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329A -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329A
KR20130057329A KR1020110123179A KR20110123179A KR20130057329A KR 20130057329 A KR20130057329 A KR 20130057329A KR 1020110123179 A KR1020110123179 A KR 1020110123179A KR 20110123179 A KR20110123179 A KR 20110123179A KR 20130057329 A KR20130057329 A KR 20130057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rigger
elastic
trigger pi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김중천
정재한
Original Assignee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329A/ko
Publication of KR2013005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패널(1)(2)이 가이드레일(G)과 완충수단(S)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진동발생시 상부패널(1)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구비되는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2)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홈(12)이 형성되는 고정블록(10); 상기 상부패널(1)상에 설치되고, 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22)이 관통 형성되는 유동블록(20); 및 상기 유동블록(20)의 홀(22)상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고정블록(10)의 홈(12)상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탄성부재(4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트리거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트리거핀이 고정블럭의 홈상에 맞물린상태로 탄성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약한 진동에서는 진동저감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설정된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시 진동 저감 장치가 동작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벼운 충격 혹은 지진발생 시에 불필요한 구동이 방지되고, 또 설정된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시 걸림돌기와 탄성돌기의 경사면에 의해 트리거핀이 고정블럭의 홈상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상부패널이 외부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송되므로 진동흡수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작동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Trigger Device for Vibration Reducing Device}
본 발명은 트리거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약한 지진, 풍압, 충격을 포함한 약한 진동에는 진동저감기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동저감장치는 지진을 포함하는 외부적인 충격이 작용시 진동을 흡수하여 지지면상에 설치된 중요시설 및 장비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최근 신축되는 고층빌딩에는 건물자체에 내진설계가 의무화되고 있지만, 건물내부에 설치된 주요시설물까지 보호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건물자체의 내진설계를 하더라도 비상재난본부 및 의료기관, 발전소, 통신시설, 군사시설, 고정밀 산업분야 등과 같이 진동에 취약한 장비가 설치된 경우, 지진을 포함하는 외부 진동력이 발생시 피해규모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근자에는 건물자체의 내진설계 및 건물내부에 설치되는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진동저감장치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진동저감장치를 살펴보면, 특허등록번호 제10-787494호에서 하부패널; 하부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1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1엘임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엘엠가이드(LM guide); 상기 제2엘엠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제1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완충스프링; 및, 상기 제2엘엠가이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완충스프링; 상기 하부패널에 일체로 결합되는 마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진 등과 같은 진동발생시 보호대상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919926호에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상·하부패널과, 하부패널상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부패널상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부재와, 제1, 2가이드부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체결블록과, 스프링체결블록과 상·하부패널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과, 한 쌍의 제1, 2가이드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일면이 상부패널 혹은 하부패널상에 마찰되도록 구비되는 마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프링이 LM가이드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부패널의 이송거리에 비해 스프링의 탄성변형 길이가 축소됨에 따라 스프링의 스트로크 한계치에 대한 상부패널의 이송거리가 확장되어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의 스트로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외부 진동력으로 부터 보호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나, 장치를 활용함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첫째, 설정된 진동력이상의 외력이 작용시에만 상하부패널이 유동되도록 지지하는 트리거 장치(마찰봉, 마찰블록)의 초기설정값 변경이 어려워, 설치환경에 따른 진동저감장치의 동작시점을 가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따랐다.
둘째, 마찰봉(마찰블록)이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패널을 지속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설정된 진동력이상의 외력이 작용시, 마찰봉(마찰블록)이 상하부패널의 유동작동에 방해되어 진동흡수작용이 불안전함과 더불어 마찰봉(마찰블록)이 브레이킹작용을 하여 상하부패널이 유동 후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트리거장치의 해제작동 및 해제작동 이후 복원이 용이하고, 설치환경 및 진동력에 따른 해제작동시점이 간편하게 조절되며, 진동력이 작용시 트리거 장치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고 진동력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상/하부 패널(1)(2)이 가이드레일(G)과 완충수단(S)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진동발생시 상부패널(1)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구비되는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2)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홈(12)이 형성되는 고정블록(10); 상기 상부패널(1)상에 설치되고, 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22)이 관통 형성되는 유동블록(20); 및 상기 유동블록(20)의 홀(22)상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고정블록(10)의 홈(12)상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탄성부재(4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트리거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트리거핀(30)은 하단부가 반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는 트리거핀(30)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측탄성경사면(42a)과 하측탄성경사면(42b)으로 형성되는 탄성돌기(42)가 구비되고, 탄성돌기(42)와 대응하는 트리거핀(30) 측면에 돌출되어 상측경사면(32a)과 하측경사면(32b)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10) 또는 유동블럭(20)상에 구비되고, 트리거핀(30)의 이동정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트리거핀이 고정블럭의 홈상에 맞물린상태로 탄성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약한 진동에서는 진동저감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설정된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시 진동 저감 장치가 동작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벼운 충격 혹은 지진발생 시에 불필요한 구동이 방지되고, 또 설정된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시 걸림돌기와 탄성돌기의 경사면에 의해 트리거핀이 고정블럭의 홈상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상부패널이 외부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송되므로 진동흡수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작동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 상황이 종료된 후 트리거핀을 가압하여 탄성부재에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원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진동저감기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상기 상/하부 패널(1)(2)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패널(1)(2)은 각종 보호대상물과 보호대상물이 안치되는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진동 혹은 충격과 같은 외력에 의해 보호대상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가이드레일(G)과 완충수단(S)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에서 가이드레일(G)은 하부패널(2) 상면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G1)과 상부패널(1) 저면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G2)이 서로 교체되도록 배치되어 연결블럭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패널(1) 혹은 하부패널(2)에 일측 종단이 체결된 완충수단(S)(스프링)의 타측종단이 제1, 2가이드레일(G1)(G2)과 40~50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제1, 2가이드레일(G1)(G2)은 통상의 LM가이드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상부패널(1)은 상기 제1, 2가이드레일(G1)(G2)에 의하여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평면상에서 360도방향으로 위치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 과정에서 완충수단(S)에 의하여 충격이 완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장치는 상/하부 패널(1)(2)을 갖는 진동저감장치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트리거장치의 구성을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는 상기 하부패널(2)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홈(12)이 형성되는 고정블록(10); 상기 상부패널(1)상에 설치되고, 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22)이 관통 형성되는 유동블록(20); 및 상기 유동블록(20)의 홀(22)상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고정블록(10)의 홈(12)상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탄성부재(4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트리거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고정블록(10)과 유동블록(20)은 종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유동블록(20)의 홀(22)을 통하여 삽입되는 트리거핀(30)의 하단부가 고정블록(10)의 홈(12)상에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트리거핀(30)은 하단부가 반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트리거핀(30)의 하단부가 수용되어 맞물리는 고정블록(10)의 홈(12)은 트리거핀(30)의 하단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형성된다.
또, 트리거핀은 유동블럭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탄성부재(4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바, 상기 탄성부재(40)는 트리거핀(30)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측탄성경사면(42a)과 하측탄성경사면(42b)으로 형성되는 탄성돌기(42)가 구비되고, 탄성돌기(42)와 대응하는 트리거핀(30) 측면에 돌출되어 상측경사면(32a)과 하측경사면(32b)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탄성부재(40)의 탄성돌기(42)는 상측탄성경사면(42a)과 하측탄성경사면(42b)에 의해 종단면형상이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돌기(42)와 대응하는 트리거핀(30)의 걸림돌기(32)는 상측경사면(32a)과 하측경사면(32b)에 의해 "<"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되어, 탄성돌기(42)와 대칭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진동력이 작용하지 않은 대기상태에서는 트리거핀(30)이 고정블럭(10)과 유동블럭(20)을 연결하도록 홀(12)과 홈(22)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돌기(32)의 상측경사면(32a)이 탄성돌기(42)의 하측탄성경사면(42b)과 맞물려 도 3의 (a)처럼 위치고정되고, 설정된 크기 이상의 진동력이 발생시 트리거핀(30)의 하단부와 고정블럭(10)의 홈(12)상에서 미끄럼운동되면서 상측으로 이송되어, 걸림돌기(32)의 상측경사면(32a)이 탄성돌기(42)의 하측탄성경사면(42b) 구간을 이탈하는 순간 도 3의 (b)처럼 걸림돌기(32)의 하측경사면(32b)과 탄성돌기(42)의 상측탄성경사면(42a)이 가압되면서 트리거핀(30)이 상측으로 강제이송된다.
이때 트리거핀(30)이 강제이송되어 위치고정되는 거리는 도 3의 (c)와 같이 트리거핀(30)의 하단부가 고정블럭(10)의 홈(12)상에서 이탈되어 간섭받지 않는 거리까지로 설정된다.
이에 트리거핀(30)이 고정블럭(10)의 홈(12)상에 맞물린상태로 탄성부재(40)에 의해 위치고정되어 약한 진동에서는 진동저감장치가 동작하지 않고, 설정된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시 진동 저감 장치가 동작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벼운 충격 혹은 지진발생 시에 불필요한 구동이 방지되고, 또 설정된 크기 이상의 진동이 발생시 걸림돌기(32)와 탄성돌기(42)의 경사면에 의해 트리거핀(30)이 고정블럭(10)의 홈(12)상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상부패널(1)이 외부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송되므로 진동흡수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작동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진동 상황이 종료된 후 트리거핀(30)을 가압하여 탄성부재(40)에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원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걸림돌기(32)와 탄성돌기(42)는 트리거핀(30)의 양측에 한 쌍으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10) 또는 유동블럭(20)상에 구비되고, 트리거핀(30)의 이동정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50)가 구비된다. 근접센서는 트리거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제어부(도시생략)로 해당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는 이를 관리자가 보유하는 경보장치(도시생략)로 전달해준다.
-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정보통신)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음. [10039554 , 내외장형 지능형센서를 사용한 사회간접자본의 재난관리 및 방지 시스템 개발]
10: 고정블럭 20: 유동블럭
30: 트리거핀 40: 탄성부재

Claims (4)

  1. 상/하부 패널(1)(2)이 가이드레일(G)과 완충수단(S)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진동발생시 상부패널(1)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구비되는 진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2)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홈(12)이 형성되는 고정블록(10);
    상기 상부패널(1)상에 설치되고, 홈(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22)이 관통 형성되는 유동블록(20); 및
    상기 유동블록(20)의 홀(22)상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고정블록(10)의 홈(12)상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탄성부재(4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트리거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핀(30)은 하단부가 반구형 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트리거핀(30)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측탄성경사면(42a)과 하측탄성경사면(42b)으로 형성되는 탄성돌기(42)가 구비되고, 탄성돌기(42)와 대응하는 트리거핀(30) 측면에 돌출되어 상측경사면(32a)과 하측경사면(32b)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10) 또는 유동블럭(20)상에 구비되고, 트리거핀(30)의 이동정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센서(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KR1020110123179A 2011-11-23 2011-11-23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KR20130057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79A KR20130057329A (ko) 2011-11-23 2011-11-23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79A KR20130057329A (ko) 2011-11-23 2011-11-23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329A true KR20130057329A (ko) 2013-05-31

Family

ID=4866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79A KR20130057329A (ko) 2011-11-23 2011-11-23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3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513A (ko) * 2019-05-30 2020-12-09 (주)오메가오토메이션 완충구조가 구비된 진공펌프의 수납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513A (ko) * 2019-05-30 2020-12-09 (주)오메가오토메이션 완충구조가 구비된 진공펌프의 수납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76B1 (ko) 3차원 면진기능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
US10174467B1 (en) Self-resetting friction-damping shock absorption bearing and shock absorption bridge
KR100919926B1 (ko) 진동저감장치
KR101593885B1 (ko)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CN103469919B (zh) 一种双向滚动摆隔震支座
KR200473182Y1 (ko)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WO2017181406A1 (zh) 用于吊顶系统的减震结构
CN103628402B (zh) 多柱式桥墩地震耗能构造
AU2014325894B2 (en) Seismic damping wall structure
US20150361657A1 (en) Variable stiffness bracing device
KR101069079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면진장치
CN106351114A (zh) 一种多级抗震桥梁防碰撞和落梁装置
KR101665118B1 (ko) 능동형 면진장치
KR20130057329A (ko) 진동저감기의 트리거장치
JP6267457B2 (ja) 構造物用3面スライド支承装置
WO2022041463A1 (zh) 竖向隔震系统
CN206308825U (zh) 一种滚球隔震装置
JP2014111974A (ja) 免震部材
JP6148045B2 (ja) 構造物用両面スライド支承装置
JP5285821B1 (ja) 免振構造
KR102145710B1 (ko) 면진장치
KR20150048357A (ko) 적층고무계열 면진장치 부반력 방지장치
JP2014084970A (ja) 免震部材
KR200451190Y1 (ko)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CN203977283U (zh) 一种模数式防震落桥梁伸缩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