해 규정된 형상을 가지는 섕크부를 형성하는 단계,
d) 다이를 통하여 공급 재료를 계속 공급하면서 섕크부가 엔드 부재와 함께 압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엔드 부재를 풀어서, 플루트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다이에서 압출 재료를 절단하여 블랭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재료로 만들어진 공구를 제조하도록 분말 혼합물은 칩 형성 기계가공에 의해 금속 절삭용 원형 공구를 형성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료 분말을 포함한다. 최종 제품의 구성 성분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 이외에, 분말 혼합물은 또한 프레싱 및 압출을 가능하게 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재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단계 c) 내지 e) 는 순서대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공급 재료의 공급은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순서는 반복적으로 블랭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반복될 수도 있다. 블랭크는 섕크부에 부착된 엔드 부재를 구비한 기구로부터 방출된다. 그러므로, 다음 블랭크의 형성은 바람직하게 새로운 엔드 부재로 형성된다.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압출 재료에 하나 이상의 내부 냉각수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대로, 내부 냉각수 채널의 개수, 그것의 배치 및 치수는 형성될 원형 공구의 설계에 따른다. 예를 들어, 기구는 형성된 칩 플루트를 따르는 트위스트 내부 냉각수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배치될 수도 있다. 내부 냉각수 채널은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내부 냉각수 채널은 형성될 각각의 내부 냉각수 채널을 위해 다이에 배치된 하나의 필라멘트를 사용해 압출 재료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압출 재료는 압출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으로 다이와 슬리브의 상대 운동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엔드 부재를 풀 때 섕크부로부터 이격되게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를 움직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가 가지는 한 가지 장점은, 형성된 섕크부는 이 작동으로 풀리고 플루트부를 형성하는 진행하는 압출 재료에 의해 섕크부를 쉽게 밀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형성된 블랭크는, 본 발명에 따른 블랭크의 제조 방법과 함께, 원형 공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후처리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후처리는 적어도 소결을 포함한다. 이것은 소결 전에 블랭크의 건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블랭크는 소결 전 또는 후에 또한 기계가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원형 공구 제조 방법은 보어를 정확하게 마무리 가공하는 적어도 보링을 포함하는 마무리 가공 공정을 더 포함한다.
플루트 형성이 내부 냉각수 채널의 형성과 동시에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 및 기구 덕분에, 플루트부 내부에서 내부 냉각수 채널의 변형 위험이 없고 생산량 (yield) 이 개선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 및 기구는 냉각수 채널을 위한 냉각수 입구의 개선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종래에는, 2 개 이상의 냉각수 채널이 섕크부로 진입하고 칩 플루트 다음에 원형 공구를 통하여 연장된다. 냉각수 채널은 보통 비교적 좁고 그러므로 유동 저항이 높고, 냉각수 채널이 더 길수록, 유동 저항은 더 높다. 더욱이, 종래 기술에 따라 플루트부 또는 섕크부의 추후 형성시 내부 냉각수 채널의 임의의 변형은 유동 성질에 불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과 기구 덕분에, 섕크부에서 냉각수 채널은 변형되지 않을 것이고 플루트부에서와 다르게 설계될 수 있고, 특히 내부 냉각수 채널의 단면은 섕크부에서 증가될 수 있다.
위의 실시형태의 방법 및 기구의 다른 장점은 프로세스에서 본질적으로 재료 손실이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압출 프로세스가 연속적으로 계속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블랭크가 마무리 가공되었을 때, 새로운 슬리브 장치가 다이의 출구로부터 압출 재료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방법은 새로운 반복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과 기구가 가지는 다른 장점은, 플루트부와 섕크부의 길이가 쉽게 조절된다는 것이다. 플루트부의 길이는 섕크부를 형성한 후 플루트부를 압출하기 위해 허용되는 시간까지 간단히 결정된다. 섕크부의 형상 또는 치수는 슬리브 또는 슬리브 장치를 교체함으로써 쉽게 조절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새로운 특징들은 첨부 도면 및 청구항과 함께 고려했을 때 본 발명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기술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드릴의 섕크부에서 중심 보어가 플루트부에서 2 개의 내부 냉각수 채널에 연결된 드릴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원형 공구 블랭크를 제조하는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도 1 에 따른 원형 공구용 블랭크를 제조하는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도 1 에 따른 원형 공구용 블랭크를 제조하는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도 1 에 따른 원형 공구용 블랭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제조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 는, 섕크부 (1) 및 섕크부 (1) 와 일체인 플루트부 (2) 를 포함하는 드릴 (24) 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플루트부 (2) 는 그것의 원주면에 형성된 칩 플루트를 가지는 드릴 (24) 의 부분을 말한다. 이 특정 드릴 (24) 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공구의 단지 하나의 예시이고, 본 발명은 또한 엔드 밀과 금속 절삭에 의한 칩 형성 기계가공용 다른 원형 공구뿐만 아니라 다른 드릴 기하학적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용어 드릴 (24) 은 아래의 용어 원형 공구 (24) 와 서로 교체 가능하게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내부 냉각수 채널 (3) 은 드릴 (24)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로서, 도 1b 의 단면도 A-A 에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드릴은 트위스트 방식으로 드릴의 나선형 칩 플루트 (4) 다음에 2 개의 내부 냉각수 채널 (3) 을 포함하지만, 내부 냉각수 채널 (3) 의 배치, 치수 및 개수는 드릴의 설계에 따른다. 도 1a 및 도 1c 의 단면 B-B 를 참조하면, 드릴은 드릴 (24) 의 종방향 중심 축선 (L) 과 동축으로 섕크부 (1) 안으로 연장되는 보어 (5) 를 더 포함한다. 보어 (5) 는 섕크부 (1)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전체 섕크부 (1) 를 통하여 그리고 부분적으로 플루트부 (2) 안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내부 냉각수 채널 (3) 은 보어 (5) 에 연결된다. 그러면, 보어 (5) 는 내부 냉각수 채널 (3) 에 공통 입구를 제공한다. 내부 냉각수 채널 (3) 의 전체 단면적은 내부 냉각수 채널 (3) 에 연결된 보어 (5) 의 단면적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는 최종 원형 공구 형상과 매우 비슷한 형상을 가지는 블랭크를 가능하게 하므로, 원형 공구 설계에 대한 위의 설명은 블랭크에 또한 유효하다.
원형 공구용 블랭크 제조 방법 및 기구의 다음 실시형태에서 내부 냉각수 채널 (3) 을 포함하는 원형 공구에 대해 기술된다. 하지만, 또한 내부 냉각수 채널 (3) 없이 블랭크를 또한 제조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원형 공구용 블랭크 제조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데, 블랭크는 섕크부 (1) 와 플루트부 (2) 를 포함한다. 기구는,
- 다이 (6) 의 입구 (8) 와 출구 (9) 사이에 내부 플루트 형성 표면 (7) 을 포함하는 압출용 다이 (6),
- 슬리브 (10) 의 제 1 단부 (12) 와 제 2 단부 (13) 사이에 내부 섕크 형성 표면 (11) 을 포함하는 슬리브 (10) 및,
- 제 2 단부 (13) 에서 슬리브 (10) 를 폐쇄하는 엔드 부재 (14) 를 포함한다.
예로서, 도 3 에서 다이 (6) 의 플루트 형성 표면 (7) 은 칩 플루트를 구비한 드릴의 단면을 가지고 플루트 형성 표면 (7) 은 압출 방향 (E) 을 따라 트위스트된다. 따라서, 플루트 형성 표면 (7) 은 블랭크의 플루트부 (2) 의 적어도 일부의 역전된 (inverted) 형상을 가진다.
다이 (6) 는 다이 (6) 의 입구로 공급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예로서, 상기 공급 수단은 압출 건 (extrusion gun) 일 수도 있다. 다이 (6) 는 체결 수단에 의해 압출 건과 연결된 별도의 부품이거나 압출 건과 일체일 수도 있다. 이 연결 및 공급 수단의 세부는 알려져 있으므로 나타내지 않는다.
슬리브 (10) 는 제 1 단부 (12) 와 제 2 단부 (13) 각각에 개구를 포함하는 개방 구조이다. 슬리브 (10) 는, 제 1 단부 (12) 가 다이 (6) 로부터 압출 재료 (22) 를 수용하기 위해 다이 (6) 의 출구 (9) 를 마주본 채, 다이 (6) 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슬리브 (10) 의 중심 축선은 다이 (6) 의 중심 축선과 일렬로 정렬된다. 슬리브 (10) 의 치수는 형성될 섕크부 (1) 의 치수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슬리브 (10) 의 직경 및 슬리브 (10) 의 길이는 각각 섕크부 (1) 의 직경 및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엔드 부재 (14) 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슬리브 (10) 안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섕크부 (1) 에 보어 (5) 를 형성하는 돌기 (15) 를 포함한다. 엔드 부재 (14) 는 슬리브에서 풀렸을 때, 슬리브 (10) 로부터 이격되어 풀림 위치로, 압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작동시, 엔드 부재 (14) 의 운동은 아래에 설명된 대로 보어 (5) 를 둘러싸는 압출 재료로 인해 다이로부터 압출된 재료로부터 힘이 엔드 부재 (14) 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이 방향으로 제한될 것이다. 하지만, 엔드 부재 (14) 는 별도의 부품일 수도 있고 슬리브 (10) 나 기구의 다른 부품에 고정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엔드 부재 (14) 는 교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3a 와 도 3b 를 참조하면, 도 2 의 기구는 다이 (6) 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 (16) 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필라멘트는 트위스트 방식으로 압출 재료에 내부 냉각수 채널 (3) 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필라멘트 (16) 의 일 단부는 다이 (6) 의 입구 (8) 로부터 상류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구속되어 있지 않다. 필라멘트 (16) 부착의 세부는 이 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므로 나타내지 않는다. 필라멘트 (16) 는 다이 (6) 안으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이 (6) 를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필라멘트 (16) 는 압출 중 돌기 (15) 와 중첩되고 슬리브 (10) 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필라멘트의 단부 부분에서 각 필라멘트 (16) 를 위한 돌기 (15) 는 압출하는 동안 필라멘트 (16) 를 수용하고 그것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17) 을 포함한다. 도 3b 에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구조물은 오목한 구조물일 수도 있고, 예로서 돌기가 단부 부분에서 모따기된다. 돌기 (15) 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다이 (6) 안으로 연장되게 하는 길이를 가진다. 그러므로, 돌기가 다이 (6) 의 플루트 형성 표면 (7) 과 중첩되어 있으므로, 블랭크에 형성된 보어 (5) 는 플루트부 (2) 안으로 연장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슬리브 (10) 와 다이 (6) 중 적어도 하나는 압출 방향 (E) 의 횡방향 (T) 으로 다른 하나와 상대 이동 가능하다. 다음에 설명되는 대로 상대 이동은 다이 (6) 의 출구에서 압출 재료를 절단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a 와 도 4b 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홈 (19) 이 몸체 (18) 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몸체 (18)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리브 장치를 포함하는 기구를 나타낸다. 종방향 홈 (19) 은 슬리브 (10) 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몸체 (18) 는 종방향 홈 (19) 의 단부 부분이 다이 (6) 를 마주보고 압출 방향 (E) 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4b 에 나타난 것처럼, 몸체 (18) 는 회전 축선 (R) 둘레에 나란히 배치되고 차례차례 배치된 복수의 종방향 홈들이 다이와 일렬로 배치된 원통형일 수도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종방향 홈 (19) 은 평면에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횡방향 (T) 으로 다이 (6) 에 대한 몸체 (18) 의 이동에 의해 인접한 종방향 홈 (19) 이 다이 (6) 앞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b 에서 슬리브 장치는 기구의 슬리브 (10) 를 형성하는 종방향 홈 (19) 과 함께 종방향 홈 (19) 에 배치된 2 개의 가동 슬리브 부분 (20) 를 더 포함한다. 작동시 슬리브 부분 (20) 은 슬리브 (10) 를 채우는 동안 압출 재료를 수용하고 섕크부 (1) 를 형성하도록 폐쇄되고 슬리브 (10) 가 채워질 때 슬리브 부분 (20) 은 슬리브 (10) 를 개방하기 위해서 섕크부 (1) 로부터 이격되게 움직인다. 엔드 부재 (14) 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은 슬리브 (10) 그 자체에 의해 달성되고, 가동 슬리브 부분 (20) 은 엔드 부재 (14) 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동 슬리브 부분 (20) 가 이격되게 움직일 때 엔드 부재는 풀린다.
본 발명에 따른 칩 형성 기계가공을 위한 원형 공구용 블랭크 제조 방법은 압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c 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도 4a 및 도 4b 에 나타낸 기구에 따른 기구를 사용해 기술되지만, 이 설명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기구에 적용된다.
공급 재료 (21) 는 다이 (6) 를 통하여 제공되고 공급된다. 예로서 공급 재료 (21) 는 초경 합금 공구용 블랭크를 제조하기 위한 초경 합금을 포함한 분말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 재료에 관해 말하면,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원형 공구를 위한 분말 혼합물 조성은 상이하고 잘 알려져 있다.
블랭크의 제조를 개시하기 위해서, 공급 재료 (21) 는 공급 재료 (21) 를 공급하는 수단에 의해 다이 (6) 의 입구 (8) 안으로 그리고 다이 (6) 를 통하여 공급된다. 공급 재료를 공급하는 상기 수단은 공급 재료 (21) 의 압축 (compacting), 회전 및 가열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모두 잘 알려져 있다. 다이 (6) 를 통한 공급 재료 (21) 의 이런 압출은, 다이 (6) 의 출구 (9) 에서 다이 (6) 의 내부 플루트 형성 표면 (7) 에 의해 규정된 칩 플루트 (4) 를 가지는 압출 재료 (22) 를 형성한다. 또한, 기구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내부 냉각수 채널 (3) 은 다이 (6) 에 배치된 필라멘트 (16) 에 의하여 형성된다. 공급 재료의 회전으로 인해 필라멘트 (16) 는 트위스트되고 따라서 내부 냉각수 채널 (3) 은 다이 (6) 를 이탈한 압출 재료 (22) 에서 트위스트될 것이다.
압출 재료 (22) 는 슬리브 (10) 의 제 2 단부 (13) 에서 슬리브를 폐쇄하는 엔드 부재 (14) 의 돌기 (15) 와 만나기 위해서 슬리브 (10) 의 제 1 단부 (12) 로 압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허용된다. 압출이 진행됨에 따라 슬리브 (10) 가 채워진다. 위의 압출 프로세스로 형성된 내부 냉각수 채널 (3) 은 돌기 (15) 와 일치한다. 도 5 에 도시된 대로 이것은 압출하는 동안 돌기 (15) 와 중첩되는 길이를 갖는 필라멘트 (16) 를 가짐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겹침 필라멘트 (16) 는 돌기 (15) 의 단부 부분에서 슬릿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도 있다. 슬리브 (10) 의 제 2 단부 (13) 와 더 가까이에서 압출 재료가 변형되고 내부 냉각수 채널이 변형될 것이고 압력이 슬리브 (10) 에서 증가함에 따라 내부 냉각수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것이다. 슬리브 (10) 가 실질적으로 채워질 때까지 엔드 부재는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것은 예컨대 슬리브 (10) 에서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슬리브 (10) 는 슬리브 (10) 내부에서 변형 및 압력 제어를 돕도록 개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미도시).
채워졌을 때, 엔드 부재 (14) 는 다이 (6) 를 통하여 계속 공급 재료 (21) 를 공급하면서 슬리브 (10) 에 의해 형성된 섕크부 (1) 가 엔드 부재 (14) 와 함께 압출 방향 (E)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풀려서, 내부 냉각수 채널을 가지는 플루트부 (2) 를 형성한다.
끝으로, 플루트부 (2) 의 길이가 원하는 길이에 도달했을 때 압출 재료는 블랭크를 만들기 위해서 다이 (6) 에서 절단된다. 절단된 후 블랭크는 블랭크를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엔드 부재에 부착된다. 압출 방향 (E) 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 (T) 으로 다이 (6) 및 슬리브 (10), 또는 슬리브 (10) 나 슬리브 장치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절단이 수행되고, 즉 도 4b 의 기구를 사용해 몸체 (18) 가 회전 축선 (R)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4 에서처럼 나란히 배치된 슬리브 (10) 를 가질 때, 압출 프로세스를 중지하지 않으면서 다이 (6) 의 출구 (8) 는 바람직하게 인접한 슬리브 (10) 와 일렬로 정렬된다. 이 인접한 슬리브 (10) 는 새로운 엔드 부재에 의해 폐쇄되고 위의 프로세스는 반복된다.
원형 공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엔드 부재는 블랭크로부터 제거되고 블랭크는 적어도 소결을 포함하는 후처리를 거친다. 후처리는 소결 전에 또한 건조 및 기계가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의 실시형태는 원통형 섕크부로 나타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로서 섕크부는 임의의 공구 홀더에 끼워지도록 된 정사각형 단면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예시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나타낸 예시적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등가의 장치를 포함하도록 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섕크부 (1) 와 플루트부 (2) 를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방법으로서,
    - 공급 재료 (21) 를 제공하는 단계,
    - 다이 (6) 를 통하여 상기 공급 재료 (21) 를 공급하여서, 압출에 의하여 상기 다이 (6) 의 내부 플루트 형성 표면 (7) 에 의해 규정된 칩 플루트 (4) 를 가지는 압출 재료 (22) 를 형성하는 단계,
    - 슬리브 (10) 안으로 돌출한 돌기 (15) 를 포함하는 엔드 부재 (14) 에 의해 제 2 단부 (13) 가 폐쇄된 슬리브 (10) 의 제 1 단부 (12) 내로 상기 압출 재료 (22) 가 압출 방향 (E) 으로 진행하여 상기 슬리브 (10) 를 채울 수 있도록 하여서, 상기 슬리브 (10) 의 내부 섕크 형성 표면 (11) 및 엔드 부재 (14) 에 의해 규정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섕크부 (1) 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다이 (6) 를 통하여 상기 공급 재료 (21) 를 계속 공급하면서 상기 섕크부 (1) 가 상기 엔드 부재 (14) 와 함께 상기 압출 방향 (E)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엔드 부재 (14) 를 풀어서, 상기 플루트부 (2) 를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다이 (6) 에서 상기 압출 재료 (22) 를 절단하여 상기 블랭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내부 냉각수 채널 (3) 을 위해 상기 다이 (6) 에 배치된 하나의 필라멘트 (16) 를 사용해 상기 압출 재료 (22) 에 하나 이상의 내부 냉각수 채널들 (3) 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재료는 상기 압출 방향 (E) 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 (T) 으로 상기 다이 (6) 와 상기 슬리브 (10) 의 상대 운동에 의해 절단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부재 (14) 를 풀어줄 때 상기 섕크부 (1) 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슬리브 (10) 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랭크 (23) 의 제조 방법의 단계들을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 (23) 를 소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형 공구의 제조 방법.
  6. 섕크부 (1) 와 플루트부 (2) 를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기구로서,
    상기 기구는, 다이 (6) 의 입구 (8) 와 출구 (9) 사이에 내부 플루트 형성 표면 (7) 을 구비한 압출용 다이 (6), 슬리브 (10) 의 제 1 단부 (12) 와 제 2 단부 (13) 사이에 내부 섕크 형성 표면 (11) 을 구비한 슬리브 (10), 및 엔드 부재가 상기 슬리브 (10) 의 제 2 단부 (13) 에서 상기 슬리브 (10) 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위치 및 엔드 부재가 상기 슬리브 (10) 로부터 분리되는 풀림 위치를 가지는 엔드 부재 (14) 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 (6) 는 상기 다이 (6) 의 입구로 공급 재료 (21) 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 (10) 는 상기 제 1 단부 (12) 가 상기 다이 (6) 의 출구 (9) 를 마주보고 상기 다이 (6) 의 압출 방향 (E) 과 정렬된 채 상기 다이 (6) 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기구는 상기 엔드 부재 (14) 를 상기 폐쇄 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엔드 부재 (14) 는, 상기 슬리브 (10) 가 상기 엔드 부재 (14) 에 의해 폐쇄될 때 상기 슬리브 (10) 안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돌기 (15) 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풀릴 때 상기 슬리브 (10) 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압출 방향 (E) 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기구는 상기 다이 (6) 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들 (16) 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필라멘트는 상기 다이 (6) 에 의해 형성된 압출 재료 (22) 에 내부 냉각수 채널 (3) 을 형성하기 위해 배치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재료 (22) 가 상기 슬리브 (10) 를 채울 때 각각의 필라멘트 (16) 는 페쇄 위치에서 상기 돌기 (15) 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필라멘트 (16) 를 위한 상기 돌기 (15) 는 그것의 단부 부분에 상기 필라멘트 (16) 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 (17) 을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기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6) 및 상기 슬리브 (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압출 방향 (E) 과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 (T) 으로 상기 다이 (6) 및 상기 슬리브 (10)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기구.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기구는 몸체 (1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몸체 (18) 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홈 (19) 및 각각의 종방향 홈 (19) 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슬리브 부분 (20) 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 (18) 는 상기 종방향 홈 (19) 의 단부 부분이 상기 다이 (6) 를 마주보도록 그리고 상기 압출 방향 (E) 에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 슬리브 부분 (20) 은 상기 종방향 홈 (19) 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슬리브 부분 (20) 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종방향 홈 (19) 의 단부 부분과 상기 가동 슬리브 부분 (20) 이 함께 상기 슬리브 (10) 를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 (18) 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동 슬리브 부분 (20) 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몸체 (18) 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슬리브 부분 (20) 은 폐쇄 위치에서 상기 엔드 부재 (14) 를 유지하도록 그리고 상기 몸체 (18) 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할 때 상기 엔드 부재 (14) 를 풀도록 배치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기구.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18) 는 원통형이고, 상기 몸체에는 회전 축선 (R) 주위에 나란히 배치되고 차례차례 배치된 복수의 종방향 홈들이 상기 다이와 일렬로 배치되어 잇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의 제조 기구.
  13. 섕크부 (1) 와 플루트부 (2) 를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로서,
    상기 블랭크 (23) 는 상기 블랭크 (23) 의 종방향 중심 축선 (L) 과 동축으로 상기 섕크부 (1) 로 연장되는 보어 (5) 를 포함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상기 블랭크 (23) 의 상기 종방향 중심 축선 (L) 을 따라 적어도 상기 플루트부 (2) 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 냉각수 채널들 (3)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냉각수 채널들은 상기 보어 (5) 와 연결되는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냉각수 채널들 (3) 의 전체 단면적은 상기 보어 (5) 의 단면적보다 작은 원형 공구용 블랭크 (23).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랭크를 소결함으로써 형성된 원형 공구.
KR1020120133960A 2011-11-24 2012-11-23 원형 공구 블랭크와 그 제조 방법 및 기구 KR101949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90514.7 2011-11-24
EP11190514.7A EP2596876A1 (en) 2011-11-24 2011-11-24 Round tool blank and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958A true KR20130057958A (ko) 2013-06-03
KR101949536B1 KR101949536B1 (ko) 2019-02-18

Family

ID=4704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960A KR101949536B1 (ko) 2011-11-24 2012-11-23 원형 공구 블랭크와 그 제조 방법 및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36550A1 (ko)
EP (2) EP2596876A1 (ko)
JP (1) JP6092592B2 (ko)
KR (1) KR101949536B1 (ko)
CN (1) CN103128117B (ko)
ES (1) ES2466217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833A (ko) * 2022-04-06 2023-10-13 예상백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절삭공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8491B1 (de) * 2009-09-22 2017-06-28 Firma Gühring oHG Werkzeug mit Kühlmittelkanälen
DE102010028474A1 (de) * 2010-05-03 2011-11-03 Hilti Aktiengesellschaft Hohlbohrer und Herstellungsverfahren
CN109128308B (zh) * 2014-01-31 2020-12-15 5Me埃普有限责任公司 具有内部冷却腔的旋转切削工具
US10010948B1 (en) * 2014-10-14 2018-07-03 Matthew W. Hayden Near-net shaped cutting tools and processes and devices for making the same
US20160263665A1 (en) * 2015-03-11 2016-09-15 Kennametal lnc. Composite blanks and tooling for cutting applications
US20160263666A1 (en) * 2015-03-12 2016-09-15 Kennametal Inc. Cutting member with coolant delivery
CN106270504B (zh) * 2016-09-18 2018-06-29 辽宁科技大学 一种微钻头的微挤压装置及微型钻头的制造方法
DE102017212054B4 (de) 2017-07-13 2019-02-21 Kennametal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neidkopfes sowie Schneidkopf
DE102018202941B4 (de) * 2018-02-27 2024-01-25 Kennametal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hlings aus Extrusionsmasse sowie Extruder
EP3626372A1 (en) * 2018-09-24 2020-03-25 Lamina Technologies SA Variable core diameter cutt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077370A (zh) 2019-06-13 2020-12-15 肯纳金属印度有限公司 可转位钻头刀片
JP7463674B2 (ja) * 2019-08-27 2024-04-0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クーラント孔付きエンドミルのエンドミル本体および刃先交換式クーラント孔付きエンドミル
CN113000843A (zh) * 2021-03-26 2021-06-22 深圳市注成科技股份有限公司 内冷却钻头成型工艺
CN113441761B (zh) * 2021-06-22 2023-04-18 哈尔滨瀚成科技有限公司 一种内冷钻头制备方法、内冷钻头和加热装置
CN115889779B (zh) * 2022-10-25 2023-07-21 株洲东亚工具有限公司 合金粉末压制棒材加工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5555A1 (en) * 2009-04-26 2010-11-04 Iscar Ltd. Cutting tool and a process for making such a cutt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2712A (en) * 1961-12-04 1966-03-29 Gen Dynamics Corp Apparatus for the forming of articles
DE3309860A1 (de) * 1983-02-08 1984-08-09 Fa. Gottlieb Gühring, 7470 Albstadt Bohrwerkzeug
DE3600681A1 (de) * 1985-10-31 1987-05-07 Krupp Gmbh Hartmetall- oder keramikbohrerrohling sowie verfahren und strangpresswerkzeug zu seiner herstellung
DE3601385A1 (de) * 1986-01-18 1987-07-23 Krupp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nterkoerpern mit inneren kanaelen, strangpresswerkzeu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nd bohrwerkzeug
AT400687B (de) * 1989-12-04 1996-02-26 Plansee Tizit Gmbh Verfahren und strangpress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rohlings mit innenliegenden bohrungen
SE516268C2 (sv) 1999-06-03 2001-12-10 Seco Tools Ab Metod och anordning med radiellt rörliga backar för strängpressning av roterande verktyg
SE514558C2 (sv) * 1999-07-02 2001-03-12 Seco Tools Ab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tillverka ett verktyg
SE526650C2 (sv) * 2003-06-04 2005-10-18 Seco Tools Ab Verktyg
SE527456C2 (sv) * 2003-07-28 2006-03-1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tillverkning genom extrusion av roterande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och verktyg
SE527475C2 (sv) 2004-05-04 2006-03-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Metod och anordning för tillverkning av ett borrämne eller fräsämne
DE102007042279A1 (de) * 2007-09-06 2009-03-12 Komet Group Holding Gmbh Bohrwerkzeug für Werkzeugmaschin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2298491B1 (de) * 2009-09-22 2017-06-28 Firma Gühring oHG Werkzeug mit Kühlmittelkanäl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5555A1 (en) * 2009-04-26 2010-11-04 Iscar Ltd. Cutting tool and a process for making such a cutting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833A (ko) * 2022-04-06 2023-10-13 예상백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절삭공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92592B2 (ja) 2017-03-08
JP2013111743A (ja) 2013-06-10
EP2596877B1 (en) 2014-05-21
EP2596876A1 (en) 2013-05-29
US20130136550A1 (en) 2013-05-30
EP2596877A1 (en) 2013-05-29
KR101949536B1 (ko) 2019-02-18
CN103128117B (zh) 2016-04-27
CN103128117A (zh) 2013-06-05
ES2466217T3 (es)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536B1 (ko) 원형 공구 블랭크와 그 제조 방법 및 기구
KR101166404B1 (ko) 드릴 블랭크 또는 밀 블랭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95602B1 (ko) 절삭 공구 및 그러한 절삭 공구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US200801524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rotary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CN1791484B (zh) 带刃的钻体及其制造方法
US6669414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tool and a tool made by the method
KR101086663B1 (ko) 회전 공구 및 블랭크
SE526650C2 (sv) Verktyg
US2019001593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utting head, and cutting head
CZ2005751A3 (cs) Zpusob a zarízení pro výrobu výlisku pro nástroj
SE526937C2 (sv) Roterbart verktyg samt ämne till verktyg försett med spolkanaler i varierande vink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