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706A -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706A
KR20130057706A KR1020110123580A KR20110123580A KR20130057706A KR 20130057706 A KR20130057706 A KR 20130057706A KR 1020110123580 A KR1020110123580 A KR 1020110123580A KR 20110123580 A KR20110123580 A KR 20110123580A KR 20130057706 A KR20130057706 A KR 20130057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xidant
supply pipe
distributor
distribution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상준
윤덕형
박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706A/ko
Priority to US13/555,062 priority patent/US9166245B2/en
Publication of KR2013005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01M8/2485Arrangements for sealing external manifolds; Arrangements for mounting external manifolds around a st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연료 또는 산화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에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분배관을 통하여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에 상기 연료 또는 산화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는 완충부 및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완충부는 하단으로부터 중앙부에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 주위에 완충면이 형성된다. 가이드부는 상기 완충부 외곽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상기 분배관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부를 통하여 연료 및/또는 산화제의 흐름을 일시 버퍼링하였다가 균일한 유량으로 각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fuel distributor and fuel cell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연료전지는 여러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출력범위 및 사용용도 등이 다양하여 목적에 따라 알맞은 연료전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상대적으로 전해질의 위치제어가 쉽고, 전해질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전해질 고갈의 위험성이 없으며, 부식성이 약하여 소재의 수명이 길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분산 발전용, 상업용 및 가정용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단위 셀 자체의 전압은 실제 용도에 비하여 높지 않다. 따라서 실생활이나 필요한 전압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위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특정 전압과 특정 용량을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설계하게 된다.
한편, 대용량 발전을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을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각 스택에 연료나 산화제를 균일하게 분배하면서 공간면에서 효율적인 연료분배기의 설계는 전체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 면에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와 산화제를 균일한 유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분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료 또는 산화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에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분배관을 통하여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에 상기 연료 또는 산화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는 완충부 및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완충부는 중앙부에 상기 공급관이 유체소통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 주위에 완충면이 형성된다.
가이드부는 상기 완충부 외곽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상기 분배관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완충면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오르막이 형성된 경사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분배관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균등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완충면 하단으로부터 중앙을 관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면은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커버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완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급관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단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완충면 상부로 연료 또는 산화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료 또는 산화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에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분배관을 통하여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에 상기 연료 또는 산화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는 다음과 같은 완충부 및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공급관이 연결된다.
가이드부는 상기 완충부 외곽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상기 분배관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완충부 하단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분배관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균등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커버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완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관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커버의 중앙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완충부의 내부 영역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의 직경은 상부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은 연료공급부, 산화제 공급부, 제1 분배기, 제2 분배기 및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한다.
연료공급부는 연료를 공급한다.
산화제 공급부는 산화제를 공급한다.
제1 분배기는 상술한 분배기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연료공급부와 제1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1 분배관을 통하여 연료를 분배 및 공급한다.
제2 분배기는 상술한 분배기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산화제 공급부와 제2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2 분배관을 통하여 산화제를 분배 및 공급한다.
연료전지 스택은 다수 구비되어 상기 제1 분배관 및 제2 분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 분배관의 길이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2 분배관의 길이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은 다음과 같은 2단의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공급부는 연료를 공급한다. 산화제 공급부는 산화제를 공급한다.
제1 분배기는 상술한 분배기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연료공급부와 제1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1 분배관을 통하여 연료를 분배 및 공급한다.
제1a 분배기는 상술한 분배기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분배관에 각각 연결되고, 다수의 제1a 분배관을 통하여 연료를 분배 및 공급한다.
제2 분배기는 상술한 분배기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산화제 공급부와 제2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2 분배관을 통하여 산화제를 분배 및 공급한다.
제2a 분배기는 상술한 분배기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분배관에 각각 연결되고, 다수의 제2a 분배관을 통하여 연료를 분배 및 공급한다.
연료전지 스택은 상기 제1a 분배관 및 제2a 분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받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부를 통하여 연료 및/또는 산화제의 흐름을 일시 버퍼링하였다가 균일한 유량으로 각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완충부를 구비한 분배기를 2단 이상으로 구비함으로써 대량의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각 연료전지 스택에 균일한 유량으로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 및/또는 산화제를 공급하는 연료분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a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상하좌우 등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일반적인 연료전지는 연료를 개질하여 공급하는 연료변환기(개질기 및 반응기)와 연료전지 모듈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료전지 모듈은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한 어셈블리(assembly)을 말한다. 즉 연료전지 모듈은 연료전지 스택; 연료, 산화물, 냉각수, 배출물 등이 이동하는 배관 시스템; 스택에 의해 생산된 전기가 이동하는 배선; 스택의 제어 혹은 모니터링을 위한 부분; 스택의 이상상태 발생시 조치를 위한 부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 중에서도 복수의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하는 분배기와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연료분배부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 및/또는 산화제를 공급하는 연료분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종래의 경우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10)의 상단 및 하단에 1차원적인 연료 또는 산화제 분배부(20)를 구비하고 공급관(30b)를 통하여 연료나 산화제를 공급하였다. 이 경우 공급관(30b)으로부터 각 연료전지 스택(10)에 이르는 거리가 다르고, 연료나 산화제의 유량이 달라 각 연료전지 스택(10)에 균일한 연료나 산화제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분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는 연료 또는 산화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산화제의 공급을 위해서 동일한 구성의 분배기가 이용될 수 있다.
완충부(120)는 분배기(100)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부에는 원판형의 완충면(121)이 형성된다. 완충면(121)의 중앙에는 별도의 연료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관(130)이 연결된다.
완충부(120)의 외곽에는 가이드부(11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10)는 완충부(120)의 외곽에 일정한 공간(A2)를 형성한다. 이 때 균일한 유체의 흐름을 위하여 가이드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분배관(150)이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다수의 분배관(150)은 균일한 연료의 공급을 위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분배관(150)끼리 균등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부(110)의 상부는 개구되어 있다.
가이드부(110)의 외곽 상부에는 가이드부(110)를 밀폐시키는 상부 커버(140)가 구비된다. 이 때 상부 커버(140)의 상단면은 완충면(121)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공급관(130)을 통하여 분배기(100)로 공급되는 연료는 먼저 완충면(121)을 따라 외곽으로 흐르기 시작하고, 이어서 완충면(121) 외곽 방향(D1)으로 흐른 뒤에는 가이드부(110)의 내부 공간(A2)에 잠시 머무르게 된다. 다수의 분배관에 직접적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각 분배관에 이르는 거리가 각기 달라 균일한 유량의 연료를 공급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분배관(150)이 공급관(13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게 되므로 연료를 보다 균일한 유량으로 각 분배관(150)에 분배 및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면(121)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오르막이 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공급관(130)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가 완충면(121) 상에서 잠시 머무르며 방사상으로 보다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를 설명한다. 도 3a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120)는 일정한 격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A1a)를 형성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하여 완충면이 없고, 내부 공간(A1a)이 형성된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100b)는 완충부(120)의 버퍼링 효과를 보다 극대화하는 의미가 있다.
즉 공급관(130)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는 완충부(120)의 내부공간(A1a)에 보다 오래 머무르며 연료 등 유체의 흐름을 보다 안정화 시킨 후 외곽으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를 설명한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100c)는 상부 커버(140a)의 직경과 완충부(120a)의 높이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커버(140a)의 직경은 가이드부(110)의 직경보다 작고 완충부(120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료가 완충부(120a)의 외부 격벽을 넘어 이동(D1)하는 경우 상부 커버(140a)와 완충부(120a) 사이의 좁은 통로를 지나게 됨으로써 연료의 흐름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40b)의 직경을 상부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보다 인위적으로 연료의 흐름을 붙잡아 두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연료의 흐름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를 설명한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100e)는 공급관(130c)의 위치에 특징이 있다. 즉 공급관(130c)은 상부 커버(140c)의 상부로부터 상부 커버(140c)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공급관(130c)의 위치가 분배기(100e)에 비하여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형태이다.
공급관(130c)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는 상부 커버(140c)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완충부(120a)의 내부 공간(A1a)에 잠시 머무르게 된다. 이 후의 연료의 흐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완충부(120a) 내로 공급되는 연료의 흐름을 보다 안정화 시키기 위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 연장부(131c)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급관 연장부(131c)는 공급관(130c)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의 완충부(120a)의 내부 영역(A1a)에 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 경우 연료가 공급관 연장부(131c)를 통하여 외부로 흩어지지 않고 완충부(120a)의 내부 영역(A1a)까지 도달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공급관(130)을 통하여 연료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나, 산화제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산화제가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배기(100)는 공급받는 연료나 산화제를 분배관(150)을 통하여 각 연료전지 스택(10)에 공급하게 된다. 연료전지 스택(10)에 공급된 연료 또는 산화제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발전한 후 배출관(3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미반응 연료(AOG, anode off-gas)는 수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다시 연료전지 스택(10)이나 개질기(미도시) 등으로 되돌려 재활용하기도 한다.
이 때 각 연료전지 스택(10)은 분배기(10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공급관(30b)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관(30b)의 길이가 동일하게 됨으로써 각 연료전지 스택(10)에 공급되는 연료 또는 산화제의 유량이 균일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연료 분배기(100)를 2단으로 배치하여 2차례에 걸쳐 연료 또는 산화제를 분배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최초의 분배기(100)로부터 외곽의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4개의 분배기(100)에 연료나 산화제가 분배 및 공급되고, 2차로 각 연료전지 스택(10)에 연료나 산화제가 분배 및 공급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여섯개의 연료전지의 스택(10)을 2열로 나란히 배열한 후 연료전지 스택(10)들의 상부에 하나의 연료 분배기(100)를 구비하고, 연료 분배기(100)로부터 여섯 개의 스택(10) 각각에 연결되는 분배관(150)을 구비한다.도 9의 실시예에서는 여섯개의 연료전지의 스택(10)을 2열로 배열하되, 각 스택(10)들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된다. 이 때 인접하는 세개의 스택(10)과 나머지 세개의 스택(10) 상부에 각각 하나씩의 연료 분배기(100)가 구비된다. 상기 두개의 연료 분배기(100)로부터 각각 세개씩의 스택(10)들에 분배관(150)이 연결된다. 한편, 상술한 두 개의 연료 분배기(10) 상부에는 이들 연료 분배기(10)에 연료를 분배하기 위한 또 다른 연료 분배기(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연료분배기의 경우 각 분배관 간의 유량 편차가 약 30% 내지 6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연료전지 모듈들은 각 분배관끼리의 유량 편차가 0% 내지 7%에 불과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분배기
110: 가이드부 120: 완충부
121: 완충면 130: 공급관
140: 상부 커버 150: 분배관

Claims (20)

  1. 연료 또는 산화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에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분배관을 통하여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에 상기 연료 또는 산화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기 공급관이 유체소통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 주위에 완충면이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 외곽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상기 분배관이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면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오르막이 형성된 경사면인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배관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균등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완충면 하단으로부터 중앙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분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분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완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분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단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완충면 상부로 연료 또는 산화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분배기.
  8. 연료 또는 산화제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에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분배관을 통하여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에 상기 연료 또는 산화제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격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는 완충부; 및
    상기 완충부 외곽에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상기 분배관이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분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완충부 하단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분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배관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균등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분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분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분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완충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분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상부 커버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 커버의 중앙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분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완충부의 내부 영역까지 연장형성되는 분배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직경은 상부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분배기.
  17.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와 제1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1 분배관을 통하여 연료를 분배 및 공급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1 분배기;
    상기 산화제 공급부와 제2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2 분배관을 통하여 산화제를 분배 및 공급하는 제1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2 분배기; 및
    상기 제1 분배관 및 제2 분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받는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분배관의 길이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료전지 모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분배관의 길이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료전지 모듈.
  20.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산화제를 공급하는 산화제 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와 제1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1 분배관을 통하여 연료를 분배 및 공급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1 분배기;
    상기 제1 분배관에 각각 연결되고, 다수의 제1a 분배관을 통하여 연료를 분배 및 공급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1a 분배기;
    상기 산화제 공급부와 제2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2 분배관을 통하여 산화제를 분배 및 공급하는 제1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2 분배기;
    상기 제2 분배관에 각각 연결되고, 다수의 제2a 분배관을 통하여 연료를 분배 및 공급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2a 분배기; 및
    상기 제1a 분배관 및 제2a 분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연료 및 산화제를 공급받는 다수의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모듈.
KR1020110123580A 2011-11-24 2011-11-24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 KR20130057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580A KR20130057706A (ko) 2011-11-24 2011-11-24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
US13/555,062 US9166245B2 (en) 2011-11-24 2012-07-20 Distributor and fuel cell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580A KR20130057706A (ko) 2011-11-24 2011-11-24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06A true KR20130057706A (ko) 2013-06-03

Family

ID=4846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580A KR20130057706A (ko) 2011-11-24 2011-11-24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66245B2 (ko)
KR (1) KR201300577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5431B1 (de) * 2014-12-19 2019-04-24 Hexis AG Brennstoffzellenmodul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brennstoffzellenmodu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61142A6 (ko) * 1971-11-15 1973-07-06 Cepem
US5914200A (en) * 1993-06-14 1999-06-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High-temperature fuel cell stack arrangement with centrally located exit air space
US6945266B2 (en) * 2001-10-19 2005-09-20 Metallic Power, Inc. Manifold for fuel cell system
KR20040100141A (ko) 2003-05-21 200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스택의 연료공급구조
US20050249987A1 (en) * 2004-05-04 2005-11-10 Angstrom Power Incorporated Fault tolerant fuel cell systems
KR100579308B1 (ko) 2004-08-30 200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의 유량분배 안정장치
TW200917559A (en) 2007-10-15 2009-04-16 Nan Ya Printed Circuit Board Corp Fuel cell system
JP5188218B2 (ja) 2008-03-11 2013-04-24 東邦瓦斯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サブモジュール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7008A1 (en) 2013-05-30
US9166245B2 (en)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4580B2 (ja) 燃料電池用加湿器
US10756544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130029187A1 (en) High performance flow battery
CN102648547A (zh) 用于燃料电池的加湿器
US11607648B2 (en) Assembly-type cartridge block and hollow-fiber membrane module comprising same
JP2018085862A (ja) 電力供給安定化システムおよび再生エネルギ発電システム
CN102593489A (zh) 具有监测系统的液流电池堆
EP3734730B1 (en)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apable of controlling flow direction of fluid
US20180166887A1 (en) Managing islanded power systems using battery state of charge and frequency
KR20130057706A (ko) 분배기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모듈
US8524413B2 (en) Manifold and solid oxide fuel cell module having the same
CN109148970B (zh) 一种具有液体自循环装置的富液式铅蓄电池
Merei et al. Optimization of an off-grid hybrid power supply system based on battery aging models for different battery technologies
CN103278775A (zh) 一种锂-空气电池模具
KR102140483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분배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20120074507A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KR20130039514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
Ney et al. Research on hydrogen technologies in new laboratory of vsb-tu ostrava
KR101391061B1 (ko) 출력 변동이 용이한 연료전지 시스템용 연료공급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791438B1 (ko) 반응영역의 두께가 조절된 흐름식 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반응셀
EP2120278A1 (en) Fuel cell
KR20230079961A (ko) 연료전지시스템용 가습장치의 노즐유닛 및 이를 갖는 가습 장치
KR20160115472A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JPS6298573A (ja) 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