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494A -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494A
KR20130055494A KR1020120006142A KR20120006142A KR20130055494A KR 20130055494 A KR20130055494 A KR 20130055494A KR 1020120006142 A KR1020120006142 A KR 1020120006142A KR 20120006142 A KR20120006142 A KR 20120006142A KR 20130055494 A KR20130055494 A KR 2013005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ser terminal
mvoip
address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138B1 (ko
Inventor
이길수
최도연
박병진
홍승춘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3005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웹 환경에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mVoIP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여기에서, 웹 페이지는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내장함-, 및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 또는 공중교환전화망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의 일반전화번호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목적지 또는 착신 단말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전화 발신 또는 mVoIP 발신을 해당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사용자 단말은, 웹 페이지에서 특정 목적지로 전화 접속을 요청하는 사용자 측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웹 브라우저, 및 웹 페이지에서 특정 목적지에 대응하도록 저장된 주소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처리하도록 사용자 단말에 미리 지정되어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거나 획득한 후 획득한 VoIP 착신번호를 토대로 mVoIP 발신을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콜 매니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HONE CALL SERVICE IN MOBILE WEB CIRCUMSTANCE USING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웹 환경에 있는 사용자 단말이 전화 접속 요청에 대한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착신 대상을 선택적으로 분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교환전화망, VoIP 망 또는 기타 망에 존재하는 착신 대상에게 웹상에서 간편하게 전화 발신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러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은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컴퓨터나 컴퓨터 기능을 가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람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간을 말하며, 간단히 웹(Web)으로도 불린다. 이러한 웹은 무선인터넷에 적용된 이후 WAP 기반의 다양한 무선인터넷 응용들의 등장과 함께 새로운 모바일 콘텐츠 산업 분야가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 단말 등의 발전과 보급에 힘입어 스마트 단말이 3G나 와이파이(WiFi) 등의 네트워크에 결합하는 모바일 웹(Mobile Web)이나 스마트 단말에 탑재되는 모바일 앱(Application 또는 App.)을 통해 모바일인터넷전화(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VoIP)와 같은 저렴한 통화 서비스가 폭넓게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웹 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은 웹상에서 사용자 단말의 주소록 등에 저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mVoIP 전화를 걸거나 채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잘 모르는 전화번호나 사용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에 노출하고 그 전화번호로 바로 전화 걸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예를 들어, 기존의 모바일인터넷전화 사업자는 카카오톡, 마이피플, 스카이프(Skype), 트루폰(Truphone), 프링(Fring)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연락처에 등록된 상대방에게 인터넷 전화나 채팅을 값싸게 이용하도록 할 수는 있지만, 웹 페이지에 사용자가 모르는 웹상의 상대방이나 목적지로 바로 전화걸기 또는 통화하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어렵다. 그것은 사용자 단말의 주소록에는 웹상의 상대방이나 목적지에 상응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저장되어 있더라도 웹 페이지에게 해당 착신번호를 쉽게 연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웹상에 제공되는 공중교환전화망의 착신자에 대한 전화번호로 전화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 탑재된 전화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서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단순히 넘겨받아 전화 접속을 처리하는 것이므로 간단히 구현가능하고 종래 기술에 잘 알려져 있는 것이지만, 웹상에 공중교환전화망의 전화번호가 노출되어 있지 않거나 링크되어 있지 않은 목적지, 상대방 또는 착신 대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해당 목적지나 착신 대상의 전화번호를 별도의 방법을 통해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에 직접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추후 해당 전화번호를 이용을 위해서는 직접 전화번호를 저장하거나, 메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448호에서는 웹 서버에 접속한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메타 태그로부터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전화번호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화번호 목록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로 전화 발신을 수행하는 모바일에서의 웹을 활용한 전화발신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모바일 웹 환경에서 전화 발신을 하기 위하여 웹 서버에서 웹 페이지와 관련된 업체의 전화번호 정보가 삽입되어 있는 전화번호 메타 태그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웹을 활용한 전화발신에 관한 종래 기술은 웹 페이지의 전화번호 메타 태그에 삽입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전화번호를 전화 발신에 단순히 사용하는 것으로서 웹 페이지에 삽입되는 메타 태그에 업체의 전화번호를 하나하나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웹 페이지의 메타 태그에 업체의 전화번호 정보를 일일이 삽입해야 하므로, 업체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신속하게 또는 실시간으로 기존 전화번호를 변경된 전화번호로 갱신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는 업체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것을 모르고 전화 발신을 수행하는 경우, 잘못된 전화번호(해지 전화번호 등)로의 전화 발신임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받거나 엉뚱한 사람의 착신 단말로 전화를 걸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는 업체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확인하여 웹 페이지의 메타 태그에 삽입되는 업체의 전화번호 정보를 수시로 업데이트 해야하므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4448호(2011.09.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웹 환경에서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하고 서버 측에서 제공하는 VoIP 착신번호를 이용하여 mVoIP 전화 발신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웹 환경하에서 착신 대상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사용자가 웹상의 목적지에 상응하는 착신 대상에게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웹에서 일반 전화번호가 노출되거나 링크되어 있지 않은 목적지로 바로 전화 걸기를 할 수 있고, 목적지에 상응하는 착신 대상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사용자의 단말에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착신 대상의 전화번호를 별도로 관리하거나 등록할 필요가 없고, 착신 대상의 전화번호 관리는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페이지를 북마크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서 웹상의 목적지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관리하지 않을 수 있고, 동일 전화걸기(웹페이지 상의 동일 전화걸기 버튼 등)에 변경된 VoIP 전화번호를 자동 연결함으로써 전화번호가 변경된 동일한 착신 대상이나 새로운 착신 대상에게 간편하게 mVoIP 전화를 걸 수 있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여기에서, 웹 페이지는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내장함-; 및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로 또는 공중교환전화망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의 일반전화번호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목적지 또는 착신 단말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전화 발신 또는 mVoIP 발신을 해당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웹 페이지에서 웹상의 목적지의 주소로 전화 접속을 요청하는 사용자 측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웹 브라우저; 및 주소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거나 획득한 후 VoIP 착신번호를 토대로 mVoIP 발신을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콜 매니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콜 매니저는 콜 핸들러와 콜 엔진을 구비한다. 그리고, 콜 핸들러는, 웹 브라우저 측으로부터 수신한 주소 또는 일반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일반전화번호의 경우 공중교환전화망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로의 전화 접속을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일반전화번호를 전달하고, 주소의 경우 주소에 상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사용자 단말에서 추출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는 어드레스 매니저; 어드레스 매니저로부터 VoIP 착신번호를 받고, VoIP 착신번호로의 전화 접속 요청에 대한 정보 및 세션을 관리하는 콜 컨트롤러; 콜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에서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관리하고 어드레스 매니저의 VoIP 착신번호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여 어드레스 매니저로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에 VoIP 착신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어드레스 매니저에게 알리는 캐시 매니저; 및 콜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VoIP 통화를 위한 프로토콜 및 VoIP 망 연동을 제공하는 mVoIP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어드레스 매니저의 VoIP 착신번호 요청에 따라 VoIP 착신번호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mVoIP 서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mVoIP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mVoIP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mVoIP 발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mVoIP 호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콜 매니저에 연결되며 mVoIP 발신 시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는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술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웹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제1 단계-여기에서, 웹 페이지는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내장함-;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측으로부터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로 또는 공중교환전화망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의 일반전화번호로 전화 접속 요청을 받는 제2 단계; 사용자 단말이 주소 또는 일반전화번호에 기초한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주소로 또는 일반전화번호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처리하도록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구동하는 제3 단계; 및 주소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콜 매니저에서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거나 획득한 후 VoIP 착신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네트워크로 mVoIP 발신을 요청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의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거나 획득하는 것은,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VoIP 착신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으면 VoIP 착신번호를 사용자 단말에서 추출하거나, 또는 VoIP 착신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웹 페이지에 미리 지정된 mVoIP 서버로 VoIP 착신번호를 요청하고 mVoIP 서버로부터 VoIP 착신번호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단계는, 사용자 단말이 기탑재된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mVoIP 발신 시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콜 매니저로부터 mVoIP 전화 발신에 대한 발신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전화 연결 후 사용자 단말의 콜 엔진과 미디어 연결을 통해 통화를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웹 환경에서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 서버에서 웹상의 목적지 또는 착신자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제1 단계;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계에서 목적지 또는 착신자에 대한 주소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콜 핸들러에 전달하는 제2 단계; 콜 핸들러에서 목적지 또는 착신자에 대한 주소 정보를 확인하고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제3 단계; 전화번호가 VoIP 전화이면, 콜 핸들러를 통해 mVoIP 발신을 요청하고, 전화번호가 VoIP 전화가 아니면, 사용자 단말의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화 네트워크로 발신을 요청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바일 웹 환경에서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웹상의 목적지 또는 착신자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계로부터 목적지 또는 착신자에 대한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목적지 또는 착신자에 대한 주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의 콜 핸들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콜 핸들러는, 전화번호가 VoIP 전화이면 mVoIP 발신을 요청하고, 전화번호가 VoIP 전화가 아니면, 사용자 단말의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화 네트워크로 발신을 요청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웹 환경에서 전화 접속 요청을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하고 사업자가 제공하는 착신전화를 이용하여 공중교환전화망, VoIP 망 또는 기타 망의 착신 대상에 대한 전화 접속 요청을 각각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구동시킴으로써 모바일 웹 환경하에서 착신 대상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별도로 웹 페이지에 내장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웹상의 착신 대상에게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웹에서 바로 전화 걸기가 가능하므로, 전화번호를 하나하나 사용자 단말에 입력하여 저장할 필요가 없고, 전화번호를 별도로 관리하거나 등록할 필요가 없으며, 전화번호 관리는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페이지를 북마크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단말에서 전화번호를 관리하지 않으므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동일 전화 걸기(웹 페이지의 통화하기 버튼 등)에 대한 주소를 변경함으로써 다른 착신 대상에게도 간편하게 전화를 걸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추천 음식점에 전화 걸기"와 같이 사용자는 착신 대상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전화 걸기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사업자는 전화번호 등록으로 간편하게 자신의 상점이나 상품을 광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간략히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 한다)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는 비교예에 따른 기존의 웹 페이지에서의 전화 걸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통화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하, 간략히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라 한다)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에서의 전화 발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간략히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 한다)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 채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에 대한 설명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2)은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전화 걸기를 포함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기반의 웹 페이지 또는 콜 센터(Call Center)를 제공하는 모바일 웹 서비스(Mobile Web Service) 제공 장치(20), 애플리케이션에서 전화 걸기를 시도한 경우, 착신 측과 통화가 가능토록 하는 mVoIP 통화를 관리하는 mVoIP 서비스 제공 장치(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를 포함하고, 스마트 디바이스는 상기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웹 서비스 제공 장치(이하, 간단히 '웹 서버'라고 한다)와 mVoIP 서비스 제공 장치(이하, 간단히 'mVoIP 서버'라고 한다)는 라우터(Router)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서, 개인, 기업체 또는 관청 등의 콜 센터(Call Center, 42), 유선전화(44), 휴대전화(46)에 대응하는 착신 대상과 사용자 단말(10) 간에 VoIP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웹 기반의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에 탑재되는 것으로 범용 콜 매니저(Universal Call Manager)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범용 콜 매니저는 주소의 속성(예컨대, URL scheme)에 따라 구동되는 콜 핸들러(Call Handler)(도 2의 참조부호 14 참조)와 통화를 위한 콜 엔진(Call Engine)(도 2의 참조부호 15 참조)을 구비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콜 핸들러와 콜 엔진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도 2의 참조부호 17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웹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에 모바일 웹 기반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10)에 HTML 기반의 콜센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HTML 기반의 콜센터는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내장하고, 상기한 목적지로 전화 발신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부(예컨대, 전화걸기 또는 통화하기 버튼 등)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Web Page)를 지칭한다. 즉, HLML 기반의 콜센터는 웹 서버(20)에서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목적지 또는 착신 대상의 주소나 주소 속성(Scheme)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연결되는 전화 발신을 수행하도록 작성된 전화 걸기 기능을 구비한 웹 페이지를 지칭할 수 있다.
mVoIP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웹상 목적지의 주소에 상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요청받고 그에 대한 응답을 처리하여 VoIP 착신번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는 것을 제외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과 착신 대상 간에 mVoIP 통화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기존의 mVoIP 서비스 제공 장치로 구현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범용 콜 매니저(이하, 간단히 '콜 매니저'라고 한다, 14)가 사용자 단말(10)에 어떻게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콜 매니저(14)는 웹 브라우저(12),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OS)(13) 및 하드웨어(Device 또는 H/W)(18)과 함께 사용자 단말(10)에 탑재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0)은 mVoIP 발신 시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즉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 3점 긴 쇄선의 화살표는 웹 서버(20)에서 HTML 기반의 콜센터 즉, '전화걸기' 또는 '통화하기' 버튼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의 웹 브라우저(12)에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고, 점선의 화살표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측에 의해 전화걸기 버튼(mVoIP 버튼 등)이 터치됨에 따라 mVoIP 전화가 발신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웹 브라우저(12), 운영체계(13) 및 하드웨어(18)는 스마트 단말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구성요소이므로 그것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콜 핸들러(Call Handler, 15)는 웹상의 착신 대상에 대한 주소(URL 등)의 스킴(S초듣에 따라 구동되며, mVoIP 시그널링과 함께 그 셋업(Setup) 과정을 담당한다.
콜 엔진(Call Engine, 16)은 콜 핸들러(15)에 mVoIP 통화를 위한 코덱, RTP(Real Time Protocol) 스택 등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이다.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17)은 콜 핸들러(15)와 콜 엔진(16)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로서,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며, 개인, 기업 또는 관공서 등의 콜센터에 연결되는 콜센터 화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에 미리 내장되거나 앱 스토어에서 다운받기하여 사용자 단말에 등록할 수 있는 콜 매니저를 제공함으로써, mVoIP 망, 3G 망,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의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목적지의 주소나 착신 단말의 일반전화번호에 대하여 전화 발신을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전화 접속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콜 매니저와 이를 활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mVoIP 통화를 위한 콜 엔진(Call Engine)을 제공하거나, HTML 기반의 콜센터(웹 페이지 등)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VoIP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목적지 또는 착신 대상의 주소로 전화 발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 HTML 기반의 콜센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웹 서비스 제공 장치(20)를 제공하거나, mVoIP 전화 기능 및 통화로를 제공하는 mVoIP 서비스 제공 장치(30)를 제공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무선 웹 환경하의 사용자 단말에서 공중교환전화망의 일반 전화나 웹상의 VoIP 전화를 자유로이 발신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HTML 기반의 콜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웹 서비스 및 이러한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HTML 기반의 콜센터 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웹상의 특정 목적지의 주소로 바로 전화 걸기를 할 수 있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 내에서의 전화 걸기 기능을 통해 전화를 발신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노트북, 스마트 패드 등을 포함한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등록된 스킴(URL 속성 등)에 따라 콜 매니저를 구동하여 mVoIP 전화를 발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 내의 전화걸기 버튼을 통해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전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a는 비교예에 따른 기존의 웹 페이지에서의 전화 걸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통화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비교예(11a)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12a)에서 전화걸기 또는 통화하기 버튼이 터치된 경우, 우선 웹 브라우저(12a)는 일반전화번호를 포함하는 'tel:01012345678'을 운영체계(13a)에 넘긴다(S302). 전술한 'tel:01012345678'는 일반전화번호식별자(이하, 간단히 전화번호식별자라고 한다)로서, 그 요소 'tel:'은 일반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착신 대상의 일반전화번호에 대한 스킴이고, 그 요소 '01012345678'은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에 대한 예시이다. 여기에서, 일반전화번호는 3G, LTE 등을 포함한 공중교환전화망에서 관리하는 전화번호를 지칭하고, 운영체계는 예컨대, 안드로이드, iOS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의 운영체계를 포함한다.
운영체계(13a)는 웹 브라우저(12a)에서 받은 전화번호식별자 내의 스킴 'tel:'을 확인하고(S304), 해당 스킴에 따라 전화번호식별자에 포함된 일반전화번호로 전화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화 애플리케이션(19)을 실행한다(S306). 전화 발신을 위해 호출된(invoke "phone call") 전화 애플리케이션(19)은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전화 걸기 기능이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운영체계(13a)는 요소 또는 파라메터인 01012345678을 전화 애플리케이션(19)에 넘겨 전화 애플리케이션(19)에서 착신자(46)에게 전화 걸기를 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11b)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의 웹 브라우저(12)에서 전화걸기 버튼이 터치되면, 우선 웹 브라우저(12)에서는 전술한 전화번호식별자 이외에 전화걸기 버튼의 터치에 의해 웹 페이지의 HTML 태그로 작성된 주소식별자 예컨대 'mvoip:주소'를 포함하는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12)는 주소식별자인 'mvoip:티아이스퀘어' 또는 전화번호식별자인 'tel:01012345678'을 운영체계(13)에 전달한다(S312). 주소식별자인 경우에 있어서, 요소 'mvoip'는 기존의 일반 전화 발신을 위한 'tel:'과는 달리 mVoIP 전화를 걸기 위한 별도의 스킴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를 위해 정의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스킴 'mvoip'는 웹에서 'herf=tel:전화번호' 형태와 같이 일반적인 HTTP 구문으로 호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운영체계(13)는 웹 브라우저(12)에서 받은 주소식별자 'mvoip:'를 확인하고(S314), 'mvoip'를 처리하도록 미리 등록된 콜 핸들러(15)에 파라메터인 '티아이스퀘어'를 전달한다(S316).
콜 핸들러(15)는 운영체계(13)로부터 받은 착신 주소(티아이스퀘어 등)에 기초하여 일반 전화가 아닌 VoIP 전화로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발신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콜 핸들러(15)는 착신 주소인 '티아이스퀘어'를 확인하고, 착신 주소에 상응하는 VoIP 네트워크를 선택한 후 VoIP 네트워크에 VoIP 발신을 수행하는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7)에 착신 주소를 넘기며(S316),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7)은 착신 주소에 따라 VoIP 발신을 시작하게 된다(S318). 여기에서, VoIP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선택가능한 최적의 네트워크에 대응하고,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7)은 VoIP 발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한다.
전술한 단계1(S302 또는 S312) 및 단계2(S314)에서, 'tel'은 사용자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일반 전화 발신용 스킴일 수 있고, 'mvoip'는 사용자 단말에 별도로 제공해야 하는 맞춤형 스킴(custom URL)으로, 운영체계의 기능으로 구현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단계3(S316)에서 콜 핸들러(15)는 사용자 단말의 출고시에 기본적으로 탑재되거나 추후 다운로드 등에 의해 별도로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콜 핸들러(15)는 착신 주소가 3G 전화인지, VoIP 전화인지, 혹은 향후 제공가능한 VoLTE를 이용한 전화인지를 구분하고, 구분한 결과에 따라 해당 망에 전화를 걸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수단 또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콜 핸들러(15)는 본 발명의 실시예(11b)와 비교예(11a) 간의 주요한 차이점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주소 확인, 네트워크 선택, 통화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이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콜 핸들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콜 핸들러(15)는 어드레스 매니저(Address Manager, 151), 콜 컨트롤러(Call Controller, 152), 캐시 매니저(Cache Manager, 153) 및 mVoIP 컨트롤러(154)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mVoIP 발신 시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는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7)이 탑재되는 경우, 콜 핸들러(14)는 콜 컨트롤러(142)의 출력 신호를 상기한 애플리케이션(17)에 전달하고, 이 애플리케이션(17)에 의해 mVoIP 컨트롤러(154)를 제어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API(1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어드레스 매니저(151)는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계(13)로부터 웹상의 주소를 포함한 주소식별자나 공중교환전화망에서 관리하는 일반전화번호를 포함한 전화번호식별자를 받아, 주소식별자나 전화번호식별자에 포함된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주소 또는 일반전화번호를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각 착신 대상에 대한 전화 발신 및 통화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로 주소 또는 일반전화번호를 전달한다.
콜 컨트롤러(152)는 웹상의 주소에 대한 전화 접속 요청 및 통화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주소나 통화에 대한 정보 및 세션을 관리한다. 캐시 매니저(153)는 사용자 단말 내의 주소록을 관리하거나, 상기한 주소를 사용자 단말의 주소록 이외의 저장부에 별도로 자체 관리할 수 있다. mVoIP 컨트롤러(154)는 VoIP 통화를 위한 프로토콜 VoIP 망 연동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7)은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mVoIP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콜 핸들러(15)의 작동 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우선, 어드레스 매니저(151)는 웹 브라우저에서 선택된 웹 페이지의 URL(목적지 또는 착신 대상에 대응함)의 주소 부분을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계(13)를 통해 전달받는다(S401). 본 실시예에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주소 부분은 '티아이스퀘어'라고 가정한다(도 3b 참조).
다음, 주소가 일반전화번호 및 VoIP 착신번호가 아니면, 어드레스 매니저(151)는 콜 컨트롤러(152)와 콜 컨트롤러에 연결된 캐시 매니저(153)를 통해 상기한 주소에 상응하는 VoIP 착신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402a). 한편, VoIP 착신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어드레스 매니저(151)는 주소에 상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네트워크 측에 요청하여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VoIP 착신번호를 획득한다(S402b).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VoIP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웹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웹 페이지에 접속가능한 mVoIP 서버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VoIP 착신번호의 획득 과정은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등의 가입자정보처리장치에서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절차와 유사할 수 있다.
다음, 어드레스 매니저(151)는 VoIP 착신번호를 콜 컨트롤러(152)로 전송하며 상기한 착신번호로 실제 mVoIP 전화 발신 요청을 전달한다(S403a). 한편, 운영체계(13) 측으로부터 수신한 주소가 일반전화번호이면, 어드레스 매니저(151)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기본 전화 애플리케이션(19)을 통해 3G 발신을 요청한다(S403b).
다음, 콜 컨트롤러(152)는 착신 대상의 속성 'mvoip'에 따라 미리 설정된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7)을 구동하고(S404),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7)에서의 사용자측 확인이나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mVoIP 컨트롤러(154)를 통해 mVoIP 전화 발신을 시작한다(S405 및 S406).
전술한 콜 핸들러(15)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네트워크상에서 좀더 쉽게 구축할 수 있는 내용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콜 매니저를 사용자 단말로 가져왔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참고로, 기존 CDMA 200에 기초한 2.5세대 무선 시스템에서는 교환기(BSC)에서 스마트폰에서 오는 신호가 음성인지 데이터인지를 구별하며, WCDMA에 기초한 3세대 무선 시스템에서는 교환기(RNC)가 스마트폰에서 오는 신호가 음성인지 데이터인지를 구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통화 서비스에 종속되도록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스킴(Scheme)이나 웹을 통해 제공한 스킴과 함께 웹상의 주소를 콜 매니저에 전달함으로써, 웹 페이지에 포함된 주소에 의해 전화를 발신하는 과정에서,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3G 망, VoIP 망, 기타 망을 분기하여 전화를 발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10)은 모바일 웹 환경에서 전화 걸기를 수행하기 위해 점선 박스(104) 내에 다수의 '통화하기' 버튼(106)을 구비한 웹 페이지를 웹 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 여기에서, 전화 걸기 버튼이 포함된 웹 페이지는 전화 걸기 버튼이 포함된 HTML 페이지나 이러한 웹 페이지 기반의 콜센터에 대응된다.
사용자 단말(10)의 화면(102 또는 102a)에 출력되는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측에 의해 점선 박스(104) 내의 다수의 통화하기 버튼들(106)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접촉되거나 선택되면, 해당 버튼에 상응하는 주소에 대하여 mVoIP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 발신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네 음식점 중 추천 음식점에 대한 전화 걸기를 사용자가 착신 대상(추천 음식점 등)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전화 걸기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사업자는 전화번호 등록으로 간편하게 자신의 상점이나 상품을 광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XXX 주식회사는 고객 상담을 위한 자동안내시스템이나 전화번호 114를 모바일 웹을 통해 간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하, 간략히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라 한다)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운영체계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에서 콜 매니저의 구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안드로이드 계열의 사용자 단말은 콜 매니저가 사용자 단말(10)에 미리 탑재된 상태로 출시될 수 있고, 그러한 사용자 단말(10)에서의 mVoIP 통화를 위한 호 발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콜 매니저가 미리 내장된 사용자 단말(10)을 준비한다(S610).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안드로이드 계열의 운영체계가 탑재된 안드로이드 단말 또는 스마트 단말에 대응한다.
다음, 사용자 단말(10)에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모바일 웹 서비스 제공 장치(20)에서 제공하는 HTML 기반의 전화걸기 버튼을 포함한 모바일 웹(Mobile Web)에 접속하고(S620), 모바일 웹 서비스 제공 장치(2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확인한다(S630).
다음, 사용자 단말(10)에서 사용자 측에 의해 웹 페이지 내의 전화 걸기 버튼을 선택 또는 터치한다(S640). 여기에서, 사용자 측은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또는 상기한 사용자 등에 의해 사용자 단말(10)에 미리 설정된 동작 옵션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화걸기 또는 통화하기 버튼은 mVoIP 전화 발신을 위한 주소를 가지는 웹 페이지 상의 버튼 아이콘을 포함한다.
다음, 웹(Web)에서 제공하는 특정 목적지(URL 등)의 스킴(scheme)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에 미리 내장된 콜 매니저가 구동된다(S650). 여기에서, 콜 매니저를 구동하기 위한 스킴으로는 'mvoip:', 'call:', 'umch:'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한 umch는 Universal mVoIP Call Handler에서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딴 것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구동된 콜 매니저는 상기 단계(S640)에서 전화걸기 버튼에 의해 선택된 착신 대상으로 mVoIP 발신을 시도한다(S660).
도 7은 도 1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사(Apple Inc.)의 모바일 운영체계인 iOS 계열의 운영체계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에서 콜 매니저의 구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상기한 iOS 계열의 사용자 단말은 콜 매니저가 사용자 단말(10)에 미리 탑재된 상태로 출시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의 출시 후에 애플사의 앱 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경우로서, 이러한 사용자 단말(10)에서의 mVoIP 통화를 위한 호 발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S 계열의 사용자 단말(10)에서는 현재 본 실시예에 콜 매니저를 출시 전에 미리 내장할 수 없으므로, 콜 매니저(이하, 간략히 '앱'이라 한다)를 이용하기 위해, 그것을 앱 스토어 등에 등록하고, 앱 스토어 등으로부터 그것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S710).
다음, 앱을 실행하여, 앱을 구동하기 위한 스킴을 운영체계에 등록한다(S720 및 S730). 상기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운영체계에서는 웹에서 선택된 착신 대상의 속성(스킴)에 따라 앱 즉 콜 매니저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사용자 단말(10)의 운영체계 iOS에서는 웹 브라우저로 모바일 웹 서비스 제공 장치 즉 웹 서버(20)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웹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 상에서 전화 걸기 대상을 확인한다(S740 및 S750).
다음, 사용자 단말(10)에서 전화를 걸고자 하는 대상을 확인한 사용자가 선택한 착신 대상에 대하여 전화걸기 버튼을 선택하면(S760), 사용자 단말(10)에서는 웹에서 제공하는 URL의 스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기설치된 콜 매니저를 구동한다(S770).
다음으로, 구동된 콜 매니저는 상기한 단계(S760)에서 전화걸기 버튼에 의해 선택된 착신 대상으로 mVoIP 발신을 시도한다(S780).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가능한 사용자 단말에서의 전화 발신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에서는 웹 페이지 상의 특정 목적지로 전화를 걸기 위해 mVoIP 전화걸기 버튼이 선택된다(S810).
상기한 mVoIP 버튼 터치에 따라 웹 브라우저에서는 mVoIP 버튼 터치에 대응하여 웹 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는 URL을 운영체계(13)로 전달한다(S820).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계(13)는 URL의 스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기등록되어 있는 콜 매니저 내의 콜 핸들러(15)를 호출한다(S830).
콜 핸들러(15)는 mVoIP 전화 발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17)을 호출하여 구동시킨다(S840).
애플리케이션(17) 상에서 사용자 측에 의해 VoIP 착신번호로 전화 발신이 시도되면, 애플리케이션(17)은 mVoIP 발신 시도 신호를 콜 핸들러(15)로 전달한다(S850).
콜 핸들러(15)는 애플리케이션(17)으로부터의 mVoIP 발신 시도 신호에 따라 mVoIP 전화망으로 발신을 시도한다(S860). 콜 핸들러(15)의 mVoIP 발신 시도에 따라 발신 알림 신호가 콜 핸들러(15)로부터 애플리케이션(17)으로 전달된다(S870).
착신 대상과 통화가 연결되면, 애플리케이션(17)은 통화를 위해 mVoIP 전화망에 위치하는 착신 대상과 콜 엔진(16)을 경유하여 미디어를 연결한다(S880 및 S890).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안드로이드 계열, iOS 계열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웹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착신 대상(Custom URL)을 전화 걸기 기능을 위한 호출(Invoke)용으로 활용함으로써, 웹에서 착신 대상에 대한 바로 전화 걸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업자가 모바일 웹을 통해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웹상에서 바로 전화를 걸 수 있다. 모바일 웹을 통해 바로 전화를 걸 수 있으므로, 기업체과 관공서 등의 안내 전화번호나 전화번호 114 등을 모바일 웹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웹으로 정보지를 제공하는 경우, 정보지를 제공하는 착신 대상으로 바로 전화 걸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웹으로 지역 정보(지역 음식점 등)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연결된 웹상에서 지역 음식점으로 바로 전화 걸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착신 대상에 대한 속성을 이용하므로 착신 대상의 VoIP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에 별도로 입력하거나 메모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사업자의 전화번호 갱신 유무를 사용자가 확인할 필요가 없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 등의 전체적인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여기에서, 웹 페이지는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내장함-; 및
    상기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 또는 공중교환전화망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의 일반전화번호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상기 목적지 또는 착신 단말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전화 발신 또는 mVoIP 발신을 해당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웹 페이지에서 웹상의 목적지의 주소로 전화 접속을 요청하는 사용자 측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웹 브라우저; 및
    상기 주소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되고,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거나 획득한 후 상기 VoIP 착신번호에 기초하여 mVoIP 발신을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콜 매니저를 구비하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 매니저는 콜 핸들러와 콜 엔진을 구비하고,
    상기 콜 핸들러는,
    상기 웹 브라우저 측으로부터 수신한 주소 또는 일반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일반전화번호의 경우 공중교환전화망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로의 전화 접속을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상기 일반전화번호를 전달하고, 상기 주소의 경우 주소에 상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사용자 단말에서 추출하거나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하는 어드레스 매니저;
    상기 어드레스 매니저로부터 상기 VoIP 착신번호를 받고, 상기 VoIP 착신번호로의 전화 접속 요청에 대한 정보 및 세션을 관리하는 콜 컨트롤러;
    상기 콜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관리하고 상기 어드레스 매니저의 상기 VoIP 착신번호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상기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여 어드레스 매니저로 전달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VoIP 착신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어드레스 매니저에게 알리는 캐시 매니저; 및
    상기 콜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VoIP 통화를 위한 프로토콜 및 VoIP 망 연동을 제공하는 mVoIP 컨트롤러
    를 구비하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매니저의 VoIP 착신번호 요청에 따라 상기 VoIP 착신번호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mVoIP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mVoIP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mVoIP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mVoIP 발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mVoIP 호를 처리하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콜 매니저에 연결되며 mVoIP 발신 시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는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더 구비하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웹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제1 단계-여기에서, 웹 페이지는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내장함-;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측으로부터 웹상의 목적지에 대한 주소로 또는 공중교환전화망에 위치하는 착신 단말의 일반전화번호로 전화 접속 요청을 받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주소 또는 일반전화번호에 기초한 착신 대상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주소 또는 일반전화번호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처리하도록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구동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주소로의 전화 접속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콜 매니저에서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거나 획득한 후 상기 VoIP 착신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네트워크로 mVoIP 발신을 요청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VoIP 착신번호를 추출하거나 획득하는 것은,
    상기 주소에 대응하는 VoIP 착신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VoIP 착신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VoIP 착신번호를 사용자 단말에서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VoIP 착신번호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웹 페이지에 미리 설정된 mVoIP 서버로 VoIP 착신번호를 요청하고 상기 mVoIP 서버로부터 VoIP 착신번호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탑재된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mVoIP 발신 시도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mVoIP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콜 매니저로부터 mVoIP 전화 발신에 대한 발신 알림 신호를 수신하고 전화 연결 후 사용자 단말의 콜 엔진과 미디어 연결을 통해 통화를 지원하는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20006142A 2011-11-18 2012-01-19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350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15 2011-11-18
KR20110121115 2011-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494A true KR20130055494A (ko) 2013-05-28
KR101350138B1 KR101350138B1 (ko) 2014-01-09

Family

ID=4866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142A KR101350138B1 (ko) 2011-11-18 2012-01-19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1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5939B2 (en) * 2005-10-28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Merchant powered click-to-call method
KR20110104448A (ko) * 2010-03-16 2011-09-22 이왕석 모바일에서의 웹을 활용한 전화발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138B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95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all-based data communication
US9369500B2 (en) Call handling using IP multimedia subsystem
EP2936881B1 (en) Connecting to a wireless network using social network identifier
US10341810B2 (en) Geolocation compatibility for non-RCS devices
US10673680B2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dialog contents, server and method thereof
US1095869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ocia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hatbot capable frameworks
US20160021148A1 (en) Architecture to establish serverless webrtc connections
KR101533041B1 (ko)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휴대용 장치의 활성화 시스템 및 방법
US9154633B2 (en) Data communication
KR101350138B1 (ko) 모바일 웹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142277B2 (en) Posting and consultation of messages by users of social networks
US2013030320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ccess social networking services using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on mobile devices
US9280526B1 (en) Mobile application utilizing accelerometer-based control
JP2014103477A (ja) 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60099813A (ko) 전화 통화 중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장치
KR20160104259A (ko) 전화 통화 중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60097770A (ko) 전화 통화 중 통화 관련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60097773A (ko) 고객센터 단말기
KR20160104261A (ko) 고객센터 단말기
WO2012110806A1 (en) Reconfigurabl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voicemail system
WO2012110807A1 (en) Telephony user device comprising touch screen user interface reconfigurable by a remote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