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425A - 배터리 연결 단자 - Google Patents

배터리 연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425A
KR20130055425A KR1020110121169A KR20110121169A KR20130055425A KR 20130055425 A KR20130055425 A KR 20130055425A KR 1020110121169 A KR1020110121169 A KR 1020110121169A KR 20110121169 A KR20110121169 A KR 20110121169A KR 20130055425 A KR20130055425 A KR 20130055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nection terminal
pol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427B1 (ko
Inventor
이규형
김남일
박승복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1012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4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극주에 연결 단자를 연결하여 기존에 배터리의 극주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분리하지 않고도 다른 용도로도 추가로 연결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 극주와 연결되는 단자(端子 ; terminal)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극주와 연결되는 극주 연결부;와 상기 극주 연결부와 연결되어 길이 연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구부러져 연결되어 있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단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연결 단자{Connecting terminal for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연결 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의 극주에 연결되어 추가로 연결 단자를 구비하여 배터리 극주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분리 없이 연결 단자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거나 또 다른 용도로 사용하여 배터리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해주는 배터리 연결 단자에 대한 것이다.
차량용 대형 배터리의 경우 차량시스템이 24V 이므로 사용하는 배터리는 2개(12V*2)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또한 사용되는 차량의 배터리 배열 요구 형태에 따라 배터리간 연결방식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연결방식은 12V의 배터리 2개를 나란히 배치하여 단자가 한 방향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단자가 완성되어야 한다.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는 단자가 차체 케이블에 연결된 후에는 충전이나 별도 용도의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케이블을 분리해야 한다. 또는 전원 케이블의 연결부의 사이즈에 따라서 배터리의 단자에 부착이 불가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배터리 극주에 연결 단자를 연결하여 기존에 배터리의 극주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을 분리하지 않고도 다른 용도로도 추가로 연결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결 단자의 연결단자부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이라도 배터리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극주와 연결되는 단자(端子 ; terminal)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극주와 연결되는 극주 연결부;와 상기 극주 연결부와 연결되어 길이 연장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구부러져 연결되어 있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단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극주 연결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 형상은 상기 개방되어 있는 부분의 양측으로 각각 연결다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연결다리의 측면에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볼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는 고율방전에 견딜 수 있도록 상기 극주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하단부과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상단부의 일측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부의 일측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상기 연결홈과 연결돌기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부에는 복수의 홀이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단자부가 상기 복수의 홀에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극주에 연결 단자를 연결하여 배터리 극주에는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 및 방전의 용도로 사용하고, 연결 단자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단자부를 통해서 또 다른 용도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 단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극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배터리를 위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본 발명의 배터리 연결 단자가 배터리에 연결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연결 단자의 상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연결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연결 단자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단부와 하단부가 분리 연결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본 발명의 배터리 연결 단자가 배터리에 연결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연결 단자(100)는 일부가 배터리(10)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극주(15)에 연결되어 있고 일부는 배터리(10)의 측면으로 구부러져 연결단자부(150)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연결 단자(100)는 전체적으로 측면이 'ㄱ'자 모양으로, 배터리(10)의 극주(15)와 연결되는 극주 연결부(110), 상측면에 위치하는 상단부(110), 배터리(10)의 측면에 위치하는 하단부(120) 및 하단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단자부(1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10)의 연결 단자(100)는 배터리(10)의 극주(15)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볼트(bolt)로 조여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배터리(10)의 극주(15)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10)의 연결 단자(100)를 이용하면, 배터리(10)의 극주(15)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서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 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연결단자부(150)를 통해서 배터리(10)간의 연결 또는 그 밖의 다른 용도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 연결 단자(100)를 이용하면 배터리(10)의 극주(15)에 연결되어 있는 충전 케이블을 제거하지 않고도 다른 용도를 배터리(10)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연결 단자(15)의 극주 연결부(110)의 상단부(120)와 하단부(120)의 상세한 구조적인 특징은 도2 내지 도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연결 단자의 상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배터리 연결 단자(100)의 극주 연결부(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극주(15)가 연결되는 극주 연결홀(113)과 극주(15)가 극주 연결홀(113)에 끼워지면 이를 조여주는 연결다리(111,112)로 구성된다. 극주 연결홀(113)은 배터리의 극주(15)의 사이즈에 맞도록 지름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다리(111,112)의 측면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극주 연결홀(113)을 조여주는 조임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도2에서는 상단부(120)가 극주 연결부(110)의 일측으로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극주 연결부(110)의 중심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단부(120)는 배터리(10)의 사이즈와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극주 연결부(110)과 연결될 수 있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연결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3과 도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극주 연결부(110)의 연결다리(111,112)의 측면에는 각각 조임홀(114)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120)는 고율방전에 견딜 수 있도록 극주연결부(110)와 연결되는 부분이 하단부(130)와 연결되는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하단부(130)는 상단부(120)로부터 9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며 구부러져서 연결된다.
도3을 참고하면, 하단부(130에는 돌기 모양의 연결 단자부(150)가 형성되어 있어 단자 케이블과 연결되어 다른 전자 기기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단부(130)에는 복수의 홀(160)이 더 형성되어 있어 연결단자부(150)가 하단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홀(160)을 통해 추가로 더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하단부(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160)은 연결단자부(150)의 사이즈에 따라 각각 다른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하단부(130)에 복수의 돌기(151)가 더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돌기(151)를 통해서 서로 다른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 연결 단자(100)를 세트로 구성하여 하나의 배터리 연결 단자(100)의 하단부(130)에는 복수의 홀(160)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배터리 연결 단자(100)의 하단부(130)에는 복수의 돌기(151)를 형성하여 세트로 구성된 배터리 연결 단자(100)가 서로 마주보는 경우에는 각각 형성되어 있는 홀(160)과 돌기(151)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부(130)에는 연결단자부(150)를 위한 홀(161)을 형성할 수 있어 연결단자부(150)는 연결단자부(150)를 위한 홀(161)을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연결단자부(150)를 위한 홀(161)은 너트 형상으로 구성되고 연결단자부(150)는 볼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터리 연결 단자의 정면도이다.
배터리 연결 단자(100)의 하단부(130)의 정면 중앙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부(150)와 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단자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케이블과 연결되어 다른 전자 기기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배터리(10)가 직렬로 위치하여 연결되는 경우에 단자 케이블 없이도 각각의 배터리(1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단자부(150)는 볼트 형상으로 구성되고 너트 등을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는 연결단자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배터리(10)의 양극(+극)에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 단자(110)의 연결단자부(150)는 철(凸)모양으로 구성하고, 배터리의 음극(-극)에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 단자(110)의 연결단자부(150)는 요(凹)모양으로 구성하여 끼움식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단부와 하단부가 분리 연결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단부(120)와 하단부(130)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단부(120)의 일측에는 연결홈(125)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130)의 일측에는 연결돌기(135)가 형성되어 있어, 상단부(120)에 형성되는 연결홈(125)과 하단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돌기(135)를 통해 상단부(120)와 하단부(13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단부(120)에 형성되는 연결홈(125)과 하단부(13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돌기(135)를 통해 상단부(120)와 하단부(130)가 서로 결합하여 연결되는 경우에는, 배터리(10)의 사이즈 및 배터리(10)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하단부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하여 양극의 연결단자부(150)와 음극의 연결단자부(15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터리
15 : 배터리 극주
100 : 배터리 연결 단자
110 : 극주 연결부
111,112 : 연결다리
113 : 극주 연결홀
114 : 조임홀
120 : 상단부
125 : 연결홈
130 : 하단부
135 :연결돌기
150 : 연결단자부
151 : 돌기
160 : 홀

Claims (7)

  1. 배터리 극주와 연결되는 단자(端子 ; terminal)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극주와 연결되는 극주 연결부;
    상기 극주 연결부와 연결되어 길이 연장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와 구부러져 연결되어 있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에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단자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주 연결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인 배터리 연결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형상은 상기 개방되어 있는 부분의 양측으로 각각 연결다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연결다리의 측면에는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연결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볼트 형상으로 구성되는 배터리 연결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고율방전에 견딜 수 있도록 상기 극주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하단부과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배터리 연결 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상단부의 일측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부의 일측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상기 연결홈과 연결돌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 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에는 복수의 홀이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단자부가 상기 복수의 홀에 추가로 연결가능한 배터리 연결 단자.
KR1020110121169A 2011-11-18 2011-11-18 배터리 연결 단자 KR10131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69A KR101313427B1 (ko) 2011-11-18 2011-11-18 배터리 연결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69A KR101313427B1 (ko) 2011-11-18 2011-11-18 배터리 연결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425A true KR20130055425A (ko) 2013-05-28
KR101313427B1 KR101313427B1 (ko) 2013-10-14

Family

ID=4866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169A KR101313427B1 (ko) 2011-11-18 2011-11-18 배터리 연결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1294B2 (en) 2013-09-23 2016-10-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210012759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음각의 전해액누출경로를 포함하고 있는 납축전지용 사이드 단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403Y1 (ko) * 1993-12-08 1999-07-15 정몽규 배터리 전원과 탈.장착이 가능한 구조
KR19990068349A (ko) * 1999-04-21 1999-09-06 김춘식 배터리포스트연결단자를제조하는방법과그포스트연결단자
KR101198834B1 (ko) * 2007-12-12 2012-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클램프 일체형 배터리 센서
JP5448469B2 (ja) * 2009-01-23 2014-03-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接続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1294B2 (en) 2013-09-23 2016-10-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210012759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한국아트라스비엑스 음각의 전해액누출경로를 포함하고 있는 납축전지용 사이드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427B1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6097A3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odule of the same
CN203868052U (zh) 一种临时悬挂在电杆上的电表箱
EP2461392A3 (en) Battery module
KR101313427B1 (ko) 배터리 연결 단자
CN203536497U (zh) 一种组合电池连接装置
CN203300730U (zh) 一种蓄电池的接线端子
CN105406425A (zh) 一种防脱式楔形耐张线夹
CN203326030U (zh) 铅酸蓄电池及其板栅结构
CN203760551U (zh) 柱形电池模块化组合装置
CN206357911U (zh) 脚轮组件和可移动电器
CN209993654U (zh) 一个外挂壳体与锂电池的连接结构
CN205335315U (zh) 一种易拆解的电池组
CN204333089U (zh) 一种电池组的连接片
CN108735940B (zh) 一种模块化应急蓄电池
CN205928347U (zh) 一种学生用快速拆卸式电器固定夹
CN207069010U (zh) 一种具有极性防呆功能的铅酸蓄电池
CN207021317U (zh) 一种快速组装方便拿取的锂电池组
KR100986436B1 (ko)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
CN103501583A (zh) 一种支架组合结构及柜体
CN201918578U (zh) 一种光伏接线盒用连接器
CN201072795Y (zh) 电池充电器
CN212518432U (zh) 用于电池模组的充电连接装置以及充电系统
CN204966558U (zh) 电池固定架
CN203590646U (zh) 一种支架组合结构及柜体
CN204809272U (zh) 一种锂电池箱及其固定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