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415A - 실링 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열전기 발생기용 열전기 모듈 - Google Patents

실링 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열전기 발생기용 열전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415A
KR20130054415A KR1020137008919A KR20137008919A KR20130054415A KR 20130054415 A KR20130054415 A KR 20130054415A KR 1020137008919 A KR1020137008919 A KR 1020137008919A KR 20137008919 A KR20137008919 A KR 20137008919A KR 20130054415 A KR20130054415 A KR 2013005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module
thermoelectric
sealing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442B1 (ko
Inventor
롤프 브뤽크
지그리드 림벡크
Original Assignee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filed Critical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5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01N5/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the device being thermoelectric 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Fuel Cell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 Gasket Seal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열전기 모듈(1)은 고온 측(18)이나 또는 냉각 측(19)에 각각 할당되는 내측 원주방향 표면(2) 및 외측 원주방향 표면(4)과, 상기 고온 측과 상기 냉각 측 사이에 배치된 중간 공간(17) 및 기하 축선(3)과, 하나 이상의 실링 부재(7)를 구비하고, 상기 실링 부재(7)는 내측 원주방향 표면(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에 배치된 냉각 측(19)이나 또는 고온 측(18)과 전기 절연 층(16)에 의해서만 분리되며, 그리고 냉각 측(19)에 대해 적어도 중간 공간(17)을 시일하고 상기 열전기 모듈(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열전기 부재(6)를 상기 열전기 모듈(1) 외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전기 컨덕터(9)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컨덕터(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실링 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열전기 발생기용 열전기 모듈{Thermoelectric module for a thermoelectric generator of a vehicle with a sealing element}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특히 열전기 발생기에 사용하기 위한 열전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열전기 모듈은 하나 이상의 실링 부재를 구비한다.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예를 들면, 배터리나 또는 여러 다른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하기 위하여 및/또는 요구되는 에너지를 전기 로드(load)에 직접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열전기 발생기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는 열 에너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는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어 작동되며, 더욱 많은 에너지가 상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열전기 발생기는 하나 이상의 열전기 모듈을 구비한다. 열전기 모듈은 예를 들면, (p-도프된 그리고 n-도프된) 적어도 2개의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고, 이들 반도체 소자는 교호의 전기 전도성 브릿지로써 (고온 측이나 또는 냉각 측과 마주한) 상기 열전기 모듈의 상부 측 및 하부 측 상에 제공된다. 이들 2개의 반도체 소자는 가장 작은 열전기 유닛이나 또는 열전기 소자를 형성한다. 열전기 재료는 상기 열전기 재료가 효과적인 방식으로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타입(제벡크 효과(Seebeck effect)이고 그리고 상기 제벡크 효과와 정반대인 타입(펠티에르 효과(Peltier effect))이다. 온도 구배가 반도체 소자의 양 측에 제공된다면, 전압 포텐셜이 상기 반도체 소자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고온 측에서의 충전 캐리어는 보다 고 온도로 증가된 정도로 전도대(conduction band)로 여기된다. 이러한 공정 동안에 전도대에서 발생된 집중도의 차이 때문에, 충전 캐리어는 반도체 소자의 보다 저온 측으로 제공(diffuse)되며, 이는 포텐셜 차이를 발생시킨다. 열-전기 모듈에 있어서, 상당히 많은 반도체 소자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다면 바람직하다. 직렬의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된 포텐셜 차이가 서로 상쇄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교호의 반도체 소자가 (n-도프되고 그리고 p-도프된) 상이한 대다수의 충전 캐리어와 직접적인 전기 접촉을 항상 이룬다. 연결된 부하 저항기에 의하여, 회로는 폐쇄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전기 파워가 줄어들 수 있다.
반도체 소자가 일관된 작동에 적당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확산 장벽이 전기 전도성 브릿지와 열전기 재료 사이에 일반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열전기 재료로의 전기 브릿지에 포함된 재료의 확산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반도체 재료 및 열전기 소자의 고장이나 또는 효과의 저하를 방지한다. 열전기 모듈 및 반도체 소자의 구성은 고온의 매체나 또는 저온의 매체가 상부에서 유동하는 열전기 모듈을 형성하기 위하여, 개별 구성요소, 즉 열전기 재료, 확산 장벽, 전기 전도성 브릿지, 절연부 및 필요하다면, 부가적인 하우징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달성된다. 다수의 개별 구성요소의 이러한 조립은 또한 생성된 전류가 열전기 재료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 브릿지와의 적당한 접촉과, 고온 측으로부터 냉각 측까지의 열 전달과, 개별 구성요소의 정밀한 공차 내 맞춤을 필요로 한다.
열전기 모듈에서의 이러한 반도체 소자의 배치를 위하여, 하우징 벽부 및/또는 지지 튜브가 일반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모듈에 대한 외측 경계부(external boundary)를 형성하며, 상기 반도체 소자가 부착된다. 특히, 이러한 구성은, 한편으로, 전기 접속부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의 위치에 대하여, 반도체 소자의 정확한 끼워맞춤 배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생산 시 적당한 큰 공차 요구조건을 야기한다. 다른 하나의 문제점은, 외측의 하우징 부분 및 내측의 하우징 부분 상에서의 상이한 열적 부하는 이들 구성요소의 상이한 팽창 작용이 특히 고 스트레스를 열전기 재료로 유도하지 않으면서 반드시 보상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열전기 모듈의 정밀한 제품과 관련하여, 장착 및 조정을 간단하게 하고 또한 조립 공정에서 가볍지만 안정적인 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많은 수의 구성요소가 서로 용이하게 합쳐질 필요가 있다. 상기 언급된 요구조건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어느 한 측에 위치한 열전기 모듈을 둘러싸는 고온의 매체나 또는 저온의 매체가 상기 열전기 모듈에 배치된 열전기 소자로부터 영구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열전기 모듈, 특히 이러한 종류의 튜브형 모듈의 각각의 단부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 부재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가스상의 및/또는 액상의 매체에 대한 열전기 모듈의 실링을 고려하여, 가능한 강건한 구성이 이들 구성요소의 경우에 특히 요구되어, 이러한 실링 부재의 조립과 관련하여 또는 맞춤 정확도와 관련하여 과도한 요건을 피할 수 있다.
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설명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의 매체 및 저온의 매체에 대해 실링될 수 있는 열전기 모듈을 특정함과 동시에, 기술적으로 간단한 감소된 수의 부품을 만들어 구비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 가스의 열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최대로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시 내구성이 있고, 더욱이 고 효율을 갖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따른 열전기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 지시되어 있다. 청구범위에서 개별적으로 특정된 특징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의미있는 방식으로 합쳐질 수 있고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도면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기 모듈은, 고온 측이나 또는 냉각 측에 각각 할당된, 내측의 원주의 표면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을 구비한다. 중간 공간은 내측의 원주의 표면과 외측의 원주의 표면 사이에 배치된다. 열전기 모듈은 기하 축선 및 하나 이상의 실링 부재를 구비하며, 이 경우 실링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의 원주의 표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기 절연 층에 의해서만 상기 표면에 배치된 고온 측이나 또는 냉각 측과 분리된다. 더욱이, 실링 부재는 냉각 측에 대하여 적어도 중간 공간을 실링한다. 더욱이, 실링 부재는 열전기 모듈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열전기 소자를 상기 열전기 모듈의 외부에 배치된 자체의 하나 이상의 제 2 전기 컨덕터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컨덕터를 구비한다.
더욱이 실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열전기 모듈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외측의 원주의 표면에 배치된 고온 측이나 또는 냉각 측과 전기 절연 층에 의해서만 분리된다. 특히, 실링 부재는 또한 부가적으로 고온 측에 대하여 적어도 중간 공간을 실링한다.
특히, 열전기 모듈은 열전기 발생기의 별도의 구성 유닛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한 선택으로서 열전기 모듈은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에 의해 상기 열전기 모듈이 필요하다면, 다수의 다른 열전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열전기 모듈에 통합된 모든 열전기 소자의 상호연결부나 또는 전기 접속부가 따라서 상기 모듈 내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열전기 모듈은 이후 한편으로, 고온 측 상의 고온의 매체에 노출되고 그리고 냉각 측 상의 저온의 매체에 노출된다. 외측의 원주의 표면을 경유하는 저온의 매체와 그리고 내측의 원주의 표면을 경유하는 고온의 매체(특히, 배기 가스)와 열전기 모듈을 접촉시키거나, 또는 상기 모듈을 통하거나 또는 상기 모듈 주위의 상기 매체의 유동에 본 발명의 촛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실제로, 내측의 원주의 표면은 "고온 측"을 형성하고 그리고 외측의 원주의 표면은 열전기 모듈의 "냉각 측"을 형성한다.
더욱이 열전기 모듈이 세장형 설계, 달리 말하자면, 예를 들면, 레일이나 튜브의 방식이라면 바람직하다. 열전기 모듈이 실린더나 또는 튜브 방식으로 대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면 특히 매우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형상은 반드시 강제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타원형 단면이나 또는 다각형 단면은 또한 이러한 열전기 모듈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이후 또한 중앙의 기하 축선과, 내측의 원주의 표면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내측의 원주의 표면은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내측의 덕트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를 통해서 고온의 매체(배기 가스)가 유동할 수 있다. 열전기 소자는 내측의 원주의 표면과 외측의 원주의 표면 사이의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에 위치된다. 다수의 이러한 열전기 소자가, 특히 p-도프된 열전기 재료를 포함한 반도체 소자 및 n-도프된 열전기 재료를 포함한 반도체 소자가 서로 인접하여 교호로 배치되도록, 열전기 모듈의 기하 축선의 방향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 상에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정도로, 소정의 도핑(doping)을 갖는 반도체 소자가 내측의 원주의 표면 주위를, 예를 들면 디스크나 또는 링의 방식으로 완전하게 뻗어있다면 특히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전기 재료는 이후 전기 전도성 브릿지에 의해 짜맞춰지고(frame), 상기 전기 전도성 브릿지가 이하 아래에서 연결 부재로 언급된다. 열전기 재료는 이후 이들 연결 부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짜맞춰지고, 그리고 내측의 원주의 표면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은 이에 따라 연결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및 외부 모두에서 열전기 재료를 완전하게 둘러싼다. 반도체 소자의 형상에 따라, 예를 들면, 연결 부재는 링이나 또는 (중공의) 실린더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특히 솔더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열전기 재료가 (압력에 의해) 연결 부재에 서로 완전하지 않게(non-positively) 연결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동시에 연결 부재가 열전기 재료 및 전기 컨덕터용 확산 장벽을 형성한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니켈이나 또는 몰리브덴은 연결 부재용 재료로 바람직하고,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 재료가 상기 연결 부재의 재료의 중량의 적어도 95%를 이룬다면 특히 매우 바람직하다.
반도체 소자의 열전기 재료는 이후 연결 부재에 의해 교호로 서로 전기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열전기 재료 및 열전기 모듈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이 내측의 원주의 표면과 외측의 원주의 표면 사이의 온도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열전기 재료 사이의 전기 접속부는 또한 금속의 브릿지, 케이블, 솔더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접속부는 연결 부재에 의해서(만)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실링 부재는 이후 열전기 모듈의 각각의 단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을 폐쇄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중간 공간이 냉각 측에 대해 그러나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온 측에 대해 적어도 시일되어, 저온의 매체나 또는 고온의 매체가 중간 공간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실링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구성요소이고 그리고 반도체 재료에 의해, 연결 부재나 또는 열전기 모듈을 둘러싸는 외측의 또는 내측의 튜브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링 부재는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의 길이의 특히, 많아야 20%, 바람직하게는 많아야 10%인, 축선 방향의 연장부를 구비한다.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의 길이는 축선 방향에서 반도체 재료 사이의 최대 거리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실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전기 컨덕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컨덕터는 열전기 모듈 내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와 접촉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를 통해 상기 열전기 모듈에서 만들어진 전류를 외부에 위치된 제 2 전기 컨덕터로 전도할 수 있다.
특히, 실링 부재는 내측의 원주의 표면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이는 고온의 및/또는 저온의 매체가 실링 부재 위를 직접적으로 유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요하다면, 실링 부재가 단지 슬리브에 의해서만 외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배치된 냉각 측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를 통해 상기 냉각 측과 상기 고온 측 사이에서 열의 유동을 허용한다. 그러나, 실링 부재가 축선 방향으로 큰 연장부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열의 이러한 유동은 실링 부재의 부가적인 열적 단열부 없이도, 단지 약간의 정도로 열전기 모듈의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냉각 측 및/또는 고온 측과 관련된 중간 공간의 실링이 특히, 외측의 원주의 표면 및/또는 내측의 원주의 표면을 만드는 연결 부재와 실링 부재 사이의 재료 연결부에 의해, 달성된다. 실링 부재는 바람직하게 전기 컨덕터에 의하여 내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배치된 연결 부재와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배치된 고온 측과 관련된 중간 공간의 실링이 본 발명에서 보장된다. 외측의 원주의 표면에서의 실링은 바람직하게는 슬리브와 실링 부재 사이에서의 실링 표면의 형성에 의해 만들어진다. 특히, 슬리브는 냉각 측에 대해 연결 부재의 전기 절연부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절연 층은 또한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절연 층은 또한, 특히 실링 부재가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장착된 이후에, 상기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실링 부재는 전기 절연 층에 의해서만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배치된 냉각 측이나 또는 고온 측과 분리된다.
실링 부재가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 및, 특히, 더욱이, 외측의 원주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을 실링하는 동시에 외부와 떨어진 상기 열전기 모듈에서 생성된 전류를 이송하기 위한 간단한 설계 해결책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부재가 열전기 모듈의 양 단부에 제공된다면, 상이한 실시예의 실링 부재가 열전기 모듈 상에 배치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실링 부재가 단일의 부분으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구성은 한편으로, 냉각 측에 대해 적어도 시일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열전기 모듈 외부에 배치된 제 2 전기 컨덕터에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될 열전기 모듈에 대해 단일의 부분을 부가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간단한 해결책은 열전기 모듈의 작동 동안의 일관된 적합함과 그리고 저-비용 조립을 보장할 수 있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단일의 부분"라는 표현은, 열전기 모듈과의 조립 전에, 실링 부재가 특히, 완전하지 않게나, 완전하게 또는 구체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개별 구성요소로부터 만들어지는 단일의 구성 유닛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전기 모듈의 다른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실링 부재는 복수의 층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 상기 실링 부재를 통하여 축선 방향으로 전류를 유도하기 위한 전기 컨덕터의 형성,
- 상기 열전기 모듈의 반경 방향에서의 전기 절연부용 절연 층의 형성,
- 액상의 및/또는 가스상의 매체와 관련된 중간 공간의 실링과 같은 작동을 적어도 실행한다.
특히, 실링 부재는 따라서 하나 이상의 세라믹 절연 층 및 하나 이상의 전기 컨덕터 층으로 구성되고, 이들 층은 축선 방향의 실링 부재를 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서 뻗어있고 이에 따라 상기 실링 부재를 만든다. 필요하다면, 전기에 적당한 세라믹 재료와, 적용가능하다면, 또한 실링 부재의 열 단열부가 짜맞춰지고 그리고 금속의 지지 부재에 의해 안정화된다. 더욱이, 운모(mica)의 층은 세라믹 절연 층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측에서, 전기 컨덕터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재료로 끼워넣어질 수 있거나 또는 운모 재료와 연결되는 상태에서, 실링 부재 그리고 또한 개별 층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환형이나 또는 환형 세스먼트-형상으로 설계되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된다. 개별 층은 바람직하게는 완전하지 않지만, 가능하다면 또한 개별 층 사이의 재료 연결부를 적어도 만들기 위해, 함께 가압된다. 실링 부재의 전기 컨덕터는 바람직하게는 축선의 방향으로 실링 부재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이에 따라서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특히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용접이나 또는 납땜에 의하여, 열전기 모듈의 연결 부재에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전류가 전기 컨덕터에 의해 제 2 전기 컨덕터로 열전기 모듈을 통과해 흐를 수 있다. 운모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지지 부재 사이, 즉 전기 컨덕터와 절연 층 사이의 단순하게 완전하지 않은 연결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료 연결부를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층을 함께 가압하는 것은 절연 층과 전기 컨덕터 사이의 가요성 연결부나 또는 지지 부재를 달성할 수 있게 하여, 반경 방향 및 축선 방향에서의 열 팽창이 보상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류의 완전하지 않은 연결은 체결부에 의한 하우징이나 또는 열전기 발생기 상의 열전기 모듈의 고정 때문에, 실링 부재를 통해 전달된 상당한 힘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는데 더욱 적당하다. 세라믹 절연 층을 통한 유지력의 전달은 실링 부재의 파손을 더욱 잘 야기시킬 수 있다.
운모는 엽상 규산염(phyllosilicate)이며, 이 엽상 규산염에서 표준 구조는 2개의 마주한 4면체의 시트(Ts, tetrahedral sheet) 사이의 8면체의 시트(Os, octahedral sheet)로 이루어진다. 이들 시트는 미수산화(unhydrated) 중간층 양이온 (I)의 영역에 의해 인접한 층과 분리된 층을 형성한다. 그 순서는: ... I Ts Os Ts I Ts Os Ts ...이다. Ts의 성분은 T2O5이다. 팔배위(octahedrally coordinated) 양이온 (M) 주위에서 배위하는 음이온은 음이온 A 및 인접한 Ts의 산소 원주로 이루어진다. 중간층 양이온의 배위(coordination)는 아래와 같이 간략해진 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는 공칭적으로 12-폴드(fold)이다:
I M2 -3 X1 -0T4O10A2
상기 식에서
I = Cs, K, Na, NH4, Rb, Ba, Ca
M = Li, Fe++ or +++ , Mg, Mn++ or +++, Zn, Al, Cr, V, Ti
T = Be, Al, B, Fe+++, Si
A = Cl, F, OH, O (산소를 함유한-운모 ), S.
아래 기재된 재료는 이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열 전도에 대한 큰 저항을 갖는 마이카나이트(micanites)(즉, 특히 큰 운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합성 수지로써 압축되고 구워진 운모 조각).
다른 한 특별한 실시예의 열전기 모듈은, 실링 부재가 하나 이상의 전기 절연 층을 구비하고, 그리고 절연 층이 운모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절연 층은 단지 완전하지 않게 실링 부재와 연결된다. 특히, 실링 부재는 서로 구체적으로, 완전하지 않게 및/또는 완전하게 연결되는 다른 부분(지지 부재, 연결 부재)을 구비한다. 그러나, 절연 층은, 예를 들면 실링 부재의 개별 부분을 함께 가압함으로써, 상기 개별 부분에만 필요하다면 완전하지 않게 연결된다. 특히, 절연 층은 운모에 의해 배타적으로 형성된다.
열전기 모듈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열전기 모듈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은 슬리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은 적어도 실링 표면에 의해 고온 측 및/또는 냉각 측에 대해 실링되고, 상기 실링 표면은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슬리브는, 특히, 외측의 원주의 표면의 연결 부재 위를 뻗어있고 그리고 이에 따라 열전기 모듈의 상기 외측의 원주의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슬리브는 열전기 모듈의 열전기 소자를 둘러싸고, 상기 열전기 소자는 그 외부에서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슬리브는 외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배치되는, 고온 측이나 또는 냉각 측과 관련된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을 실링하고, 그리고 실링 부재와 함께 실링 표면을 만들며, 이에 따라 열전기 모듈의 단부에 위치한 실링 부재에 의해 상기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의 실링을 보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실링 부재는 특히, 원주 방향 주위를 뻗어있는 실링 표면을 구비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부분에 대하여, 슬리브에 의해 둘러싸인다. 특히, 접착제는 실링 부재의 실링 표면과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제는 한편으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실링 부재 사이의 연결부의 피로 강도를 보장하고, 동시에, 실링이 향상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실링 표면은 또한 특히, 예를 들면 그루브와 같은 실링 부재에, 또는, 선택적으로, 슬리브 자체에, 배치되는 O-링(접착제 이외에도 또는 상기 접착제 대신에)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O-링은 상기 실링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싼다. 실링 부재의 그루브에 O-링이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슬리브는 다른 고정 부재에 의해 부가적으로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리브를 상기 O-링에 대해 가압하거나 또는 실링 표면에 대해 가압하여, 중간 공간의 영구적인 실링을 보장한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은 슬리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중간 공간은 상기 슬리브 및 실링 부재에 의해 형성된 실링 표면으로써 적어도 실링된다. 이에 따라서, 슬리브는 내측의 원주의 표면의 연결 부재 상에서 뻗어있고 이에 따라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을 형성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슬리브는 열전기 모듈의 열전기 소자를 둘러싸고, 상기 열전기 소자는 그 내부에서 연결 부재에 의해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슬리브는 내측의 원주 표면상에 배치되는, 고온 측이나 또는 냉각 측에 대해 열전기 모듈의 중간 공간을 실링하고 그리고 실링 부재와 함께, 실링 표면을 만들며, 이에 따라 상기 열전기 모듈의 단부에서의 중간 공간의 실링을 보장한다. 접착제 및/또는 O-링의 배치와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여러 설명이 이에 따라 적용된다.
특히, 내연 기관, 배기 시스템 및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이 더욱 제공되며, 상기 차량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열전기 모듈을 구비한 열전기 발생기를 포함한다. 배기 시스템은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을 통해 뻗어있고, 그리고 냉각 시스템은 상기 열전기 모듈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의 외부를 따라서 뻗어있다. 바꿔 말하자면, 이는 또한, 예를 들면, 쿨란트 시스템의 저온의 매체가 열전기 모듈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의 외부를 따라 통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전기 모듈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이 냉각 측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고온의 배기 가스가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 덕트를 통해 내측으로 유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내측의 원주의 표면은 이후에 고온 측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열전기 발생기가 튜브 다발의 방식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경우에, 한편으로, 다수의 상기 열전기 모듈이 이후 배기 시스템과 연결되고 이에 따라 고온의 배기 가스가 상기 모듈을 통과해 유동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열전기 모듈은 공통의 (이격된)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이에 따라 쿨란트 유동이 상기 모듈 주위에서 합쳐져 유동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다. 물론, 대응하는 전기 터미널 및 리드(lead)가 신뢰할만한 파워 생성과 상기 파워의 전달, 쿨란트의 전달 및 배기 가스의 전달을 실행하기 위하여 반드시 제공된다. 특히, 또한 쿨란트 시스템의 저온의 매체가 열전기 모듈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 덕트의 내부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외측의 원주의 표면은 고온 측을 형성하고 그리고 내측의 원주의 표면은 냉각 측을 형성한다.
본 발명과 그 기술적 내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열전기 발생기 및 복수의 열전기 모듈을 구비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튜브형 열전기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실링 부재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의 일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다른 한 실링 부재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의 일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 3 실링 부재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의 일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제 4 실링 부재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의 일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차량(20)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차량은 내연 기관(21), 배기 시스템(22), 냉각 시스템(23), 및 복수의 열전기 모듈(1)을 구비한 열전기 발생기(24)를 구비하고 있다. 열전기 모듈(1)은 배기 시스템(22)과 연결되고, 이에 따라서 배기 가스가 상기 열전기 모듈(1)을 통해 유동하여, 상기 열전기 모듈(1)의 외부 상에서 냉각 매체가 유동하는 방식으로 냉각 시스템(23)이 열전기 발생기(24)에 연결된다.
도 2는 내측의 원주의 표면(2), 외측의 원주의 표면(4) 및 열전기 소자(6)를 구비한 튜브형 열전기 모듈(1)의 도면으로서, 상기 열전기 소자는 n-도프되고 p-도프된 반도체 소자(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소자는 내측의 원주의 표면(2)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4)에서 연결 부재(26)에 의해 교호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들 열전기 소자(6)는 열전기 모듈(1)의 축선(3)을 따라서 내측의 원주의 표면(2)과 외측의 원주의 표면(4) 사이에서 뻗어있는 중간 공간(17)에 배치된다. (고온의) 매체(12)(배기 가스)는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을 통해 유동하고, 그리고 (저온의) 매체(12)(냉각 수)는 외측의 원주부(4) 상에서 유동하며, 이 결과 "냉각 측"(19)은 외측의 원주의 표면(4)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고온 측"(18)은 내측의 원주의 표면(2) 상에 형성된다. 절연 층(16)은 더욱이 외측의 원주의 표면(4)과 열전기 소자(6) 및 연결 부재(26) 사이에 배치되고, 이 결과 냉각 측(19) 상의 매체(12)가 상기 연결 부재(26)로부터 전기 절연된다. 축선(3)을 따라서 배치된 각각의 단부(33)에서, 열전기 모듈(1)은 각각의 실링 부재(7)를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실링 부재는 슬리브(14) 내에 배치되고 그리고 외측의 원주의 표면(4) 및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실링 부재(7)는 연결 부재(26)를 열전기 모듈(1)의 외부에 배치된 제 2 전기 컨덕터(9)에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하는 전기 컨덕터(8)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 2 전기 컨덕터(9)를 통하여, 복수의 열전기 모듈(1)은 나란하게 연결되거나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수의 열전기 모듈(1)로부터 열전기 발생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열전기 모듈(1)의 중간 공간(17)은 최외측의 반도체 소자(5) 사이의 거리(34)로 형성된 축선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실링 부재(7)는 축선(3)의 방향으로 연장부(35)를 갖는다.
도 3은 실링 부재(7)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1)의 일 단부(33)를 도시한 도면이다. 열전기 모듈(1)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은 연결 부재(26)에 의해 그리고 실링 부재(7)의 전기 컨덕터(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외측의 원주의 표면(4)은 슬리브(1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반도체 소자(5)는 각각 n-도프되고 p-도프되며 그리고 연결 부재(26)에 의해 교호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 부재(26)는 연속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2)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4)을 형성하지 않고, 이에 따라 시일(28)이 적어도 내측의 원주의 표면(2) 상에 부가적으로 제공되어, 고온 측(18)으로부터 열전기 모듈(1)의 중간 공간(17)으로의 그리고 반도체 소자(5) 사이의 갭(13)으로의 매체(12)의 진입을 방지한다.
시일(28)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26)에 의해 형성된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을 넘어 상기 내측의 원주의 표면(2)에 의해 둘러싸인 덕트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시일(28)은 매체(12)의 부가적인 난류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매체(12)와 열전기 모듈(1) 사이의 열 전달을 향상시키는 난류 발생기를 형성할 수 있다.
실링 부재(7)는 단부(33)에서 외부에 대해 열전기 모듈(1)을 시일하고, 이에 따라서 매체(12)가, 적어도 냉각 측(19)으로부터, 상기 열전기 모듈(1)의 중간 공간(17)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실링 표면(25)은 슬리브(14)와 실링 부재(7)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링 표면은 전기 및, 필요하다면, 열 단열 층(16)을 둘러싸는 지지 부재(29)로써 본 발명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부재(29)는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인 절연 층(16)을 안정화시키도록 사용된다. 일 부분에 대하여, 절연 층(16)은 실링 부재(7)의 전기 컨덕터(8)를 둘러싸고, 상기 전기 컨덕터는 조인트(27)에 의해 열전기 모듈(1)의 전기 전도성 연결 부재(26)와 연결되며, 상기 조인트는 본 발명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공정을 위해 외측의 원주의 표면(4)을 통해 접근가능하다.
열전기 모듈(1)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4) 및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실링 부재(7)가 본 발명에서 제공되며, 본 발명은 또한 실링 부재(7)에 속하는 체결부(36) 만이 매체(12)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황을 포함한다. 체결부(36)에 의하여, 필요하다면 다른 열전기 모듈(1)과 함께, 열전기 모듈(1)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서 열전기 발생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축선(3) 방향으로의 실링 부재(7)의 연장부(35)는 실링 부재(7)의 양 단부에서 돌출하는 전기 컨덕터(8)에 의해 형성된다. 전기 컨덕터(8)는 제 2 전기 컨덕터(9)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 2 전기 컨덕터에 의해 열전기 모듈(1)이 다른 열전기 모듈(1)과 직류나 또는 교류로 상향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링 부재(7)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1)의 일 단부(33)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열전기 모듈(1)의 중간 공간(17)은 내측의 원주의 표면(2)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4)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에서, 상기 외측의 원주의 표면(4)은 슬리브(1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갭(13)은 더욱이 반도체 소자(5) 사이에 형성되고,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측(18) 쪽으로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을 통하는 개구(37)를 구비한다. 그러나, 고온 측(18)에 대한 이러한 개구(37)는 시일(28)에 의해 시일되고, 이에 따라서 반도체 소자(5) 및 연결 부재(26)가 갭(13)에 의해 열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보장하며, 상기 갭은 특히 공기나 또는 적당한 절연 재료로 충전된다. 다른 실링 부재(7)는 열전기 모듈(1)에서 발생된 전류(15)가 연결 부재(26)로부터, 조인트(27)를 통하여, 전기 컨덕터(8) 쪽으로 흐르는 방식으로 상기 조인트(27)를 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26)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전기 컨덕터(8) 상에 배치된 제 2 전기 컨덕터(9)의 형태로 집중 배치를 통하여, 다른 전기 컨덕터(8)와 연결될 수 있다. 실링 부재(7)는 복수의 층(10)으로부터 반경 방향(11)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그 내측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에서, 지지 부재(29)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특히, 금속의 구성이고 그리고 절연 층(16)처럼 환형 절연 재료를 이들 사이에서 유지한다. 이러한 절연 층(16)은 냉각 측(19)으로부터 전기 컨덕터(8)의 전기 절연부를 제공하도록 사용된다.
도 5는 열전기 모듈(1)의 일 단부(33)에서의 제 3 실시예의 실링 부재(7)를 도시한 도면이다. 열전기 모듈(1)은 반도체 소자(5)를 구비하고, 상기 반도체 소자는 축선(3)을 따라서 중간 공간(17)에 배치되고 그리고 열전기 소자(6)를 형성한다. 갭(13)이 반도체 소자(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갭은 내측의 원주의 표면(2) 상에 배치된 고온 측(18)과 연결된다. 반도체 소자(5)는 연결 부재(26)에 의해 교호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냉각 측(19) 및 고온 측(18)이 제공될 때, 열전기 모듈(1)에 의해 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단부(33)에서, 열전기 모듈(1)은 실링 부재(7)에 의해 실링되고, 이 경우 외측의 환형 지지 부재(29)는 절연 층(16)을 둘러싸며, 상기 절연 층은 그 부분을 위해 전기 컨덕터(8)를 둘러싼다. 전기 컨덕터(8)는 조인트(27)에 의해 연결 부재(26)에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된다. 실링 부재(7)가 배치된 이후에, 다른 절연 층(16)이 내측의 원주의 표면(2)에 적용되며, 상기 절연 층은 또한 상기 내측의 원주의 표면(2)에 있는 개구(37)를 통하여 반도체 소자(5) 사이의 각각의 갭(13)으로 뻗어있고 그리고 이들 공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한다. 열전기 모듈(1)의 이러한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열전기 모듈(1)의 특히 간단한 생산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생산에서, 실링 부재(7)가 배치된 이후에, 슬리브(14)가 외측의 원주의 표면(4) 상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열전기 모듈(1)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4)을 형성한다. 실링 부재(7)가 배치된 이후에 본 발명에서 부가된 절연 층(16)이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의 영역에서 다시 순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결과 단지 갭(13) 및 개구(37)가 절연 재료로 충전되지만, 그러나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은 연결 부재(26)에 의해 그리고 전기 컨덕터(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도 6은 열전기 모듈(1)의 일 단부(33)에 배치된, 제 4 실시예의 실링 부재(7)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다중-부분의 실링 부재(7)가 외측의 원주의 표면(4) 상에 배치된 연결 부재(26)와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전기 컨덕터(8)는 일 부분에 대해 실링 부재(7)의 다른 부재(38)를 지지하는 슬리브로 구성되며, 이는 절연 층(16)에 의해 전기 컨덕터(8)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슬리브(14)는 외측의 원주의 표면(4) 상에 배치되어, O-링(31) 및 고정 부재(30)와 함께 실링 부재(7) 상에서 실링 표면(25)을 형성한다. 더욱이, 접착제(32)가 제공되어, 부가적으로 냉각 측(19)으로부터의 중간 공간(17)을 실링하는데 도움이 된다. 전기 컨덕터(8)는 조인트(27)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용접된 조인트에 의해 연결 부재(26)와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된다.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은 실링 부재(7)의 전기 컨덕터(8)에 의해 그리고 연결 부재(2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반도체 소자(5)들 사이나 또는 상기 반도체 소자(5)와 실링 부재(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전기 절연 갭(13)이 시일(28)에 의하여 기밀 방식으로 고온 측(18)과 분리된다.
실링 부재(7)는 열전기 모듈(1)을 상기 실링 부재(7)를 통하여 열전기 발생기(24)와 연결시키는 작동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실링 부재(7)는 체결부(36)으로써 상기 열전기 발생기 내에서의 상기 열전기 모듈(1)의 기계적인 고정을 보장한다. 체결부(36)로부터 다른 부재(38)를 통해 전기 컨덕터(8)까지의 힘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운모 재료가 절연 층(16)으로 바람직하다. 절연 층(16), 전기 컨덕터(8) 및 다른 부재(38)가 함께 기계적으로 가압되어, 이들 부분 사이에서 단순하게 완전하지 않은 연결부를 만든다. 따라서, 연결부가 제공되어 고장 없이 부품의 팽창 차이와 열 스트레스 및 기계적 스트레스를 보상할 수 있다. 더욱이, 전기 절연부가 전기 컨덕터(8)와 다른 부재(38) 사이에 배치될 수 있어, 상기 전기 컨덕터(8) 및 상기 다른 부재(38)가 상기 부품들 사이의 가요성 연결부 때문에, 축선(3) 방향의 상대 운동을 통하여 접촉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전기 절연부 대신에, 또한 이러한 접촉을 방지하는 기계적인 정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실링 부재(7)는 설계에 의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열전기 모듈(1)의 중간 공간(17)의 실링을 보장하는데, 그 이유는 실링 부재(7)가 내측의 원주의 표면(2)으로부터 외측의 원주의 표면(4)에 가능한 멀리 뻗어있고 그리고, 필요하다면, 슬리브(14)에 의해서만 배치된 냉각 측(19)과 분리되기 때문이다. 실링 부재(7)가 고정된 이후에만 슬리브(14)가 배치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복잡한 공차 분석의 생략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실링 부재(7)가 축선(3)의 방향으로 열전기 모듈(1)의 개별 구성요소와 연결되고 그리고 강성의 슬리브(14)로 반드시 가압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며, 이 경우에 대응하는 끼워맞춤이 실링을 반드시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달리, 버트(butt) 조인트가 조인트(27)에서 연결 부재(26)와 실링 부재(7)의 전기 컨덕터(8) 사이에 형성된 상태에서, 중간 공간(17)의 실링이 일 단부에서 상기 조인트(27)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그리고 다른 일 단부에서 특히 외측의 원주의 표면(4) 상에서, 상기 실링 부재(7)와 연결된 슬리브(14)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1 열전기 모듈 2 내측의 원주의 표면
3 축선 4 외측의 원주의 표면
5 반도체 소자 6 열전기 소자
7 실링 부재 8 전기 컨덕터
9 제 2 전기 컨덕터 10 층
11 반경 방향 12 매체
13 갭 14 슬리브
15 전류 16 절연 층
17 중간 공간 18 고온 측
19 냉각 측 20 차량
21 내연 기관 22 배기 시스템
23 냉각 시스템 24 열전기 발생기
25 실링 표면 26 연결 부재
27 조인트 28 시일
29 지지 부재 30 고정 부재
31 O-링 32 접착제
33 단부 34 거리
35 연장부 36 체결부
37 개구 38 다른 부재

Claims (6)

  1. 고온 측(18) 또는 냉각 측(19)에 각각 할당되는 내측의 원주의 표면(2) 및 외측의 원주의 표면(4)과, 상기 고온 측과 상기 냉각 측 사이에 배치된 중간 공간(17) 및 기하 축선(3)과, 하나 이상의 실링 부재(7)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1)로서,
    상기 실링 부재(7)는 상기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전기 절연 층(16)에 의해서만 배치된 고온 측(18)이나 냉각 측(19)과 분리되며, 상기 냉각 측(19)과 관련하여 적어도 상기 중간 공간(17)을 실링하고, 그리고 상기 열전기 모듈(1)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열전기 소자(6)를 상기 열전기 모듈(1) 외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 2 전기 컨덕터(9)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컨덕터(8)를 구비하는 열전기 모듈(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7)는 단일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기 모듈(1).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7)는 복수의 층(10)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 상기 실링 부재(7)를 통해 축선(3)의 방향으로 전류(15)를 유도하기 위한 전기 컨덕터(8)의 형성,
    - 상기 열전기 모듈(1)의 반경 방향(11)에서의 전기 절연부용 절연 층(16)의 형성,
    - 액상의 및/또는 가스상의 매체(12)에 대한 중간 공간(17)의 실링과 같은 작동을 적어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기 모듈(1).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7)는 하나 이상의 전기 절연 층(16)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절연 층(16)은 운모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그리고 단지 완전하지 않게 상기 실링 부재(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기 모듈(1).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기 모듈(1)의 상기 외측의 원주의 표면(4)은 슬리브(1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열전기 모듈(1)의 상기 중간 공간(17)은 적어도 실링 표면(25)에 의하여 상기 고온 측(18) 및/또는 상기 냉각 측(19)에 대해 실링되고, 상기 실링 표면은 슬리브(14) 및 실링 부재(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기 모듈(1).
  6. 내연 기관(21), 배기 시스템(22) 및 냉각 시스템(23)을 구비한 차량(20)으로서,
    열전기 발생기(24)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열전기 모듈(1)을 구비하여 제공되고, 상기 배기 시스템(22)은 상기 열전기 모듈(1)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2)을 통해 뻗어있고, 그리고 상기 냉각 시스템(23)은 상기 열전기 모듈(1)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4)의 외부를 따라서 뻗어있는 차량(20).
KR1020137008919A 2010-09-09 2011-08-22 실링 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열전기 발생기용 열전기 모듈 KR101687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4803A DE102010044803A1 (de) 2010-09-09 2010-09-09 Thermoelektrisches Modul für einen thermoelektrischen Generator eines Fahrzeugs mit einem Dichtelement
DE102010044803.6 2010-09-09
PCT/EP2011/064409 WO2012031881A1 (de) 2010-09-09 2011-08-22 Thermoelektrisches modul für einen thermoelektrischen generator eines fahrzeugs mit einem dicht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415A true KR20130054415A (ko) 2013-05-24
KR101687442B1 KR101687442B1 (ko) 2016-12-16

Family

ID=4450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919A KR101687442B1 (ko) 2010-09-09 2011-08-22 실링 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열전기 발생기용 열전기 모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09377B2 (ko)
EP (1) EP2614232B1 (ko)
JP (1) JP5926261B2 (ko)
KR (1) KR101687442B1 (ko)
CN (1) CN103097685B (ko)
DE (1) DE102010044803A1 (ko)
RU (1) RU2564160C2 (ko)
WO (1) WO2012031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4809A1 (de) 2012-06-04 2013-12-05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hermoelektrischen Bauelements sowie ein thermoelektrisches Bauelement
DE102012104927A1 (de) * 2012-06-06 2013-12-12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Thermoelektrisches Modul und Verfahren zum Betrieb
DE102012105496A1 (de) * 2012-06-25 2014-01-02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Faden mit einem thermoelektrischen Werkstof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für ein thermoelektrisches Modul
DE102012214759B3 (de) * 2012-08-20 2014-02-06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FR3010505B1 (fr) * 2013-09-10 2018-02-23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thermo electrique, dispositif thermo electrique, echangeur de chaleur et boucle egr
DE102014203176A1 (de) * 2014-02-21 2015-09-10 MAHLE Behr GmbH & Co. KG Thermoelektrische Vorrichtung, insbesondere thermoelektrischer Generator oder Wärmepumpe
FR3019684B1 (fr) * 2014-04-03 2017-08-25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thermoelectrique a connecteur isole et element de ligne d'echappement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102395300B1 (ko) 2017-10-26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 소자 유닛, 열전 소자 유닛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 및 열전 소자 유닛의 제조 방법
CN113630042A (zh) * 2021-08-16 2021-11-09 广州威能机电有限公司 一种工作机及其温差发电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6406A (en) * 1975-01-09 1977-11-01 Mikhail Abramovich Markman Tubular thermoelectric module
WO2009103664A2 (de) * 2008-02-19 2009-08-27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HEIßISOSTATISCH GEPRESSTER THERMO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8521C (de) * 1945-03-16 1953-06-05 Siemens Ag Einrichtung zur Umformung von Waerme in elektrische Energie mit Hilfe einer aus mehreren Elementen bestehenden Thermosaeule
US3054840A (en) * 1958-05-06 1962-09-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ermopile
US3243869A (en) * 1962-11-27 1966-04-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cess for produc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4011104A (en) * 1973-10-05 1977-03-08 Hughes Aircraft Company Thermoelectric system
DE2427074C2 (de) * 1974-06-05 1982-10-28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inrichtung zur Speisung des elektrischen Bordnetzes von Fahrzeugen mit Brennkraftmaschine
JPS61254082A (ja) * 1985-04-30 1986-11-11 Suzuki Motor Co Ltd 排気熱発電装置
JP3676504B2 (ja) * 1996-07-26 2005-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熱電モジュール
RU2191447C2 (ru) * 2000-06-08 2002-10-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ологии судостроения"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RU2196242C1 (ru) * 2001-06-25 2003-01-10 Россий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ружбы Народов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2004088057A (ja) * 2002-01-25 2004-03-18 Komatsu Ltd 熱電モジュール
JP3753995B2 (ja) * 2002-03-13 2006-03-0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冷却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6828730B2 (en) * 2002-11-27 2004-12-07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icrodischarge photodetectors
CN101320781A (zh) * 2003-07-25 2008-12-10 株式会社东芝 热电变换装置
JP2005223132A (ja) * 2004-02-05 2005-08-1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熱電発電装置
JP4123163B2 (ja) 2004-02-17 2008-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発電装置
JP4305252B2 (ja) * 2004-04-02 2009-07-29 株式会社デンソー 排熱回収装置
ATE527699T1 (de) * 2004-07-01 2011-10-15 Universal Entertainment Corp Thermoelektrisches wandlermodul
US7868242B2 (en) * 2004-07-01 2011-01-11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JP4873888B2 (ja) * 2005-05-27 2012-02-08 京セラ株式会社 熱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発電装置及び冷却装置
JP2007294548A (ja) * 2006-04-21 2007-11-08 Denso Corp 熱電変換装置
DE102006039024A1 (de) * 2006-08-19 2008-02-21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Thermogenerator
DE102008058779A1 (de) * 2008-11-24 2010-05-27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Modul für einen thermoelektrischen Generator und ein thermoelektrischer Generator
DE102009009586A1 (de) 2009-02-19 2010-08-26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Thermoelektrische 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6406A (en) * 1975-01-09 1977-11-01 Mikhail Abramovich Markman Tubular thermoelectric module
WO2009103664A2 (de) * 2008-02-19 2009-08-27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HEIßISOSTATISCH GEPRESSTER THERMO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15630A (ru) 2014-10-20
EP2614232A1 (de) 2013-07-17
CN103097685B (zh) 2015-12-02
RU2564160C2 (ru) 2015-09-27
JP2013542701A (ja) 2013-11-21
KR101687442B1 (ko) 2016-12-16
US9209377B2 (en) 2015-12-08
WO2012031881A1 (de) 2012-03-15
CN103097685A (zh) 2013-05-08
US20130199590A1 (en) 2013-08-08
JP5926261B2 (ja) 2016-05-25
EP2614232B1 (de) 2015-11-25
DE102010044803A1 (de)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42B1 (ko) 실링 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열전기 발생기용 열전기 모듈
KR101308257B1 (ko) 열전기 장치
JP5785763B2 (ja) 熱転送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523445B1 (ko) 열전기 모듈용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
JP5563586B2 (ja) 熱電発電装置のためのモジュールおよび熱電発電装置
JP5918268B2 (ja) 熱膨張を補償するための手段を有する熱電モジュール
JP5787755B2 (ja) 電気エネルギーを発生させる装置を備える熱交換管束、及びこの管束を備える熱交換器
RU2580205C2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модуль с теплопроводным слоем
US20130160809A1 (en) Tubular thermoelectric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module
US9293679B2 (en) Thermoelectric module for a thermoelectric generator of a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rmoelectric modules
KR20140020908A (ko) 일체형 열전 발전기를 갖는 배기 트레인
JP5902703B2 (ja) 車両の熱電発生器用の熱電モジュール
KR20160143716A (ko)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열전 장치 및 열전 모듈
JP5049533B2 (ja) 熱電変換装置
US10636953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012597A (ja) 熱交換器
US20160163946A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6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812

Effective date: 2016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