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390A -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390A
KR20130055390A KR1020110121110A KR20110121110A KR20130055390A KR 20130055390 A KR20130055390 A KR 20130055390A KR 1020110121110 A KR1020110121110 A KR 1020110121110A KR 20110121110 A KR20110121110 A KR 20110121110A KR 20130055390 A KR20130055390 A KR 2013005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radioactive waste
incineration
cool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석
최유미
Original Assignee
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석 filed Critical 최영석
Priority to KR102011012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390A/ko
Publication of KR2013005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004Crystallisation cooling by heat exchange
    • B01D9/0013Crystallisation cooling by heat exchange by indirect heat exchang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2Processing by incin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8Radioactive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을 무해화하기 위하여 소각하였을 때 발생하는 재를 안전하게 재처리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방법은, 가연성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 단계와; 도가니로를 이용하여 상기 소각 단계에서 발생한 재를 밀폐 상태에서 고온으로 용융하는 용융 단계와; 상기 도가니로에서 용융상태로 떨어지는 용융액을 냉각시켜 결정으로 만드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장치는, 가연성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에 따라 발생한 재를 용융하는 도가니로(10)와, 상기 도가니로(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로(10)로부터 떨어지는 용융액을 냉각시켜 결정화한 후 수집용기(30)로 전달하는 냉각이송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가연성의 방사성 폐기물을 소각할 때 발생한 재를 밀폐상태에서 고온으로 용융시킨 후 이를 냉각시켜 결정으로 만듦으로써 체적과 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일한 용량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더 많은 양의 방사성 폐기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After-Incineration Reprocessing Method for Radioactive Waste and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방사성 폐기물을 무해화하기 위하여 소각하였을 때 발생하는 재를 안전하게 재처리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에 의해 발생한 재를 고온에서 용융 및 결정화시킴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방사성 폐기물 재의 후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 폐기물이란 핵에너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방사성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원자력 시설이나 방사성 물질을 다루는 작업장 또는 실험실에서 나오는 폐기물, 핵분열 생성물, 냉각수, 냉각가스 등의 누출물뿐 아니라 실험이나 작업에 사용된 공구, 헝겊, 종이, 세척수 등도 방사성 폐기물로 간주되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은 방사능 준위에 따라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과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핵연료로 사용하고 난 후의 핵연료와 이것의 재처리과정에서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로서 95% 이상을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방사성 폐기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중에서 비교적 방사능 준위가 높은 것을 중준위 폐기물로 구별하기도 한다.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대부분은 베타선이나 감마선을 내는 베타/감마 폐기물이며 어느 정도 이상 세기의 알파선을 내는 것을 알파 폐기물이라고 한다. 그리고 알파 폐기물 중에 초우라늄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초우라늄폐기물(TRU폐기물)이라고 한다.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원이나 보수요원이 사용한 장갑·덧신·작업복·걸레·각종 교체부품, 관련 산업체·병원·연구기관에서 나오는 폐기물로 방사성 폐기물 드럼에 시멘트로 고정시켜 폐기물저장소에 보관하여야 한다.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그 형태에 따라 기체, 액체, 고체로 구분하며 저장방법의 차이가 있다.
기체 폐기물은 밀폐탱크에 저장한 후 방사능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 입자제거기능이 있는 고성능 필터(HEPA 필터)로 여과하여 대기로 방출한다. 여과에 의해 방시성 물질의 99.99% 이상 제거되며 상기 고성능 필터는 수명을 다한 후 고체폐기물로 처리한다.
액체 폐기물의 중량농도는 ppb(10억 분의 1) 이하로 저장조에 모았다가 증발장치를 이용해 깨끗한 물을 재활용하고 찌꺼기는 안정된 고체로 만들어 철제드럼에 넣어 밀봉하여 저장한다. 방사능준위가 낮고 잡염분이 적은 폐액은 여과한 후 대량의 잡배수와 희석하여 방출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고체 폐기물은 가연성과 불연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가연성 고체폐기물은 소각시켜 재로 만들어 부피는 1/20 정도로 줄인다. 부패성 동물사체나 식물시료는 냉동보존 등을 한 후 소각시킨다. 냉각처리과정에서 나오는 배기 역시 방사성 물질에 노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처리에 주의한다. 불연성 고체폐기물은 압축하거나 용융 고화하여 철제드럼에 넣어 밀봉상태에서 발전소나 저장고에 저장한다.
폐기물 처리장은 원전수거물처리장이라고도 하며 방사성 폐기물은 땅을 얕게 파서 폐기물 드럼을 쌓는 전층 처분과 땅속 깊은 곳 또는 산속이나 바다 밑에 동굴을 파서 폐기물 드럼을 쌓는 심층처분방식이 있다. 처분장은 지진의 위험이 없고, 지반침하 등의 우려가 없으며, 지하수의 흐름이 없는 단단한 암반이나 지질학적으로 안정된 지역에 건설한다. 또한 인구밀집지역이나 자원개발가능한 지역은 피하고 폐기물에서 나오는 열을 잘 전도할 수 있는 물질이 많은 곳이어야 한다. 원전수거물의 처분은 방사성 물질이 누설되지 않도록 고체로 만든 후에 철제드럼이나 콘크리트용기에 넣어 콘크리트구조물 또는 암반 속 동굴에 격리하여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방사성 폐기물의 폐기 및 처리에서는 그것에 의한 주변의 자연방사능에 대한 영향이 최대 허용선량(許容線量)의 1/10 이하여야 한다는 것이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고체 폐기물은 불연물(不燃物)과 가연물로 나누어 가연물은 소각한 후 재를 불연물과 함께 드럼통에 넣고, 이것을 콘크리트로 굳힌 후 깊은 바다 또는 땅 속에 묻는다.
② 액체 폐기물은 이온교환법에 의해 농축해서 드럼통에 넣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한 후 대량의 물로 희석해서 방류한다.
③ 기체상태인 폐기물은 반감기가 짧은 핵종(核種)의 감쇠를 기다려 필터로 여과하여, 공중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최대 허용농도의 1/10 이하임을 확인하면 배기설비로부터 방출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사성 폐기물 폐기 및 처리 방법은, 방사능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근본적인 해결법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원자력이용이 본격화됨에 따라 증대하는 폐기물 처리문제는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한편, 2011년 3월에 발생한 일본의 원전사고는 다량의 중·저준위 폐기물을 발생시켰으며, 이러한 중·저준위 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사고처리를 하는 작업자의 작업복과 장갑 등의 통상의 저준위 폐기물은 물론 원전사고의 영향을 받은 가옥 등의 시설물도 빙사성 폐기물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들을 무해화 처리하기 위하여 소각 및 매립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복 등과 같은 가연성의 중·저준위 고체 폐기물은 소각 처리를 통해 그 양을 줄인 후 방사능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재를 다른 불연성 고체 폐기물과 함께 밀폐용기에 넣어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밀폐용기에는 압축 고화된 불연성 폐기물 및 방사능 물질이 포함된 재가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저장된다.
상기 밀폐용기는 깊은 바닷속으로 투기하거나 땅속에 묻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게 되는데, 최근 발효된 방사성 폐기물의 해양 투기 금지 조치에 따라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별도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을 설치하여 이곳에 밀폐용기를 보관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은 입지 조건이 극히 제한되어 있고,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은 나라의 경우에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이 들어설 위치의 주민들로부터 많은 반대로 인해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추가 건설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불연성 폐기물 및 방사능 물질이 포함된 재를 밀폐용기에 담아 저장할 때에는 물질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불연성 폐기물 및/또는 재에 비해 많은 양의 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실제 폐기되어야 하는 방사성 폐기물에 비해 밀폐용기의 체적과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용량 부족을 가속화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방사성 폐기물 재처리 방법은 단순히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고화시킨 후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정도에 불과하고, 그로 인하여 실제 폐기물에 비해 체적과 중량이 증가하여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용량 부족을 심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재를 고화시켜 체적과 중량을 줄임으로써 동일한 용량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더 많은 양의 방사성 폐기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방법은, 가연성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 단계와; 도가니로를 이용하여 상기 소각 단계에서 발생한 재를 밀폐 상태에서 2300 ~ 2500℃의 고온으로 용융하는 용융 단계와; 상기 도가니로에서 용융상태로 떨어지는 용융액을 냉각시켜 결정으로 만드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장치는, 가연성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에 따라 발생한 재를 용융하는 도가니로와, 상기 도가니로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로로부터 떨어지는 용융액을 냉각시켜 결정화한 후 수집용기로 전달하는 냉각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가니로는, 상면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재가 용융되어 배출되는 출구가 저부에 형성되며, 내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내부 도가니와; 내주면과 상기 내부 도가니의 외주면이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상기 내부 도가니가 수용되는 그라파이트 재질의 외부 도가니와; 상기 내부 도가니의 상단측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외부 도가니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내부 도가니의 저면이 상기 외부 도가니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설치 링과; 내부에 가열용 히터 코일이 구비되고, 내주면과 상기 외부 도가니의 외주면이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부 도가니가 수용되며, 상기 외부 도가니를 지지하는 바닥면에 상기 내부 도가니의 출구에 이어지는 배출구가 형성된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로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뚜껑과; 상기 내부 도가니와 외부 도가니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외부 도가니와 가열로 사이의 틈새에 각각 충전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가니의 산화를 방지하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내부 도가니를 형성하는 내열 세라믹은, 주재료인 산화마그네슘에 산화알루미늄과 이산화규소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충전제는 내화시멘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냉각이송부재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배열되는 복수 개의 냉각트랙과, 상기 냉각트랙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라운드 바와, 상부에 용융액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트랙이 고정되는 케이스와, 최하단 냉각트랙의 끝단 부분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수집용기로 결정체를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판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진동발생기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자와, 상기 진동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에 따르면, 상기 냉각트랙은, 끝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낙하유도부를 형성하고, 상기 냉각트랙 중 최상단 냉각트랙은 용융액 낙하지점 하류 일부 지점까지는 상기 라운드 바가 설치되지 않은 평판으로 형성되고, 평판 부분의 끝단에 라운드 바가 설치된 하류측으로 용융액을 낙하시키는 낙하 유도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는 가연성의 방사성 폐기물을 소각할 때 발생한 재를 밀폐상태에서 고온으로 용융시킨 후 이를 냉각시켜 결정으로 만듦으로써 체적과 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일한 용량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더 많은 양의 방사성 폐기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도가니로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연성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 단계와; 도가니로를 이용하여 상기 소각 단계에서 발생한 재를 밀폐 상태에서 고온으로 용융하는 용융 단계와; 상기 도가니로에서 용융상태로 떨어지는 용융액을 냉각시켜 결정으로 만드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연성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에 따라 발생한 재를 용융하는 도가니로(10)와, 상기 도가니로(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로(10)로부터 떨어지는 용융액을 냉각시켜 결정화한 후 수집용기(30)로 전달하는 냉각이송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가니로(10)는, 상면 개구부(11a)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재가 용융되어 배출되는 출구(11b)가 저부에 형성되고, 하단 부분이 상기 출구(11b)에 이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내부 도가니(11)와; 내주면과 상기 내부 도가니(11)의 외주면이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상기 내부 도가니(11)가 수용되는 그라파이트 재질의 외부 도가니(12)와; 상기 내부 도가니(11)의 상단측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외부 도가니(12)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내부 도가니(11)의 저면이 상기 외부 도가니(12)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설치 링(13)과; 내부에 가열용 히터 코일(14)이 구비되고, 내주면과 상기 외부 도가니(12)의 외주면이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부 도가니(12)가 수용되며, 상기 외부 도가니(12)를 지지하는 바닥면에 상기 내부 도가니(11)의 출구(11b)에 이어지는 배출구(15')가 형성된 가열로(15)와; 상기 가열로(15)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로(15)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뚜껑(16)과; 상기 내부 도가니(11)와 외부 도가니(12)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외부 도가니(12)와 가열로(15) 사이의 틈새에 각각 충전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가니의 산화를 방지하는 충전제(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도가니(11)를 형성하는 내열 세라믹(Cermic)은, 주재료로 산화마그네슘(MgO)에 산화알루미늄(Al2O3)과 이산화규소(SiO2)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 혼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제(18)는 통상 캐스터블(Castable)이라 하는 내화시멘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냉각이송부재(20)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배열되는 복수 개의 냉각트랙(21)과, 상기 냉각트랙(2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라운드 바(22)와, 상부에 용융액이 통과하는 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트랙(21)이 고정되는 케이스(23)와, 최하단 냉각트랙의 끝단 부분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수집용기(30)로 결정체를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판(24)과, 상기 케이스(23)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기(2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동발생기(25)는 상기 케이스(23)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자(25a)와, 상기 진동자(25a)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자(25a)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25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냉각트랙(21)은, 끝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낙하유도부(21a)를 형성하고, 상기 냉각트랙(21) 중 최상단 냉각트랙은 용융액 낙하지점 하류 일부 지점까지는 상기 라운드 바(22)가 설치되지 않은 평판으로 형성되고, 평판 부분의 끝단에 라운드 바(22)가 설치된 하류측으로 용융액을 낙하시키는 낙하 유도편(21b)이 설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도가니로
11...내부 도가니
12...외부 도가니
13...설치 링
14...가열용 히터 코일
15...가열로
16...뚜껑
18...충전제
20...냉각이송부재
21...냉각트랙
22: 라운드 바
23...케이스
24...배출 가이드 판
25...진동발생기
25a...진동자
25b...스프링
30...수집용기

Claims (7)

  1. 가연성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 단계와;
    도가니로를 이용하여 상기 소각 단계에서 발생한 재를 밀폐 상태에서 고온으로 용융하는 용융 단계와;
    상기 도가니로에서 용융상태로 떨어지는 용융액을 냉각시켜 결정으로 만드는 결정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연소후 재처리 방법.
  2. 가연성의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에 따라 발생한 재를 용융하는 도가니로(10)와, 상기 도가니로(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가니로(10)로부터 떨어지는 용융액을 냉각시켜 결정화한 후 수집용기(30)로 전달하는 냉각이송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도가니로(10)는, 상면 개구부(11a)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재가 용융되어 배출되는 출구(11b)가 저부에 형성되고, 하단 부분이 상기 출구(11b)에 이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내부 도가니(11)와;
    내주면과 상기 내부 도가니(11)의 외주면이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상기 내부 도가니(11)가 수용되는 그라파이트 재질의 외부 도가니(12)와;
    상기 내부 도가니(11)의 상단측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외부 도가니(12)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내부 도가니(11)의 저면이 상기 외부 도가니(12)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설치 링(13)과;
    내부에 가열용 히터 코일(14)이 구비되고, 내주면과 상기 외부 도가니(12)의 외주면이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부 도가니(12)가 수용되며, 상기 외부 도가니(12)를 지지하는 바닥면에 상기 내부 도가니(11)의 출구(11b)에 이어지는 배출구(15')가 형성된 가열로(15)와;
    상기 가열로(15)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로(15)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뚜껑(16)과;
    상기 내부 도가니(11)와 외부 도가니(12)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외부 도가니(12)와 가열로(15) 사이의 틈새에 각각 충전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외부 도가니의 산화를 방지하는 충전제(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가니(11)를 형성하는 내열 세라믹은, 주재료인 산화마그네슘(MgO)에 산화알루미늄(Al2O3)과 이산화규소(SiO2)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내화시멘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이송부재(20)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 배열되는 복수 개의 냉각트랙(21)과, 상기 냉각트랙(2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라운드 바(22)와, 상부에 용융액이 통과하는 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트랙(21)이 고정되는 케이스(23)와, 최하단 냉각트랙의 끝단 부분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수집용기(30)로 결정체를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판(24)과, 상기 케이스(23)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기(25)는 상기 케이스(23)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동자(25a)와, 상기 진동자(25a)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자(25a)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25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트랙(21)은, 끝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낙하유도부(21a)를 형성하고,
    상기 냉각트랙(21) 중 최상단 냉각트랙은 용융액 낙하지점 하류 일부 지점까지는 상기 라운드 바(22)가 설치되지 않은 평판으로 형성되고, 평판 부분의 끝단에 라운드 바(22)가 설치된 하류측으로 용융액을 낙하시키는 낙하 유도편(21b)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장치.

KR1020110121110A 2011-11-18 2011-11-18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30055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10A KR20130055390A (ko) 2011-11-18 2011-11-18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110A KR20130055390A (ko) 2011-11-18 2011-11-18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390A true KR20130055390A (ko) 2013-05-28

Family

ID=4866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110A KR20130055390A (ko) 2011-11-18 2011-11-18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53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682A1 (ko) * 2016-07-28 2018-02-01 주식회사 트리플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를 위한 밀폐형 플라즈마 용융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682A1 (ko) * 2016-07-28 2018-02-01 주식회사 트리플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를 위한 밀폐형 플라즈마 용융로
US10871288B2 (en) 2016-07-28 2020-12-22 Tripl Co., Ltd. Sealed plasma melting furnace for treating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400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игания, плавления и остеклова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US10290384B2 (en) Ion specific media removal from vessel for vitrification
KR100524825B1 (ko)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유리화 장치 및 공정
RU2486616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KR20130055390A (ko) 방사성 폐기물의 소각후 재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22336B1 (ko) 부피축소를 위한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탄화 시스템
JP6170649B2 (ja) 放射性有機廃棄物の減容化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Girold et al. French Innovative Processes in the Field of Thermal TreatmentFor Decommissioning and Legacy Waste
Ren et al. Melt refining of uranium contaminated copper, nickel, and mild steel
Valencia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nuclear decommissioning projects
Heep The ZWILAG plasma facility: five years of successful operation
Eddy et al. Advanced mixed waste treatment project melter system preliminary design technical review meeting
Buckentin et al. Radioactive scrap metal decontamination technology assessment report
Jung et al. A State of the Art Report on the Technology for Melting and Recycling of the Radioactive Metallic Wastes
KR20230139052A (ko) 감용처리 용융물 세라믹 슬래그 코어
Nachtrodt Development of a method for plasma-induced combustion of intermediate to low-level radioactive waste
Lee et al. The Efforts to Utilize High-Temperature Melting Technologies for ILLW and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ir Technical Assessment
Buckentin Melt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stainless steel by electroslag remelting
RU2189653C1 (ru) Способ обращения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и отходами ограниче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арианты)
Roussel et al. Borosilicate glass HLW stability during long term interim storage
Gräbener et al. Volume reduction, treatment and recycling of radioactive waste
Sappok et al. " RESULTS OF METALLIC WASTE TREATMENT BY MELTING
Smith et al. Joule-Heated Ceramic-Lined Melter to Vitrify Liquid Radioactive Wastes Containing Am241 Generated From MOX Fuel Fabrication in Russia
KR20170058224A (ko) 부피축소를 위한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탄화 시스템
Kulovany Radioactive waste treatment technology at CZECH nuclear power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