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25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254A
KR20130057254A KR1020110123080A KR20110123080A KR20130057254A KR 20130057254 A KR20130057254 A KR 20130057254A KR 1020110123080 A KR1020110123080 A KR 1020110123080A KR 20110123080 A KR20110123080 A KR 20110123080A KR 20130057254 A KR20130057254 A KR 20130057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amera module
coating layer
lens barre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017B1 (ko
Inventor
오영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017B1/ko
Priority to US13/676,860 priority patent/US9094592B2/en
Publication of KR2013005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254A/ko
Priority to US14/755,968 priority patent/US9829672B2/en
Priority to US15/803,234 priority patent/US1061329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017B1/ko
Priority to US16/726,673 priority patent/US10989893B2/en
Priority to US17/223,685 priority patent/US11422331B2/en
Priority to US17/871,336 priority patent/US11774702B2/en
Priority to US18/237,747 priority patent/US2023040066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한 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엑추에이터를 지지하고, 상기 엑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Terminal)를 갖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엑추에이터와 상기 단자의 전기적인 접점에는 2층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 Camera module }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기구는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렌즈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렌즈이송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전자기 모터나 압전 엑츄에이터와 같은 엑츄에이터를 사용하고, 이러한 엑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캠이나 스크류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렌즈이송장치는 엑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송시켜 초점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자동 초점조절(Auto Focus)기능을 구현한다.
한편,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이하 'VCM'이라 함)란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 사이에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한 힘이 발생하여 스피커의 진동판이 앞뒤로 진동하는 것에 착안하여 개발된 모터이다.
DC 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가 회전운동을 하는 것이 비해 VCM은 짧은 거리를 직선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정밀 트래킹이나 포커싱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AF(Auto Focusing) 기능이 구비될 수 있는데, AF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VCM이 사용된다. 보통 카메라 모듈에서 AF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특정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게 된다.
즉,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싱을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는 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코일에 전자기장을 발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는 외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 전기적인 점점에 솔더링을 진행하게 된다.
이 솔더링 부위에서 플럭스(Flux) 오염물(이물)이 카메라 모듈 내부로 떨어져 카메라 모듈 내부의 오염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엑추에이터의 코일과 스프링의 접점 또는 스프링과 홀더의 단자의 접점에 피복되는 솔더에서 이물이 이탈되어 카메라 모듈을 오염시키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한 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엑추에이터를 지지하고, 상기 엑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Terminal)를 갖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엑추에이터와 상기 단자의 전기적인 접점에는 2층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1층의 피복층은, 상기 엑추에이터와 상기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도전성 물질은, 솔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층의 피복층을 감싸는 2층의 피복층은, 상기 1층의 피복층에서 발생된 이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2층의 피복층은, 절연 물질일 수 있다.
또, 상기 2층의 피복층은, 열 또는 빛으로 경화되는 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엑추에이터를 내장하는 요크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요크는 상기 홀더의 단턱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엑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추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추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추에이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상기 엑추에이터가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향되어 있는 마그네틱과; 상기 보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과 상기 스프링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의 단자와 상기 스프링의 전기적인 접점에 2층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과 상기 스프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에 2층 이상의 피복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엑추에이터의 코일과 스프링의 접점 또는 스프링과 홀더의 단자의 접점에 피복되는 도전성 제 1 피복층을 제 2 피복층으로 감싸므로, 제 1 피복층에서 발생된 이물의 이탈을 제 2 피복층에서 차단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엑추에이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스프링과 홀더에 있는 단자의 접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접점에 자외선 에폭시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의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코일과 스프링의 접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접점에 자외선 에폭시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의 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한 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110)과; 상기 렌즈 배럴(110)을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120)와; 상기 렌즈 배럴(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310)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00)과; 상기 렌즈 배럴(110)과 상기 엑추에이터(120)를 지지하고, 상기 엑추에이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Terminal)를 갖는 홀더(200)를 포함하며, 상기 엑추에이터(120)와 상기 단자의 전기적인 접점에는 2층 이상의 피복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점을 감싸는 1층의 피복층은 상기 엑추에이터(120)와 상기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1층의 피복층을 감싸는 2층의 피복층은 상기 1층의 피복층에서 발생된 이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2층의 피복층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기장 및 자기장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후술된 바와 같이, 접점의 피복층에서 발생되는 이물의 이탈을 2층의 피복층에서 차단함으로써, 이물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오염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1층의 피복층이 솔더인 경우, 플럭스(Flux)가 이탈될 수 있는데, 이 플럭스의 이탈을 2층의 피복층에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배럴(110)과 상기 엑추에이터(120)를 내장하는 요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크(130)는 상기 렌즈 배럴(110)과 상기 엑추에이터(120)를 감싸며, 상기 홀더(200)의 단턱에 체결되어 조립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으로, 상기 렌즈 배럴(110), 상기 엑추에이터(120), 상기 요크(130), 홀더(200), 인쇄회로기판(300) 및 이미지 센서(310)의 유기적인 결합은 자유롭게 설계 변경가능하며, 상호 간에 접촉 또는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추에이터(120)는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을 위해서 상기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엑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추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추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는 보빈, 코일, 마그네틱, 요크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흔들림 보정용 엑추에이터가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흔들림 보정용 엑추에이터는 상기 렌즈 배럴에 내장된 렌즈와 광 정렬되어 있는 별도의 렌즈를 X축과 Y축의 2축으로 움직여서 상기 렌즈로 입사된 피사체의 광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200)는 상기 흔들림 보정용 엑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더(200)와 상기 흔들림 보정용 엑추에이터의 전기적인 접점에는 2층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의 '131'은 요크(130)에 형성된 윈도우이며, 피사체의 광 이미지가 통과되어 렌즈로 입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엑추에이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엑추에이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코일(121)과 마그네틱(122)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가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121)과; 상기 코일(121)과 대향되어 있는 마그네틱(122)과; 상기 보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121)은 상기 스프링(123)을 통하여 전류가 인가되며, 상기 코일(121)과 상기 스프링(123)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코일(121)과 상기 스프링(1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에 2층 이상의 피복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는 상기 보빈, 코일(121), 마그네틱(122) 및 스프링(123)을 내장하는 요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크(130)는 홀더(200)와 결합되고, 상기 홀더(200)는 상기 스프링(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123)과 상기 홀더(200)의 단자(210)의 전기적인 접점에는 2층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링(123)은 판스프링으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스프링(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210)는 상기 홀더(200)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스프링과 홀더에 있는 단자의 접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접점에 자외선 에폭시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의 사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코일과 스프링의 접점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접점에 자외선 에폭시가 도포되어 있는 상태의 사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스프링(123)과 홀더에 있는 단자(210)의 접점에는 제 1 피복층 '511'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 1 피복층 '511'에 제 2 피복층 '512'이 감싸져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스프링(123)과 코일(121)의 접점에도 제 1 피복층 '521'이 감싸져 있고, 상기 제 1 피복층 '521'에 제 2 피복층 '522'이 피복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복층 '511','521'은 도전성 물질로 솔더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피복층 '512','522'은 열 또는 빛으로 경화되는 경화성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는 스프링(123)과 홀더에 있는 단자(210)의 접점에 제 2 피복층인 자외선 에폭시가 피복되어 있고, 도 6에는 스프링(123)과 코일(121)의 접점에 제 2 피복층인 자외선 에폭시가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엑추에이터의 코일과 스프링의 접점 또는 스프링과 홀더의 단자의 접점에 피복되는 도전성 제 1 피복층을 제 2 피복층으로 감싸므로, 제 1 피복층에서 발생된 이물의 이탈을 제 2 피복층에서 차단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하는 한 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렌즈 배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엑추에이터를 지지하고, 상기 엑추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Terminal)를 갖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엑추에이터와 상기 단자의 전기적인 접점에는 2층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층의 피복층은,
    상기 엑추에이터와 상기 단자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카메라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은,
    솔더인 카메라 모듈.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1층의 피복층을 감싸는 2층의 피복층은,
    상기 1층의 피복층에서 발생된 이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층으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층의 피복층은,
    절연 물질인 카메라 모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층의 피복층은,
    열 또는 빛으로 경화되는 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엑추에이터를 내장하는 요크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요크는 상기 홀더의 단턱에 체결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엑추에이터, 압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엑추에이터,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멤즈(MEMS) 엑추에이터 중 하나인 카메라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가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는,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둘레면에 권취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과 대향되어 있는 마그네틱과;
    상기 보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스프링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의 단자와 상기 스프링의 전기적인 접점에 2층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스프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에 2층 이상의 피복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123080A 2011-11-15 2011-11-23 카메라 모듈 KR10184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080A KR101844017B1 (ko) 2011-11-23 2011-11-23 카메라 모듈
US13/676,860 US9094592B2 (en) 2011-11-15 2012-11-14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US14/755,968 US9829672B2 (en) 2011-11-15 2015-06-30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US15/803,234 US10613291B2 (en) 2011-11-15 2017-11-03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US16/726,673 US10989893B2 (en) 2011-11-15 2019-12-24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US17/223,685 US11422331B2 (en) 2011-11-15 2021-04-06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US17/871,336 US11774702B2 (en) 2011-11-15 2022-07-22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US18/237,747 US20230400663A1 (en) 2011-11-15 2023-08-24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080A KR101844017B1 (ko) 2011-11-23 2011-11-2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254A true KR20130057254A (ko) 2013-05-31
KR101844017B1 KR101844017B1 (ko) 2018-04-02

Family

ID=4866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080A KR101844017B1 (ko) 2011-11-15 2011-11-2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0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0959B2 (ja) * 2007-11-14 2013-02-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017B1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07537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CN109917530B (zh) 镜头移动装置
TWI424246B (zh) Lens drive
US11934033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0662238B1 (ko) 구동 수단을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절 장치
JP5607119B2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9477998B (zh) 双相机模块和光学装置
CN112114468A (zh)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US9094592B2 (en) Camera module with foreign objects inhibiting structure
KR20100125978A (ko) 마그네트 이동 타입 이미지 촬상용 렌즈 액츄에이터
KR20160072715A (ko) 카메라 모듈
CN110646913B (zh) 音圈马达、潜望式透镜驱动装置及具有摄像头的电子设备
KR101089926B1 (ko) 렌즈 이송 장치
KR20150054494A (ko) 카메라 모듈
US10156733B2 (en) Lens device
JP2009036825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262878B1 (ko) 모듈 액츄에이터 및 그 제조 방법
CN108072962B (zh) 透镜驱动装置
KR20090128228A (ko) 카메라 모듈
KR20130057254A (ko) 카메라 모듈
KR20110010016A (ko) 카메라 모듈
KR101914939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051616A (ko) 렌즈 액추에이터
KR101231290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10951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