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190Y1 -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190Y1
KR200451190Y1 KR2020100009235U KR20100009235U KR200451190Y1 KR 200451190 Y1 KR200451190 Y1 KR 200451190Y1 KR 2020100009235 U KR2020100009235 U KR 2020100009235U KR 20100009235 U KR20100009235 U KR 20100009235U KR 200451190 Y1 KR200451190 Y1 KR 200451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duct
main exhaust
support
power plant
nucle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구
배동찬
김광진
이지원
박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2020100009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1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의 상호 마주보는 면의 동일한 높이에 수직의 일측단면이 각각 결합되고, 수평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롤러(14)가 구비되며, 상부면의 양측단부는 상기 롤러(14)의 주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걸림턱(130)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교대(10)와; 양측의 측면(21) 하단부는 상기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측 교대(10)에 걸쳐 상부면의 롤러(14)에 얹혀지도록 하며, 길이방향으로는 주배기덕트(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22)을 형성하면서 가이드홈(22)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롤러(23)가 구비되도록 하는 교량형상의 지지대(20)와; 내부에는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31)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하면서 내장되고, 폭방향으로 주름을 형성하여 신축성을 갖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20)의 측면(21) 상단부에서 상기 코일스프링(31)의 돌출단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주배기덕트(30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의 이동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마다 상기 주배기덕트(300)의 저부를 받치도록 하는 복수의 신축받침대(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지진 등의 심각한 진동에도 수직방향과 함께 수평의 길이 및 폭방향에 대해서도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주배기덕트(300)를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Vibration reduce apparatus of main exhaust duct at Nuclear Power Plant}
본 고안은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이나 지반침하 등에 의한 외부 요인이나 자체의 열팽창 또는 수축에 의한 진동충격으로 인해 배기탑과 원자로 사이에서 주배기덕트의 손상 또는 파손이 방지 및 최소화되게 하여 주배기덕트를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원자로에서 발생되는 배기는 주배기덕트를 통해 배기탑을 거쳐서 배기가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와 배기탑은 통상 일정한 거리를 이격시켜 각각 지하 암반 등의 지반에 설치되며, 원자로에는 환기공조설비가 마련되고, 이 환기공조설비로부터는 주배기덕트를 통해서 배기탑으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의 주배기덕트는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주배기덕트의 열에 의한 수축 및 팽창 변위에 적절히 대응하고자 복수의 위치에는 벨로우즈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원자로와 배기탑 사이에서 주배기덕트는 지반에 축지지되는 지지 구조물에 지지되거나 원자로와 배기탑의 동일 수평선상에 각각 교대를 설치하고, 주배기덕트는 다리형 지지 구조물에 의해 받쳐지도록 하며, 이들 다리형 지지 구조물의 양 단부는 각 교대에 구비되는 지지구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원자로와 배기탑 사이에서 주배기덕트의 지지는 지반으로부터 이격시킨 다리형 지지 구조물과 교대에 의해서 비록 지진이나 지반침하 등의 직접적인 영향으로부터는 벗어나기는 하였으나 원자로와 배기탑에 각기 다르게 전달되는 진동 변위에 대해 벨로우즈에 의해 어느 정도는 완화시킬 수 있기는 하나 그 효과가 매우 미미하여 보다 강력한 지진 등에서는 주배기덕트의 변형과 파손이 여전한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지상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주배기덕트를 지지하면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충격에 대해 적절하게 완충 및 상쇄시킴으로써 항상 안전한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는, 원자로와 배기탑의 상호 마주보는 면의 동일한 높이에 수직의 일측단면이 각각 결합되고, 수평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며, 상부면의 양측단부는 상기 롤러의 주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걸림턱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교대와; 양측의 측면 하단부는 상기 원자로와 배기탑측 교대에 걸쳐 상부면의 롤러에 얹혀지도록 하며, 길이방향으로는 주배기덕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을 형성하면서 가이드홈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롤러가 구비되도록 하는 교량형상의 지지대와; 내부에는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하면서 내장되고, 폭방향으로 주름을 형성하여 신축성을 갖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의 측면상단부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돌출단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주배기덕트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의 이동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마다 상기 주배기덕트의 저부를 받치도록 하는 복수의 신축받침대를 결합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는 주배기덕트를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신축받침대와 이 신축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이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교대의 결합에 의해 지진이나 지반 붕괴와 같은 재해 발생 시 주배기덕트의 변위를 최대한 흡수 및 완충하도록 하므로서 주배기덕트의 변형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시켜 안정된 설비의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를 적용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를 적용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 구성의 수직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를 적용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는 크게 교대(10)와 지지대(20)와 신축받침대(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교대(10)는 수직의 일측면이 원자로(100) 또는 배기탑(200)의 외주면에 각각 면간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결합면(11)을 이루고, 이 결합면(11)의 상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절곡시킨 형상의 상부면(12)은 판면이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이렇게 수직 관통된 부위에는 양측의 측면(13)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롤러(14)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교대(10)에서 상부면(12)의 양측 단부는 교대(10)의 측면(13)을 일정한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하므로서 이탈방지용 걸림턱(130)을 형성하고, 이때의 이탈방지용 걸림턱(130)은 최소한 측면(13)간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롤러(14)의 구름면 상단부보다는 상측에 상단부가 형성되도록 측면(13)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도록 한다.
이때 교대(10)의 결합면(11)은 원자로 또는 배기탑의 곡면형상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완만하게 동일한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원자로(100) 또는 배기탑(200)의 외주면에 체결수단(16)에 의해 체결되는 부위는 측면(13)에서 각각 일정한 폭만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날개 형상의 체결면(15)을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교대(10)는 통상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에서 일정한 높이에 상호 마주보는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마주보게 대칭이 되도록 구비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지지대(20)는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교대(10)에 걸쳐지도록 하면서 그 상부에는 주배기덕트(300)가 안착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지지대(20)는 양쪽 측면(21)의 양측 하단부가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의 각 교대(10) 상부면(12)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복수의 롤러(14)에 안착되며, 측면(21)간으로는 주배기덕트(300)를 수용할 수 있는 간격으로 가이드홈(22)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22)의 바닥면을 이루는 측면(21)간 일정 높이에는 양측의 측면(21)에 걸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복수의 롤러(23)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양 측면(21)간 간격은 주배기덕트(300)의 외경보다는 일정 이상 더 크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양 측면(21)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 하부의 위치에 가이드홈(22)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롤러(23)가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지지대(20)의 양 측면(21)간 간격은 교대(10)의 측면(13) 상단부측 이탈방지용 걸림턱(130)간 간격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이탈방지용 걸림턱(130) 사이에서 지지대(20)의 측면(21)이 측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신축받침대(30)는 내부에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31)이 내장되도록 하면서 판면 전체가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지지대(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로서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신축받침대(30)는 지지대(20)의 폭방향 양측에서 측면(21) 상단부의 스프링 고정핀(24)에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코일스프링(31) 단부가 각각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부에는 주배기덕트(300)의 하부 주면을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렇게 신축받침대(30)는 주배기덕트(300)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이동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주배기덕트(300)의 일정 간격마다 저부를 받치도록 하는 구성이다.
특히 스프링 고정핀(24)을 형성하는 지지대(20)의 측면(21)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절곡된 상단부측 상부면에 상향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부호 400은 원자로(100)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통과하는 주배기덕트(3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덕트 브라켓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를 적용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 구성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는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상호 마주보게 교대(10)가 체결수단(1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양측의 교대(10)에는 상부로부터 교량형태인 지지대(20)의 양측 하단부가 얹혀지도록 한다.
이때 지지대(20)의 하단부는 교대(10)의 롤러(14)에 얹혀지면서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지지대(20)는 교대(10)의 측면(13)을 롤러(14)의 상부면 높이보다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이탈방지용 걸림턱(130)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따라서 지지대(20)는 교대(10)에서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20)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2)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22)에는 일정 간격마다 신축받침대(30)가 구비되도록 한다.
신축받침대(30)는 지지대(20)의 양측 측면(21) 상단부에 형성한 스프링 고정핀(24)에 신축받침대(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한 코일스프링(31)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함에 의해서 연결한다.
이와 같은 신축받침대(30)의 상부로 주배기덕트(300)가 얹혀지게 되면 신축받침대(30)는 주배기덕트(300)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면서 결국 주배기덕트(300)의 하부를 감싸게 되는 신축받침대(30)의 하단부가 지지대(20)에 축고정된 롤러(23)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주배기덕트(300)가 신축받침대(30)에 지지되도록 하면 주배기덕트(300)의 열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대해서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주배기덕트(300)의 벨로우즈 부위에서의 신축 작용에 의해 변위를 흡수할 수가 있게 된다.
하지만 지진이나 지반 침하 등과 같은 재해 발생 시에는 지반에 고정된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이 진동을 하게 되므로 이들의 개별적인 진동은 주배기덕트(300)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는 비록 심한 정도의 지진 등에 의해 일정 이상의 진동충격이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에 전달되면 본 고안은 지반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지반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충격으로부터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다만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주배기덕트(300)에 수직 방향으로나 수평의 길이 방향 또는 폭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도 주배기덕트(300)를 받치고 있는 신축받침대(30)와 함께 이 신축받침대(30)를 지지하는 지지대(20)의 롤러(23)에 의해서 주배기덕트(300)에의 진동충격을 최소화 내지는 흡수 제거하므로서 주배기덕트(300)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가 있게 된다.
10 : 교대
11 : 결합면
12 : 상부면
13 : 측면
130 : 이탈방지용 걸림턱
14 : 롤러
15 : 체결면
16 : 체결수단
20 : 지지대
21 : 측면
22 : 가이드홈
23 : 롤러
24 : 스프링 고정핀
30 : 신축받침대
31 : 코일스프링
100 : 원자로
200 : 배기탑
300 : 주배기덕트
400 : 덕트브라켓

Claims (3)

  1.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의 상호 마주보는 면의 동일한 높이에 수직의 일측단면이 각각 결합되고, 수평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롤러(14)가 구비되며, 상부면의 양측단부는 상기 롤러(14)의 주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걸림턱(130)을 형성하는 한 쌍의 교대(10)와;
    양측의 측면(21) 하단부는 상기 원자로(100)와 배기탑(200)측 교대(10)에 걸쳐 상부면의 롤러(14)에 얹혀지도록 하며, 길이방향으로는 주배기덕트(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22)을 형성하면서 가이드홈(22)의 바닥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롤러(23)가 구비되도록 하는 교량형상의 지지대(20)와;
    내부에는 복수 개의 코일스프링(31)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하면서 내장되고, 폭방향으로 주름을 형성하여 신축성을 갖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20)의 측면(21) 상단부에서 상기 코일스프링(31)의 돌출단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주배기덕트(30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의 이동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마다 상기 주배기덕트(300)의 저부를 받치도록 하는 복수의 신축받침대(30);
    를 결합한 구성인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는 양측 측면(21)간 간격이 상기 교대(10)의 양측 측면(13)간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교대(10)의 이탈방지용 걸림턱(130)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는 측면(21) 상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절곡된 상단부측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스프링 고정핀(24)이 형성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KR2020100009235U 2010-09-02 2010-09-02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KR200451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35U KR200451190Y1 (ko) 2010-09-02 2010-09-02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235U KR200451190Y1 (ko) 2010-09-02 2010-09-02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190Y1 true KR200451190Y1 (ko) 2010-12-03

Family

ID=4447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235U KR200451190Y1 (ko) 2010-09-02 2010-09-02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1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4359A (zh) * 2021-11-08 2022-01-18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具有抗冲击功能的层间隔震新型核电站结构
CN113969619A (zh) * 2021-11-08 2022-01-25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基于势能的结构自旋转抗冲击层间隔震新型核电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5592A (ja) 1996-09-24 1998-04-14 Toshiba Eng Co Ltd 原子炉建屋のクレーン
JP2000275379A (ja) 1999-03-05 2000-10-06 General Electric Co <Ge> 原子炉の地震荷重抑圧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5592A (ja) 1996-09-24 1998-04-14 Toshiba Eng Co Ltd 原子炉建屋のクレーン
JP2000275379A (ja) 1999-03-05 2000-10-06 General Electric Co <Ge> 原子炉の地震荷重抑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4359A (zh) * 2021-11-08 2022-01-18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具有抗冲击功能的层间隔震新型核电站结构
CN113969619A (zh) * 2021-11-08 2022-01-25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基于势能的结构自旋转抗冲击层间隔震新型核电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595507B1 (ko) 수평진동 저감 기능을 갖는 3차원 면진장치
KR100956487B1 (ko) 댐핑장치가 구비된 면진장치
RU2391594C1 (ru) Сейсмозащитная опор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095959B1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20200059055A (ko) 진동감쇠장치 및 이를 채용한 분전반 설치 구조체
KR101326401B1 (ko) 볼베어링 타입 면진 장치
KR101704468B1 (ko) 수직보강부재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701810B1 (ko) 내진장치
KR101946382B1 (ko) 내진 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케이스
KR20140091980A (ko) 3차원 면진모듈 및 이를 구비한 면진장치
KR20100066099A (ko) 내진패킹을 구비한 배관고정장치
KR20150021793A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KR101270507B1 (ko) 배전 케이블의 처짐 방지와 충격흡수에 용이한 지지고정대
KR200451190Y1 (ko) 원자력 발전소의 주배기덕트의 진동저감장치
KR101351296B1 (ko) 싱글 스테이지 구조를 갖는 내진 장치
US20170260767A1 (en) Support structure
KR101331489B1 (ko) 지진격리용 교량받침
KR101371339B1 (ko) 점탄성체를 이용한 브레이스 마찰댐퍼
JP6544185B2 (ja) ガスホルダ、ピストン支持構造および耐震ブラケット
KR10174490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JP2010174580A (ja) 揺れ止め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対振動基礎構造
JP5797107B2 (ja) ケーブルトレイ
KR20200076058A (ko) 구조물의 면진 시공구조
KR102362437B1 (ko) 내진 케이블 트레이용 행거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